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부호왕비 갑골문- 漢字의 발생과 형성(2)

2016. 1. 23. 21:00글씨쓰기



       은 부호왕비 갑골문- 漢字의 발생과 형성(2) view 발행 | 서예 

            

도원장 2011.12.31 09:21





 

 

   갑골문을 이야기하면서 중국 고대 상商나라와 은殷나라가 같은 나라이었는데도 혼동하여 사용되고 있으므로 저는 편의상 문헌에 많이 등장하는 은나라를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은나라 제 22대 무정왕(재위 기원 전 1250~1192)은 59년 간의 치세를 통하여 은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주변국들을 정복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최고의 전성기를 이룩했는데, 여기에는 유능한 재상 부열과 왕후였던 부호왕비의 공로가 크게 공헌했습니다.

 

   부호婦好는 무정왕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왕비이자 여자 대장군이었으며, 왕을 대신하여 신에게 올리는 제사를 주재하는 권위자였습니다.

불과 33살의 짧은 생을 살다 간 그녀였지만 무정왕은 젊은 왕비의 죽음을 슬퍼하여 그녀가 생전에 사용했던 1,000여점의 청동기와 옥기를 무덤에 함께 넣어 주었습니다.

 

   1976년 은허 소둔촌 부근에서 발굴된 지하 9층의 부호묘에서는 1,000여점의 청동기, 옥기 외에도 2,000여점의 골기와 석기, 6,700여점의 당시 화폐와 1만여편의 갑골이 전혀 도굴되지 않은 채 고스란히 발굴되어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지금으로 부터 3.300여년 전에 기록 된 부호왕비에 관한 이 갑골문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을까요.

 

<부호왕비 갑골문 작품>

 




 








http://blog.daum.net/imrdowon/8468197  

- 다음 블로그 <무릉도원> 도원장 님의 글 중에서 전재 ......   






卜辞中所见妇好事迹述略


   目前关于妇好的介绍文章很多,特别是网络上,笔者用“百度”搜一搜就看到了37400条关于妇好的搜索结果,但是对于她的介绍基本都是很简略地说说,没有有针对性地来全面地介绍她。这里举两个例子:
1、妇好商朝国王武丁的王妃,是位杰出的女政治家与军事家。由于妇好有很好的文化修养,商王武丁经常令她主持当时非常重要的祭祀与朗读祭文。她也被任命为卜官,成为武丁时期的一位女政治家。
妇好也是位军事家。她多次带兵出征。立下赫赫战功。妇好死后,武丁十分悲痛。妇好有独葬的巨大墓穴,而且有拜祭的隆礼。这在商朝时期是非常少见的〔1〕。
这种介绍是十分简略的,只能知道个大概,下面一种介绍就比较全面一点:
2、妇好是商王武丁60多位妻子中的一位,且为三个法定配偶之一。名好,“妇”为亲属称谓。铜器铭文中又称“后母辛”是因为她的庙号称辛,即乙辛周祭卜辞中所称的妣辛。祖庚祖甲的母辈“母辛”也就是她,生活于前12世纪前半叶武丁重整商王朝时期,是我国最早的女政治家和军事家。
甲骨文中知道,她曾主持过一些重要的祭祀活动,并多次率兵征伐土方、羌方、人方、巴方等国。
在一次征伐羌方的战争中,她统领了一万三千人的庞大队伍,是迄今所见商代对外征伐中用兵最多的一次。她死于武丁晚年。
著名将领沚、侯告等常在其麾下。在对巴方作战中,妇好率领沚布阵设伏,断巴方军退路,待武丁自东面击溃巴方军,将其驱入伏地,予以歼灭,是为中国战争史上记载最早的伏击战。
在“国之大事,在祀与戎”(《左传·成公十三年》)的商代,妇好还经常受命主持祭天、祭先祖、祭神泉等各类祭典,又任占卜之官,为武丁统治集团的重要成员。还曾率兵镇压奴隶反抗斗争,深受武丁宠幸,被封于外地,担负守土、从征的重任。
1976年在河南安阳小屯西北发现其完整墓葬 。
妇好墓位于丙组基址西南,是1928年以来殷墟宫殿宗庙区最重要的考古发现之一,也是殷墟科学发掘以来发现的、唯一保存完整的商代王室成员墓葬,该墓南北长5.6米,东西宽4米,深7.5米。墓上建有被甲骨卜辞称为“母辛宗”的享堂〔2〕。
上面的这种介绍算是比较全面的,但是仍然比较简略了。

实际上,我们知道妇好、了解妇好,主要还是依靠卜辞,另外的实物证据就是殷墟妇好墓出土的殉葬品。那么卜辞中记载的妇好是什么样子呢?如果您有耐心就看看这篇拙作《妇好记》。

