众所周知,由于唐代“贞观之治”的实施和禅道文化的兴起,促进了社会政治、经济、文化前所未有的发展。到唐代中后期,陆羽《茶经》的问世和茶政改革的推动,使我国茶叶事业实现了 “茶始有字,茶始有书,茶始边销,茶始有税”,并进入了“兴盛”发展时期。 ![]() 正如陆羽描述的那样,“茶之为饮,发乎神农氏,闻于鲁周公”,而兴于唐朝。茶叶产销事业和技术进步的空前发展,推动了唐代茶叶饮用方法与文化的变革。随着唐代茶文化的发展,使过去的茶会、茶集和茶宴从一般的待客礼仪,发展演化为“以茶会友、迎来相送、商学议事” 等又主体的处事联谊活动。 ![]() 诗人孟浩然、王昌龄、李白、皎然、卢仝、白居易、元稹、杜牧、齐己、刘禹锡、皮日休、陆龟蒙等,撰写了众多的赏茶、咏茶诗歌,把饮茶的方法和文化推向了成熟阶段。陆羽在《茶经》中共列举了29件烹饮茶叶的器具和设备,对每种茶具的作用、用材、尺寸、工艺等都作了详细的说明,亲自设计“方其耳,以正令也;广其缘以务远也;长其脐以守中也”的煮水茶具——鍑,并创立了“煮茶法”,又曰“煎茶法”。在茶叶饮用发面,陆羽在《茶经·六之饮》中提出“茶有九难”,并指出要煮好茶必须把握好“一曰造,二曰别,三曰器,四曰火,五曰水,六曰炙,七曰末,八曰煮,九曰饮”,即要掌握好茶叶采造、鉴别、备具、用火、烧水、炙茶、碾末、煮茶、饮用等9个要领。其煮茶和饮茶技艺的基本程式可以概括为“鉴茶、备具、炙茶、碾茶、罗(筛)茶、烧水、一沸加盐、二沸舀水、还击汤心、倒入茶粉、三沸点水、分茶入碗、敬奉宾客”等13个步骤。 ![]() 在唐代文学艺术和禅茶文化的推动下,以“煮茶法”为主流的饮茶方法成为人们追求的生活时尚。其中唐代诗人们的品茶,已经超越了追求解渴、提神、解乏、保健等生理上的满足,而着重从审美的角度来品赏茶汤的色、香、味、沫、形,强调心灵感悟,追求天人合一、物我两忘的最高境界。这一认识,从皎然的茶诗“三饮”和卢仝“七碗茶”诗中可以得到充分的印证。如卢仝在《走笔谢孟谏议寄新茶》中写道:“一碗喉吻润,两碗破孤闷。三碗搜枯肠,惟有文字五千卷。四碗发轻汗,平生不平事,尽向毛孔散。五碗肌骨清,六碗通仙灵。七碗吃不得也,惟觉两腋习习清风生。” ![]() 唐代中后期以后,随着“煮茶法”的普及推广,人们对饮茶用水、用具、用火和煮法越趋讲究,从而使唐代早期以前的“吃茗粥”和“淪蔬而啜”的古老“喝(吃)茶法”彻底被抛弃,这不能不说是我国茶文化与茶饮用方法上的一大飞跃。 |
中国古代各种奇葩饮茶方式 外
煎茶法
- 中文名
- 煎茶法
- 外文名
- dfghsdfhfsdg
- 性 质
- 名词
- 类 别
- 茶
煎茶法简介
编辑煎茶法历史
编辑煎茶法陆羽煎茶法
编辑
煮茶法
- 中文名
- 煮茶法
- 外文名
- 无
- 性 质
- 盛于唐代的中国传统茶法
- 记 录
- 《茶经》
煮茶法煮茶技艺
编辑煮茶法关键
编辑唐代以前无制茶法,往往是直接采生叶煮饮,唐以后则以干茶煮饮。 西汉王褒《僮约》 :“烹茶尽具”。西晋郭义恭《广志》 :“茶丛生,真煮饮为真茗茶”。东晋郭璞《尔雅注》 : "树小如栀子,冬生,叶可煮作羹饮"。晚唐杨华《膳夫经手录》: “茶,古不闻食之。近晋、宋以降,吴人采其叶煮,是为茗粥”。晚唐皮日休《茶中杂咏》序云:“然季疵以前称茗饮者,必浑以烹之,与夫瀹蔬而啜饮者无异也"。汉魏南北朝以迄初唐,主要是直接采茶树生叶烹煮成羹汤而饮,饮茶类似喝蔬茶汤,此羹汤吴人又称之为“茗粥”。
唐代以后,制茶技术日益发展,饼茶(团茶、片茶)、散茶品种日渐增多。唐代饮茶以陆羽式煎茶为主,但煮茶旧习依然难改,特别是在少数民族地区较流行。中唐陆羽《茶经·五之煮》载:“或用葱、姜、枣、桔皮、茱萸、薄荷之等,煮之百沸,或扬令滑,或煮去沫,斯沟渠间弃水耳,而习俗不已。” 晚唐樊绰《蛮书》记:“茶出银生成界诸山,散收,无采早法。蒙舍蛮以椒、姜、桂和烹而饮之”。唐代煮茶,往往加盐葱、姜、桂等佐料。2014-12-16 09:22 来自秀生活
中国古代各种奇葩饮茶方式
中国古代的饮茶历史大致可划分为四个时期,即汉魏六朝、隋唐、五代宋和元明清。各个时期饮茶方式、方法各有特点。
汉魏六朝时期——煮茶法
汉魏两晋南北朝所饮何茶?如何饮茶?古籍虽有零星记录,但是却语焉不详。
《僮约》称“烹茶尽具”, 《桐君录》记: “巴东别有真香茗,煎饮令人不眠”。晋郭璞《尔雅》注说:“树小如栀子,冬生,叶可煮作羹饮。”
唐朝皮日休在《茶中杂咏》序中说道: “自周以降及于国朝茶事,竟陵子陆季疵言之详矣。然季疵以前称茗饮者,必浑以烹之,与夫瀹蔬而啜者无异也。”茗粥即是用茶树生叶煮成羹汤。
汉魏六朝的饮茶法,诚如皮日休所言,“浑而烹之”,煮成浓厚的羹汤而饮。那时还没有专门的煮茶、饮茶器具,往往是在鼎、釜中煮茶,用食碗饮茶。
东晋杜育作《荈赋》,其中写道:“水则岷方之注,挹彼清流。器泽陶简,出自东隅。酌之以匏,取式公刘。惟兹初成,沫沉华浮。焕如积雪,晔若春敷。”涉及择水、选器、酌茶。茶煮好之时,茶沫沉下,汤华浮上,亮如冬天的积雪,鲜似春日的百花。
既“酌之以匏”,以匏瓢舀茶汤,当在鼎、釜中煮茶。用匏瓢舀到“出自东隅”(今浙江一带)的瓯或碗中饮用。
总之,汉魏六朝时期的饮茶是煮茶法,以茶入鼎、釜而煮,盛到碗内饮用。
隋唐时期
隋唐结束了魏晋南北朝长期分裂的局面,建立了统一的帝国。中国饮茶至中唐开始普及,形成“比星之饮”,“始自中地,流于塞外”。隋朝短暂,茶事记载很少。唐朝茶以团饼为主,也有少量粗茶、散茶和米茶。隋唐时期的饮茶除沿续汉魏南北朝的煮茶法外,又有泡(淹)茶法和煎茶法。
一、泡(淹)茶法
《茶经·七之事》引《广雅》云:“荆巴间采叶作饼,叶老者,饼成以米膏出这。欲煮茗饮,先炙令赤色,捣末,置瓷器中,以汤浇覆之,用葱、姜、桔子之,其饮醒酒,令人不眠。”这段引文涉及制茶法、饮茶法,其意思是说:在川东鄂西交界一带地方,采叶制成饼茶,叶老的,则要用米汤处理方能做成茶饼。想饮茶时,先烤茶饼至赤色,再捣末设入瓷器中,用葱、姜、桔子作佐料,加入沸水浇泡。喝了可以醒酒,使人不想睡觉。这种以沸水冲泡茶的泡(淹)茶法起始约在隋唐间。
《茶经·六之饮》又载:“饮有粗茶、散茶、末茶、饼茶、乃斫、乃熬、乃炀、乃春、贮于瓶缶之中,以汤活焉,谓之阉茶。”这段文字是说,所饮茶有粗、散、末、饼四类。粗茶要切碎,散茶、末茶入釜炒熬、烤干,饼茶春捣成茶末。无论饮哪种茶,都是将茶投入瓶子和缶(一种细口大腹的瓦器)之中,灌入沸水浸泡,此称为“阉茶”。阉义同淹,阉茶即是用沸水淹泡茶。这种泡茶简单方便,民间较流行。
二、煎茶法
在汉语中,煎、煮义近,往往通用。这里的“煎茶法”特指陆羽所创的一种煮茶法,为了区别于汉魏南北朝的煮茶法故名“煎茶法”。其与煮茶法的主要区别有二,其一煎茶法入汤之茶一般是茶末,而煮茶法用散、末皆可;其二煎茶法汤于一沸投茶,并加以环搅,三沸则止,而煮茶法茶投冷、热水皆可,须经较长时间的煮熬。
