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밤 별똥별 쏟아진다…잘 관찰하려면?

2018. 8. 11. 21:15별 이야기



       무더운 여름밤 별똥별 쏟아진다…잘 관찰하려면?


[중앙일보] 입력 2018.08.11 14:23 수정 2018.08.11 14:27

채혜선 기자 사진 채혜선 기자




홍대용과학관에서 지난해 관측된 페르세우스 유성우. [뉴스1] 

   홍대용과학관에서 지난해 관측된 

페르세우스 유성우. [뉴스1]



   12일과 13일 밤하늘에 시간당 100여개의 별똥별이 쏟아진다.
 
10일 한국천문연구원(KASI)에 따르면 여름철 대표 유성우인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12일 밤에서 13일 새벽 사이 밤하늘을 수놓을 예정이다.
 
천문연구원이 예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기(ZHR·1시간당 볼 수 있는 유성의 개수)는 13일 오전 9시 44분쯤이다. 이 시간에는 110개가 넘는 유성우가 떨어진다. 하지만 이 시간은 해가 뜬 뒤여서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 적기는 12일 밤부터 13일 새벽 해뜨기 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8월13일 새벽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의 한 야산 뒤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떨어지고 있다. [뉴스1] 

2016년 8월13일 새벽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의 한 야산 뒤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떨어지고 있다. 

[뉴스1]



   유성우를 관측할 때 최대 적은 달빛이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떨어지는 기간은 그믐 또는 초승달이 뜨는 기간이어서 유성우 관측이 용이할 전망이다. 다만 유성우 수는 계산으로 예측된 것이어서 실제 관측 시에는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태양을 133년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스위프트-터틀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부스러기들이 지구 공전궤도와 겹칠 때 초속 60㎞ 정도의 빠른 속도로 대기권에 빨려들어 불타면서 별똥별이 되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 1월의 사분의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으로 꼽힌다.   



12일 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예상도. [연합뉴스] 

12일 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예상도.
 [연합뉴스]


   천문연구원 관계자는 “별똥별을 잘 관측하려면 도시 불빛에서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 주위에 시선을 가로막는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곳으로 가는 게 좋다”며 “하늘을 오래 봐야 하는 만큼 돗자리나 뒤로 젖혀지는 의자를 준비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무더운 여름밤 별똥별 쏟아진다…잘 관찰하려면?


  *** 참고 자료[페르세우스 유성우 특집] 페르세우스 유성우 파헤치기!! 






  


    *** 고구려 석각천문도 탁본에서 유래된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의하면 서양별자리 페르세우스 자리는 우리 한국천문에서 서방7수(百虎) 중 묘수(昴宿 : 白虎 중 새끼3 - 兒虎3)에 속하는 권설(券舌)좌이며, 조선조 세종 때 관상감인 이순지(李純之, 1406 ~1465)가 지은 <천문유초(天文類抄)>와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에 따르면 묘수 권설좌에서 일어나는 유성우는 "야간기습작전" 또는 기습시 혀를 안으로 말아넣어(券舌) "말 못하게 막대를 뭄"을 의미한다.  더 자세하게는 보다 힘센 형제 새끼범1,2(婁宿, 胃宿)와의 먹이경쟁에 밀려서 배고픔을 호소하는 새끼범3(昴宿)의 울음소리를 막대뼈를 물려서 막음이 어미범(奎宿)의 먹이사냥을 돕는다는 뜻이다.

   어미범(奎宿)의 먹이사냥은 백호가족의 생존과 성장환경에 직결되고, 묘수(昴宿) 인근에 기존의 사냥영역을 가지고 있는 다른 호랑이인 필수(畢宿) 자리가 있어서, 새끼범 세마리의 양육을 위한 사냥으로 어미백호 영역에 사냥감 동물들이 부족해지자 다른 호랑이 활동영역의 경계지역에 다가가서 사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야행성 백호 어미범의 먹이사냥 습성의 특징을 본따 <천문유초>에서 "야간기습작전"으로 설명한 것이다.