一、出身
先要说明的是妇好的“好”字,卜辞的写法或者是左子右女,妇好墓出土的器物上(比如那件编号为827的觚)还有种很复杂的写法是中间一个“子”,左右各有一个“每(母)”,应该是“好”的繁构。这个字现在读hao,在甲骨文中应该是个从女子声的形声字,读如“子”,因为“妇好”在卜辞中也写作“帚(妇)子”(见《合集》2860),张政烺先生说:“帚子即帚好,故知好当读子。”(《张政烺文史论集》,北京:中华书局2004年,第648页))可以知道在卜辞中“好”的读音和“子”是一样的。
根据目前甲骨学界的认识,商王诸妇的妇名都是来自于她们的方国部族或者是城邑,就是他们的妇名是在他们的方国部族或城邑的名字上加个“女”旁,因此有人认为妇好是来自于子方,比如曹定云先生就写过一篇文章《妇好是子方之女》〔3〕专门论述这个问题,信而有徵。
卜辞中的确是有个“子方”,如:
□□贞:〔王〕令蟌〔以〕子方奠于并,甾王事。《合集》5622
辛丑贞:王令蟌以子方奠于并。《合集》32107

   第一条是武丁时期的卜辞,蟌是武丁的小藉臣(主管农业的大臣),子方是方国名,并是子方的地名,但是地望都不能确定在哪里;第二条是武乙文丁时期的卜辞,这个蟌不知道是不是还是武丁时期的小藉臣,也可能是小藉臣蟌的后人。这两条卜辞说的都是商王命令蟌到子方的并地去举行奠祭,可见这个子方是大商的友好方国,从武丁时期到武乙、文丁时期和大商一直很友善,那么妇好来自于子方也是很有可能的。

   曾经在网上看过一篇点击率很高的小说,写武丁妇好的故事,那里面把妇好写成一个啬女,就是农夫的女儿,然后做了大商王后,很曲折。写小说为了生动曲折好看,当然是可以这么来写,如果要从历史上来看,在当时的殷商时代就没有这种可能了。王迎先生经过对卜辞和殷墟的墓葬研究后认为:“成为王的法定配偶,首先要来自高等贵族之家。其子的地位与前途是由母亲的族系和地位所决定。出自低等妃嫔或宫女的王子是不能继承王位的。据《史记·殷本记》,帝乙长子微子启的母亲出身低微,因此启不能继位,正后所出的幼子遂立为王。这一记载告诉我们,母亲的家系决定了孩子的前途,而非母由子贵。因此,武丁三后的法定身份不可能是由其子所决定的。相反,是王后的身份决定了其子继位的可能性。如果帝乙的例子在武丁时也成立,那么武丁的三位王后应不是同时,而是有先后顺序的。”〔4〕

   笔者个人的看法是,在殷商时代,母与子的地位是相互影响的:只有出身高贵的母亲才能做商王的正妻,也就是王后,只有王后生的儿子才有继承王位的资格;也只有儿子被立为太子或者继承的王位,这位王后死后才能被列入周祭,和丈夫配享。我们看看,武丁共有三个配享的配偶,即司母戊妇妌(妣戊)、司母辛妇好妣辛)和一个不知道妇名的妣癸,正好武丁也有三个儿子身份不同寻常,一个是在卜辞中被称为“大子”(即太子)或“小王”的子弓,他应该就是做了太子但没有即位的祖己,后世典籍里称之为“孝己”,一个是后来即位的祖庚曜,还有一个是祖甲载。这三个人很可能分别是妇妌、妇好和妣癸所生,所以三个人都入了周祭。同样,商王祖丁新有四个儿子先后为王,即阳甲和、盘庚旬、小辛颂和小乙敛(即武丁的父亲),而和祖丁配享的王后有妣己和妣癸两位,大概四兄弟是这两位王后所生,所以也被列入周祭。

   这样看来,妇好作为武丁的王后,她至少是一位太子的母亲,地位显赫,而且是列入周祭和武丁配享的法定配偶,绝对不可能是个身份低贱的人,她应该是子方的王公之女,而子方也是在大商诸方国中占有很重要地位的诸侯。
妇好武丁时期的卜辞中称之为“好”、“妇好”和“后妇好”,在祖庚祖甲时期的卜辞中称之为“母辛”(《合集》22971),在妇好墓出土的器物上也称“后母辛”,即“司母辛”,比如司母辛鼎;从廪辛、康丁开始就称她为“妣辛”了。

   因为妇好墓中出土了16件带有“司巧母”或“司巧母癸”的铜器(“巧”的写法是“去掉下面的“”加个“”,甲骨文中也有此字),李学勤先生研究认为“巧”是妇好在娘家时的私名〔5〕。但是根据卜辞来看,妇好的确被称为“妇好母”(《合集》19998),但是和“巧母”还是不同的。“某母”和“母某”是有很大区别,“母某”可能和妇某相似,而“某母”则是某人的配偶,如“王亥母”、“雀母”等,这个“巧母”可能是“巧”这个人配偶,而不是妇好,而且她的庙号是“”,而妇好的庙号是“”,可见二者不能当成一个人,也有学者认为这个“司巧母癸”是武丁的另一个配偶妣癸,目前这个官司打不清楚,这里顺便一提,有兴趣的朋友可以去研究,说不定能揭开一个大秘密,因为至今我们不知道妣癸的妇名是什么。
那么,卜辞中都记载了妇好的哪些事情呢?