据《茶经》所载,煎茶法的程序有:备器、炙茶、碾罗、择水、取水、候汤、煎茶、酌茶、啜饮。煎茶法在实际操作过程中,视情况可省略一些程序和器具。
煎茶法在中晚唐很流行,唐诗中写“煎茶”的有许多。刘禹锡《西山兰若试茶歌》有“骤雨松声入鼎来,白云满碗花徘徊”。僧皎然《对陆迅饮天目山茶因寄元居士晟》诗有“文火香偏胜,寒泉味转嘉。投铛涌作沫,著碗聚生花”。白居易《睡后茶兴忆杨同州》诗有“白瓷瓯甚洁,红炉炭方炽。沫下曲尘香,花浮鱼眼沸”。
五代、宋时期——点茶法
五代的茶以团饼为主,但制作较唐精致,散茶亦有名品。宋朝的前中期,茶以片茶(团、饼)为主;到了宋朝后期,散茶取代片茶取得主导地位。五代宋时期的饮茶除承继隋唐时期的煎、煮茶法外,又兴起了点茶法。
和唐代的煎茶法不同,点茶法不再直接将茶放入釜中熟煮,而是先将饼茶碾碎,置碗中待用。以釜烧水,微沸初漾时即冲点碗中的茶,调成糊状,然后再注入沸水,或者直接向茶碗中注入沸水,同时用茶筅(一种用细竹制作的工具)搅动,茶沫上浮,形成粥面。
为了给客人献上一碗美味可口的茶,水温的调节非常重要。为此,在点茶过程中,如何调整炭火也就变得很重要。调炭时,有“三炭”之说,即底火、初炭(第一次添炭)、后炭(第二次亦即最后一次添炭)。使用地炉点茶时,这三炭更是别有一番情趣。
元明清时期——泡茶法
元朝的茶以散茶、末茶为主,明朝叶茶(散茶)独盛。明朝有绿茶、黑茶、花茶、乌龙茶和红茶,清朝的茶品种繁多,门类齐全。元明清时期饮茶除继承五代宋时期的煮茶、点茶法外,泡茶法终于成熟。
泡茶法起始于隋唐,由于煎茶法的兴起和煮茶法的存在,泡茶法在唐代并不普遍。五代宋又兴点茶法,点茶法本质上属泡茶法,是一种特殊的泡茶法。点茶法与泡茶法的最大区别在于点茶须调膏击拂,而泡茶则不用此。五代宋盛行点茶法,故泡茶法无闻。
明朝陈师《茶考》载: “杭俗烹茶,用细茗置茶瓯,以沸汤点之,名为撮泡。” 细茗是茶末还是芽茶还不清楚,不加佐料,直接投茶入瓯,用沸水冲点,杭州一带俗称“撮泡”。撮泡开创后世用杯、盏冲泡茶的先河。
明代张源《茶录》、许次纾《茶疏》对用壶泡茶法论说较详,归纳起来大致有备器、择水、取火、候汤、泡茶、酌茶、啜饮这些程序。
清朝,在闽、粤的一些地区流行一种青茶(乌龙茶)的“功夫茶”泡法。功夫茶具有“四宝”,即潮汕炉、玉书碨、孟臣罐、若琛瓯,均小巧玲珑。清袁枚《随园食单》 “武夷茶”条载:“杯小如胡桃,壶小如香橼。上口不忍遽咽,先嗅其香,再试其味,徐徐咀嚼而体贴之。”
总之,明清的泡茶法继承了宋代点茶的清饮,不加佐料,包括撮泡(杯、盏泡)、壶泡、功夫茶(小壶泡)三种形式。泡茶法蕴酿于隋唐时期,正式形成在十六世纪末叶的明朝后期,鼎盛于明朝后期至清朝前中期,流行至今。
免责声明:
本文仅代表作者个人观点,与秀生活网无关。其原创性以及文中陈述文字和内容未经本站证实,对本文以及其中全部或者部分内容、文字的真实性、完整性、及时性本网站不作任何保证或承诺,请读者仅作为参考,并请自行核实相关内容。
中国茶之饮法源流----茶法
标签: 中国茶 饮法源流 茶法 文化 | 分类: 精茗蕴香 |
一煮茶法 http://blog.sina.com.cn/s/blog_442cf7e50100s4yu.html
饮茶始于西汉,西汉以后,茶的烹饮方法不断发展变化。大体说来,从西汉至今,有煮茶、煎茶、点茶、泡茶四种烹饮方法。
一煮茶法:
所谓煮茶法,是指茶入水烹煮二饮。唐代以前无制茶法,往往是直接采生叶煮饮,唐以后则以干茶煮饮。西汉王褒《僮约》:"烹茶尽具"。西晋郭义恭《广志》:"茶丛生,真煮饮为真茗茶"。东晋郭璞《尔雅注》:"树小如栀子,冬生,叶可煮作羹饮"。晚唐杨华《膳夫经手录》:"茶,古不闻食之。近晋、宋以降,吴人采其叶煮,是为茗粥"。晚唐皮日休《茶中杂咏》序云:"然季疵以前称茗饮者,必浑以烹之,与夫瀹蔬而啜饮者无异也"。汉魏南北朝以迄初唐,主要是直接采茶树生叶烹煮成羹汤而饮,饮茶类似喝蔬茶汤,此羹汤吴人又称之为"茗粥"。
唐代以后,制茶技术日益发展,饼茶(团茶、片茶)、散茶品种日渐增多。唐代饮茶以陆羽式煎茶为主,但煮茶旧习依然难改,特别是在少数民族地区较流行。中唐陆羽《茶经·五之煮》载:"或用葱、姜、枣、桔皮、茱萸、薄荷之等,煮之百沸,或扬令滑,或煮去沫,斯沟渠间弃水耳,而习俗不已。"晚唐樊绰《蛮书》记:"茶出银生成界诸山,散收,无采早法。蒙舍蛮以椒、姜、桂和烹而饮之"。唐代煮茶,往往加盐葱、姜、桂等佐料。
宋代,苏辙《和子瞻煎茶》诗有"北方俚人茗饮无不有,盐酪椒姜挎满口",黄庭坚《谢刘景文送团茶》诗有"刘侯惠我小玄壁,自裁半壁煮琼糜"。宋代,北方少数民族地区以盐酪椒姜与茶同煮,南方也偶有煮茶。 二煎茶法


饮茶始于西汉,西汉以后,茶的烹饮方法不断发展变化。大体说来,从西汉至今,有煮茶、煎茶、点茶、泡茶四种烹饮方法。
二煎茶法:
唐代,茶已有粗茶、散茶、末茶和饼茶四种之分。煎茶法是指陆羽在《茶经》里所创造、记载的一种烹煎方法,饼茶须经过灸、碾、罗三道工序,将其加工成细微粒的茶末,再进行煎茶。煎茶重视水的煮沸程度和品饮方式,煎茶要分三个阶段,具体要根据煮水的“三沸”而定。
当锅内的水煮到出现鱼眼大的气泡,并微有沸水声时,是第“一沸”,这时要根据水的多少加入适量的盐调味,尝尝水的味道。当水煮到锅的边缘出现连珠般的水泡往上冒的时候,是“二沸”,这时需舀出一瓢开水,用竹夹在水中搅动使之形成水涡,再用量茶小勺取适量的茶末投入水涡中心。待水面波浪翻滚时,是“三沸”,这时将原先舀出的一瓢水倒回锅内,使开水停止沸腾。此时,锅内茶汤表面即生成厚厚沫饽,但需及时将茶沫上形成的一层黑水膜去掉,因为它会影响茶汤的味道。然后再将茶汤均匀地舀入三个或者是五个茶盏中,而每盏的茶沫要均匀,陆羽认为茶汤的精华就是这茶汤上面的沫饽。煎茶时茶和水的比例要恰当,水多茶味会过淡,水少茶味则太浓,从而失去品茗应有的乐趣。
煎茶法是二沸时投茶末;而煮茶法中茶投冷、热水皆可,需经较长时间的煮熬。煎茶法的主要程序有备器、选水、取火、侯汤、炙茶、碾茶、罗茶、煎茶(投茶、搅拌)、酌茶。
唐代饮茶开启了品茗艺术的先河,陆羽杰出的茶道技艺,以及当时茶人之间的茶道交流促成了唐代饮茶之风盛行。唐代封演《封氏闻见记》记载:“楚人陆鸿渐为茶论,说茶之功效,并煎茶炙茶之法。”“于是茶道大行,王公朝士无不饮者。”
煎茶法在中晚唐很流行,唐诗中多有描述。刘禹锡《西山兰若试茶歌》诗有 "骤雨松声入鼎来,白云满碗花徘徊"。僧皎然《对陆迅饮天目茶园寄元居士晟》诗有 "文火香偏胜,寒泉味转嘉。投铛涌作沫,著碗聚生花"。白居易《睡后茶兴忆杨同州》诗有 "白瓷瓯甚洁,红炉炭方炽。沫下曲尘香,花浮鱼眼沸"。白居易《谢里李六郎寄新蜀茶》诗有 "汤添勺水煎鱼眼,末下刀来搅拌曲尘"。卢仝《走笔谢孟谏议寄新茶》诗有 "碧云引风吹不断,白花浮光凝碗面"。李群玉《龙山人惠石禀方及团茶》诗有 "碾成黄金粉,轻嫩如松花","滩声起鱼眼,满鼎漂汤霞"。
