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 무상선사에 대한 문답

2013. 7. 27. 03:40차 이야기

 

 

 

 

 

정남 13.07.26. 16:56 new
누가 "종교는 나를 버리는 것"이라고 하더군 ~
 
신세영 13.07.26. 17:20 new
나를 버리면 어쩌라구......
나를 버린다는 생각마저 잊어버릴 만큼 습관화되도록 정진하면 안될까??

그래야 맴이 편해지지...... ......... (()) .........
 
신세영 05:36 new
신라 왕자로 당의 사천성(당시 이름 劍南) 청두(城都)의 대성자사(大聖慈寺)에서 검남종(劍南宗)이라는 종파를
개창한 정중 무상(淨衆 無相 : 684~762)스님이 계셨는 데, 이 스님이 다선일미(茶禪一味)를 강조하면서 하신 말 -

무억(無憶 : 일체를 기억하지 말고), 무념(無念 : 일체를 생각하지 말고), 막망(莫忘 : 일체를 잊지 마라)이라고
부처님으로 부터 전해오던 계정혜(戒定慧)를 풀이하고, 이를 다선일미에 응용하셨지...

이 무상선사는 청두의 대지사에서 오백나한의 한분으로 모셔져 있는 데, 첫번째는 석가모니, 307번째는 달마대사,
455번째는 정중 무상선사이며, 특이하게도 6조 혜능대사는 오백나한에서 제외되어 있어.
 
신세영 05:34 new
이 정중 무상선사의 법은 제자인 당나라의 마조 도일(馬祖 道一 : 709~788)과 그 후에 백장 회해(百丈 懷海 : 749~814)로 이어져 중국 정통 선종의 선맥(禪脈)으로 전해지고 있다네.........

백장 회해선사 아래에서 공부한 당나라로 유학간 신라승들에 의해 우리나라의 구산선문(九山禪門)이 개산(開山)되었지.........

정중 무상선사의 무억, 무념, 막망을 되짚어 보면 위에 처음 단 댓글의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
......... (()) .........
 
 
정남 08:49 new
마조 똥막대기와 관련있던가 ? 그 양반이 무상선사의 제자군.
그래 고맙네. 무억, 무념, 막망이라~~
근데 어려워서리. 앞의 기억하지 말고와 뒤의 잊지마라는 또 ???
 
신세영 09:11 new
우리 대한불교의 조계종 선원에서 바이블 처럼 여기는 <백장청규(百丈淸規)>라는 책이 있는 데,
앞서의 댓글에서와 같이 우리 구산선문의 개산조(開山祖)들이 바로 백장 회해스님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기 때문에 그 스승인 백장스님이 지으신 청규를 아직도 그대로 따르고 있지.
선원에서 공부하는 법, 차 마시는 법, 선원 대중들의 소임(직무) 등등.......

그리고 막망(莫忘)에 대한 한글 해석은 <정중 무상평전>을 지은 <차의 세계>의 최석환 회장의 글을 그대로
위의 댓글에 적어 놓았는 데, 옥편을 찾아보진 않은 것 같으이.......

막망의 본 뜻은 바로 "잊는 것 조차 던져 버려라."........ 이것이 다선일미의 본 주제이네.
 
 
신세영 09:17 new
"차를 마실 때에는 마시는 행위 조차 잊어 버려라." 여기서 차와 선이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는 무상의 가르침이네.
정남이 친구가 여기서 막힐 줄 알았네.......그래도 막힐 줄 안다는 것은 그 만큼 생각이 깊다는 의미이기도 하지........

여기서 차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놓아도 무방하다는 것이 무상의 선도리(禪道理)이네............
아무 것도 모르면서도 말장난 하는 것 같아서 쑥스럽구먼........ ......... (()) .........
 
 

 

짧은 어구들에는 한자어의 허사(虛詞)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우리가 본뜻을 놓치기 쉽네...........
허사에 대한 책으로는 연세대 허사사전편찬실의 <허사대사전>이 좋네....

 
 
신세영 15:15 new
더 깊이 공부하려면, 원서로 <古漢語虛詞用法詞典(협서인민출판사 刊)>, <古代漢語虛詞詞典(商務印書館)>이 내용이 충실한 편이네........ ......... (()) .........