二、祭祀
首先是祭祀。“国之大事,在祀与戎”,“祀”是放在第一位的,商代人也是最重视祭祀。卜辞记载妇好参加的祭祀活动甚多,如:
乙卯卜,宾贞:乎(呼)妇好ㄓ(侑)服(俘)于妣癸。《遗》620
丁巳卜,槱,妇好御于父乙。《合集》712
贞:妇好有匚(报)于四妣,槱。《合集》2607
呼妇好有勺(礿)于父〔乙〕。《合集》2609
贞:勿乎妇好往燎。《合集》2641
甲戌卜,贞:妇好不往于妣庚。《合集》2643
贞:妇好ㄓ(侑)。《合集》2608正
贞:妇好弗其宾婼?《合集》2644

   上面引的只是一部分,都是武丁时期的卜辞,涉及到的祭名就有ㄓ(侑)、匚(报)、槱、御、勺(礿)、燎、往、宾等,都是一些不同的祭祀方法,“服(俘)”是人牲,就是用战俘做祭品。祭祀的对象有妣癸、妣庚、四妣、父乙等。在武丁之前,中丁和祖丁的配偶都有妣癸,示壬、祖辛、小乙的配偶都有妣庚;父乙就是武丁的父亲小乙《竹书纪年》说他名“”。这些都是很重要的祭祀活动,让妇好主持,可见妇好的身份很高。


三、征伐
   其次就是战争,网上的许多文章里都说妇好是第一位有文献记载的女将军,这是有道理的,因为卜辞中记载的武丁的诸妇中从事征伐的只有两位,一位是妇好,另一位是妇妌(即司母戊),妇好出现在武丁时期的宾组一类A卜辞,妇妌出现在宾组一类B卜辞,妇妌比妇好的时间稍晚一点。同时,妇妌征伐的方国只有一个,就是龙方,而妇好征伐的方国据王宇信先生统计,共有五个:

土方、下厃、印方(或作巴方)、夷方和龙方。如:
辛巳卜,争贞:今者王共人呼妇好伐土方。《合集》6412
辛未卜,争贞:妇好其比沚瞂伐印方,王自东亳(薄)伐捍,陷于妇好立(位)。《合集》6480
贞:王令妇好比侯告伐尸方。《合集》6480
辛子卜,□贞:登妇好三千,登旅万,呼伐□。《英》150正

   第一条是武丁召集人马命令妇好率领去伐土方,土方是殷商西北主要的敌国,据胡厚宣先生研究就是夏方〔6〕,是夏王朝的后裔,最后这个方国在武丁时期被征服。
印方有人释为巴方,认为就是巴蜀的巴,其实这个字象人手爪向下按抑之形,当是“”字,也就是“”的初文,并不是“”,其具体地点待考。那条伐印方的卜辞记载了武丁亲自出征,让妇好和沚瞂配合征伐印方,自己从东面靠近敌人进攻,驱使敌人陷入妇好埋伏的位置。
尸方就是人方,也就是后来所说的东夷,在殷商时代没有“东夷”这个词汇,只有“人方”或“尸方”,就是周代所说的东夷,周金文中写作“东尸”,“”就是“”,亦即卜辞中的“尸方”。这个尸方不是一个方国,而是由许多本来臣属于夏王朝的东夷方国组成的方国联盟,方国部族众多,土地广阔,物产丰饶,势力十分强大。征伐尸方是殷商时代向东南拓展疆土和势力的重大战争,武丁时期已经开始征伐人方,主要是武丁自己亲自去征伐,跟从的主要将领就是妇好和侯告。不过征服尸方最终是由帝辛商王纣)完成的。
最后一条卜辞是一些文章里经常引用的,说是妇好曾经率领一万三千人的庞大军队征伐敌国。的确,这是卜辞中记录大商征伐敌国出兵最多的一次,不过在这里的“妇好”不是妇好本人,而是指妇好的封邑,“登妇好三千”就是从妇好的领地征集了三千人,“”是从众族氏中抽调出来的人临时组成的军队,有点象后来的民兵,“登旅万”就是征集了一万名民兵,去征伐的那个方国残缺掉了,根据同版有卜伐)方的卜辞,有人认为就是去征伐苟(狗)方。但是这条卜辞不能证明说是由妇好率领的,只是从她的领地征发了兵员而已。
卜辞记载妇好亲自去征发军队,就是“登人”,卜辞记载妇好只到厐这个地方去“登人”:

