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차 문화' 그대로…하동 다원 8선
신라시대 '차 문화' 그대로…하동 다원 8선
하동에서 차를 키운 것은 신라 때다.
승려들이 차를 즐겨 마셔 쌍계사를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 하동은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이르다.
또 나라에서 비가 많은 곳 가운데 하나여서 물도 풍부하다. 기름지고 물 빠짐이 좋은 땅도 차 재배에 적당하다.
하동군은 쌍계사를 중심으로 다원 8경을 정해 하동차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차 시배지 = 신라 흥덕왕 때 당나라 사신으로 간 대렴공이 차를 처음 심은 곳이다. '대렴공 차 시배 추원비'를 세웠으며, 2008년 7월 공식 차 시배지로 등록됐다.
![]() |
◇명원다원 = (재)명원문화재단에서 소유·관리하는 다원이다. 탐방 데크를 설치했으며 주변에 세이암과 칠불사, 지리산역사관 등이 있다.
◇고려다원 = 화개면 용강리 모암마을 화개동천 옆에 있다. 봄에는 운무에 둘러싸인 화개동천이 벚꽃과 어우러져 절경을 만든다.
◇삼우다원 = 삼신정보화마을(녹차체험마을)이 운영하는 체험다원이다. 탐방용 데크와 정다가 있으며 이곳에서 쌍계사, 남도대교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도심다원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차나무가 있는 다원이다. 해마다 5월이면 '차의 날'에 헌다례 같은 행사를 연다.
◇쌍계야생다원 = 십리벚꽃길과 어우러진 경관이 빼어나다. 돌 틈에서 차나무가 자생하는 전통적인 하동 야생차밭 모양새를 유지하고 있다.
◇차공간 = 한밭다원에서 운영하는 종합차체험공간이 있다. 차를 만들거나 다도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주변에 하동녹차연구소가 있다.
◇매암다원 = 다원 8경 가운데 유일하게 악양에 있다. 100년 동안 악양지역 차 역사를 알 수 있는 전시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