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양 석암리에서 출토된 순금제 허리띠 고리 장식에는 금실과 금 알갱이로 만든 일곱 분의 용이 있는데 그 윤곽은 금실로 둘렀다. 1세기 낙랑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길이는 9.4㎝에 불과하나 정교한 솜씨가 극치를 이룬다. 그런데 우리는 솜씨에 놀랄 뿐 그 깊은 상징성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우선 용의 본질을 모르기 때문이요, 다음으로는 크고 작은 금 알갱이가 보주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석암리 허리띠 고리 장식은 용의 본질을 가장 정확하게 웅변하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큰 용 한 분과 아기 용 여섯 분이 있다. 존댓말을 쓰는 까닭은 용이 동양에서는 최고의 신(神)이기 때문이다. 찬란한 금빛이 2000년을 무색하게 한다. 한 분 한 분의 용은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 금 알갱이로 이뤄져 있다. 용이 보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압축해 웅변한다.
사람들의 시선이 가는 윤곽선을 없애고 깨알만 한 원들만을 그려 하나하나 골똘히 칠하고 있자니 질서가 있는 가운데 생명력의 강력한 흐름이 뚜렷이 보인다. 바로 이 수많은 보주가 한데 모여 역동성을 보여주는 게 용의 본질이다. 누금세공(鏤細工)이라는 기법이 있어 이러한 작품을 만든 게 아니라 보주를 표현하기 위해 그런 기법이 개발됐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스스로 놀랐다. 그만큼 예부터 보주의 조형적 표현을 갈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보주 안에 우주의 바다가 가득 차 있다는 것은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고려불화에서 파이프처럼 생긴 관을 통해 물이 화면 전체로 퍼져 가는 상징적인 보주 표현을 보고 얼마나 기뻐했는지 모른다. 최근 경남 거창 심우사에서 흰색의 큰 보주에서 넘실대는 바다가 나오는 광경의 불화를 보고 환호작약했다. 사람들에게 보주가 무엇인지 증명해 보일 수 있어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