甲申卜,壳贞:呼妇好先登人于厐?《合集》7283
乙酉卜,壳贞:勿呼妇好先登人于厐?《合集》7284
丙戌卜,壳贞:勿乎妇好先登人于厐?《合集》7287

   “”是领先、先行的意思,“登人”就是召集人,是地名,这是要打仗了,让卜官壳贞问是不是让妇好先行到厐地去召集人马。
妇好是武丁诸妇中战功最为卓著的一位,妇好墓出土了2件青铜钺。其中一件大钺长39.5厘米,刃宽37.5厘米,重达9千克。钺上饰双虎扑噬人头纹,还有妇好”二字铭文。有文章根据此说妇好手持两柄大钺冲锋陷阵,并由此推断“妇好臂力惊人”,那是不了解历史造成的误解,那种巨型兵器双手持握尚可,一手一个就难以运用。其实这种作为权力象征的仪仗用器和军队使用的大旗一样,都是必须有专门一个人(贵族)持握,站在战车上,诗·长发》说:武王(汤)载旆,有虔秉钺。如火烈烈,则莫我敢曷。”这是说商汤(武王),汤自己在战车上执着大旗,臣子有虔执着大钺,以示受天命而征伐。《史记·周本纪》(周)武王左杖黄钺,右秉白旄以麾”,黄钺、白旄都是象征权力和威仪的用器,用来指挥三军(以麾),而不是拿着这两样东西去冲锋陷阵。黄钺就是青铜钺,因为青铜器刚刚铸造出来的时候是黄色的,古代又叫做“黄金”,放置时间长了才生锈变成青黑色。所以该钺并非实战兵器,而是妇好统帅权威象征物的仪仗用器,可见妇好掌握着征伐之权,这在当时应该是件很了不起的事情。





tieba.baidu.com/p/3149... 

 - 百度快照 - 78%好评






甲骨文中的历史记载

分享| 2013-05-17 18:08 匿名 | 浏览 406 次
主要问史书里没有记载的历史事件、人物和大致时间,需要考古的证据支持,谢谢。


2013-05-17 20:53 网友采纳
热心网友

妇好是商王武丁60多位妻子中的一位,即祖庚、祖甲的母死后庙号“辛”,生活于公元前12世纪的前半叶武丁重整商王朝时期, 是我国最早的女政治家和军事家。
  中国历史上第一位有据可查的女英雄。
  从其墓中挖掘推断她的名字应该是叫“”,“”则是一种亲属称谓,就好比我们今天叫某人“大姐头”一样。而她的另一个称号 是“”。
  商朝的武功以商高宗武丁时代最盛。武丁通过一连串战争将商朝的版图扩大了数倍。而为武丁带兵东征西讨的大将就是他的 王后妇好。甲骨文记载,有一年夏天,北方边境发生战争,双方相持不下,妇好自告奋勇,要求率兵前往,武丁犹豫不决,占卜后 才决定派妇好起兵,结果大胜。此后,武丁让她担任统帅,从此,她东征西讨,打败了周围二十多个方国(独立的小国)。那时 作战,出动的人数都不多,一般也就上千人,和大规模械斗差不多。但是根据记载妇好攻打羌方的时候一次带兵就有一万三千多 人。也就是说差不多全国一半以上的军队都交给她了。
  妇好不但能带兵打仗,而且还是国家的主要祭司,经常受命主持祭天、祭先祖、祭神泉等各类祭典,又任占卜之官。商朝是个 迷信鬼神的国家,所谓“国之大事,在祀与戎”。妇好又会打仗,又掌握了祭祀与占卜的权力,可能连武丁都要怕她三分。
  商高宗武丁前后立过三个王后,妇好是他的原配。不过武丁有六十多个妻子,妇好只是其中之一。值得注意的是妇好并不和 武丁住在一起,而是经常待在自己的封地里。这种现象在后来的中国历史上再也没有出现过。不过在当时这似乎是个普遍的现象。 武丁手下的老婆兼女将除了妇好至少还有好几个,有名字记载的还有一位妇邢(的名字是左井右阝,这个字在字库里找不到, 但通邢,所以用邢代替了。)地位仅次于妇好,也曾多次率师远征,同时为武丁管理农业和内政。她被封在井方,也就是今天的 河北邢台。
  在古时商朝都城之一现在的河南安阳掘出的妇好墓,有关于妇好的生卒年代和死因各种资料中都语焉不详。有一种资料说妇好 死于公元前1248年,但是死因不明。因为那时作战和大规模械斗差不多,妇好虽然贵为主将恐怕也要上阵作战。在作战中阵亡, 或负伤后回到安阳创发而死也未可知。妇好墓出土的数件武器中有一把龙纹大铜钺和一把虎纹铜钺。因为上面刻有“妇好”字样, 所以断定是其生前曾使用过的武器。这两件武器一件重8.5公斤,另一件重9公斤。妇好使用如此重的兵器,可见其武艺超群, 力大过人。而在妇好之后的中国女将,就再也没有使用大斧的了。(甚至还曾有学者考证古希腊的神话中的阿玛宗女战士的标准 武器因为也是大斧,所以阿玛宗女战士的传说其实源自亚洲的女战士部落,说不定这些女战士与商朝人的后裔有关
  商朝把祭祀和军事,视为国家的两件大事,所谓“国之大事,在祀与戎,”由于妇好有较高的文化修养,商王武丁经常令她主持 祭祀,育读祭文,并被任命为卜官,刻写卜辞,在保存下来的甲骨文中,有些是出于妇好的手刻,她通过主持祭祀,而参与朝中的 政治活动,成为武丁埋藏的一位女政治家。
  妇好还是一位军事家,她多次带兵出征,立下赫赫战功,卜辞有“登妇好三千,登旅万乎伐羌”的记载,意思是说,商王武丁 征发妇好所属三千军队和其他士兵一万人,前往征伐羌国,在出土文物中发现有两把“妇好”的铜钺,每把重达八、九公斤,这在 商朝是王权和军权的象征,有一次,武丁亲征巴方,令妇好设伏兵,巴军中伏,为妇好所歼灭,据殷墟出土的甲骨文卜辞记载, 妇好曾多次主持各种类型和名目的祭祀活动,利用神权为商王朝统治服务。此外,妇好还多次受武丁派遣带兵打仗,北讨, 东南攻伐夷国,西南打败巴军,为商王朝拓展疆土立下汗马功劳。武丁对她十分宠爱,授予她独立的封邑,并经常向鬼神祈祷她 健康长寿。然而,妇好还是先于武丁辞世。武丁十分痛心,把她葬在今河南安阳小屯村西北约100米处。墓葬被发掘,保存完好。 除发掘出大量青铜器外,其中所出玉器共755件,是商代玉器出土最多、最集中的墓,另有63件石器、47件宝石器及象牙雕刻等物。
  妇好死后,武丁十分悲痛,每有军事行动,常通过祭祀祈祷妇好在天之灵助战,这也反映出妇好生前的名字,确足以威慑敌人, 妇好死后,有独葬的巨大墓穴,而且享受独祭的隆礼,这在商朝也是少见的。
  一九七六年在河南安阳殷墟发现的“妇好”墓,使这位湮灭三千多年的妇政治家和军事家的事迹,重见天日,考古学家和历史学 家,认为应该给予这位古代的杰出妇女以应有的历史地位。
  公元前十二世纪时,正是中国殷商之期。由于频繁的战乱,商王朝留给今人的痕迹已经非常稀少,但是就在这些为数不多的 遗物中,却有相当一部分属于一位特殊的女人。
  武丁见于史料的“诸妇”多达六十多位,其中只有三人拥有王后的地位,妇好则是第一位。而且也是伟大的商朝中兴之王武丁 一生中唯一真正爱过的女人。
  在现存于世的甲骨文献中,“妇好”的名字频频出现,仅在安阳殷墟YH127甲骨穴中出土的一万余片甲骨中,她就出现过两百 多次!而且武丁在这些占卜中向上天祈告的内容,包括妇好的各个生活侧面:征战、生育、疾病,甚至包括她去世后的状况如何。 足见武丁对妇好用心之深。
  妇好并不姓妇,她的父姓是一个亚形中画兕形的标志,当她嫁给武丁成为王妻之后,武丁给了她相当丰厚的封土和士民, 在她的封地上,她得到了“”的氏名,尊称为“妇好”,或者“后妇好”。
  妇好的谥号为“辛”,商王朝的后人们尊称她为“母辛”、“后母辛”。

