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10. 22:37ㆍ美學 이야기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6>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좌우로 회전하는 ‘두 분의 용’ 우주 생명의 대순환을 담다
국립전주박물관에는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灌佛盤 위)’ 이 전시되어 있는데, 유물 카드에 한글로 ‘용무늬 대야’, 한자로는 ‘靑銅銀入絲 雲龍唐草文水盤’(청동은입사 운룡당초문수반)이라고 쓰여 있다. 지름 77.3㎝가 되는 큰 대야다. 청동에 가늘게 홈을 파서 가는 은실로 복잡한 여러 가지 무늬를 가득 채워 놓았으나 눈에 보이는 게 용뿐이어서 관람객들은 그저 지나치고 만다.
우리가 아는 용의 모습은 오랜 문헌 기록에 의거한다. 2세기 중국 한(漢) 시대의 왕부(王符)가 구사설(九似說)을 언급했지만, 1000년 후 남송의 나원(願)이 ‘이아익’(爾雅翼) 권 28에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다. “용은 인충(鱗蟲) 중의 우두머리로서 그 모양은 아홉 가지 짐승들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을 용의 구사설이라 한다. 머리는 낙타와 비슷하고,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 사람들은 문자 기록을 무조건 믿는다. 용에 대한 문헌 기록이 대개 이런 것이어서 올바른 내용은 거의 없다. 우리는 이런 문헌 기록들을 일단 모두 버리고 조형 그 자체에서 용의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만큼 지금 그 ‘조형언어’를 배우는 연습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용이 무엇인가 다시 생각해 보면 지금까지 다룬 용의 모습은 시작에 불과하다. 전주박물관의 대야에 표현된 그림을 채색 분석해 보자. 용 두 분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용은 우주에 충만한 기운이므로 우주 생명의 대순환을 상징한다. 1000억개의 은하마다 다시 1000억개의 별이 있는 광활한 우주를 잊지 말자. 바로 그 우주에 충만한 영기가 순환하고 있는 광경이 바로 대야에 새긴 조형이다. 대야는 우주를 상징하고 있는 셈이다. 만물은 이 생명의 순환에서 생기는 것이니, 용은 바로 창조자가 아닌가. 그러므로 최고의 신, 만신(萬神)의 신이다. 따라서 용 아기씨, 용의 치아, 용 한 분 두 분 등 존칭을 써야 한다. 그런 존엄스런 존재를 여러 짐승들의 잡종으로 이야기하니 신성모독이 심하다.
대야의 오른쪽 용은 하늘색으로 칠했다. 가의 한 곳에서 시작한 빨갛게 채색한 연이은 제1영기싹 영기문을 연필로 그으면서 따라가 보면 한없이 전개하여 용을 감싸고 있는데 여기에서 용이 ‘영기화생’한다. 주변의 가득 찬 영기에서 신비하게 탄생하는 것을 화생(化生)이라고 한다. 그리고 용의 몸 일곱 군데에서 다시 영기문이 발산한다. 노란색 부분들은 새로운 영기싹들이다. 붕긋한 노란색 부분이 자라서 제1영기싹이 된다. 왼쪽 용은 노랗게 칠하고 영기문은 청색으로 채색했으니 명료하게 보일 것이다. 중심에는 보주가 있는데 단순한 보주가 아니고 ‘무량보주’다. 그 중심에 태극이 있다. ‘도(道)의 운동이 순환’이니, ‘용의 운동이 바로 순환’이다. 그런 이유로 우주의 순환을 표현한 조형이 많은데 모두가 ‘바람개비’라고 부르니 허탈해진다. 대야에 채색하여 표현된 전체를 살피면 바로 태극이 연상될 것이다. 태극이란 바로 우주의 대순환을 상징하며 그렇기 때문에 용으로부터 무량하게 나오는 보주를 태극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대야 역시 단순한 대야가 아니다. 석가탄신일에 아기 석가를 목욕시키는 의식이 있는데 아홉 분의 용의 입에서 쏟아져 나오는 영수(靈水)로 아기 석가를 영화(靈化)시키는 의식에 쓰이는 대야, 즉 관불반이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이 대야에서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 서울신문 2015-02-13 20면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8) 송광사 관음전의 포벽 (0) | 2016.01.10 |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0) | 2016.01.10 |
[서화 기초 9] 니금(泥金) 산수 (0) | 2016.01.10 |
[서화 기초 8] 수묵화와 수묵담채화 (0) | 2016.01.10 |
[서화 기초 7] 채색화, 청록산수와 금벽산수 (0) | 2016.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