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내린 내린천과 개인산(開仁山) 들꽃다회

2014. 6. 4. 08:31들꽃다회






line_characters_in_love-5


하늘 내린 내린천과 개인산(開仁山) 들꽃다회


   오대산과 구룡령에서 발원한 내린천은  홍천군 내면, 인제군 상남면, 현리를

거쳐서 피아시에서  원통천과 만나 군축교를 지나 소양호로 흘러간다.

   오대산과 설악산 조침령 사이에 있는 개인산은 방태산 구룡덕봉 남서쪽에 있고,

백두대간에서 약간 서쪽에 위치하여 항상 태백준령을 넘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나

이 개인산 일대는 지형의 영향으로 비가 온 후에 가장 먼저 개인다.

그래서 순수한 우리말로 개인산이다. 


    국립지리원에서 발간된 1/5만 지형도에는 설악산 한계령 남쪽에 있는 산에 

점봉산이라고 이름이 붙어 있으나 산경표 등에는 점봉산이 따로 구분되지 않고 

양양 양수발전소 상부댐이 있는 터널이 뚫린 조침령 까지가 설악산의 영역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과거에는 점봉산은 남설악에 속한 설악의 한 봉우리였다.,


   산경표에 의하면, 방태산과 개인산은 설악산과 오대산의 중간에 있는 산이다. 

점봉산의 이름이 지형도에 나타난 것은 대일항쟁기에 총독부에서 전국을 측량하고

지형도를 만들었을 때 점봉을 점봉산이라 지방민들이 부르던 이름에서 따와서 

지도에 처음 나타난다.



line_characters_in_love-12



  지난 금요일(5월 30일) 저녁에 출발 계획을 하였던 내린천 개인산 일대 유산(遊山)은 


함께 가려던 일행분의 레슨 일정 때문에 토요일 아침에나 출발하였고.......


점심 때 쯤에 개인산장에 도착하여 부식들을 냉장고에 챙겨넣고 개인약수산장에서


해발고도와 비례한 그리 가격이 만만치 않은 점심을 들고는 나뭇잎이 떨어저서  


어두움이 한철만 가시는 겨울철만 제외하고는 삼계절 내내 어두컴컴한 어두우니 계곡으로


열목어들을 보려 갔으나 일찍 찾아온 무더위 때문에 열이 많아 눈이 빨간 열목어(熱目魚)는 


수온이 찬 곳을 찾아서 더 깊은 곳에 숨었는지 한마리도 보이지 않았다.




   일행들이 해발고도가 남한지역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개인약수에


약수물 뜨려 다녀오는 동안 평소 열목어가 자주 노닐던 계곡의 깊은 소를 찾아 더 위로 


올라 갔으나 어디에 숨어 있는지 보이질 않더라.......



   개인약수에서 내려와서 곧장 삼봉약수로 해거름산책을 다녀오다 원당 산천어송어 


양식장에서 송어 두마리를 회로 떠와 송어가 다음 생에 더 좋은 곳에서 태어나게 해달라고 


주신(酒神) 박카스에게 부탁하였다. 원래 산천어회를 뜨러 갔으나 이미 다 팔렸다고 한다.







   저녁식사후 곡차맛 감별품평회 시간에 일행중  한사람이 양양 낙산사에 가서


일출을 보자는 제안에 다음날 6시반에 차를 타고 구룡령으로 가던 중에 


오대산 북대길 입구인 명개리(明開里)에서 마을 이름 처럼 백두대간 상에 떠오르는 


6월 첫날의 햇님을 맞을 수 있었다.



    구룡령 ㅡ> 낙산사 의상대, 홍련암, ㅡ> 미시령 입구 순두부 마을에서 아침식사  


ㅡ> 화암사 ㅡ> 미시령 고개길 구도로 ㅡ> 용대리, 한계 삼거리 ㅡ> 한계령 정상  ㅡ> 


귀둔리 필례약수 ㅡ> 한석산 입구 ㅡ > 설피밭, 쇠나드리  ㅡ> 진동리 진동산장


(산장주: 김영선 한의원장을 만남)을 거쳐 개인산장으로 돌아오니 오후 2시반..... 