评论 | 4 3


为您推荐:


 

其他1条回答

2013-05-17 20:54 热心网友
    羌族是我国具有悠久历史的民族之一,早在3000多年前殷代的甲骨文中就有关于羌人的记载,他们主要活动在我国的西北部和中原地区。唐时,一部分羌人同化于藏族,一部分同化于汉族,今天四川西北部的羌族人是古代羌人中保留下来的一支。羌族人自称“尔玛”或“尔咩”,意思是“本地人”。羌族人主要从事农业生产,以玉米、大豆为主。羌族人生活的地区峰峦重叠、河川纵横是大熊猫和金丝猴的主要产地。新中国成立后,经过民主改革、社会主义改造和改革开放的洗礼,古老的民族焕发了青春,羌族人民的农业生产和其他各行各业都取得了很大的发展,特别是水利水电的发展最为突出,他们生活的山区小型水电站可说是星罗棋布。

宗教信仰:

   过去羌族人普遍信仰万物有灵的原始宗教,少数与藏族人居住在一起的羌族人信仰喇嘛教

生活习俗:
 
   羌族建筑以碉楼、石砌房、索桥、栈道和水利筑堰等最著名。羌语称碉楼为“邛笼”。早在2 0 0 0 年前《后汉书·西南夷传》就有:冉(左马右龙)人“依山居止,垒石为屋,高者至十余丈”的记载。碉楼多建于村寨住房旁,高度在1 0 至3 0米之间,用以御敌和贮存粮食柴草。碉楼有四角、六角、八角几种形式。有的高达十三四层。建筑材料是石片和黄泥土。墙基深1 . 3 5米,以石片砌成。石墙内侧与地面垂直,外侧由下而上向内稍倾斜。修建时不绘图、吊线、柱架支撑,全凭高超的技艺与经验。建筑稳固牢靠,经久不衰。1 98 8 年在四川省北川县羌族乡水安村发现的一处明代古城堡遗址“永平堡”,历经数百年风雨沧桑仍保存完好。

