개암사의 역사 / 다음 블로그 행자실

2013. 10. 1. 15:47여행 이야기

 

 

 

 

      

 


 

울금바위
울금바위

 

개암사는 전라북도 서부 변산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고찰로 634년 백제의 왕사(王師) 묘련(妙蓮) 스님이 창건한 고찰이다. 능가산(楞伽山)이라고도 부르는 뒷산에는 백제부흥운동의 유서가 깃든 우금산성(전북 기념물 제20호)이 있다.

사찰의 이름을 ‘개암(開巖)’이라 부르게 된 배경은 뒷산 정상의 웅장한 ‘우금바위(또는 우금암)’의 전설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즉 마한의 효왕(孝王) 28년에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을 때, 우(禹)와 진(陳)의 두 장사를 보내어 감독하게 하고 좌우 계곡에 왕궁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妙巖), 서쪽을 개암(開巖)이라 부르게 된 데서 비롯되었다. 즉 우금바위에 천연석굴이 있어 그 바위를 개암이라 불렀는데, 바위의 모습이 멀리서 보면 크게 둘로 이루어진 듯하여 ‘바위가 열린 상태’라는 의미에서 ‘開巖’이라 칭했다는 구전도 있다.

대부분의 사찰이 그렇듯이 개암사 창건에 대한 역사기록도 조선후기에 편찬된 사적기(寺蹟記)에 의존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적기는 1658년 金波堂 如如스님이 엮은 『개암사중건사적기(開巖寺重建寺蹟記)』와 1640년 월파자(月坡子) 최경(崔勁)이 지은 『법당중창기문(法堂重創記文)』, 1941년 주봉당(舟峰堂) 상의(尙毅) 스님이 편찬한 『개암사중건연혁기(開巖寺重建沿革記)』 등이 있다.

그 내용을 시기별로 정리하면, 먼저 『법당중창기문』의 「별기(別記)」에 인용된 원효방상량문(元曉房上樑文)에는 백제와 관련된 이 지역의 역사적 위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백제 멸망 직후 묘련의 제자 도침(道琛)이 무왕의 조카 복신(福信)과 더불어 이 지역에서 백제부흥운동을 펼쳤고, 개암사는 원효방(元曉房)의 본사로서 백제부흥운동 당시 구심축을 이룬 장소이다.

즉 634년 묘련이 처음 설립한 후 676년에 원효ㆍ의상 스님이 우금암(禹金巖) 아래에 있는 우금굴에 머물면서 암자를 중수했는데, 이 우금굴은 이후 원효방이라 불리면서 조선시대 후기까지 개암사의 산내암자로 자리잡고 있었다. 원효스님의 자취를 지닌 원효방은 이후 수많은 시인묵객들의 시에도 등장하였으며, 7세기 중엽에 존재했다면 당시부터 개암사의 부속암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삼국유사(三國遺事)』 권4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에는 진표율사(眞表律師)가 개암사의 부속암자인 부사의방장(不思議方丈)에서 참선 득도한 기록이 있다.

 

개암사 응진전의 벽화
개암사 응진전의 벽화

 



이렇듯 개암사는 634년 묘련이 개산(開山)한 백제의 고찰로, 676년 원효ㆍ의상 두 스님이 우금굴에서 수도하며 중수하고 8세기 진표스님이 부속암자에서 참선한 곳이자, 백제부흥운동의 본거지인 주류성이 자리한 유서 깊은 곳이다.

그뒤 고려 초기에 폐허가 되다시피 하였다가, 송광사 스님인 원감국사(圓鑑國師)가 1096년에 불전과 당우를 재건하여 중앙에 황금전(黃金殿), 동쪽에 청련각(靑蓮閣), 남쪽에 청허루(淸虛樓)ㆍ동서상실(東西上室)ㆍ응향각(應香閣)ㆍ십육나한전ㆍ명부전ㆍ팔상전 등 건물 30여 동을 설립, 『대승능가경(大乘楞伽經)』을 강의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교화하였으며, 이 산을 능가산이라 칭하였다. 또한 고려시대에 절이름이 잠시 내도솔사(內兜率寺)라 칭해지기도 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 「부안현 불우(佛宇)」조에는 이곡(李穀)이 읊은 도솔사의 시가 전한다.

1414년에 주지 선탄(禪坦) 스님이 여말선초에 서해안을 침범한 왜구로 인해 폐허가 된 가람을 중창하고, 1636년에 계호대사(戒浩大師)가 중창하였다. 이때 주법당인 황금전을 대웅보전이라고 개칭하였고, 사찰연혁을 유학자 최경(崔勁)에게 정리케 하여 법당중수기문을 지었다. 1654년에는 덕언(德彦)ㆍ

 

개암사 대웅전 석가모니 후불탱
개암사 대웅전 석가모니 후불탱

 

경묵(敬黙) 스님이 화주가 되어 동서양실(東西兩室)을 중건하였으며, 1658년 밀영(密英)ㆍ혜징(慧澄) 등의 스님이 몇 년에 걸쳐 가람을 정비하고 金波堂 如如스님이 『개암사중건사적기(開巖寺重建寺蹟記)』를 지었다. 또한 1688년에는 명원(名媛) 이매창(李梅窓)의 시문집인『매창집(梅窓集)』이 개암사에서 간행되기도 하였다.