참고로... 허사 <莫> : <說文解字> "莫, 日且冥也" 본 글자는 暮이고, 본뜻은 "날이 저물다"이다.
허사로 쓰일 때는 假借字인 데, <說文通訓定聲>에서 "莫은 假借하여 無이다."
<廣雅-釋言>에서 "莫은 無다."
"없다"는 의미의 莫으로 쓰이기도 하는 데,<詩經>에서 흔히 보이며,이는 비교적 구체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고,
결국 "사람"과 "사물" 등의 개념의 실체에 대해 총괄적인 부정을 표시하며, "....할 사람이 없다.". ".......가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신세영 15:23 new
莫 : 문장에서 부사로 쓰인다. 부정을 나타낸다.
1.진술문에서 동작이나 행위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이 아니다."로 해석한다.
2.동작,행위,상황 등에 대한 추측을 나타낸다. "대개" "대략" 등으로 해석한다

이상이 연세대 刊 <허사대사전>에서 莫에 대하여 설명한 것을 요약한 것이니 참고 하시게.......... ......... (()) .........

 

 

 

 

    /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百科名片

莫  
莫,意为没有,不,不要。如莫名其妙,请莫见怪,莫如。也表示揣测或反问,如莫非,莫不是。另作姓。

编辑本段汉字释义

基本信息

汉字:
隶书-小篆--金文--甲骨文--骨刻文

  隶书-小篆--金文--甲骨文--骨刻文

引自丁再献、丁蕾《东夷文化与山东·骨刻文释读》十九章第二节,中国文史出版社2012年2月版。
莫:拼音:mò

部首信息

简体部首:艹,
部外笔画:7徐楚一行,
总笔画:10
繁体部首:艸,
总笔画:13

编码信息

五笔86&98:AJDU
仓颉:TAK
郑码:EKGD
笔顺编号:1222511134
四角号码:44804
UniCode:CJK 统一汉字U+83AB

现代汉语字义

◎代词。没有谁;没有什么(指事物或处所)~不欢欣鼓舞∣哀~大于心死。
副词。不。望尘~及∣一筹~展。
◎副词。不要。闲人~入
◎副词。表示推测或反问。~非∣~不是

演变过程

[1]

通假字义

● 莫
mù ㄇㄨˋ
◎ 古通“暮”。《诗经·齐风·东方未明》:“不夙则莫。”莫作“暮”义。——黄现璠著《古书解读初探》

古汉语字义

◎ 莫 mò
〈副〉
(1) 表示否定,相当于“不” [not]
莫相知。——唐·柳宗元《三戒》
莫敢过其门。——唐· 柳宗元《童区寄传》
故莫能知。——宋·苏轼《石钟山记》
莫能得。——《史记·魏公子列传》
知公者宜莫如昌。——明 董其昌《节寰袁公行状》
而朝鲜帖帖然,莫敢蠢动矣。——明 陈继儒《大司马节寰袁公(袁可立)家庙记》
又如:莫得(没有);爱莫能助一筹莫展莫可奈何(犹言无可奈何);莫之奈何(对它们无可奈何);莫或(没有);莫奈何(无可奈何)
(2) 表示劝戒。不要;不可;不能
莫愁前路无知己。——唐·高适《别董大》
莫用众人之议。——《资治通鉴
又如:闲人莫入;莫怪(不要怪罪);莫教(休教,别让);莫得(休得,不得);莫道(休说,不要说)
(3) 表示揣测。或许;大约;莫非 如:莫不成(难道说);莫成(莫非,莫不是);莫是(莫非是;或许是);莫须(也许)

词性变化

◎ 莫 mò
〈名〉
(1) 通“膜”。生物体内部的薄皮组织
脑髓,爪荒莫。——《韩诗外传·卷十》
(2) 通“漠”。沙漠 [desert]
狄之广莫,于 晋为都。——《国语·晋语》
(3) 通“幕”。幕府
莫府省约文书籍事。——《史记·李将军列传》
(4) 通“瘼”。疾苦,病
监观四方,求民之莫。——《诗·大雅·皇矣》
辞之怿矣,民之莫矣。——《诗·大雅·板》
◎ 莫 mò
〈动〉
(1) 通“谟”。谟划
秩秩大猷,圣人莫之。——《诗·小雅·巧言》
(2) 通“劘”。削
而刀可以莫铁,则刃游闲也。——《管子·制分》
(3) 通“慕”。思慕,向往
君子之于天下也,无适也,无莫也。——《论语·里仁》
(1) 通“漠”。广漠
广莫之野。——《庄子·逍遥游》
(2) 通“漠”。寂静
田莫不见禽而后反。——《管子·小匡》