   羌族民居为石片砌成的平顶庄房,呈方形,多数为3 层,每层高3米余。房顶平台的最下面是木板或石板,伸出墙外成屋檐。木板或石板上密覆树丫或竹枝,再压盖黄土和鸡粪夯实,厚约0 . 3 5米,有涧槽引水,不漏雨雪,冬暖夏凉。房顶平台是脱粒、晒粮、做线活及孩子老人游戏休歇的场地。有些楼间修有过街楼(骑楼),以便往来。

   羌族地区山高水险,为便利交通,1 4 0 0 多年前羌民就创造了索桥(绳桥)。两岸建石砌的洞门,门内立石础或大木柱,础与柱上栓胳膊般粗的竹绳,少则数根,多则数1 0 根。竹索上铺木板,两旁设高出桥面1 米多的竹索扶手。

   栈道有木栈与石栈两种。木栈建于密林,铺木为路,杂以土石;石栈施于绝壁悬崖,缘岩凿孔,插木为桥。

羌族民间石匠农闲时常外出做工。举世闻名的四川灌县都江堰工程,至今已有2 0 0 0 多年的历史,仍在造福利民,其中就凝聚有古代羌人的血汗和智慧。



甲骨文的相关知识




zhidao.baidu.com/link?... 

 - 百度快照 - 80%好评






青岛市博物馆珍藏的甲骨文记载了商王武丁为妻子占卜的事


来源:城市信报

   1976年妇好墓河南殷墟被发现,使这位湮没了三千多年的女政治家、军事家的事迹重现于世,考古学家、历史学家认为理应赋予这位古代杰出妇女应有的地位。青岛市博物馆珍藏的这片甲骨呈不规则三角形,长12、宽8厘米,淡黄色,表面光润。正反两面刻字,正面为:“丁酉卜,寳,贞妇好,有受生”。反面刻有:“王占曰,其有受生”。这件“妇好”占卜甲骨,是1950年由市图书馆移交而来。1965年中国考古研究专家胡厚宣先生专程来青岛鉴定,认为此片甲骨非常珍贵,是补证商代历史极为珍贵的实物资料,具有很高历史研究价值,并建议定为特级


原标题青岛市博物馆珍藏的甲骨文记载了商王武丁为妻子占卜的事

   山海交融 ,人文荟萃,形成了青岛独特的地域精神和深厚的文化积淀 。东西方文化在这里碰撞 、融通,形成了这座城市中西合璧、多元并存的文化格调。每一座城市都有属于自己的博物馆,陈列、记录着这里的变幻沧桑,今天的《发现青岛》就让我们走进青岛市博物馆,发掘馆藏的文物中承载着的历史记忆。


商代第一女将的“占卜甲骨”

   甲骨文是我国目前发现的最早的文字,可追溯至距今3000多年的殷商时期。这种古老的文字,是由金石学家王懿荣(光绪六年进士)等人于1899年偶然在中药材中见到刻字的“ 龙骨(龟甲)”而始。青岛市博物馆馆藏的一件甲骨文精品,长12厘米、宽8厘米,这是一件用来占卜的甲骨文,最特别的是它占卜的主人公正是商朝第一女将,商王武丁的妻子妇好

   “甲骨文上的释义大意是在丁酉这个时间进行占卜,问妇好这个人能不能生育?占卜的结果是能够生育。”据青岛市博物馆信息中心副主任罗琦介绍,妇好是武丁众多妻子中的一个,历史记载她是个能征善战的女将。1976年她的墓在河南殷墟被发现,出土了大量的珍贵文物,铜器中也有“妇好”的铭文,市博物馆的这件甲骨文对商王朝的历史和甲骨文的断代提供了确凿的证据。

传说,商王武丁有三个法定配偶,妇好就是其中的一个,她是商王朝重要的政治家和军事家,也是中国历史上第一位女将军。武丁率师对土方、羌和夷等国三年的征战中,妇好曾在其封地征集兵力筹集物力输往前线,为商朝军队的胜利提供了强有力的保障。卜辞中有“妇好三千,登旅万乎伐羌”的记载,意思是商王武丁征发妇好所属三千军队和其他士兵一万人,前往征战羌国。妇好同时利用神权主持各类祭祀活动,可以说妇好为丈夫武丁兴国立业和商王朝的统治立下了汗马功劳。为此,武丁非常重视和宠爱他的这位妻子,经常为她的健康和生育占卜。然而 ,妇好还是先于武丁去世。妇好死后,武丁在她的墓上精心修建了享堂,专门用来祭祀她,每有军事行动也常祭祀祈祷妇好在天之灵助战。由此可见,妇好在武丁心中的地位和在国家以及军中的声威。

