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연종집요(蓮宗輯要)』 목차
2014. 7. 14. 12:18ㆍ경전 이야기
홍인표 저 / 경서원에서 1983년『정토로 가는 길-蓮宗輯要-』
머리말
제 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1.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極樂世界)
2. 극락세계의 유래(由來)
3. 극락세계의 위치(位置)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1) 극락세계는 오욕(五欲)등이 없으므로 욕계(欲界)가 아닌 비욕계(非欲界)이다
(2) 극락세계는 땅에 의거(依居)하므로 색계가 아닌 비색계(非色界)다
(3) 극락세계는 형상(形象)이 있으므로 무색계(無色界)가 아니다
5. 극락세계의 별명(別名)
6. 극락세계의 장엄(莊嚴) (1), (2)
7. 극락세계 장엄(莊嚴)의 종류(種類)와 명칭(名稱)
8. 태궁(胎宮)
제 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1. 삼성(三聖)의 인행(因行)
2. 삼성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과의 인행관계(因行關係)
3. 아미타불(阿彌陀佛)
(1) 아미타불의 인행시의 사적(事蹟)
(2) 아미타불과 석가모니불과의 인행관계(因行關界)
(3) 아미타불 성불의 내력(來歷)
(4) 아미타불과 석가모니불의 국토(國土)
(5) 석가모니불의 홍은(鴻恩)
(6) 현교(顯敎)와 밀교(密敎)와의 구별(區別)
(7) 밀교(密敎)에서 말하는 아미타불의 명칭(名稱)
(8) 아미타불의 상형(像形)과 인상(印相)
(9)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의 해석(解釋) 1, 2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1) 관세음보살의 명칭과 의의(意義)
(2) 천관(天冠)중의 화불(化佛)
(3) 관세음보살의 인지(因地)
(4) 관세음보살의 사호(賜號)와 성불(成佛)의 수기(授記)
(5) 관세음보살의 각종형상(各種形象)과 변화분신(變化分身)
(6) 관세음보살의 정토(淨土)
5.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1) 대세지보살의 명칭과 의의(意義)
(2) 육계상(肉髻上)의 보병(寶甁)
(3) 대세지보살의 인지(因地)
(4) 대세지보살의 사호(賜號)와 성불(成佛)의 수기(授記)
제 3장 왕생(往生)의 예(例)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2. 왕생을 내보(來報)한 실예(實例)
3. 극락에 왕생하였다가 다시 와서 중생을 제도(濟度)한 실예(實例)
4. 극락삼성(極樂三聖)이 극락 왕생을 예보(豫報)
5 .극락삼성(極樂三聖)이 대중(大衆)을 내영(來迎)
제 4장 사바(裟婆)와 극락(極樂)과의 비교(比較)
1. 삼계(三界)와 극락의 비교
2. 육도(六道)와 극락의 비교
3. 도솔천(兜率天)과 극락의 비교
4. 인계(人界)와 극락의 비교
5. 시방제불(十方諸佛)보살과 종사(宗師)들의 찬양(讚揚)
제 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2. 염불(念佛)의 종류(種類)
3. 염불수행(念佛修行)의 요건(要件)
4. 정행염불(正行念佛)
(1) 정행염불의 가지가지
(2) 염송(念誦)할 때의 주의할 일
(3) 염불의 사구(四句)의 구별(區別)
(4) 염불삼매(念佛三昧)
(5) 선지식(善知識)에게 배워야 한다
(6) 일념(一念)이 다념(多念)과 같다는 설(設)
(7) 십념왕생(十念往生)의 의의(意義)
(8) 십념왕생(十念往生)과 주의할 일
(9) 염불하는 기간(期間)의 장단(長短)의 의의(意義)
(10) 일일 칠일 일심불란(一心不亂)의 의의(意義)