常用词组

莫不mòbù
没有一个不;无不
听到这个消息,全校师生莫不为之失声痛哭
◎ 莫不倾动加礼 mòbù qīngdòng jiālǐ
没有不表示敬佩,以恭敬之礼接待的,加礼,礼遇有加,以恭敬之礼接待,待人厚于常礼
◎莫不然mòbùrán
无不如此
◎莫不是mòbùshì
表示揣测或反问;莫非
莫不是我又错了
◎ 莫不闻 mòbùwén
无人不知。莫,指代词,没有人
◎ 莫不逾侈 mòbùyúchǐ
莫:没有谁。逾:“超越”。今有双音词“逾越”这里引申为过度。侈:奢侈
天下承平日久,自王侯以下,莫不逾侈。——《后汉书·张衡传》
莫测高深mòcè-gāoshēn
没法揣测高深到什么程度,指言行使人难以了解或理解。也作高深莫测
◎ 莫大 mòdà
最大,没有比这更大
他这样处理问题,简直是莫大的耻辱
莫非mòfēi
(1) 表示反问语气,相当于“难道”
你不赞成?你莫非不为全社着想
(2) [表示疑惑不定的推测语气,相当于“别不是”
莫非这事就是他们干的
莫过于mòguòyú
没有超过…的
最大的幸福莫过于奉献
◎ 莫讲 mòjiǎng
何况
连小孩都懂,莫讲大人了
莫可名状mòkě-míngzhuàng
无法描述
胜利的喜悦,莫可名状
◎ 莫名 mòmíng
无法说明;无法表达。名,这里是用语言表达出来的意思
莫名所以
莫名其妙mòmíngqímiào
原义是:没有谁能说出其中的奥妙来,有称赞意。现在则用以形容事情的稀奇古怪,难以理解
莫逆mònì
指两人意气相投,交往密切友好
莫逆之交mònìzhījiāo
非常要好的朋友
◎ 莫如 mòrú
不如;这样选择较好
与其你去,莫如他来
莫斯科Mòsīkē
俄罗斯首都。俄罗斯第一大城市,政治、经济、文化、交通中心,人口840万
莫须有mòxūyǒu
也许有。形容无中生有,罗织罪名
莫邪mòyé
古代传说中的宝剑名,因铸造者干将的妻子叫莫邪而得名,后泛指宝剑
莫衷一是mòzhōngyīshì
意见分歧,难有一致的定论
大家对此事众说纷纭,莫衷一是

基本词义

◎ 莫 mù
〈名〉
(1) (会意。甲骨文字形。从日,从茻( mǎng)。太阳落在草丛中,表示傍晚天快黑了。是“暮”的本字。本义:日落时)
(2) 同本义
莫,日且冥也。——《说文
莫,夜也。——《广雅》
不夙则莫。——《诗·齐风·东方未明》
谁夙知而莫成?——《诗·大雅·抑》
维莫之春。——《诗·周颂·臣工》
及莫又圣。——《礼记·文王世子》
旦莫日进食。——《战国策·齐策
星辰莫同。——《书·洪范》
至莫夜月明。——宋· 苏轼《石钟山记》
莫春者。——《论语·先进》
(3) 又如:莫夜(夜晚)
(5)另见 mò

康熙字典

【申集上】【艸字部】莫 ·康熙笔画:13 ·部外笔画:7
〔古文〕《唐韵》慕各切《集韵》《正韵》末各切,音寞。《韵会》无也,勿也,不可也。《易·系辞》莫之与,则伤之者至矣。 又定也。《诗·大雅》监观四方,求民之莫。 又谋也。《诗·小雅》秩秩大猷,圣人莫之。 又《博雅》强也。《论语》文莫吾犹人也。《晋书·欒肇·论语驳曰》燕齐谓勉强为文莫。《扬子·方言》侔莫,强也,凡劳而相勉谓之侔莫。《淮南子·谬称训》犹未之莫与。《注》莫,勉之也。 又削也。《管子·制分篇》屠牛垣,朝解九牛而刀可莫铁。 又《博雅》莫莫,茂也。《诗·周南》维叶莫莫。《注》莫莫,茂密之貌。 又《庄子·逍遥游》广莫之野。《注》莫,大也。 又姓。《通志·氏族略》卽幕氏省文。汉有富人莫氏,见《游侠传》。唐有比部员外郎藏用。 又《史记·夏本纪注》五湖之一有莫湖。 又与瘼通。《诗·小雅》莫此下民。 又与幕通。《史记·李广传》莫府省约文书籍事。 又《说文》莫故切。同暮。《易·夬卦》莫夜有戎。 又菜也。《诗·魏风》彼汾沮洳,言采其莫。《注》音暮。《陆玑疏》莫,茎大如箸,赤节,节一叶,似柳叶,厚而长,有毛刺,今人缫以取茧绪。其味酢而滑,始生可以为羹,又可生食。五方通谓之酸迷,冀州人谓之乾绛,河、汾之闲谓之莫。 又通膜。《礼·内则》去其皽。《注》皽谓皮肉之上魄莫也。 又《韵会》莫白切,音陌。静也。《诗·小雅》君妇莫莫.《左传·昭二十八年》德正应和曰莫。 又《唐韵古音》平声,音谟。《汉书》注引《诗》圣人莫之作谟。