唐代皎然《饮茶歌诮崔石使君》 :“一饮涤昏寐,情思爽朗满天地;再饮清我神,忽如飞雨洒轻尘;三饮便得道,何须苦心破烦恼”。卢仝《走笔谢孟谏议寄新茶》,其中: “一碗喉吻润,二碗破孤闷。三碗搜枯肠,唯有文字五千卷,四碗发轻汗,平生不平事,尽向毛孔散。五碗肌骨清,六碗通仙灵。七碗吃不得也,唯觉两腋习习清风生。蓬莱山,在何处?玉川子乘此清风欲归去” 被世人称为茶的千古绝唱。
北宋苏轼《汲江煎茶》诗有 "雪乳已翻煎处脚,松风忽作泻时声"。苏辙《和子瞻煎茶》诗有 "铜铛得火蚯蚓叫,匙脚旋转秋萤火"。北宋黄庭坚《奉同六舅尚书咏茶碾煎茶三药》诗有 "冈炉小鼎不须催,鱼眼长随蟹眼来"。南宋陆游《郊蜀人煎茶戏作长句》诗有 "午枕初回梦碟度,红丝小皑破旗枪。正须山石龙头鼎,一试风炉蟹眼汤。"
五代徐夤《谢尚书惠蜡面茶》诗有 "金槽和碾沉香末,冰碗轻涵翠偻烟。分赠恩深知最异,晚铛宜煮北山泉"。五代、宋朝流行点茶法,从五代到北宋、南宋、煎茶法渐趋衰亡,南宋末已无闻。
明代陈师《茶考》载:"烹茶之法,唯苏吴得之。以佳茗入磁瓶火煎,酌量火候,以数沸蟹眼为节"。清代周蔼联《竺国记游》载: "西藏所尚,以邛州雅安为最……其熬茶有火候"。明清以迄今,煮茶法主要在少数民族流行。 三点茶法

饮茶始于西汉,西汉以后,茶的烹饮方法不断发展变化。大体说来,从西汉至今,有煮茶、煎茶、点茶、泡茶四种烹饮方法。
三点茶法:
宋代是中国茶文化的鼎盛时期,上至王公大臣、文人僧侣,下至商贾绅士、黎民百姓,无不以饮茶为时尚,饮茶之法以点茶为主。宋代点茶比唐代煎茶法更为讲究,包括将团饼炙、碾、罗,以及侯汤、点茶等一整套规范的程序。
点茶法是将团饼经炙茶后将茶碾磨成粉末状,然后再用筛罗分筛出最细腻的茶粉投入茶盏中,即用沸水冲点,随即用茶筅快速击打,使茶与水充分交融并使茶盏中出现大量白色茶沫为止。茶的优劣,以饽沫出现是否快,水纹露出现是否慢来评定。沫饽洁白,水脚晚露而不散者为上。因茶乳融合,水质浓稠,饮下去盏中胶着不干,自然称为“咬盏”。
从蔡襄《茶录》、宋徽宗《大观茶论》等书看来,点茶法的主要程序有备器、洗茶、炙茶、碾茶、磨茶、罗茶、择水、取火、候汤、茶盏、点茶(调膏、击拂)。
《荈茗录》"生成盏"条记: "沙门福全生于金乡,长于茶海,能注汤幻茶,成一句诗。并点四瓯,共一绝句,泛乎汤表。" 其"茶百戏"条记: "近世有下汤运匕,别施妙诀,使汤纹水脉成物象者,禽兽虫鱼花草之属,纤巧如画。" 注汤幻茶成诗成画,谓之茶白戏、水丹青,宋人又称"分茶"。 《荈茗录》乃陶谷《清异录》 "荈茗部"中的一部分,而陶谷历仕晋、汉、周、宋,所记茶事大抵都属五代十国并宋初事。点茶是分茶的基础,所以点茶法的起始当不会晚于五代。
点茶法奉行宋元时期,宋人诗词中多有描写。北宋范仲淹《和章岷从事斗茶歌》诗有 "黄金碾畔绿尘飞,碧玉瓯中翠涛起"。北宋苏轼《试院煎茶》诗有 "蟹眼已过鱼眼生,飕飕欲作松风鸣。蒙茸出磨细珠落,眩转绕瓯飞雪轻"。北宋苏辙《宋城宰韩文惠日铸茶》诗有 "磨转春雷飞白雪,瓯倾锡水散凝酥。" 南宋杨万里《澹庵坐上观显上人分茶》诗有 "分茶何似煎茶好,煎茶不似分茶巧。蒸水老禅弄泉手,隆兴元春新玉爪。二者相遭兔瓯面,怪怪奇奇能万变。银瓶首下仍尻高,注汤作字势嫖姚"。宋释惠洪《无学点茶乞茶》诗有 "银瓶瑟瑟过风雨,渐觉羊肠挽声变。盏深扣之看浮乳,点茶三昧须饶汝"。北宋黄庭坚《满庭芳》词有 "碾深罗细,琼蕊冷生烟"。"银瓶蟹眼,惊鹭涛翻"。
点茶法盛行于宋元时期,并北传辽、金。元明因袭,约亡于明朝后期。 四泡茶法 泡茶法是以茶置茶壶或茶盏中,以沸水冲泡的简便方法。过去往往依据陆羽《茶经·七之事》所引"《广雅》云"文字,认为泡茶法始于三国时期。但据著者考证,"《广雅》云"这段文字既非《茶经》正文,亦非《广雅》正文,当属《广雅》注文,不足为据。 四泡茶法

饮茶始于西汉,西汉以后,茶的烹饮方法不断发展变化。大体说来,从西汉至今,有煮茶、煎茶、点茶、泡茶四种烹饮方法。
陆羽《茶经·六之饮》载:"饮有粗、散、末、饼者,乃斫、乃熬、乃炀、乃舂,贮于瓶缶之中,以汤沃焉,谓之庵茶。" 即以茶置瓶或缶(一种细口大腹的瓦器)之中,灌上沸水淹泡,唐时称"庵茶",此庵茶开后世泡茶法的先河。
唐五代主煎茶,宋元主点茶,泡茶法直到明清时期才流行。朱元璋罢贡团饼茶,遂使散茶(叶茶、草茶)独盛,茶风也为之一变。明太祖朱元璋从体察民情,减轻茶农负担的角度考虑,颁发了罢造“龙团”、改进芽茶进贡的诏令,此项举措对元代以来“重散略饼”的趋势起到了推波助澜的作用,促进了中国散茶技术的发展。形成了茶叶生产从饼茶向散茶转变、生产工艺也由繁到简的转化过程。从此,用沸水直接冲泡散茶的饮茶法,逐渐代替了唐代饼茶煎饮法和宋代末茶点饮法。明代陈师《茶考》载:"杭俗烹茶,用细茗置茶瓯,以沸汤点之,名为撮泡。" 置茶于瓯、盏之中,用沸水冲泡,明时称"撮泡",此法沿用至今。
明代茶人还十分重视泡茶用水和泉水的选择;张大复《梅花草堂笔谈》中认为:“茶性必发于水,八分之茶,遇十分水,茶亦十分矣。八分之水,试十分茶,茶只得八分耳”;李梦阳《谢友送惠山泉》诗中写到:“故友何方来,来自锡山谷。暑行四千里,致我泉一斛”。由此可见,明代茶人为求一斛好水,可以不辞辛苦,冒暑千里。而许次纾在《茶疏》提出:“茶滋于水,水借乎器,汤成于火,四者相须,缺一则废。” 指出了想要泡制美味的茶汤,茶、水、器、火四者相辅相成缺一不可,也说明了正确掌握和使用泡茶用的水、器、火,是泡好一壶(杯)茶的基本要素,是泡制美味茶汤的必要条件。
http://blog.sina.com.cn/s/articlelist_1143797733_0_3.html
image.baidu.com - 查看全部3,203张图片
专家“复原”陆羽煮茶法
“茶圣”陆羽是如何煮茶的?这一失传千年的唐代茶艺,经过中国农科院专家近1年的科学实验,终于得到科学“复原”。
茶是中国的“国饮”。据考证,中国人饮茶是从鲜叶生吃咀嚼开始,后变为生叶煮饮,形成比较原始的煮茶法。唐时饮茶开始由粗放走向精工,尤以集历代茶艺精华、著有世界上第一部茶艺专著的陆羽为杰出代表。参与“复原”唐代茶艺研究的姚国坤说,“复原”陆羽煮茶法要把握好三个关键:
一是煮茶前先要烤茶。把茶叶放入紫砂炉内,用炭火烤。
二是碾茶要适度。
当水温达86℃至88℃发生“一沸”时,按一定比例加盐;当水汽增加,“缘边如涌珠连泉”的“二沸”时,舀出一瓢沸水待用,并用夹有节奏地向同一方向搅水,当中心出现旋涡时,按量放入茶叶,至茶水“腾波鼓浪”的“三沸”时,加进“二沸”时舀出的一瓢水止沸,随即端下煮茶锅,舀茶汤分成3至5碗。这就是唐代茶艺的精髓。
微信公众号:wyscttea
小编微信:wysevens
新浪微博:@茶人铭錵
武夷山传统茶文化,推崇健康饮茶、科学饮茶
文/by:武夷山市刘官寨茶厂返回搜狐,查看更多
责任编辑:
寒冬,围炉煮茶
전재자 註 : ( 圍爐 : 화로를 둘러싸고 담소를 나누다) - 이하 연한 보라색 글씨는 전재자 加筆임.