(11) 관상염불(觀想念佛)하는 법(法)
5. 조행염불(助行念佛)
(1) 몸과 마음을 청정(淸淨)히 할 것
(2) 예배(禮拜)
(3) 공양(供養)
(4) 경문(經文)과 주문(呪文)
(5) 참회(懺悔)
(6) 애련탐착(愛戀貪着)을 끊을 것
(7) 청정심(淸淨心)을 발할 것
(8) 선사(善事)를 행할 것
(9) 세간효(世間孝)와 출세간효(出世間孝)
(10) 이종회향(二種廻向)
(11) 염불인(念佛人)의 신광(身光)
제 6장 연종(蓮宗)의 원섭(圓攝)과 염불공덕(念佛功德)
1. 연종일문(蓮宗一門)이 일체법문(一切法門)을 원섭(圓攝)
2. 염불공덕(念佛功德)
제 7장 제사(諸師)의 법어(法語)와 연종(蓮宗)과 선종(禪宗)
1. 제사(諸師)의 법어(法語)
(1) 선도대사(善導大師)의 말
(2) 영명대사(永明大師)의 말
(3) 연지대사(蓮池大師)의 말
(4) 우익대사(藕益大師)의 말
(5) 육조대사(六朝大師)의 말
2. 연종(蓮宗)과 선종(禪宗)
(1) 영명대사(永明大師)
(2) 혜원조사(慧遠祖師)
(3) 감산대사(憨山大師)
(4) 왕룡서거사(王龍舒居士)
(5) 철오대사(徹梧大師)
(6) 인광대사(印光大師)
제 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1. 왕룡서거사(王龍舒 居士)의 설(設)
2. 성암대사(省庵大師)의 설(設)
3.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4. 극락정토 권(權) 실(實)의 변(辯)
제 9장 운명(殞命)의 전후(前後)
1. 사대(四大)가 이산(離散)
2. 신식(神識)이 시체(屍體)에서 떠나가는 방법
3.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중유(中有)
4. 중유(中有)의 작용(作用)
5. 중유(中有)의 생연(生緣)을 얻는 기한(期限)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1. 서방삼성(西方三聖)의 상(像)을 모실 것
2. 운명(殞命)하는 사람은 일심(一心)으로 염불할 것
3. 다른 이는 염불을 권하며 조념(助念)할 것
4. 운명할 때의 좌와(坐臥)는 자유로 하게 할 것
5. 가족의 주의 할 일
6. 법사(法師)는 도행(道行)이 구족(具足)한 이를 청할 것
7. 제사(祭祀)에 살생(殺生)하지 말 것
8. 왕생의 징조(徵兆)와 서응(瑞應)에 구애되지 말 것
제11장 구품왕생(九品往生)과 변의(辨疑) 1, 2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例)
1. 우리나라 사람
(1) 광덕(光德)과 엄장(嚴莊)
(2) 욱면(郁面)
(3) 염불사(念佛師), (4) 포천산의 다섯 비구, (5) 발징화상(發徵和尙
2. 중국사람
(1) 혜원대사(慧遠大師-蓮宗 初祖)
(2) 선도대사(善導大師-蓮宗 弟二祖)
(3) 영명지각 연수대사(永明知覺 延壽大師-蓮宗 弟六祖)
(4) 운서연지 주굉대사(雲棲蓮池袾宏大師 蓮宗 第八祖)
(5) 승 예(僧叡), (6) 유정지(劉程之)
(7) 문언박(文彦博)
(8) 왕일휴(王日休), (9) 서 뢰(徐雷)
(10) 정진니(淨眞尼), (11) 과인니(果仁尼)
(12) 독고황후(獨孤皇后), (13) 왕 씨(王氏)
(14) 염불파(念佛婆), (15) 장선화(張善和)
제13장 연종(蓮宗) 사성예문(四聖禮文)
출처 : 미주현대불교
글쓴이 : 염화미소 원글보기
메모 :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연종법요(蓮宗集要)』 연종이란, 정토종의 경전 (0) | 2014.07.14 |
---|---|
[스크랩] 『연종집요(蓮宗輯要)』 머리말 (0) | 2014.07.14 |
가르멜산 성모님 갈색스카풀라 (0) | 2014.07.14 |
갈색 스카풀라 750주년 - 치지크 신부님 (0) | 2014.07.14 |
묵주기도(로사리오 기도) 180 - 성 도미니꼬 (0) | 201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