说文解字

清代陈昌治刻本『说文解字』
【卷一】【茻部】莫
日且冥也。从日在茻中。莫故切。又,慕各切
日且冥也。且冥者、将冥也。木部曰。杳者、冥也。夕部曰。夕、莫也。引伸之义为有无之无。从日在茻中。茻亦声。此於双声求之。莫故切。又慕各切。五部。

方言集汇

粤语:mok6 mou6
客家话:[海陆丰腔] mok8 mu5 [梅县腔] mok8 [台湾四县腔] mok8 mu5 [客英字典] mok8 [沙头角腔] mok8 [东莞腔] mok8 [宝安腔] mok8 [陆丰腔] mok8 [客语拼音字汇] mog6

汉英互译

◎ 莫
don't no no one nothing

编辑本段姓氏介绍

莫姓是当今中国姓氏排行第九十七位的姓氏,人口较多,约占全国汉族人口的百分之零点零九四。(2006年)

姓氏源流

莫(Mò)姓源出有八:
1、出自高阳氏,是颛顼之后。据《三郡记》和《姓氏考略》所载,上古帝颛顼造“[莫阝]阳城”,其支庶子孙有定居[莫阝]阳城者,后人去邑为莫,以地名为姓([莫阝]阳城故地在今河北省任丘县平乡县,古钜鹿郡地)。
2、出自芈姓,以官名为姓。据《广韵》所载,春秋时,楚国莫敖(官名)之职,其后世子孙以官职命氏,称莫姓。古诗人屈原的家族便世居此官职,故莫氏也有一部分是屈氏的分支改姓。而芈姓为祝融八姓之一,亦出自颛顼
3、据《通志·氏族略》文,莫即幕省文,望出钜鹿、江陵,乃上古圣君虞舜之祖——幕的后代。也就是说,莫和幕同源,莫只是幕的省略书写文字。此说法可能是1和2说法的综合。
4、广西壮族的创世史诗《布洛陀》第十一章《分姓》记叙:远古之时,壮族人无名无姓,彼此相称十分不便。布洛陀请卜黄为众人分姓,卜黄为此而累病。部族里的人关心卜黄,纷纷送礼物给他,卜黄由此便生出安姓的办法来。凡送李子的,就安他姓李”;牵牛来探病的,就安他姓“莫”(壮语黄牛叫莫);送篮子的,就安他姓“蓝”……。从此,壮族人也就有“莫”等姓氏。广西忻城县莫土司衙署,占地总面积38.9万平方米,其中建筑占地面积4万平方米,被誉为“壮乡故宫”。莫姓土司官职世袭,统治该地区近五百年,电影《刘三姐》中的“莫老爷”就是这种世袭之土司。
5、唐五代后建立西夏王朝的党项人,也有姓莫氏者。
6、北魏时柔然有莫姓
7、西南少数民族布依族、侗族、瑶族也有以莫为姓者。如贵州独山莫与俦、莫友芝、莫庭芝父子,皆为布依族人,此莫氏建立的“影山文化学派”对西南地区影响深远(莫友芝一族之族源有争议,莫友芝等自称为江南汉人,然现代专家考证,莫友芝居地为传统莫姓布依族的居地,莫可能为了参加科举考试才自称为汉人。本人较支持莫友芝为汉人,因清代为少数民族政权,随汉姓并无多大优势,且西南少数民族不得参加科举只是清初雍正年间之事,而莫却是清末同治年间人,并无虚报必要。另,莫友芝为“西南巨儒”,精研经学,旁及金石文字书画,虚报有损其道德操守,今暂从专家之说)。专家认为西南少数民族是上古三苗族的后裔,也就是上古蚩尤部族的后裔,如此则西南少数民族原居中原,与中原各大姓氏实是同根。
8、出自他族改姓。据《魏书·官氏志》所载:
南北朝时期,北魏少数民族邢莫氏、莫那娄氏改姓莫。
② 北方满族人那莫氏,其汉姓也有改单姓莫为姓的。

得姓始祖

颛顼。昌意子,黄帝孙,炎黄联盟重要首领之一。号高阳氏,下分八个民族。活动据点在帝丘(今河南省濮阳西南),曾在夺权斗争中击败共工氏。他重视人事治理,努力发展农业,曾命南正重、火正黎“绝天地通”,实行人神分职,标志着原始宗教向神权的过渡。后世莫姓主源均出自颛顼,于是莫姓子孙便奉颛顼为莫姓的得姓始祖。