늦은 점심을 먹고 귀경길 차가 막힐 것에 대비하여 김밥을 싸서 산장을 출발한 시간이 


오후 4시20분......



   대체적인 사전계획은 있으나 그때그때 상황을 보아가며 탐방로를 즉흥적으로 정하는


실로 오랫만에 유산다운 유산(遊山)이라기 보다 백두대간 드라이브가 어울리는


주마간산식이 아닌 주거간산(走車看山)식의 유산을 해보았다.




  




line_characters_in_love-23




    **** 곡차맛 감별 품평회


           1.  각종 독일 맥주 - 흑맥주, 맥주, 생맥주.


           2.  담금주 - 음양곽(삼지구엽초)와 비수리(夜關門), 토종꿀을 넣어 3년 밖에 안된 소주.

                         이 곡차는 최소한 12년 정도는 숙성시켜야  제맛이 나나 단맛이 강하였다.


           3. 소주(燒酎) - 소주는 막걸리, 청주 등을 소주고리에 증류시켜서 3번 이상 내린 술을

                         지칭하는 말이나 요지음은 공장제 주정을 희석시킨 희석식 소주가 대중적으로

                         통용된다.

                              소주는 100도(100%) 까지 증류할 수 있으나 실수율이 적어 80~85도 정도가

                         마실만하지만 대개 대중적인 공장제 희석식 소주는 25도 내외에서 18도 내외까지

                         알콜 함유량이 순화되어 시판하고 있고, 맹물에 가까운 맛을 내어 그리 마실만한 

                         것이 못된다.


                              왜관수도원에서 만든, 카톨릭 수사들이 로마유학시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코낙 

                        제조법을 배워와서 만든  포도주를 증류한 85도 짜리 코낙식 소주가 마실만 하다.


                              조선조 중기의 진묵대사님께서 상용하신 찹쌀소주인 85도 짜리 소주도

                        마실만 하다. 요지음도 어떤 보살분이 이 곡차를 빗고 있으니 다행한 일이다.


             4. 탁배기 또는 막걸리 - 한계령 생동동주, 봉평 메밀 막걸리 , 강원도 옥수수 막걸리 ,

                        강원도 감자 막걸리 등등을 차례대로 감별 품평하였으나,     40여년 전에 

                        내린천 살둔마을에서 마셨던  동네분의 제사용 가양밀주였던 기름이 동동뜨는 

                        옥시끼 먹걸리에는 못 미친다. 대체로 중대규모 도가에서  통합관리하에 

                        만들어지는 막걸리는 알콜도수가 가양농주에 비하여 10~15% 정도 순하여 

                        새참용이나 목마를 때 물 대신 마실만 하다.


             5.즉석 제조주 : 약용 또는 차용(茶用)으로 지니고 다니는 당귀 뿌리와 싹 말린 것,영지버섯을

                        희석식 소주에 담구어 마신 즉석제조주로 자연산 영지버섯을 잠시 넣은 영지소주는

                        그 쌉쌀스레한 맛이 다음 잔을 기다리게 된다.


                           말린 당귀 뿌리와 싹을 넣은 당귀주는 한국산 토당귀의 약효대로 파혈(破血)효과가

                        있어서 산행시 혈관과 근육 내에 쌓인  피로물질을 빨리 분해하고, 땀을 흐림으로서

                        농도가 진하여진 피를 파혈시켜서 다음날 신선한 피를 만드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반면에 중국산 당귀는 보혈제(補血劑) 성분이 많아서 골수에서 신선한 피를 빨리

                         생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당귀영지주는 맛을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다음 날 몸이 가쁜해지고, 영지의

                          임독맥을 포함한 14개 경락에 작용하는 약효 때문에 머리가 맑아지고, 토당귀의

                          파혈작용으로 피로가 빨리 풀리고 주독을 빨리 풀어준다. 


                             명상수련을 하기 며칠 전부터 마시면 효과적인 수련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시흥(詩興)과 화혼(畵魂)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마련한 시서화다회(詩書畵 茶會)에서

             활용되어 왔던 각종 곡차류(穀茶類)도 그 효용성이 적지 않으나, 먼거리 소요(逍遙)에서의


             여독(旅毒)을 푸는 데에 이 즉석 제조곡차의 효용성 또한 결코 적지 않다.

