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덕의 종횡무진 인문학] 싸움 대신 교류 택한 18세기 韓·中·日

2016. 3. 10. 15:32잡주머니



   

[김시덕의 종횡무진 인문학] 싸움 대신 교류 택한 18세기 韓·中·日

  •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입력 : 2015.12.12 03:00

정민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흔히 "세계에서 일본을 무시하는 나라는 한국뿐"이라는 말을 한다. 그런데 이런 기백(?)은 유구한 전통인 모양이다. 18세기 조선 지배층은 당시 세계 최강국이었던 청(淸) 제국을 오랑캐 나라라고 얕보았다. 오늘날 한국의 국시(國是)가 남북통일이라면, 당시 조선의 국시는 북벌(北伐)이었다.

북벌이라는 이념이 사회를 억누르던 18세기 후반에 '중국에 환장한' 이단아들이 나타났다. 훗날 북학파라 불리게 되는 박제가·유득공·이덕무 같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청나라를 오랑캐 국가로 치부했던 조선을 오히려 고루하다고 여기고, 동시대의 청나라 학자들과 지적(知的) 파이프라인을 만들었다.

세계 제국이었던 몽골과 고려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던 이래 수백 년 만에 한반도 사람들이 동시대의 세계와 발걸음을 나란히 했던 일대 사건이었다.

나아가 이들은 일본을 오랑캐로 여기는 전통적 관념에서도 벗어났다. 당시 일본 학계는 청나라가 제작한 백과사전 '고금도서집성'을 조선보다 먼저 수입했으며, '사고전서'에도 자국인(自國人)의 책을 포함시키는 데 성공했다. 북학파는 그런 일본 학계를 동등한 토론 상대로 인정했다. 이리하여 18세기 후반 동아시아에 '문예공화국'이 탄생했다.

정민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한·중·일과 타이완·북한이 도토리 키재기처럼 으르렁대고 있는 오늘날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긴밀한 지적 네트워크의 존재를 최초로 밝혀낸 것은 후지쓰카 지카시(藤塚鄰·1879~1948)라는 일본 연구자였다. 20세기 초반에 청나라의 학술을 연구했던 후지쓰카는 '청조문화 동전(東傳)의 연구'라는 기념비적 저술을 남겼다.

하지만 당시 세계 학계에서 그의 연구는 주목받지 못했고, 그가 수집한 귀중한 문헌은 전쟁 통에 흩어졌다. 그 일부가 1950년대에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로 들어갔지만, 그곳에서도 후지쓰카 컬렉션은 오랫동안 잊힌 채 남았다. 그리고 2012년 옌칭연구소를 방문한 정민 선생에게 후지쓰카 컬렉션이 말을 걸었다. 자신들을 망각 속에서 꺼내달라고.

이 책은 자신의 가치를 알아주는 연구자에게 말을 건넸고, 연구자는 어둠 속에 존재하던 귀중한 자료들을 고구마 캐듯 줄줄이 발굴해냈다. 정민'18세기 한중 지식인의 문예공화국'(문학동네) 은 그 기이한 현상을 입증하는 생생한 기록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