迁徙分布

莫姓主源两支,一支发源于今河北省任丘,一支发源于古时的楚国。两汉以前莫姓仅有两名入载史册,他们是春秋时的吴国人莫邪和汉代学者莫元珍。但多数莫姓在此际继续繁衍于其发祥地,并缓慢地向周边播迁。魏晋南北朝时,五胡乱华,几支来华定居的外族也改为莫姓,使北方莫姓家族日益庞大起来,原本在河间郡、巨鹿郡就已很是兴旺的莫姓家族得此新鲜血液的注入,自然兴盛为莫姓河间郡望、巨鹿郡望。另外,南方的江陵郡古为楚国腹地,一直以来为莫姓世居之地,在此际愈加昌盛。隋唐时期,莫姓分布之地渐广,有资料表明,在今河南、河北、山西、甘肃、山东、湖北、湖南、江苏、浙江等地均有莫姓人定居,并且已有莫姓徙居广东黄巢起义后,有北方之莫姓避居四川五代十国至两宋,莫姓在江南各地愈加壮大起来,而北方的莫姓却由于夷族的入侵而沉寂下去。此际始有莫姓入迁福建,而莫俦因罪被流放今广东潮州。宋末元初,蒙古铁骑南下,兴盛于今浙江、江苏等地的莫姓为避兵火,大批涌入今广东、广西。明初,山西莫姓作为洪洞大槐树迁民姓氏之一,被分迁于今河北、河南、湖北等地。张献忠余部继续抗清,1647年开始清军屠川,满清于1647年公开发布告示:全城尽屠,或屠男而留女。至康熙24年,完全占领四川全境,四川人口仅余9万,开始湖广填四川。清初,清政府移两湖之百姓入川,史称湖广填四川,两湖之莫姓亦由此入居今四川、重庆。清中叶之后,沿海之莫姓渡海赴台,扬帆南洋者。如今,莫姓在全国分布较广,尤以广西、四川、广东等省多此姓,上述三省莫姓约占全国汉族莫姓人口的百分之六十五。