               곡차흥(穀茶興)이 지나쳐서 과음하는 것은 다음 일정을 위하여서도 되도록 피하여야 하고,


             곡차석(穀茶席)를 마칠 때에 반드시 진한 녹차나 가루차인 농차(濃茶)를 한사발 정도 마시면

             에칠 알콜에 용해되고 약초 성분에 의해 파괴된 젖산 등의 피로물질 등이나 많이 흘린 땀으로 


             혈관 내에 농도가 진하여졌던 각종 노폐물과 불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 등이 차의 

             이뇨작용으로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편안하고 깊은 잠을 잘 수 있고, 


             다음날 아침 기상시에도 평소와 같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들은 소량의 차만 마셔야 잠못드는 밤을 피할 수 있다.

    

                너무 많은 량의 차를 자주 마시면 사람이 마른 볏짚처럼 야위고 몸이 가벼워지는

              부작용이 있으니 과체중인 사람들은 이를 역으로 활용해 볼 만하다.

            


                 다음 카페 <61중앙고산악회> [창덕궁 후원 뇌다회(雷茶會) - 넷] 글의 효명세자의 

              운연시(韻聯詩)를 읽으면 알 수 있듯이,  창덕궁 후원에서 자주 열렸던 각종 시서화다회에서 

              곡차와 차를 함께 마셨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개양귀비 - 경춘고속도로 가평휴게소에서








경춘고속도로 가평휴게소에서.....






경춘고속도로 가평휴게소에서.....







내린천 대개인동 개인산방 입구







내린천 리버버깅 하선장 - 대개인동 입구에서








대개인동(경인란 직후부터 기독교 산중 영농공동체 마을 형성) 입구에서








엉컹퀴와 흰점팔랑나비.....Pyrgus maculatus( Bremer et Grey, 1853)







철 늦게 핀 금낭화







내린천에 비친 맹현봉(孟峴峰).....







내린천에서 천렵.....







견지낚시.....







내린천의 물고기들.....







하늘 내린 내린천에 비친 반영(反影)   - 좌 개인 우 맹현(左 開仁 右 孟峴)







살둔산장 2층다실 - 침풍루(枕風樓) 편액












2층 다실인 침풍루에서 망중한.....








2층 다실 침풍루에서 바라본 내면 창촌리 뒷산인 문안산 지릉....






1층 대청의 우물마루와 귀틀집 -  귀틀용  소나무는 카나다산 홍송(더글라스 木)를 사용......






a_bosss_life-17

추구(推句) 14의 한귀절....


麝過春山草自香(사과춘산초자향)

     사향노루가 봄산을 지나가니 풀이 스스로 향기를 뽑낸다.....


   사향노루의 사향의 향기의 원천은 풀이나 나뭇잎의 정향성분이 농축되고

이를 사향노루의 신체 내부에서 일부 합성한 것이다.


  가장 고귀하다고 여겨지는 것도 그 원천은 보잘 것 없는 것들의 희생이 없으면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극히 일부 사람들은 자기가 잘나서 고귀한 사람이 된 줄로

착각하며 여러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며 살아가고 있는 것도 알지 못하는 경우도 가끔은

볼 수 있다.


  위 추구의 싯귀에서도 작자미상의 시인이 사향노루의 사향보다 풀들의 고귀함과

풀 스스로의 자존(自存)을 노래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김수영(金洙暎)시인도 <바람이

불면 풀들이 먼저 눕는다>라고 하면서 이 풀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밟을수록 다시 살아나는

민중의 힘으로 상징하여 노래하였다.





2층 다실 침풍루로 올라가는 계단 버팀목에 새긴 사과춘산초자향....