又到了一年中最冷的时候,在这样的日子里,大概没有什么能比热茶更好的饮品可以用来温暖我们的身心。窗外冷风阵阵,南方虽然无落雪,而在老家,在以前的书里和电影中,我们常被一幕“烹雪煮茶”的场景温暖着。今天,我们一起就着思念的炉火,好生聊聊“煮茶”。
眼下,天气逐渐变得寒冷,一杯热茶便是最好的慰藉。小小的炉子上,有暗暗的不明不灭的小火在燃烧,壶里的水慢慢地被煮沸,冒出细密的水雾。屋子里的暖意晕染开茶香,让饮茶人也由身及心地逐渐温暖起来。
这样的意境也是今日的我们所要倾羡所要追求的了,为了让各位爱茶之人都能随心“煮茶”,我们不妨细细说下煮茶的历史由来,何为煮茶、煮茶需要择何种茶,何种炉具?
煮茶的历史由来
煮茶是茶艺的一种,古今中外皆有关于煮茶的记载和研究。我国人们饮茶是从鲜叶生吃咀嚼开始,后变为生叶煮饮,形成比较原始的煮茶方法。唐时饮茶开始由粗放走向精工,尤以集历代茶艺精华、著有世界上第一部茶艺专著的陆羽为杰出代表。陆羽在总结前人饮茶经验的基础上,通过亲身体验,提出了煮茶的理论并付诸实践,开创了饮茶新风尚,推动了唐代茶文化的形成和发展。
而在2007年,英国科学家就提出了“和用沸水泡茶相比,用茶壶煮茶可以让茶叶释放出更多的抗癌物质,抗癌效果更好”的研究结果。实验证实,饮用在壶中煮制5分钟的茶水一小时后,血液中的抗氧化剂(항산화제)水平可上升45%。
何为煮茶?
煮茶其实并非新形式,陆羽《茶经》中就有相关记载。陆羽煮茶法讲究技艺、注重情趣,要求茶、水、火、器“四合其美”。
所谓煮茶,是指茶入水烹煮而饮。直接将茶放在釜中熟煮,是中国唐代以前最普遍的饮茶法。唐以后则以干茶煮饮。唐宋时代通行煮茶,方法是先把茶叶碾成碎末,制成茶团,饮用时把茶捣碎,加入葱、姜、桔子皮、薄荷、枣和盐等调料一起煎煮。还有把茶叶碾成碎末,罗细,然后冲水将茶末调成糊状喝下,因而叫做"吃茶"。宋元以后,改煮茶为泡茶,而且不加入调料。明清以后,则盛行泡茶。对于现代茶人而言,煮茶的价值更多是饮茶氛围的体验和煮茶形式的享受。
一般煮茶时会搭配轻缓的音乐、香道等内容,从器材准备、烧水到煮茶、品饮,整个节奏轻缓、舒适,并且富有形式感,通过肢体的静带动精神的静,可以让人在这一过程中完成情绪的放松。
适合煮茶的茶品
“煮茶喝”虽好,但并非哪种茶都可以煮着喝。一般年份较长、全发酵,茶性甘醇浓烈的茶品比较适合用煮的方式品饮,这些茶品或是藉由工艺制程,或是经过时光的炮制,褪去了最初的青涩寒凉,茶性趋于温热。此类茶品烹煮后不会因过于苦涩而难于下口,而温热的茶性用来驱寒又再适合不过。一般来说,可以选择下列茶品来煮茶比较合适:
1.发酵重的茶叶, 如熟洱,老茶头,大黄片,红茶 等。
2.陈年老茶,如老普洱,陈年铁观音,老白茶、陈年岩茶。
而铁观音、绿茶这类轻发酵的茶叶,沸水冲泡为佳,不宜烹煮。此类茶叶,煮后茶叶变黑,茶汤变紫,且有异味,难于入口。
煮茶用具
目前市场上存在许多煮茶的壶具,主要有以下几种组合:
1、 炉具主要有:炭炉、电炉、酒精炉;
2、 紫砂壶、陶制壶、金属壶(主要是铁壶)、玻璃壶;
3、所用燃料:竹炭、木炭、电、酒精等
在日常煮茶中,茶友一般用电磁炉随手泡即可用来煮茶,若有电陶炉与陶壶的组合效果更佳。因为相较于电磁炉,电陶炉的加热更为均匀,同时也可以真正调节至“小火”(电磁炉的小功率加热多是用“加热-断电-加热”的方法模拟);而陶壶的保温性又远胜随手泡,因此“电陶炉-陶壶”组合烹煮的茶汤会更为圆润厚滑。
想要追求煮茶情趣的朋友,考虑用炭火+砂器的组合。此组合冬季寒室使用尤佳。须注意空气流通,避免室内空气一氧化碳含量过高。
在挑选煮茶的壶时,用耐煮透气的陶壶、可分析铁离子软化水质的老铁壶都是上乘,用高硼硅玻璃的壶,效果较好,尤其易观察内部煮物情况;煮茶的炉,潮汕的红泥小火炉最是喜人,风炉釜也不错,如是煮茶,还是竹炉汤沸火初红的好;炭的品质决定着茶汤的品质,荔枝木、龙眼木制成的炭会有淡淡的果香,潮汕人喜欢的橄榄炭,火焰稳定,最适合慢火深煮,而最高级的备长炭则给茶以隽永的味道。
如何煮茶?
煮茶可以分为直接煮和冲泡后再煮两种方式。在煮茶之前,首先看看茶泡过没有。泡过的老茶,适合用温水煮茶,冷水煮茶速度较慢且感觉茶汤有点老;没有泡过的茶,洗茶后加冷水煮,更有利于把茶煮开。
其次,滋味较轻的如白茶、白鸡冠、铁观音等茶叶和螃蟹脚、金线莲等养生品就适合直接放进煮壶里面煮,而普洱茶之类滋味比较浓的茶叶则适合先使用盖碗冲泡五六遍后再拿来煮,这样既可以避免煮出来的茶汤过于浓烈,又可让老茶的精华完全释放出来。
煮茶使用的茶水比例,一般会控制在1000cc水投茶5~6克左右,茶友可在此基础上摸索出适合自己的茶水比例。因煮茶不若泡茶般要求严格,若是茶汤过淡,追加投茶或是延长烹煮时间便可;若是茶汤过浓,适量加水煮开即可。
推荐茶叶于冷水时加入壶中,烧开后改为小火烹煮(尽量调小功率,使茶汤始终处于将开未开的状态最好),同时揭开盖子(或侧盖),可散去茶品中的异味(比如熟茶的堆味),茶性也会更为温润。
品饮茶汤
推荐煮茶时间60~120分钟,如此茶汤方可达致浑厚温润的品质。烹煮后的茶汤注入公道杯即可分杯品饮,同时炉具可保持小火加热保温。若是茶汤过于浓郁,可于壶中加入适量清水烧开,如此调节至符合个人品饮习惯的浓度即可。根据投茶种类(干茶or茶根,新茶or老茶)、数量、茶水比等,煮茶过程中还可续水数次,一切依据茶友面临的状况与个人口味进行调整。
煮茶的茶汤,顺滑甘甜,常带有点米香、棕香。茶汤颜色是品评茶汤的重要标准之一。注意,在品煮茶之前有一个很重要的过程叫:转碗摇香。有诗云: "铫煎黄蕊色,碗转曲尘(塵)花。" 正所谓相由心生,不同的人或不同的状态转碗摇香后的汤花完全不同,总体汤花分为和谐型与不和谐型,其实这也是对人当下状态的反应。
什么是拼配煮茶?
