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문자는 동이족의 유산
갑골문자는 동이족의 유산 고문.갑골
고조선에 신지글자 있었다
근래에 발견되는 수많은 유물 등을 통해 요하지역이 황하지역보다 오래되었으며, 보다 발달했다는 증거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동이족 문명이 황화 쪽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황하유역에 살던 이른바 본래의 한족(漢族)은 농경민족으로서 북쪽에서 남하하는 기마민족인 동이족에게 밀리어 남쪽으로 쫓겨가 오늘날 중국의 남방과 동남아 일대에 살고 있다는 설명도 있다. 현재 중국은 55개의 소수 민족 중에 객가족(客家族)이 있는데 이들은 지금도 자기들이 순수 한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황하문명의 주역은 한족이 아니라 동이족 이라는 설명도 가능한 것이다. 말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파장이 국내에서조차 아직 크지 않은 것이 사실 이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선진 문명의 척도라 볼 수 있는 고유문자를 사용한 증거를 명쾌하게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 이다. 있었다는데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중국도 갑골문자에 이어 한자를 만들었고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한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아세아 문명이 중국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추론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되었으므로 우리의 첫번째 국가라고 설명되는 고조선을 문명화된 국가로 볼 수 없다고 단언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와 같은 주장에는 설사 일부 청동기 문화가 중국보다 다소 앞섰더라고 하더라도 문자가 없는 한 진정한 문명세계로 볼 수 없다는 주장과도 연결된다. 만들었다는 것이다. 두번째 주장에는 중국의 국가로 알려진 하(夏) 은(殷)의 역사가 우리의 역사 라는 주장도 포함된다. 정음 이전에 우리나라에는 옛날부터 민간에서 사용하는 글자가 있었는데, 그 수가 다 갖추어지지 못하고 그 모양에 일정한 규범이 없어 한 국가의 말을 적어내기에는 모자란다고 적었다. 또한 고려와 탐라(제주도)에서도 한자가 아닌 어떤 고유글자가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악기의 밑바닥에 쓰인 글을 중국 사람들이 읽지 못하자 그가 한문으로 옮겨주어 주었다는 기록이 있음을 보아 고려 에도 일정한 고유글자가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지 새 글자가 아니라 하는데”라는 말과 “설사 언문이 전 왕조 때부터 있었다고 하더라도(중략) 그대로 따라 쓸 것 인가”라는 말을 볼 때 그 당시 언문 곧 훈민정음이 원래부터 있었던 옛 글자를 기초한 것으로 완전히 새로 만든 글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지금까지 한글의 ‘ㄱ, ㄴ, ㄷ’등 자음과 ‘ㅏ, ㅗ, ㅣ’ 등 모음은 사람의 입이나 목구멍 모양을 상형(象形)했거나 12세기 중국 문자연구서 『육서략』을 본뜬 것이란 학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카톨릭대학교의 이승재 교수는 고려시대 불경 등에 사용됐던 각필과 훈민정음의 자형이 일치되는 예가 무려 17개나 되며 고바야시는 각필 흔적은 ‘일본문헌에 나타나는 오코도점(點)의 원조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일본의 가나 문자가 한반도 에서 유래했을 가능성까지 연결된다. 이맥의 『태백일사(태백유사라고도 함)』에서는 ‘단군 때에 신지전서(신지전자, 신지글자)가 있었는데, 그것을 태백산과 흑룡강, 청구(조선), 구려 등의 지역에서 널리 사용했다’ 라는 글도 있다. ‘왕이나 지배자 즉 통치자의 글’로 해석하기도 한다. 『영변지』에서 전하고 있는 신지글자 16자는 글자의 짜임의 특성으로 보아 뜻글자가 아니라 소리글자이며 글자수가 모두 16자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지글자 전부가 아님을 암시한다. 비슷한 모양의 두 글자가 있었고, 중국의 료녕성 려대시 백람자에서 발굴된 고조선 토기에 새겨진 글자도 신지글자와 유사하다. 이들 글자는 뜻글자인 중국의 한자와도 구별되며 몽골글자와 인도의 범자와도 구별되며 마디글자인 일본 가나자와도 구별된다. 옛 전자를 본땄다’라고 기록했고, 정인지도 『훈민정음』〈해제〉에서 ‘글자는 옛 전자를 본땄다’고 했는데 ‘옛 전자’를 ‘신지글자’로 추정하기도 한다.
한편, 『단기고사(檀紀古事)』와 『단군세기』에는 고조선 3대 단군 가륵(嘉勒) 경자 2년(기원전 2181)에 삼랑 을보륵에게 명하여 정음(正音) 38자를 만들게 했고, 그 이름을 ‘가림도(加林多, 加林土)’ 라고 했다는 글이 있다. 이 38자는 훈민정음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고대로부터 대마도에 보존되어 왔다는 ‘아비루글자’ 는 가림도글자에서 갈라져간 것이 분명할 정도로 유사하다. 만들어 전하는 것이고, 지금체는 조선조 세종 때에 옛날 글자를 고쳐 만든 것인데, 지금 그 나라에는 옛날 글자는 없어 지고 다만 지금 것만 쓰이는데, 옛 글자는 곧 지금 일본에서 전해 온 신대글자(肥人書, 조선 사람의 글자라는 뜻)이다.’ 라고 쓰여 있다. 알려준다.