   배고픈 새끼범3(昴宿)의 칭얼대는 울음소리는 필수(畢宿) 자리의 다른 어른 호랑이에게 자신의 사냥영역에 대한 침범세력이 다가옴을 경고하고 동시에 노루 사슴 멧돼지 등의 먹이감용 동물들이 멀리 도망가게 하는 것이므로, 새끼범3가 혀를 안으로 말아넣어 울음소리를 내지 못하도록 막대뼈로 입막음용 재갈을 물리는 권설(券舌)을 하여 어미백호가 새끼범들에게 사냥교육을 하는 것이다. 세끼범들이 사냥교육을 마치고 어른 백호로 성장하면 어미백호의 활동영역을 벗어나서 독립적인 사냥영역을 찾아 어미범의 곁을 떠난다.  이후 묘수자리인 새끼범3의 인근에 있던 다른 호랑이의 영역인 필수(畢宿) 자리가 장성한 새끼범들의 공격대상에 포함됨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우리 한민족(韓民族)이 은,상,영,진,고죽국(동이부족 东夷部族 : 商嬴秦孤竹) 등 다섯나라로 시원(始原)을 열어갔던 중원문명의  "장강의 새물이 하류에 고인 물을 끊임없이 밀어내는" 지상세계의 무량류전설(無量流轉說)을 도입하여, 하늘의 설화에도 호랑이의 생태습성을 본받아 강역을 넓혀갔던 고구려 왕실과 귀족무사들의 기개와 상무정신(尙武精神)을 하늘에 감추고(天藏) 재치와 해학을 곁드린 별자리 이야기로 풀어낸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인다.



고구려 고분벽화 무용총 수렵도 

  

 
 ㅡ 위 무용총 수렵도 중앙상단부에
두마리의 궁노루(麝香鹿 사향노루)와

(실제 궁노루는 암수 모두 뿔이 없다)

말타고 뒤돌아보며 활을 쏘는(後方騎射) 

무사 사이에 그려진 구름무늬는 

  
수렵과 기사(騎射)속도감을 
표현하는 동시에 

"무덤 주인이 사후 천상세계에서도 지상의 영화를 누리시라" 라는 

후손들의 기원을 하늘에 감추고 있는 천장(天藏)을 표현한 한 예이다.


집단수렵이 고조선 부터 조선조 까지 
왕실과 귀족무사들의 군사훈련인 
강무(講武)로 이어져 온 것은 

놀이문화와 제천의례로 국방을 강화하려는 
우리 동이족 선조들의 재치와 지혜가 
돋보이는 고차원적인 흥겨움 
즉 "신명남"의 전수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군의 야간기습시 사전에 보안유지와 작전시에 기도비익을 철저히 유지하여야 승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적군의 예고없는 은밀한 야간기습작전과 매복작전에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함을 뜻한다.
  
  또한 페르세우스 자리는 길게 연결되어, 우리 한국천문에서 서방7수(白虎) 중 위수(胃宿)에 속하는 대릉(大陵 : 큰 무덤)좌와 천선(天船 : 하늘배)좌에 해당하고 있다. 대릉과 천선좌 가까이에 있는 적시(積尸)좌는 "이 별이 밝으면 죽는 사람이 산처럼 쌓임"으로 해석하고 있으므로 항공기와 항공모함을 동원한 아군의 야간기습 시에는 크게 승리함을 의미하며, 반면에 적군의 기습시에는 대패(大敗)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년 다가오는 이 시기에는 항상 실전과 같은 경계태세의 유지와 전투훈련을 게을리하지 않아 상호 군사적 균형을 유지함으로서 국태민안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이와 다른 해석으로는 하늘의 사신(四神)인 백호를 상징하는 서방7수 중 위수(胃宿 : 하늘의 주방 또는 오곡창고)에 속하는 대릉(大陵 : 큰 무덤)좌는 능과 묘를 주관하고,  천선(天船 : 하늘배)좌는 수로(水路)를 다스리며 홍수와 가뭄을 주관한다. 달 또는 오성(五星)이 이 천선좌를 침범하면 물이 범람하여 백성들이 이주하게 된다고 풀이하였다. 이는 장강(長江)이 발달한 한족(漢族)의 농경사회 중심 중원문명의 영향을 받은 해석이며 하늘의 천문 현상으로 기상현상을 예측하는데 활용한 예가 된다. 천선좌 옆에는 적수(積水)좌가 있어서 "수해의 조짐을 주관한다" 하여 농업경제사회에서 장기경기예측과 장강 주변에 거주하는 백성들의 대피계획의 수립과 치수시설 정비계획의 입안에 활용하였다.