1층 대청 우물마루에서 내다본 앞마당.....





line_characters_in_love-13





                   반     달

                                
김수영(金洙暎)

                           ( 1921 ~1968 ) 





         音樂(음악)을 들으면 茶(차)밭의 앞뒤 시간이

         

         가시처럼 생각된다


         나비 날개처럼 된 茶잎은 아침이면


         날개를 펴고 저녁이면 體操(체조)라도 하듯이


         일제히 쉰다    쉬는 데에도 規律(규율)이 있고


         彈力(탄력)이 있다   九月中旬(구월중순) 茶나무는 거의


         내 키만큼 자라나고 노란 꽃도 이제는


         보잘것없이 되었는데도 밭주인은


         아직도 나타나 잘라가지 않는다





         두 뙈기의 茶(차)밭 옆에는 역시 두 뙈기의


         채소밭이 있다    김장무나 배추를 심었을


         因習的(인습적)인 분가루를 칠한 밭 위에


         나는 걸핏하면 개똥을 갖다 파묻는다


         밭주인이 보면 질색을 할 노릇이지만


         이 밭주인은 茶밭 주인의 小作人(소작인)이다


         그러나 우리집 여편네는 이것을 모두


         자기 밭이라고 한다     멀쩡한 거짓말이다


         그러나 이런 거짓말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런 거짓말을 해도 별로


         성과는 없었다    성과가 없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나는 여편네의


         거짓말에 반대하지 않는다





         音樂을 들으면 茶밭의 앞뒤 시간이

         

         가시처럼 생각된다    그리고 그 가시가


         점점 더 똑똑해진다    동산에 걸린


         새달에 비친 나무가지처럼


         世界(세계)를 배경으로 한 나의 思想(사상)처럼


         죄어든 人生(인생)의 輪廓(윤곽)과 秘密(비밀)처럼 ......


         曲은 舞踊曲(무용곡) ㅡ 모든 音樂(음악)은 舞踊曲이다


         오오 廢虛(폐허)의 秩(질서)여  羞恥(수치)의 凱歌(개가)여


         차나무냄새여 어둠이여 少女(소녀)여


         休息(휴식)의 休息이여


         분명해진 그 가시의 意味(의미)여




         모든 曲은 눈물이다    어렸을 때 어머니는


         나의 얼굴의 사마귀를 떼주었다


         입 밑의 사마귀와 눈 밑의 사마귀를 ......


         그런 사마귀가 나의 아들놈의 눈 아래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나도 꼭 빼주어야


         하겠다고 결심한 일이 있었다     그런데


         내 눈 아래에 다시 생긴 사마귀는


         구태여 빼지 않을 작정이었다


         <눈물은 나의 장사이니까> ㅡ  오오 눈물의


         눈물이여   音樂(음악)의 音樂이여


         달아난 音樂이여    반달이여


         내 눈 아래 다시 생긴 사마귀는


        구태여 빼지 않을 작정이다



                                        < 1963.  9.  10 >



                            

                     

                      ******* 김수영( 1921 ~ 1968 )


                    1921. 11. 27.(음 10.28일)  서울 종로구 종로2가 158

                                       에서 출생. 8남매 중 장남.

                    1940,  20세      선린상업학교 졸업

                    1942.  22세      동경상대 전문부 입학

                    1944.  24세      조선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

                                          봄에 가족들이 있는 만주로 감.

                    1945.  25세      광복후 만주에서 서울로 돌아 옴.

                                       연희전문 영문과 4년에 편입 (未卒業).

                    1950.  30세      金顯敬(1927. 6. 14.)과 결혼.

                                       경인란 발발로 8월 북한군 후퇴시

                                       징집되어 북으로 끌려가다.

                                       개천价川 (평남)에서 강제노동하다 탈출.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용.

                                       12월 28일 포로수용소에서 석방.

                                       수용중 미국인 병원장의 통역으로 일함.


                

                              - <김수영 전집 1 詩>에서.....  민음사,  1981. 9월 발간

                        





어두우니골의 아름드리 물푸레나무








지느러미엉컹퀴와 흰점팔랑나비.....Pyrgus maculatus( Bremer et Grey, 1853)


     - 식초(食草) : 양지꽃 ( 추정 )

       출현시기 : 4월 중순 ~ 5월 (춘형) , 7월 중순 ~ 8월 (하형)

                      연 2회 발생.

       변이 : 하형 암수의  내륙지역산은 날개 아랫면의 색상이 

                황색감을 띄는 흑갈색이나,제주산은 흑갈색으로

                확연히 구분된다.