낙랑무덤에서 나오는 벽돌에 새겨져 있는 무늬를 글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낙랑무덤의 벽돌에 새겨져 있는 무늬는 무늬의 기본 특징인 규칙성, 반복성, 대칭성이 보이지 않고 개개의 벽돌 전체에 새겨진 것들도 있고, 벽돌에 하나의 요소로 삽입된 것도 있다. 이를 ‘불규칙적인 기하학적 무늬’라고 부르는데, 규칙성이 무늬의 근본이므로 불규칙적인 기하학적 무늬는 결국 무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들 무늬를 장식무늬라기보다는 오히려 뜻을 표현하는 글자무늬로 볼 수 있으며, 그 글자무늬가 고대 고조선의 고유문자 즉 신지글자 계통의 문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한다. 때문으로 추정한다. 또 신지글자는 조선시대의 정책과도 배리되어 세조, 예종, 성종 시대에 전국적으로 금지도서로 정하고 국가적으로 회수 조치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단군 말살 정책에 의해 많은 유물과 문서들이 훼손되거나 약탈되었다는 데서도 기인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으므로 앞으로 이들에 대한 자료가 발견될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들이 많이 있다.
우선 1993년 1월 4일 《조선일보》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게재되었다. 중국의 문자사용 연대가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공인을 받아온 연대(기원전 1400년경)보다 최소한 9백년 가까이 더 올라가는 기원전 2300년경으로 판명됐다고 홍콩의 중국계 신문들이 구랍 30일 보도했다. 문화 후기에 속하는 기원전 2300년경의 하왕조 이전에 사용됐던 문자인 것으로 판명됐으며, 전문가들은 도구를 이용 하여 숙련된 기술로 새긴 이들 문자는 그 배열에 순서가 있고 어떤 의미를 표현하고 있는 문장을 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었음을 상기해야 한다'면서 '한자를 막연히 중국의 문자로 정의할 것이 아니라 동방문자로 재조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편찬한 고등학교 『국사』에 동이족의 분포와 고조선 강역을 나타내는 지도가 있는데, 이곳에는 산동반도가 동이족의 영향권으로 들어가 있다. 명지대학교의 진태하 교수도 한자의 조상인 갑골문(胛骨文)이 동이족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언어학적인 견지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했다. 문자의 시작은 상호약속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재 이 ‘契’자의 소리값을 ‘계, 설’로 쓰지만 고음(古音)으로는 반절음으로서 ‘글’이었다. 우리말의 ‘글’이 나왔을 것이라는 반론이 있지만 이 경우 말이 먼저이지 글이 먼저일 수 없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세종대왕이 우리말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여 ‘글’이란 말이 세종대왕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도 세종대왕은 ‘훈민정음(訓民正音)’ 즉 한글이란 문자를 창제한 분이지 우리말을 만든 분이 아니라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는데, 이들 모두가 한반도를 포함하여 동쪽으로 이동한 것이 아니라 황하유역에 그대로 남아 살았기 때문에 혈통적 으로 오늘날 중국 민족의 상당수가 동이계라고 주장했다. 그 이유로 한자는 본래 일자일의(一字一意)의 문자였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의미가 확대되어 대부분 일자다의(一字多義)로 변했다는데서부터 찾는다. 자형은 갑골문에서 해서체에 이르기까지 많이 변했으나, 글자의 소리값은 ‘하(ha)’로서 상고음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데 우리말에서 ‘하(ha)’가 크다 또는 많다의 뜻으로 예로부터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즉‘夏’의 자형을 만든 것은 ‘하(ha), 크다’라는 말을 가지고 있는 민족이 세웠다는 것이 자연스런 추론이라는 것이다. 황하문명의 주역은 한족이 아니라 동이족 이라는 설명도 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동이는 누구인가?> 했다고 객관적인 자료로 인정하더라도 당시의 기록이 없으므로 추론만 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관건이다. 중국의 사료에 의하면 연경(燕京) 즉 오늘의 북경에서 조금 동쪽인 만리장성이 끝난 곳 즉 산해관 부근으로 추정한다. 산해관 동쪽이 동국사 즉 한국사의 영토이다.
세력이 보다 확대된 진(秦)이후 중국의 동쪽인 만주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이르는 민족을 총칭한다. 그러므로 동이를 종족의 칭호가 아니라 정치적인 용어의 개념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에서도 이와 같은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상(商, 은)이 기원전 11세기경 주족(周族)이 중심된 여러 종족의 연맹 세력에 의해 멸망하고 서주(西周)시대가 열렸다. 동이는 끊임없이 중국 역사 속에서 활동을 전개하였다. 산동(山東)과 강소(江蘇) 지역의 노(魯), 제(齊), 초(楚) 등의 나라이다. 노나라에 살았던 공자(孔子)와 맹자(孟子) 등을 동이족이라고 주장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그러나 동이보다 이(夷)가 먼저 일반화된 것은 이(夷)가 어떤 특정한 민족을 가리킨 고유명사가 아니라 고대 중국인들이 자신들과는 다른 이질집단을 통틀어 부른 명칭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인들은 문화가 높은 지역을 ‘하(夏)’, 문화가 높은 사람 혹은 종족을 ‘화(華)’라 칭하고 화하(華夏)가 합해져서 중국이라 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