1696년에는 신웅(信雄)을 화주로 문루(門樓)를 설립하고, 1720년 태견(太堅)스님이 향각(香閣)ㆍ옥천(玉泉)ㆍ학루(鶴樓) 세 곳에 전각을, 1728년 법천(法天)ㆍ찬견(贊堅)이 명부전을, 1733년 희연(熙演)이 하서암(下西庵)ㆍ석주암(石柱庵)을, 천인(天仁)이 월정암(月精庵)을 세워 대가람의 사찰의 면모를 일신하였다. 또한 1737년에는 덕휘(德輝)ㆍ승일(勝日)ㆍ보윤(寶允) 스님이 시왕상과 16나한상을 조성하고, 1741년에 정중당 앞뜰에 전하는 석조(石槽)를 조성하였으며, 1749년 괘불의 조성과 더불어 대웅보전 앞뜰의 괘불지주를 제작하였다.

근래에 와서 1901년 석가모니후불탱을 조성하였고, 1913년에 화은선사가 선당(禪堂)을 새로 건립하였다. 1960년 대웅보전을 해체ㆍ복원하여 1963년에 보물 제292호로 지정되었으며, 1979년에는 대웅보전의 삼존불을 개금하고 닫집을 보수하였다. 이후 주지 효산(曉山) 스님이 주석하며 사찰에 전해 내려온 전통 죽염을 계승ㆍ개발하였으며, 현재는 주지 혜오(慧悟) 스님이 그 비법을 전수받아 개암죽염의 개발과 상품화에 주력하고 있다. 1993년에 응향각을 복원하고 각 단의 낡은 탱화를 새로 조성하여, 백제 고찰의 사세를 회복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대 내용
634년(무왕 35) 백제 묘련왕사(妙蓮王師)가 개암사를 창건함
676년(문무왕 16) 원효ㆍ의상스님이 우금굴(元曉房)에 상주사며 우금암을 중수함
742년(경덕왕 1) 진표율사가(眞表律師)가 개암사 부근에 부사의방장(不思議方丈)을 건립하고, 변산(卞山)을 변산(邊山)으로 개칭함
1096년(숙종 1) 원감국사(圓鑑國師)가 황금전ㆍ청련각ㆍ백옥교 등 전각 삼십여 동을 재건하고 산이름을 능가산(楞伽山)이라 칭함
1414년(태종 14) 주지 선탄(禪坦)이 중창함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가람이 전소되어 황금전(현 대웅보전)만이 전해짐
1636년(인조 14) 계호대사(戒浩大師)가 중창하고 황금전을 대웅보전으로 개칭함
1640년(인조 18) 최경(崔勁)이『법당중창기문』을 지음
1654년(효종 5) 덕언(德彦)ㆍ경묵(敬?)스님이 동서양실(東西兩室)을 중건함
1658년(효종 9) 밀영(密英)ㆍ혜징(慧澄) 등 스님이 수년간 중창불사를 마치고, 여여(如如)스님이 『개암사중건사적기』를 지음
1677년 응진전 목조16나한상을 조성함
1696년(숙종 22) 신웅(信雄)이 화주로 문루(門樓)를 건립함
1720년(경종 1) 태견(太堅)이 화주로 향각(香閣)ㆍ옥천(玉泉)ㆍ학루(鶴樓) 세 곳의 전각을 건립함
1728년(영조 4) 법천(法天)ㆍ찬견(贊堅)이 화주가 되어 명부전을 건립함
1733년(영조 9) 희연(熙演)이 화주로 하서암(下西庵)ㆍ석주암(石柱庵)을 세우고 천인(天人)이 화주로 월정암(月精庵)을 건립함
1737년(영조 13) 덕휘(德輝)ㆍ승일(勝日)ㆍ보윤(寶允) 스님이 시왕상과 16나한상을 조성함
1741년(영조 17) 정중당 앞뜰의 석조(石槽)를 제작함
1749년(영조 25) 의겸(義謙)이 대웅보전 영산회괘불탱과 괘불지주를 조성함
1783년(정조 7) 승담선사(勝潭禪師)가 대웅보전을 중수함
1913년 주지 화은선사(華隱禪師)가 선당을 건립함
1928년 능가산인(楞伽山人)이 『개암사중건사적기』 발문을 지음
1941년 주지 주봉당(舟峰堂) 상의(尙毅)가 『개암사연혁기』를 지음
1960년 대웅보전을 해체ㆍ복원함
1979년 대웅보전 삼존불의 개금 및 닫집을 보수함
1993년 주지 혜오(慧悟)스님이 응향각을 복원하고 탱화를 조성함
1994년 일주문을 건립하고 응진전을 해체ㆍ복원함
2002년 주지 혜오스님이 개암죽염(開巖竹鹽)을 생산ㆍ식품화함

 

출처

http://www.koreatemple.net/korea_temple/traditional_temple/history/view.asp?temple_seq=1977&category_id=7&content_id=1149

 

                                                                                                          

 

 

                                                                                                           다음 블로그 <행자실>  dis님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