历史名人

莫邪:春秋时期吴国人。吴王命令干将铸剑,铁汁不下,于是妻子莫邪问:“铁汁不下,怎么办?”干将回答说:“古时候的铸剑大师欧冶铸剑,铁汁不下,于是让女人担任炉神,很快就成功了。”莫邪听到这,立即窜入火中,铁汁流出,于是铸成两把利剑。雄的叫干将,雌的叫莫邪。后人经常用干将、莫邪来比喻锋利精美的剑。
莫含:东汉左将军,穆帝很赏识他的才能,经常让他参与讨论军事机密、国家大事。后来被封为关中侯。
莫云莫含孙,北魏大臣。兄莫云好学善射,道武帝时,赐爵关内侯。太武帝时以功进爵安定公,迁镇西大将军
莫题莫含孙,莫云弟,道武帝时以功赐爵东宛侯。因侍宴不敬获罪,黜为济阳太守。后令其监造平城。因久而懈怠,赐死。
莫琮:宋代的官吏,字叔方。仁和人。历经明、福两州官。他的品行相当高尚,并且教子有方。他有五个儿子元忠、若晦、似之、若拙、若冲俱登科。当时人们把他们比作是“燕山五宝”。
莫蒙:湖州人,宋代官吏、学者。在太学读书时,以文鸣京师。就特科出仕,由县丞累官至通化军知府。工诗,词尤婉丽。有《卧驼集》。
莫胜:松江府华亭(今属上海)人,明代书画家。曾任虎贲左卫经历。工书画,善绘鱼。
莫藏:浙江海盐人,字用行,号素轩,明代学者、书画家。其博涉经史,能诗,工书画。有《素轩稿》、《五音字书辨讹》等。
莫骏:广西省平乐人,明代官吏。举人出身,官至南京户部员外郎。做官二十余年,人称廉洁。
莫矜:广西省融水永乐人。1938年加入中国共产党,后来任中共融县支部书记,融县特支副书记,抗日挺进队政治指导员,中共桂黔边区工委书记,桂黔边区人民保卫团政委兼司令员,中国人民解放军柳北总队政委兼司令员。中华人民共和国成立以后,历任柳州专署副专员、自治区统战部副部长、自治区冶金局副局长等职务。
莫修符:唐朝文人。光化二年任融州刺使。他所写的《桂林风土记》,很有文化价值,文才也很好。世传的佳作。
莫宣卿:字仲节,号片玉。广东省封开人。广东的第一个状元。幼年时他的生父病逝,遂与母亲随继父生活。由于继父的家境较富裕,他得以入学堂读书。相传莫七岁时已学会吟诗写对联,12岁时即参加科举考试并中秀才,被乡人称誉为“神童”。唐大中五年(851年),17岁的莫宣卿赴京城参加廷试获中制科状元,从而成为广东历史上科举考试的第一个状元,并是始隋唐以科举取士以来年龄最小的状元。莫宣卿考取状元后,被任为翰林书院修撰。其后他还乡省亲,因母亲不愿随其北上定居,莫遂上书朝廷请求改委他在南方任职以奉养母亲。唐文宗允准,改委他浙江台州别驾(刺史的副职)。他即奉母携眷往台州上任,但未到台州却病逝于途中。莫宣卿的生平业迹不显,存世的诗作也仅三首半,但由于是广东历史上的第一个状元,他的传奇式事迹及影响仍在岭南文化史上占有不容忽略的地位,为后人所尊崇。
莫君陈:湖州归安(今浙江省湖州)人,北宋官吏。仁宗时进士。神宗熙宁年间新置**科,中首选,为王安石所倚重。有《月河所闻集》。
莫伯镕:湖州归安(今浙江省湖州)人,少有超乎世俗之志,年五十即归休,请名师教诲其子。子三人皆登科,时号“三莫”。长子莫济后又中博学鸿词科,居官给事中时,因反对外戚张说被罢职,后仕至司农少卿。次子莫汲曾为国子监正,因得罪秦桧被贬化州知府。三子莫冲亦曾中博学鸿词科,官任明州长史,以循良称。
莫如忠:松江府华亭人,明代官吏、学者。嘉靖年间进士,累官浙江布政使。善草书、诗文有体要。有《崇兰馆集》。
莫如足:广州府新会人,明代大臣。嘉靖年间进士。由庶吉士擢御史,曾经弹劾仇鸾,有直声。官至大理左丞,数伸冤狱。
莫友芝:清朝时期道光举人,独山人。少年时期就很喜欢读书精通苍雅故训六艺名物制度,旁及金石目录家言。工于诗,他的书法也很好,在当时与遵义郑珍齐名,当时号称“郑莫”。著作有:《声韵考略》、《遵义府制》、《过庭碎》、《唐本说文木部芊异》。
莫是龙:明代画家,字云卿,华亭人。后来更字廷韩,号秋水,又号后明。十岁就能写诗作对。擅长于书画,著有《石秀斋集》、《画说》等。
莫我愚:湖南省善化(今长沙)人,清代书画家。工诗,不喜为时文。于真、行、草书、指头书、筋头书,皆不学而能。工法山水,尤善写照,所绘莫不神态毕肖。
莫与俦:贵州省独山人,清代官吏、学者。嘉庆四年进士,曾任盐源知县,后改遵义府学教授。有《贞定先生遗集》。
莫仕睽:清朝广西平南人。参加太平军,清咸丰六年为刑部尚书。咸丰十一年升迁为开朝王宗殿前忠诚伍天将,任藩镇统官。曾处理外交事务,后来封为补王。同治三年发觉李秀成的妻舅宋永祺在天京阴谋叛乱,与浙江的巡抚曾国荃暗中勾结,于是他当面指责李秀成,并带领军队将宋永祺从忠王府中抓获逮捕。天京陷落以后,他回家乡平南。逝世的时候有70岁。
莫荣新:字日初,广西省桂平人,莫宣卿之孙莫平米后裔,行武出身。早年跟从陆荣廷坐镇梧州,担任广西第一师第二旅旅长。民国四年(1915年)担任桂平镇守使。民国五年参加护国战争,升为第三军军长。后来转任广东省广惠镇守使。民国六年任广东督军。后参加护法战争,曾经担任护法军政府代理总裁兼陆军部长。民国九年被陈炯亮所逐,败回广西。

编辑本段相关鲜花

莫与勿的意思相近,所以也和勿忘我有着一丝联系。

勿忘我

勿忘我(学名:Myosotis sylvatica),又名勿忘草,是紫草科勿忘草属的植物。分布于欧洲、伊朗、俄罗斯、巴基斯坦克什米尔印度以及中国大陆的江苏、西北、华北、四川、云南、东北等地,生长于海拔200米至4,200米的地区,多生于山地林缘、山坡、林下以及山谷草地,目前尚未由人工引种栽培。