除了烹煮一种茶品,茶友还可选择不同茶类的搭配烹煮。煮茶可以不局限煮某一种茶,将不同茶叶组合起来煮可以达到不同的养生效果。
比如我们在冬天常会将熟茶与老白茶以1:1的比例拼配后烹煮,老白茶会将熟茶的温热发散至全身,用于驱寒再适合不过。
现代人生活节奏很快,如何在这快的生活里,慢下来?有人说从煮茶开始,从喝茶开始。煮一壶茶,或许在水的沸腾之初让人惊奇,但耐心等待茶与水煎熬于红尘中的你我来说,也需要一份淡然和宁静,需要一种顺乎自然的心态。有了这样的心态,你自然会慢下来,能捧杯淡然品之,这未尝不是一场关乎于人的修行!煮茶使茶除了修身养性,更增添了几分温暖和岁月的意味。
曾经有古人说过: “寒夜客来茶当酒,竹炉汤沸火初红。” 这样的场景,特别是在寒冬慢慢长夜时,尤使人心向往之:一杯热气腾腾的茶,能让经过朔风寒冷的人从内而外地暖和起来,屋外雪压寒枝,炉内星火点点,茶汤鱼眼乍现,窗边疏梅暗香,杯中茶香流转,好一幅冬日饮茶乐融融的画卷。 返回搜狐,查看更多
责任编辑:
走向成熟的唐代“煮茶法”
关注“32度极茶”微信公众号,了解更多精彩内容
1、煮茶法
直接将茶放在釜中熟煮,是我国唐代以前最普遍的饮茶法。其过程陆羽在《茶经》中已详加介绍。大体说,首先要将饼茶研碎待用。然后开始煮水。以精选佳水置釜中,以炭火烧开。但不能全沸,加入茶末。茶与水交融,二沸时出现沫饽,沫为细小茶花,饽为大花,皆为茶之精华。此时将沫饽杓出,置熟盂之中,以备用。继续烧煮,茶与水进一步融合,波滚浪涌,称为三沸。此时将二沸时盛出之沫饽浇烹茶的水与茶,视人数多寡而严格量入。茶汤煮好,均匀的斟入各人碗中,包含雨露均施,同分甘苦之意。
2、点茶法
此法即宋代斗茶所用,茶人自吃亦用此法。这时不再直接将茶熟煮,而是先将饼茶碾碎,置碗中待用。以釜烧水,微沸初漾时即冲点碗。但茶末与水亦同样需要交融一体。于是发明一种工具,称为“茶筅”。茶筅是打茶的工具,有金、银、铁制,大部分用竹制,文人美其名曰“搅茶公子”。水冲放茶碗中,需以茶筅拼命用力打击,这时水乳交融,浙起沫饽,潘潘然如堆云积雪。茶的优劣,以饽沫出现是否快,水纹露出否慢来评定。沫饽洁白,水脚晚露而不散者为上。因茶乳融合,水质浓稠,饮下去盏中胶着不干,自然称为“咬盏”。
3、毛茶法
即在茶中加入干果,直接以熟水点泡,饮茶食果。茶人自制茶,自采果,别具佳趣。
4、点花茶法
为明代朱权等所创。将梅花、桂花、茉莉花等蓓蕾数枚直接与末茶同置碗中,热茶水气蒸腾,使茶汤催花绽放,既观花开美景,又嗅花香、茶香。色、午味同时享用,美不胜收。
5、泡茶法
此法时清以至现代,为民间广泛使用,自然为人熟知。不过,中国各地泡茶之法高精亦大有区别。由于现代茶的品种五彩缤纷,红茶、绿茶、花茶,冲泡方法皆不尽相同。大体说,以发茶味,显其色,不失其香为要旨。浓淡亦随各地所好。近年来宾馆多用袋装泡茶,发味快,而又避免渣叶入口,也是一种创造。
饮休既是精神活动,也是物质活动。所以茶艺亦不可墨守成规,以为只有繁器古法为美。但无论如何变,总要不失茶的要义,即健康、友信、美韵。因此,只要在健康思想的指导下,作些改进是应该的。当代生活节律不断变化,饮茶之法也该越变越合理。法简易行,但过简通俗读物是韵味佳趣。古法不易大众化,但对现代工业社会过于紧张的生活,却是种很好的调节。所以,发掘古代茶艺,使再现异彩,也是极重要的工作。据说福州茶艺馆已恢复斗茶法,使沫饽、重华再观,实在是一雅举。
谈饮法,不仅讲如何烹制茶汤,还要讲如何“分茶”。唐代以釜煮茶汤,汤熟后以瓢分茶,通常一釜之茶分五碗,分时沫饽要均。宋代用点茶法,可以一碗一碗的点;也可以用大汤钵,大茶筅,一次点就,然后分茶,分茶准则同于唐代。明清以后,直接冲泡为多,壶成为得要茶肯。
自泡自吃的小壶固然不光,但更我的是起码能斟四、五碗的茶壶。所以,这种壶叫作“茶娘式”,而茶杯又称“茶子"。五杯至十几杯巡注几周不停不撒,民间称为“关公跑城”。技术稍差难以环注的也要巡杯,但需一点一提,也是几次才均匀茶汤于各碗,引谓“韩信点兵”。
关注“亿资实业”微信公众号,了解更多精彩内容返回搜狐,查看更多
责任编辑:
||
一煮茶法
所谓煮茶法,是指茶入水烹煮二饮。唐代以前无制茶法,往往是直接采生叶煮饮,唐以后则以干茶煮饮。 西汉王褒《僮约》:"烹茶尽具"。西晋郭义恭《广志》:"茶丛生,真煮饮为真茗茶"。东晋郭璞《尔雅注》:"树小如栀子,冬生,叶可煮作羹饮"。晚唐杨华《膳夫经手录》:"茶,古不闻食之。近晋、宋以降,吴人采其叶煮,是为茗粥"。晚唐皮日休《茶中杂咏》序云:"然季疵以前称茗饮者,必浑以烹之,与夫瀹蔬而啜饮者无异也"。汉魏南北朝以迄初唐,主要是直接采茶树生叶烹煮成羹汤而饮,饮茶类似喝蔬茶汤,此羹汤吴人又称之为"茗粥"。
唐代以后,制茶技术日益发展,饼茶(团茶、片茶)、散茶品种日渐增多。唐代饮茶以陆羽式煎茶为主,但煮茶旧习依然难改,特别是在少数民族地区较流行。中唐陆羽《茶经·五之煮》载:"或用葱、姜、枣、桔皮、茱萸、薄荷之等,煮之百沸,或扬令滑,或煮去沫,斯沟渠间弃水耳,而习俗不已。"晚唐樊绰《蛮书》记:"茶出银生成界诸山,散收,无采早法。蒙舍蛮以椒、姜、桂和烹而饮之"。唐代煮茶,往往加盐葱、姜、桂等佐料。
宋代,苏辙《和子瞻煎茶》诗有"北方俚人茗饮无不有,盐酪椒姜挎满口",黄庭坚《谢刘景文送团茶》诗有"刘侯惠我小玄壁,自裁半壁煮琼糜"。宋代,北方少数民族地区以盐酪椒姜与茶同煮,南方也偶有煮茶。
明代陈师《茶考》载:"烹茶之法,唯苏吴得之。以磁瓶火煎,酌量火候,以数沸蟹眼为节"。清代周*联《竺国记游》载:"西藏所尚,以邛州雅安为最。……其熬茶有火候"。明清以迄今,煮茶法主要在少数民族流行。

煎茶法是指陆羽在《茶经》里所创造、记载的一种烹煎方法,其古树普洱茶主要用饼茶,经炙烤、碾罗成末,侯汤初沸投末,并加以环搅、沸腾则止。而煮茶法中茶投冷、热水皆可,需经较长时间的煮熬。煎茶法的主要程序有备器、选水、取火、侯汤、炙茶、碾茶、罗茶、煎茶(投茶、搅拌)、酌茶。
煎茶法在中晚唐很流行,唐诗中多有描述。刘禹锡《西山兰若试茶歌》诗有"骤雨松声入鼎来,白云满碗花徘徊"。僧皎然《对陆迅饮天目茶园寄元居士*》诗有"文火香偏胜,寒泉味转嘉。投铛涌作沫,著碗聚生花"。白居易《睡后茶兴忆杨同州》诗有"白瓷瓯甚洁,红炉炭方炽。沫下曲尘香,花浮鱼眼沸"。白居易《谢里李六郎寄新蜀茶》诗有"汤添勺水煎鱼眼,末下刀来搅拌曲尘"。卢仝《走笔谢孟谏议寄新茶》诗有"碧云引风吹不断,白花浮光凝碗面"。李群玉《龙山人惠石禀方及团茶》诗有"碾成黄金粉,轻嫩如松花","滩声起鱼眼,满鼎漂汤霞"。
五代徐夤《谢尚书惠蜡面茶》诗有"金槽和碾沉香末,冰碗轻涵翠偻烟。分赠恩深知最异,晚铛宜煮北山泉。"北宋苏轼《汲江煎茶》诗有"雪乳已翻煎处脚,松风忽作泻时声"。背诵苏辙《和子瞻煎茶》诗有"铜铛得火蚯蚓叫,匙脚旋转秋萤火"。北宋黄庭坚《奉同六舅尚书咏茶碾煎茶三药》诗有"冈炉小鼎不须催,鱼眼长随蟹眼来"。南宋陆游《郊蜀人煎茶戏作长句》诗有"午枕初回梦碟度,红丝小皑破旗枪。正须山石龙头鼎,一试风炉蟹眼汤。"五代、宋朝流行点茶法,从五代到北宋、南宋、煎茶法渐趋衰亡,南宋末已无闻。
三点茶法
点茶法是将茶碾成细末,置茶盏中,以沸水点冲。先注少量沸水调膏,继之量茶注汤,边注边用茶笼击拂。《荈茗录》"生成盏"条记:"沙门福全生于金乡,长于茶海,能注汤幻茶,成一句诗。并点四瓯,共一绝句,泛乎汤表。"其"茶百戏"条记:"近世有下汤运匕,别施妙诀,使汤纹水脉成物象者,禽兽虫鱼花草之属,纤巧如画。"注汤幻茶成诗成画,谓之茶白戏、水丹青,宋人又称"分茶"。《荈茗录》乃陶谷《清异录》"荈茗部"中的一部分,而陶谷历仕晋、汉、周、宋,所记茶事大抵都属五代十国并宋初事。点茶是分茶的基础,所以点茶法的起始当不会晚于五代。