                   하형은 춘형에 비해 크며, 앞날개 윗면의 흰색 점이 작다.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날개 외연이 둥근 모양이나

                복부 끝을 비교하여 보는 것이 정학한 구별법이다.








관중







물푸레나무과의 들메나무 - 꽤 굵다.







고광나무.....







짙은 숲에 가려 삼계절이 어두컴컴한 개인산 어두우니골.....







어두우니골의 돌탑....






태백말발도리 - 말발도리와 닮았으나, 잎 뒷면 잎맥 위에 털이 밀생함.








james_special-18

살둔산장에서 캠핑도 하나보다.....





지을 당시부터 있었던 건너방 앞의 정자형 툇마루.....






   여기서 가족들과 함깨 온 안성진 부부를 만났다.

연로하신 부모님, 누님 2분, 동생과 일가족분들이 이 깊은 산골로 여행을 하시는 것을 보니

참 부럽기도 하고 또 성진이의 깊은 효심을 느껴보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 날인 일요일에 61산악회의 정기등산이 있어서 차를 타고 나가려던 참이여서

여기서 저를 보았다는 말을 산악회 모임에서 하지 말라고 당부하다......


땔감용 참나무






지을 당시 부엌 아궁이가 있던 곳에도 마루를 깔아 거실로 사용중......








노랑붓꽃







지을 당시(1985년)에는 왜식건물이라 욕을 많이 먹었던 살둔산장.....


   이 산장을 지은 후 약 20년에 가까이 국적불명의 왜식건물을 이 깊은 산중에다

지었다고 잡지나 언론에서 자주 비판을 하였다. 기자들이나 서양식 건축을 먼저 배운 

건축가들은 우리 건축의 뿌리를 모르고 있었고, 국내에 백제식 목조건물이 남아있지 않아서 

생긴 일이다.


   모르면 가만히나 있으면 중간이나 가지......


  십수년 전부터 부여에 백제문화단지를 재현하면서 백제의 하앙식 건축을  지을 때

일본에 남아 있는 부여계건물을 많이 참고하였다. 이때부터 살둔산장의 원형이 고구려 

무사들의 북방식 곳간인 부루 또는 부경(扶京)을 일본에 옮겨지은 정창원이라는 것을 

전통건축학계에서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산장 동쪽마당에 있는 사진 좌우의 두 그루의 나무는 함박꽃나무로 약 25년전 당시 관리를 

맡고 있던 한국산악회의 도우석 형이 팔뚝보다 가는 것을 심었었는 데 , 심은지 잠시 만에

많이 굵었다.









살둔산장 - 광복 후에 지은 건물로는 유일하게 한국건축명선 100선에 뽑혔다.


       일층 귀틀집은 일본황실의 어보 보관창고인 정창원(正倉院 - 고구려 무사들의 창고건물)에서,

  이층 다실 침풍루(枕風樓)는 멕시코 아즈텍 문명의 후손인 인디안의 2층 흙벽농가에서

  모티브를 따와서 1984년에 개념설계(Concept Design)를 하고 1985년에 지었다.


    당시 건축주는 백담산장 털보로 알려진 고 윤두선 선생님, 도목수는 월정사를 지은 

  홍씨 형제분, 건축비 지원은 한국화약 김승연 회장의 자당어른......


    모 잡지사에서 <살고 싶은 집 100선>에도 선정되었으나, 그것은 기자의 생각일 뿐......



  







개인약수산장 화단의 꽃 - 매발톱과 붉은 인동




         




개인약수산장









도깨비부채









개인약수산장 너와지붕









고광나무








고광나무.....







어두컴컴한 개인산 어두우니골.......








이른 봄의 진상품이였던 는쟁이냉이......








함박꽃 꽃봉오리







어두우니골에서 들꽃다회를 하였으나 사진은 찍지 않았다......








사진 중간 바위 위의 식물은 돌단풍....








어두운 어두우니골의 계곡물.....








함박꽃 - 산목련, 북한의 국화






단풍나무 고목.....







매발톱과 붉은인동(원예종) - 개인약수산장 화단에서.....