   1976年妇好墓河南殷墟被发现,使这位湮没了三千多年的女政治家、军事家的事迹重现于世,考古学家、历史学家认为理应赋予这位古代杰出妇女应有的地位。青岛市博物馆珍藏的这片甲骨呈不规则三角形,长12、宽8厘米,淡黄色,表面光润。正反两面刻字,正面为:“丁酉卜,寳,贞妇好,有受生”。反面刻有:“王占曰,其有受生”。这件“妇好”占卜甲骨,是1950年由市图书馆移交而来。1965年中国考古研究专家胡厚宣先生专程来青岛鉴定,认为此片甲骨非常珍贵,是补证商代历史极为珍贵的实物资料,具有很高历史研究价值,并建议定为特级文物。

   甲骨文的发现,将中国有文字记载的历史往前推进了几百年,纠正了学术界春秋以前无历史的偏见,它告诉世人商代不是传说,而是中国历史上一个有史可考的真实时代。从文字学的角度研究甲骨文,人们可以从中了解汉字形成之初的构字规律 ;从历史学的角度审视其内容,实为记录人类活动的珍贵资料;而就其书法史上的意义,则是研究中国书法艺术的源头和起点,因它已流露出书法的迹象。文字的出现,意味着人类从茹毛饮血的荒蛮时代迈进了文明时代,而甲骨文的发现更证明了中华文明脉络清晰,很早就有文字记载的历史了。


宋徽宗发明了鼓式洗

   钧窑是宋代五大名窑之一,它烧制的瓷器以釉色艳丽多变而著称,自古以来就有“纵有家产万贯,不如钧瓷一件”的说法。青岛市博物馆收藏有一件北宋钧窑乳钉鼓式洗是国家一级文物。“”对于现代人而言有些陌生,它是中国古代的文房用品,专门用来洗毛笔。钧瓷为何如此名贵?这还要从它的历史和工艺说起。

钧窑,位于河南省禹县境内,这里有大禹治水会诸侯的古钧台,“钧窑”因此而得名。钧窑创烧于北宋初期,盛烧于北宋晚期。窑变,是钧窑最有名的特征之一。工匠首先在釉料中加入少量的铜,然后在素胎上施厚釉,再入窑高温烧制,就会产生窑变。“入窑一色,出窑万彩”,窑变后的钧窑瓷器釉色莹润、五彩斑斓。这些釉色自然天成,人为无法设定。正因如此,每一件钧窑瓷器都独一无二,自古就有“钧瓷无对,窑变无双”的说法。

   此外,传世稀少则是钧瓷名贵的另一个原因,究其原因就不得不提到宋徽宗赵佶。这位宋徽宗虽然治理国家不行,但书画造诣却很高。他自己就是一位出色的画家,对瓷器也是情有独钟。这位识货的皇帝还尤其喜欢钧窑瓷器艳丽多变的釉色。所以宋徽宗在位期间,钧窑被定为御窑,专门生产贡瓷。为了追求完美,贡瓷生产不计成本,烧造量小,除少量精品送入宫廷以外,剩下的全部销毁,禁止流入民间。所以,传世的北宋钧窑瓷器数量非常少。而青岛市博物馆所藏的这件钧窑乳钉鼓式洗,就是其中之一。这件专为北宋宫廷烧造的文房用品,将青铜器的古朴与瓷器的温润,完美地融合为一体,品相完好则让它显得尤为珍贵。

   据罗琦介绍,北宋时期的笔洗,造型多种多样,有单柄洗、海棠形洗等,鼓式洗是其中造型最独特的一种。关于鼓式洗的来历,民间还流传着这样一段故事。相传,宋徽宗对自己写的字并不满意,为此他很伤脑筋。有一天,宋徽宗在宫中欣赏歌舞,兴致所至,他亲自击鼓,并陶醉在鼓声之中。皇帝一高兴,不觉就多喝了几杯,很快就醉了。那天晚上宋徽宗做了一个梦,梦见自己拿笔在笔洗里一蘸,然后就在一个由三足支撑的大鼓鼓面上奋笔疾书。第二天,宋徽宗周邦彦等大臣来解梦。周邦彦说,这正是取大鼓之灵气,融于洗中,皇上如用鼓式洗来洗笔、练字,定能写出漂亮的字。于是,宋徽宗命钧窑工匠烧制三足鼓式洗。当烧好的笔洗送入皇宫,宋徽宗见到后非常喜欢。他经常用鼓式洗洗笔、写字,终于练成了著名的“瘦金书”。这只是一个传说,但由此可以看出,宋徽宗对钧窑瓷器的喜爱。


鸡嘴里抢出国宝

   青岛市博物馆馆藏的这件鼓式洗高9.1厘米,口径23.8厘米,底径17.3厘米,外形呈鼓式,外壁有两道弦纹,上、下腹部各装饰20颗和18颗乳钉,足部由三个兽头组成。这件钧窑鼓式洗,釉层上带有一种特别的纹路,这就是“蚯蚓走泥纹”,此纹路是北宋钧窑瓷器的一个显著特征。北宋灭亡后,这一工艺几乎失传。说起这件价值连城的钧瓷的来历,还有一段有趣的故事,博物馆的退休员工郑贝满用文字把这件事记录了下来,你能想到这件名贵的文物是工作人员从鸡嘴里抢救”出来的吗?