从蔡襄《茶录》、宋徽宗《大观茶论》等书看来,点茶法的主要程序有备器、洗茶、炙茶、碾茶、磨茶、罗茶、择水、取火、候汤、*盏、点茶(调膏、击拂)。
点茶法奉行宋元时期,宋人诗词中多有描写。北宋范仲淹《和章岷从事斗茶歌》诗有"黄金碾畔绿尘飞,碧玉瓯中翠涛起"。北宋苏轼《试院煎茶》诗有"蟹眼已过鱼眼生,飕飕欲作松风鸣。蒙茸出磨细珠落,眩转绕瓯飞雪轻"。北宋苏辙《宋城宰韩文惠日铸茶》诗有"磨转春雷飞白雪,瓯倾锡水散凝酥。"南宋杨万里《澹庵坐上观显上人分茶》诗有"分茶何似煎茶好,煎茶不似分茶巧。蒸水老禅弄泉手,隆兴元春新玉爪。二者相遭兔瓯面,怪怪奇奇能万变。银瓶首下仍尻高,注汤作字势嫖姚"。宋释惠洪《无学点茶乞茶》诗有"银瓶瑟瑟过风雨,渐觉羊肠挽声变。盏深扣之看浮乳,点茶三昧须饶汝"。北宋黄庭坚《满庭芳》词有"碾深罗细,琼蕊冷生烟"。"银瓶蟹眼,惊鹭涛翻"。
明朝前中期,仍有点茶。朱元璋十七子、宁王朱权《茶谱》序云:"命一童子设香案携茶炉于前,一童子出茶具,以飘汲清泉注于瓶而饮之。然后碾茶为末,置于磨令细,以罗罗之。候汤将如蟹眼,量客众寡,投数匕入于巨瓯。候汤出相宜,以茶筅摔令沫不浮,乃成云头雨脚,分于啜瓯"。朱权"崇新改易"的烹茶法仍是点茶法。
点茶法盛行于宋元时期,并北传辽、金。元明因袭,约亡于明朝后期。 四泡茶法 泡茶法是以茶置茶壶或茶盏中,以沸水冲泡的简便方法。 过去往往依据陆羽《茶经七之事》所引"《广雅》云"文字,认为泡茶法始于三国时期。但据著者考证,"《广雅》云"这段文字既非《茶经》正文,亦非《广雅》正文,当属《广雅》注文,不足为据。
四泡茶法
陆羽《茶经六之饮》载:"饮有粗、散、末、饼者,乃斫、乃熬、乃炀、乃舂,贮于瓶缶之中,以汤沃焉,谓之庵茶。"即以茶置瓶或缶(一种细口大腹的瓦器)之中,灌上沸水淹泡,唐时称"庵茶",此庵茶开后世泡茶法的先河。
唐五代主煎茶,宋元主点茶,泡茶法直到明清时期才流行。朱元璋罢贡团饼茶,遂使散茶(叶茶、草茶)独盛,茶风也为之一变。明代陈师《茶考》载:"杭俗烹茶,用细茗置茶瓯,以沸汤点之,名为撮泡。"置茶于瓯、盏之中,用沸水冲泡,明时称"撮泡",此法沿用至今。
(17) 차와 불 (역대 음차 방법) | ||||||||||||||||||||||||
차와 물, 불의 삼합이 차탕의 품음 이뤄내 | ||||||||||||||||||||||||
| ||||||||||||||||||||||||
한 잔의 좋은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차와 물과 불이 삼위일체를 이루어야 하며 이 중 어느 것 하나라도 결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3대요소이다. 따라서, 좋은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좋은 차와 좋은 물이 필요한 것은 물론 차를 달이기에 적절한 ‘불의 세기[火候]’를 살피는 것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명나라 전예형(田藝蘅)도 《자천소품(煮泉小品)》에서 “물이 있고, 차가 있어도 불이 없어서는 안 된다(有茶有水, 不可以無火)”고 말하였다. 그만큼 이 세 가지 요소는 차를 마시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필수조건이면서도 오히려 모두 제대로 갖추어 내기가 어려운 것이기에 육우는《다경》의 <5.차 달이기>에서 차를 달이는 절차를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그러므로 이 기본적인 세 가지 요소를 적절히 잘 갖추어 차를 달이거나 우려내는 것만 살펴보아도 능히 그 사람의 다도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를 가늠해 볼 수가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불의 세기는 매우 중요하다. 차를 잘 달였느냐 아니냐는 바로 불의 조정에 달렸기 때문이다. 현대의 포다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불은 물의 온도를 좌우하고, 물의 온도는 차의 침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불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처음 차를 마시기 시작한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음차방법 또한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변해왔다. 즉, 당대 이전의 자다법(煮茶法)과 전다법(煎茶法), 당대의 전다법, 송대의 점다법(點茶法), 명대의 포다법(泡茶法) 등으로 각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아울러 각 시대의 음차방법은 또 다기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오직 ‘차와 물, 그리고 불의 삼합(三合)’이다. 각 시대별로 변화해온 음차방법에 따라 차와 물 그리고 불의 사용이 어떻게 조화롭게 좋은 차탕의 품음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를 여러 문헌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육우의 전다법(煎茶法) ― 당대(唐代)의 표준 전다법 옛 사람들은 차를 달이는 것을 전문적 기술성이 매우 요구되는 학문의 한 영역으로 간주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육우는 전다(煎茶)의 고수였다고 한다. 육우를 주워 기른 지적(智積)선사는 평생 차 마시기를 매우 좋아했을 뿐 아니라 차에 대한 요구도 무척이나 까다로웠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육우가 달인 차가 아니면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소식을 전해들은 당나라 대종(726~779년)은 이를 기이하게 여겨 지적(智積)선사를 황궁으로 불러들이고는 몰래 자수전다(煮水煎茶:물을 끓이고 차를 달이는)의 고수를 시켜 차를 달이게 한 뒤, 지적선사에게 주었다. 지적선사는 차를 한 모금 마시고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찻잔을 내려놓고는 “이것은 육우가 달인 차가 아닙니다.”라고 말했다. 대종은 다시 몰래 사람을 시켜 육우에게 황궁으로 들어와 차를 달이게 하였다. 그리고는 육우가 달인 차를 지적선사 앞에 내놓았다. 지적은 차를 한 모금 마시고는 희색이 만연하여 말하기를 “이 차는 육우가 직접 달인 것입니다.” 이에 대종황제는 크게 감탄하며 커튼 뒤에 숨어있던 육우를 나오게 하여 지적선사와 상봉토록 해 주었다고 한다.