勿忘我信息

学名 Limonium sinuatum
中文名 翅茎补血草、勿忘我
英文名 sea-lavender
花语 永恒的爱,浓情厚谊。/ (即星辰花) 永不变的心。
切花主要特征:采后处理简单,适宜作鲜切花或干花。
生态习性:喜干燥、凉爽的气候,忌湿热,喜光,耐旱,生长适温为20℃-25℃。适宜在疏松、肥沃、排水良好的微碱性土壤中生长。
采切发育阶段:在大部分花朵开放并显色时采切;亦可在较早阶段采切,再用含有赤霉素的保鲜剂促使开放。野花——勿忘草
学名 Myosotis sylvatica
中文名 勿忘草
英文名 Forget-me-not或Don't-forget-me
原产欧亚大陆。多年生草本植物,叶互生,狭倒披针形或条状倒披针形。喜阳,能耐阴,易自播繁殖。勿忘我花小巧秀丽,蓝色花朵中央有一圈黄色心蕊,色彩搭配和谐醒目,尤其是卷伞花序随着花朵的开放逐渐伸长,半含半露,惹人喜爱,令人难忘。
一、二年生草本植物,茎高10~50cm,特别在野生状态中,尤为细小纤弱,花杂蓝色。有变种白花勿忘我与红花勿忘我。青年男女互赠勿忘我,以表达深切情意。
不能制切花。偶有盆栽。
参考资料
开放分类:
古文古书文言文中国上古人物人物埃及神袛虚拟人物 文化百家姓典故

 

 

 

 

신세영 13.07.27. 17:28
중국 포털 씨이트에서 모셔 오다 보니 글자의 발달 과정에 대한 것은 지워지네.......
우리 부교주님 같이 대 토목설계회사에 임원으로 계신 분들은 방향만 제시하면

팀원들이나 회사의 구성원들이 함께 합심하여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저 처럼 백수는 모든 것을 처음부터 하나하나씩 풀어가야 한다네........

허사 莫을 예를 들어서 미안하네만 위의 바이두 백과 내용설명 중 두글자 이상의 복합허사를 보고 대조하여
원뜻을 찾아 간다네...... 그리고 예문의 원글을 인터넷 파도타기로 찾아가서 주석서나 주해서에서

제가 해석한 것이 맞는 것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네.....
그냥 일례를 들어 본 것이니
 
 
신세영 13.07.27. 18:10
언짢게 여기지 말고 너그럽게 혜량하여 주시게..........
인터넷이 편리하여 다른 古文虛詞 책들을 이용하여 천삼사백년 전의 허사들의 용례나 용법들도 쉽게

찾을 수 있다네........

그러니 부교주님께서 위에 설명드린 방법이나 아니면 더 낳은 방법으로 언제 시간이 있을 때 한차례라도
해보시면 많은 소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

이미 해본 경험이 있는지는 몰라도....... ......... (()) .........
 
 
신세영 13.07.27. 21:30
어떤 경우는 글자 한자나 한구절의 짧은 문장의 의미를 찾아서 - 번역된 것이 잘못된 것 같아서
일이년을 뒤져도 보았네만 결국 적합한 뜻을 발견 또는 확인하지 못하고 원번역자의 뜻에 따르는 경우도 있다네........

너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큰 병폐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있네..........

그 원번역자도 이공계 출신인 우리들 만큼 아무런 고민도 없이 번역했을까 하고.........
이것을 한참 헤맨 후에 느낄 때도 있다네.....

그리고 선도리를 설하신 것에는 파격적인 것이나 논리를 뛰어 넘는 것도 많이 있어서
더욱 우리 이공계 출신들이 혼란을 느끼기도 하지........
......... (()) .........
 
 
신세영 13.07.28. 23:03 new
그런데 이번의 허사 莫에는 답을 찾을 수가 있다네......

모자란 저의 생각으로는 3가지의 정답이 ....... (()) .........

정답을 들어보면 친구들이 상당히 실망할 수도........
첫째, 성경이나 경전들을 믿고 따르듯이 무조건 지은이나 번역자의 뜻에 따른다.

모든 말씀들과 번역들은 하나님의 말씀 처럼 다 똑같을 수 있다라는 전제를 하고, 그대로 믿고 따른다.
그래서 얻은 시간은 자신과 공공의 복리를 위하여 일하거나 봉사한다.

이러한 것은 유태인들이나 앵글로 색슨계의 개신교도- 현재 세계의 부와 패권을 지배하고 있는 그들은
쓸데없는 논쟁에 시간을 허비하기 보다 자신과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를 위하여
 
 
신세영 13.07.28. 23:06 new
열심히 노력하거나 봉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도 그들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은이와 번역자의 본뜻을 알기 위한 노력과 자신과 사회를 위해 일하고 봉사하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우리에게 필요한 일일까?

둘째, 지은이나 번역자가 어떻게 표현을 하였던 그러러니 하고 다 포용하고, 자신은 더 큰 절대 진리 - 깨침을 위하여 정진한다. 이러한 경우는 불교의 선사(禪師)들이나 청신도들에게 많이 나타나며,이러한 분들은 현실생활은 종단이나 신도들

의 보시를 통하여 해결하고 자신과 승단 그리고 재가신도들은 최상승의 절대진리 즉 깨침을 위하여 공부를 계속한다.
현실의 고락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나,
 
 
신세영 13.07.28. 22:53 new
현실적 고락의 영향이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미리 예측하지 아니 한다. 삶의 지상 목표를 깨침이라는 절대진리를 찾는 데에 두고, 모든 현실적인 일들도 이 절대 진리를 찾아가는 과정 중의 하나로 본다.