  *** 참고자료 : 

1. 천상열차분야지도 우리말 별자리 이름 (1부)

          2. 천상열차분야지도 우리말 별자리 이름 (2부) 



  

    한국의 고대 전제왕조에서 이러한 천문현상에 기대어 국가와 개인의 길흉화복을 미리 점쳐 보려는 한국의 점성술(占星術)은 위성과 전자통신정보 또는 인적 정보와 국제기구의 통계자료 등에 의하여 국방태세와 국제경제를 미리 점검하는 현대인들의 시각으로 볼 때에는 과학적 타당성이 없는 의사(擬似)과학이고 다소 미신적인 면도 없지 않으나, 고대에 있어서나 현대에 있어서나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인간의 심리적 대응상태와 그에 따른 행동양식은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보여진다. 


  더구나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우선적으로 보호하여야 한다"라는 현대적 국가의 존립개념면에서 보더라도,  '적폐청산'이라는 구호 아래 과거 정부의 실정을 파헤쳐 권력투쟁에서 승리하였음을 과시하는 동시에 정부와 당파에 대한 국민의 지지율을 높혀가려는 시도로 여겨지는 조선조 중후기의 사색당쟁식 근시안적인 시각의 굴레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할 것이다. 과거에 연연하기 보다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현재 풀어나가야 할 당면과제들이 쌓여 있음에, 당연히 국정의 우선순위는 현안 해결과 다가올 미래의 혁신과제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과거사에 대한 법리적 판단과 단죄만을 일삼는 법률가(律士)의 행동 양태(dilemma)에 빠져 있어서는 장기적인 국정계획을 세우기 어렵다.



孟子曰(맹자왈) - 맹자가 말하기를 

民爲貴(민위귀) - 지배받는 백성이야 말로 가장 존귀한 것이요

社稷次之(사직차지) - 사직은 그 다음이요 

君爲輕(군위경) - 지배하는 군주()는 가장 가벼운 것이다


是故(시고) - 그러므로

得乎丘民而爲天子(득호구민이위천자) - 백성들의 마음을 얻는 자가 왕이 될 수 있고 

得乎天子爲諸侯(득호천자위제후) - 왕의 마음을 얻는 자가 제후가 될 수 있고 

得乎諸侯爲大夫(득호제후위대부) - 제후의 마음을 얻는 자가 대부가 된다

諸侯危社稷則變置(제후위사직칙변치) - 제후가 나라의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바꾸어야 한다


犧牲旣成(희생기성) - 하늘에 제물을 바치고 
粢盛旣潔(자성기결) - 제기를 깨끗이 하고 
祭祀以時(제사이시) - 때에 맞추어 제사를 지내는데도 
然而旱乾水溢則연이한건수일칙) - 홍수가 나고 가물어 흉년이 들면
變置社稷(변치사직) - 왕은 물론 사직도 바꾸어야 하지만, 백성들은 영원히 바꿀 수 없다

맹자(孟子) 진심하(盡心下) 14,15




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聽.

(천시자아민시 천청자아민청)

하늘이 보는 것은 우리 백성이 보는 것에서부터 비롯되고 

하늘이 듣는 것은 우리 백성이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서경(書經),   제4권 주서(周書),   제2편 태서 중(泰誓 中) 7장



   전제왕조에서 조차 "백성이 곧 하늘이다"라는 통치이념 아래, 이 사소한 듯한 천문현상을 대함에 있어서도 국방과 국가 경제를  튼튼히 하고자 하는 계기로 삼고 있음에 주목하여, 현 위정자들은 이를 더욱 냉철한 자기반성과 성찰의 시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ㅡ 步虛 謹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양별자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을철 서양별자리




*** 참고자료 : 1. 삼태육성...삼태성 http://blog.daum.net/bohurja/2015




2. 천상열차분야지도 http://blog.daum.net/bohurja/349  



3. 천상열차분야지도(한글본 상세도) http://blog.daum.net/bohurja/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