① 차 굽기(구다:灸茶) ② 불(火)의 재료 ③ 물(水)의 선택 ④ 물 끓이기[煮水]와 차 달이기[煎茶]
㉡ 이비(二沸)에서는 물 한 표주박을 떠내고 대젓가락[竹筴]으로 끓는 물 가운데를 세게 빙글빙글 휘저으면서 가루차 적당량을 탕의 가운데에 떨어뜨린다. ㉢ 삼비(三沸)에서 찻물이 펄펄 끓기 시작하면 미리 떠내 놓았던 물을 다시 부어 물의 끓음을 멈추게 하고 차의 성분이 우러나도록 한다. ㉣ 차가 처음 끓기 시작하면 거품위에 생겨난 검은 운모를 걷어서 버린다. ㉤ 차를 잔질하여 여러 사발에 옮겨 담을 때는 거품과 발(餑)을 고르게 하여 따른다. ㉥ 차 맛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잔이 제일 낫고, 세 번째 잔이 그 다음이며,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잔 이상은 부득이 목이 마르지 않으면 마시지 않는 게 좋다. 당대에는 육우(陸羽) 외에도 뛰어난 다인들이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소이(蘇廙)’같은 이는《탕품(湯品)》을 저술하여 물 끓이기를 할 때 필요한 도구와 연료 및 각종 끓인 물에 종류 등에 대한 모든 것을 ‘십육탕품(十六湯品)’으로 귀납・정리하였다. - 박영환 /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
(18) 차와 불(역대 음다법) | ||||||||||||||||||||||||||||||
"가볍게 거품을 일으켜 마시는 수준" | ||||||||||||||||||||||||||||||
| ||||||||||||||||||||||||||||||
차를 달여 마시는 방법에 있어 당대(唐代)와 다른 점이 있다면 ‘물 끓이기’와 ‘점다법’이다. 당나라 때는 어안(魚眼), 용천연주(龍泉連珠), 등파고랑(騰波高浪)의 삼비(三沸)로 이루어지는데 비해 송나라 때 와서는 어안(魚眼) 앞에 해안(蟹眼:게의 눈모양)이 한 단계가 더 추가 되어 사비(四沸)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비(一沸:해안)→이비(二沸:어안)→삼비(三沸:용천연주)→사비(四沸:등파고랑)의 순으로 이루진다. (알기 쉽게 도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차를 달이는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점은, 당대(唐代)에서 솥에서 끓인 물에 차가루를 넣고 다린 후, 각 차발에 나누어 따라 마시는 ‘전다(煎茶)’가 송대에 이르러서는 차가루를 넣은 찻사발에 끓인 물을 붓고, 다선(茶筅)으로 격불(擊拂)하여 거품을 일으켜 마시는 ‘점다법(點茶法)’으로 바뀌게 된다는 점이다. 2. 점다법(點茶法) 송대 점다법에 대한 기록은 채양(蔡襄)의《다록(茶錄)》과 휘종(徽宗)황제의 《대관다론(大觀茶論)》에서 각각 전하고 있으나, 휘종황제 조길(趙佶)의 《대관다론》이 비교적 더 구체적인 편이다. 《대관다론》에 의하면 점다법은 대략 정면점(靜面點), 일발점(一發點), 칠탕법(七湯法) 등의 3가지 방법이 있다. ①‘정면점(靜面點)’ 차 반죽에 끓인 물을 붓고, 손은 무겁고 찻솔(다선:茶筅)은 가볍게 휘저어(擊拂) 좁쌀무늬나 게눈(해안:蟹眼)모양이 없게 하는 것으로, ‘찻물의 표면이 고요하게 달여진’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는 가벼운 휘젓기(격불)로 인해 차의 거품을 피워 세울 수가 없다. 물젖(水乳)이 묽지가 않아서 다시금 끓인 물을 더 붓게 되면 윤이 다 없어져서 화려한 거품도 잠기고 흩어져서 차는 세워 만들어진 것이 없는 셈이다.
②‘일발점(一發點)’ 끓인 물을 연이어 부으면서 손과 찻솔을 모두 힘차게 격불하여 거품이 부글부글 일어나게 하는 것인데 한 번에 거품을 피워 달인다는 뜻에서 ‘일발점’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끓인 물을 다 써버렸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팔의 움직임이 원활치 못하여 미처 죽면(粥面), 즉 차죽의 표면도 걸쭉하게 엉기지 않아서 차의 힘이 다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비록 차탕의 표면에 운무(雲霧)가 뜨더라도 금이 생겨나기 쉽다. (여기서 금이란 ‘수각(手脚)’이라고도 말한다. 이는 찻사발에서 엉기었던 찻가루와 끓인 물이 고르게 잘 섞이지 않고 분리되어 갈라지는 금으로 ‘수흔(水痕)’ 또는 ‘수선(水線)’이라고도 한다.)
‘제1탕’은 차의 양을 재어 끓인 물을 받고, 아교(阿膠)를 녹여 개듯이 고루 섞은 뒤, 잔의 가장자리를 따라 탕을 따르되 차를 적셔서는 안 되며, 또한 그 기세가 세차서도 안 된다. 처음엔 차를 고르게 뒤섞이도록 천천히 반죽 하다가 점차 속도를 높여서 격불을 한다. 손은 가볍고 차솔은 무겁게 하면서 손가락은 감싸듯이 하고, 팔을 돌린다. 이로써 위아래가 모두 투명하게 되어 마치 효모나 누룩에 밀가루가 부풀어 오르듯 하여, 마치 드문드문한 별과 희고 밝은 달이 찬연(燦然)이 생겨난 듯하다. 이로써 차의 근본(根本)이 선 것이다. 즉, 말차(末茶)를 우려내기 위한 기본 조건이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제2탕’은 차의 표면에 직접 따르고 둘레를 한 줄기 돌린다. 급히 따르고 급히 멈추면 차의 표면이 움직이지 않는다. 격불을 힘차게 하면 빛깔과 광택이 점점 나기 시작하여 진주구슬 같은 거품이 많이 나타나게 된다. ‘제3탕’은 수량의 다소(多少)는 전과 같지만, 격불은 갈수록 가볍고 고르게 하는 것을 귀히 여긴다. 한 바퀴 돌아서 제자리에 돌아와 차의 표면과 속이 환히 통하게 되면, 좁쌀무늬와 게눈(蟹眼)이 뜨고 모여서 뒤섞이며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차의 빛깔은 이미 십 분의 육 내지는 십 분의 칠까지는 얻어진 것이다. ‘제4탕’은 아낌을 중시한다. 솔(筅)을 돌릴 때는 약간 넓게 느슨하게 돌려야하며 빠르게 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차의 맑고 참된 화려한 색채가 이미 환하게 피어날 뿐만 아니라, 차죽(茶粥)의 표면 위로 점점 뽀얗게 가벼운 운무(雲霧)가 생겨나게 된다.