눈앞의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등한히 하여, 당장 뒤쳐져 있고 문명적으로 퇴보하고 있을 것 같으나, 한중일 등 동양 3국의 예를 보면, 그 저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힘을 가지고 있다.

셋째, 앞의 댓글에서 이야기한 훈고학자들의 방법대로 지은이가 표현할 당시의 본뜻과 번역자가 번역할 당시의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한 부분까지 세밀하고 정밀하게 분석한다.이러한 일들이 현실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신세영 13.07.28. 23:02 new
다가 오는 미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교훈들을 미리 얻을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을 소신을 가지고 열성적으로 계속한다.

위에서 예로 든 세가지 경우의 사람들 모두 바르게 살고 있으며, 착하게 그리고 열심히 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세가지가 모두 정답이다.

그러하다면 이제 서로를 사랑해야 한다. 서로 미워할 필요도 없고, 서로 경쟁할 필요도 없다.
각기 모두 각자의 방법대로 살아가면 된다. 이것이 생물종 다양성 처럼 문명종 다양성이다.

서로를 존중하여 주고 서로를 아껴주다 보면, 결국은 한길을 걷고 있슴을 알 수 있으며, 나중에
한 쉼터에서 서로 만날 것이다. ......... (()) .........
 
 
신세영 00:06 new
마지막으로 한마디....... 능률성과 시간 가치의 효용성면에서 본다면 위의 세가지가 모두 같다고는 볼 수 없지.......
이런 면에서 보면 훈고학적인 삶의 태도가 가장 비능률적인 것 같아......... ......... (()) .........
 

이런 면에서 작금의 새정부 들어서고 일어나는 국정원 사태와 고 노무현 대통령의 NLL발언과 관련된 소모적인 정치적인 논란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학계에 맞겨 두어야 할 과거 정치에 대한 훈고학적인 가치를 한국정치계가

가 이를 실행하려고 하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조선조 중기~후기의 성리학자와 대신들 사이에서 일어났던 훈고학파적인 경향이 몇차례의 끔찍한 사화들을 낳고

 
 
신세영 08:22 new
있고 이것이 결국 치욕적인 을사늑약으로 퇴보적 발전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이에서 역사적인 교훈을 얻지 못하고 이들의 잘못된 양태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고 이를 헤게모니 선점에 이용하려고 하고 있지나 아니한가 하는 면에서, 현 정치계는

크게 자성하고 민생경제와 더 낳은 미래의 설계를 위한 준비에 매진하여야 할 것이다. 끝......... (()) .........
 

 

정남 08:58 new
우와~먼 공부를 이리 많이했대
잘 모르지만 전부 지당하신 말씀~~
 
신세영 10:09 new
제가요!! 암것도 모르면서 ......
원래 빈수레가 더 삐거덕거리고 빈 깡통이 그 소리가 요란한 법이여..... ......... (()) ......
 
 
신세영 10:17 new
이왕에 점빵을 벌린 김에 ..... 친구들에게 당부 한마디........
우리들의 잘못된 관행 중에 하나는 우리가 선택한 정치 또는 정치인을 나무라기만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과거의 관치 관행

에 대한 잠재의식으로 인하여, 우리가 뽑은 우리들의 공복(公僕)들에게 스스로 머리를 조아리며 예속되거나, 자신의 이익이나 명예를 위하여 이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점에 있어서 우리들 - 국가의 주인인 국민들도 크게 반성하여야 한다고 보네.

그들이 공복임을 부인하고 있지 않은 이상, 우리 주인들이 과거에 집에서 부리던 하인들이나 종놈 부려 먹듯이 우리들이 주인답게 그들에게 일을 잘 시켜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네......
 
 
신세영 10:23 new
주인이 주인 노릇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과거의 예로 보아 주인을 무시하거나 기어 오르는 경향이 많이 있었거던....
말을 안들으면 과거처럼 멍석말이를 하지는 못하더라도 따끔하게 혼내거나 나무랄 줄 알아야 그들이 알아서 기네....

제대로 못하면 이 동네에서 영원히 추방해 삐린다 하고 경고를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그들이 주인을 제대로 모셔......
지나간 과거의 역사적 사실들이 이것을 증명하고 있어. 우리들이 정신줄 놓고 있다가 종들이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

이 안타까운 현실을 언제까지 우리들이 보고만 있어야 할 것인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