하루 묵었던 개인산장








개인산장 유리창에 날아온 나비  -  높은산세줄나비.... Neptis speyerin Staudinger, 1887

       생 태 / 습기 있는 땅바닥과 새의 배설물에 잘 모여든다.
               암컷은 식수의 잎에 한개씩 산란한다.     애벌레로 월동한다.식수(食樹) : 까치박달(자작나무과)
       출현시기 /  6~7월 (연 1회 발생 )
       변이 / 개체 간에도 날개 윗면의 흰색 띠의 폭과 흰색 점의 크기 차이로 약간의
               변이가 나타난다.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날개의 폭이 넓고 날개의 외연이 둥근 모양이나,
               복부의 끝을 비교하여 보는 것이 확실하다.

                          - <원색 한국나비도감> 에서 발췌  ........  
                                 한국나비학회장 김용식(金容植) 著,   교학사, 2002. 6월 발간.
     
                       








참조팝나무







지느러미엉컹퀴와 흑백알락나비.....Hestina persimilis seoki Shiro'zu, 1955

           생태 /  산지의 잡목림 숲에 서식한다.  수컷은 습기가 있는 땅바닥이나
                    짐승의 배설물에 잘 모여들며, 오후에는 산정상부에서 점유행동을 한다.
                    암컷은 나뭇가지나 잎에 한개 내지 수십개의 알을 산란한다.
                    애벌레로 식수 주변의 낙엽 아랫면에 붙어서 월동한다.

           식수 / 팽나무 , 풍게나무 (느릅나무과 )
           출현시기 / 5~6월 (춘형), 7월 하순~ 8월 (하형) , 연 2~3회 발생.
           변이 / 춘형은 하형에 비해 날개 윗면의 색상이 엷으며, 시맥(翅脈)에
                    검은색 선이 나타난다.하형은 날개가 검은색이며,흰색 무늬가 나타난다.
                    춘형은 앞날개와 뒷날개 윗면에 나타나는 옅은 검은색 인분(鱗粉)의
                    발달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가 나타난다.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의 폭이 넓고 날개 외연이 둥근 모양이다.







토끼풀에 큰주홍부전나비 수컷...Lycaena dispar aurata (Leech , 1887 ) 

                   :주홍부전나비과


          생 태  /  초원성으로 전답 주변이나 강가의 초지에 서식한다.

                    민첩하게 짧은 거리를 날아다니며 개망초, 여뀌, 민들레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잎 등에 여려개의 알을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초의 잎 아랫면에 구멍을 내어

                    잎살을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식초(食草)  /  소리쟁이, 참소리쟁이( 마디풀과 )

          출현시기  /     5~10월 , 연 3회 발생.

          변 이 /  암컷 간에는 앞날개 윗면의 아외연부에 배열된 검은색 점의 

                    크기 차이와 주황색 부위의 흑화된 정도의 변이가 나타난다.


          암수 구별  /   수컷은 날개 윗면이 주황색이나 암컷은 뒷날개 윗면이 

                    대부분 흑갈색이며, 아외연부에 주황색 테가 있다.

          







엉컹퀴







해당화 - 삼봉약수터 가는 마지막 주유소 화단에서



















개인산 어두우니골 입구에 있는 어떤 분의 별서....








삼봉자연휴양림 안내판 - 해거름의 산책.....







세 약수의 물맛이 서로 다른 삼봉약수 
     - 삼봉 (三峰) : 가칠봉(枷七峰: 경사가 급하여 까칠한 봉우리 , 1,240m), 
                          사삼봉(私蔘峰, 1,322m), 응복산(鷹伏山, 1,177m)

                       사삼봉 : 왕조시대에는 국유림에서 생산되는 산삼은 국유로 심메마니들이 
                                 캐면 관아에 바쳐 포상금을 받고 진상품 등으로 활용되었으나,
                                 사삼봉 일대에서 캔 산삼은 예외적으로 심메마니들의 개인 
                                 사용(私用)으로 허용하였다.






개양귀비






내일이 지자체단체장 선거일이다. 밤12시 쯤이면 당선 결과가 나올 것이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 기도해 본다.....












다음날 아침에 양양 낙산사 해돋이 구경갈 때는 사진기를 가지고 가지 않았다.
돌아오는 길에 북한강변 문호리 모 카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