‘제6탕’은 거품 피워 세우기의 모양을 보고 젖 같은 액이 한도에 이르러 힘차게 일어나거든 솔로 붙여서 느슨하게 두르고 떨어버릴 뿐이다. ‘제7탕’은 가볍고도 맑은 것과 무겁고도 흐린 것을 분간하며, 묽고 진함을 살펴보아 중용(中庸)을 얻도록 따르고, 원하는 대로 되었으면 격불(擊拂)을 멈춘다. 그러면 ‘젖 같은 안개’ 즉 유무(乳霧)가 솟아올라서 찻잔을 넘쳐서 일어나 은은히 둘레에 엉기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것을 ‘잔 물림’, 즉 ‘교잔(咬盞)’이라고 한다. 마실 때는 그 가볍고도 맑으며 둥실둥실 떠 움직여서 겹친 것(거품)을 균등하게 갈라서 마신다. 《동군록(桐君錄)》에 이르기를 “차에는 발(餑)이 있는데 이를 마시면 사람에게 알맞다.(桐君錄曰, 茗有餑, 飮之宜人)”고 하였다. 비록 많이 마실지라도 지나침은 없는 것이다. 특히 원문 번역에 충실하다보니, 문체가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대분이다. 그러나 현대적 감각의 문체로 쉽게 설명하다보면 자칫 오역(誤譯)의 과실을 범하기 십상이어서 일단 직역에 가깝게 문장을 번역하였다. 나중에 다시 기회가 되면, 더 쉬운 말과 문체로 설명할 것을 기약해 본다. -박영환 중국 / 사천대학 객좌교수 |
(19) 차와 불(역대 음다법) ③명대이후의 포다법 | ||||||||||||||||||||||||||||||
"차의 농도 맞추기 '장유유서'에 있다." | ||||||||||||||||||||||||||||||
| ||||||||||||||||||||||||||||||
3) 명대(明代) 이후의 차 우려 마시는 방법 (포다법:泡茶法))
명대에 이르러 태조 주원장이 새로운 차법(茶法)을 공포하면서 사차(私茶:개인 차 판매)와 말차(末茶:가루차)로 만들어 마시는 방법이 국법으로 금지되고, 산차(散茶:엽차)의 음다법이 장려되었지만, 송대의 점다법(點茶法)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원장의 열일곱 번 째 아들인 주권(朱權:1378~1448년)은 여전히 점다법을 즐겼을 뿐만 아니라, 말년에는 직접 점다법에 대한 《다보(茶譜)》를 저술할 정도였다. 그 형식과 절차가 독창적인 면은 있으나, 송대의 점다법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여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겠다. 명대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소박과 검소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던 포다법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점차 발전하고 강구되어 송대의 점다법 못지않은 화려함과 사치가 조성되었다. 포다법(泡茶法)은 말 그대로 ‘마른찻잎을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 마시는 방법’이다. 그럼 포다(泡茶)에 필요한 기본다기와 그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① 차호(茶壺):차를 우리는 주전자 ②차충(茶盅):분차(分茶)용 차호 ③자수기(煮水器) 혹은 전차호(電茶壺):물 끓이는 주전자 혹은 전기포트 ④차선(茶船):차호 보온용 받침사발 ⑤차건(茶巾):차수건 ㉥차하(茶荷):차를 떠내는 수저 ⑥ 차엽관(茶葉罐):차 보관하는 통 ⑦차배(茶杯)와 문향배(聞香杯):찻잔과 차향 맡는 잔 ⑧차탁(茶托):찻잔 받침대 ⑨차반(茶盤)혹은 수반(水盤):차를 우려마시기 위한 다반(통상 양 층으로 되어있어 상층은 물이 빠지도록 그물망식으로 되어있고, 하층은 퇴수한 물을 보관하는 퇴수기 역할을 한다.) ⑩사시(渣匙):우려낸 찻잎 빼내는 수저 ⑪다차(茶車):제반 다기 및 차관(茶罐) 수납장 ⑫계시기(計時器):포다 시간 측정하는 시계
①상차(賞茶):차하(茶荷)를 이용해 차관(茶罐:차통)에서 꺼낸 찻잎의 빛깔과 향을 감상한다. ②온호(溫壺):자수기에서 끓인 물을 차호에 넣고 차호를 데운다. ③치차(置茶):차호를 데운 물을 쏟아내고 찻잎을 넣는다. ④온윤포(溫潤泡): 차호에 끓는 물을 넣고 차호 덮개를 이용하여 거품을 걷어낸 뒤 차호의 물을 차선에 붓는다. 이는 차의 거품을 제거하는 동시에 찻잎의 향이 빨리 우러나게 하기 위한 예비동작이다. 차선(茶船)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반에다 그대로 쏟아 붓는다. 이를 속칭 ‘세차(洗茶)’라고 한다. ⑤충포(沖泡):온윤포를 거친 찻잎은 이내 곧 차성을 밖으로 표출하려고 하기 때문에 온윤포(세차)과정이 끝남과 동시에 곧바로 이어서 끓인 물을 차호에 부어 차를 우린다. ⑥충호(沖壺):충포단계에서 차호에 끓인 물을 붓고는 곧바로 차호 뚜껑을 덮는다. 그리고 이어서 뜨거운 물을 차호 위에 골고루 부어준다. 이는 차호 안의 온도를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안과 밖의 온도가 상응하여 차향이 제대로 우러나도록 해준다. 이때 차선에 담겨진 물은 찻잔을 데우는데 사용한다. ⑦계시(計時):시간 재기. 각종 찻잎의 종류에 따라 포다하는 시간이 달라지며, 또한 포다의 횟수에 따라 포다하는 시간을 적절히 늘여가야 하며, 시간의 정확성에 따라 차의 맛이 좌우됨으로 시간재기를 하는데, 어느 정도 포다에 익숙해지면 계시기(計時器:시계)를 사용하지 않고 감각적으로 포다하는 게 일반적이다. ⑧온배(溫杯):잔 데우기는 차를 포다하는 동안에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재빨리 이루어져야한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온윤포(溫潤泡) 즉, 세차 단계에서 잔 데우기를 함께 한다. ⑨운호(運壺) 및 건호(乾壺):차가 적절히 우러났을 시간이 되면 차선의 물속에 담겨 있는 차호를 꺼내어 차선 위의 가장자리에 차호 밑바닥을 올려놓고 차선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리게 된다. 이를 운호(運壺)한다고 한다. 이는 차호의 외부에 묻은 물기를 떨어내고 차호 표면을 건조시켜 차를 따를 때 찻잔 속에 차호 표면에 묻은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차선을 쓰지 않고 수반 위에서 직접 차호를 사용할 경우는 생략된다.) ⑩도차(倒茶):차 따르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차충(茶盅)을 거치지 않고 찻잔에 직접 차를 따르는 것이다. 이때는 찻물의 농도와 사람 수에 따른 차의 양을 적절히 안배하여야 한다. 우선 찻잔을 붙여서 놓고, 각 찻잔의 농도를 고르게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요령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놓인 잔에 4분의 1을 따르고, 두 번째 잔에는 4분의 2를 따르며, 세 번째 잔에는 4분의 3을, 네 번째 잔에는 4분의 4를 따르며, 다시 되돌아 따라 오면서 각 잔을 다 채우면 된다. 왜냐하면 잔을 옮겨 따를 때마다 차의 농도는 점점 진해지기 때문에 농도를 맞추기 위한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차호에 우러난 찻물을 차충(茶盅)에 옮겨 담은 뒤, 차충에서 다시 잔으로 따르기 때문에 농도가 같다. 고로 이 방법은 간단하여 장유유서(長幼有序)에 따라 각 잔에 다 채워 따르면 된다. ⑪봉차(奉茶):차를 권하기이다. 각 찻잔에 차가 다 채워지면 주인이 손님들에게 차 마시기를 권하면 된다. ⑫품다(品茶):주인이 차를 권하면 손님은 각자 자기 앞에 놓인 찻잔을 들고 마시게 되는데, 이때 공손히 두 손으로 찻잔을 받쳐 들고 먼저 차탕을 감상하고 차향을 맡은 뒤 천천히 차를 마시면 된다. ⑬역위(易位):주인과 손님이 자리를 바꾸어 각자의 다풍(茶風)을 교류하는 것인데, 주인이 권하면 손님 중에 포다에 익숙한 사람이 주인과 자리를 바꾸어 포다하여 주인에게 자신 혹은 자기 집안의 다풍을 보여줌으로써 서로의 우의를 다지는 예절의 일종이다. 그러나 이 단계는 전문가나 혹은 차동호인들 사이가 아닌 이상 거의 행해지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⑭차여(茶餘):차를 다 우려 마신 뒤에는 찻잎을 꺼내어 주객이 함께 차의 엽저를 감상하며 차에 대해 다담을 주고 받는다. 한편 주인은 사용한 제반 다기를 깨끗한 물에 헹구어 깨끗이 닦아 정리하여 수납한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포다법이 있는데, 북경의 대완차(大碗茶), 사천의 개완차(蓋碗茶), 일반가정에서 간편하게 큰 차호에다 찻잎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적당히 우려마시는 대호포다법(大壺泡茶法), 항주의 용정(龍井)이나 아미산의 죽엽청(竹葉靑) 등의 고급녹차의 침포(浸泡)과정을 감상하며 마시는 ‘유리잔 포다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에서는 특정지역의 차문화인 ‘공부차(工夫茶)’보다는 사천(四川)에 기원을 두고 있는 ‘개완차’나 북경의 ‘대완차’, 또는 일반 가정에서 흔히들 편하게 사용되는 ‘대호포다법’ 및 유리잔 포다법 등이 ‘대중(大衆) 음차문화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 대륙의 일반인들이 주로 마시는 차는 대부분이 녹차(綠茶)나 화차(花茶)가 거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경제개방 이후, 중국인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오룡차(烏龍茶)나 보이차(普洱茶), 백차(白茶), 황차(黃茶), 홍차(紅茶) 등의 보급화가 점차 확대되어 가곤 있지만, 여전히 특정지역이나 특정계층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까지 널리 보급화 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박영환 /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