   张廷臣,山东昌邑丈岭万家屯人,是青岛市文物商店的一位资深职工。因为20世纪30年代,张廷臣的父亲曾在昌邑开设福顺祥文物商店,所以张廷臣17岁起就随其父从事这一行业,对文物颇有研究。

1962年之后,张廷臣和青岛市文物商店的职工经常被派到市、区、县、农村蹲点,抢救社会上的零散文物。一天,张廷臣从山东乳山的一个村子经过,见一家农户敞着大门,里面一群鸡正围着个器物争食。眼尖的他,恍惚觉得那盛鸡食的器物很特别,于是跨进大门一探究竟,他故意与这家主人搭话,然后蹲下来观察那器物。抢食的鸡群被惊散,张廷臣趁机将那器物捧在手中。这仔细一看可不得了,这不是宋代钧窑洗子嘛!张廷臣心里万分激动,情不自禁地说:“此品好啊!此品好啊!虽沦落为鸡食钵子,总算没有碰着磕着,真是谢天谢地!”他手捧洗子,爱不释手,随即问农家主人:“怎么用这东西喂鸡?可惜了!”农家主人说:“这件东西没有什么用处,俺看它又矮又厚又重,做鸡食钵子用稳当。大哥这么喜欢,一定是有用处,就把它送给你吧。”张廷臣正在想该怎样动员她把这件文物卖给国家,却听人家要把这宝贝送给他,真是喜出望外,赶紧掏出5元人民币给了这位妇女,并表示了谢意。1962年正是国民经济处在最困难时期,5块钱在农民手里可不是个小数,农妇高兴地收好了钱,就这样把鸡食钵子”给了张廷臣。


   张廷臣带着无比喜悦的心情连夜赶回青岛,及时向青岛市文物商店的领导汇报了收购宋代钧窑乳钉鼓式洗的情况。文物商店的领导李立轩同志看到这件洗子,激动地说:“这次你可立了大功了,为国家抢救了传世珍品,为我们青岛市文物商店增添了荣誉。”后来,国家文物局著名专家耿宝昌先生到青岛,鉴定了这件宋代钧窑乳钉鼓式洗,并将其定为国家一级文物。

张廷臣慧眼识宝,从鸡群的嘴里把这件北宋钧窑乳钉鼓式洗成功收归国有,一时之间传为佳话。如今,这件文物早已成为青岛市博物馆的珍藏精品,供国内外观众鉴赏。

文/图 城市信报记者 黄默


凤凰网资讯






甲骨文的占卜过程

(2011-10-02 17:13:49)



   殷商时期甲骨文的占卜过程是非常神秘而有特点的,一条完整的甲骨卜辞应该包括四个部分:一、序辞:叙述占卜的日期和贞卜的人物;二、命辞:记录所卜问的具体事情;三、占辞:记录视兆的人判断吉凶的话;验辞:应验的话。

    下面,我们以甲骨文《丙》274的卜辞为例来说明甲骨占卜的过程:



은 무정(재위 기원전 1250~1192)의 왕비 부호가 출산을 앞두고 점을 친 과정과 결과를 새긴 갑골문. 만약에 정(丁)일이나 경(庚)일에 낳는다면 아들일 것이라는 점궤를 얻었다. 하지만 31일 뒤 갑인일(甲寅日)에 출산했는데, 딸이었다.

은 무정(재위 기원전 1250~1192)의 왕비 부호가 출산을 앞두고 점을 친 과정과 결과를 새긴 갑골문.

만약에 정(丁)일이나 경(庚)일에 낳는다면 아들일 것이라는 점궤를 얻었다.

하지만 31일 뒤 갑인일(甲寅日)에 출산했는데, 딸이었다.    

 

甲骨《丙》274拓片
  
  释文:

    右:甲申卜,殼(qiao)贞:“妇好娩,嘉?”王占曰:“其惟丁娩?嘉:其惟庚娩?引吉。”三自又一日甲寅娩,不嘉,惟女。

    左:甲申卜,殼(qiao)贞:“妇好娩,不其嘉?”三旬又一日甲寅娩,允不嘉,惟女。

  
  

一、序辞:“甲申卜,殼贞”——序辞记录了占卜的日期(甲申这一天)与贞人(殼)的名字;贞是问的意思。这句的意思是:贞人殼在甲申这一天替殷王卜问。

二、命辞:“妇好娩,嘉?”——主要记录想要卜问的内容。妇好是殷王武丁的妻子。这是卜问:即将分娩的妻子妇好,是不是吉利?

三、占辞:王占曰:“其惟丁娩?嘉:其惟庚娩?引吉。”——王占曰是指殷王看了卜兆之后,所作出的判断。意思是:若是在丁日分娩,那就是吉利;若是在庚日分娩,则会非常吉利。

四、验辞:三自又一日甲寅娩,不嘉,惟女。——妇好在卜问的一个月后分娩,结果“不嘉”,原因是生了个女儿。看来,我国“重男轻女”的思想,在殷商时期就有了。可谓:根深蒂固,源远流长。

    甲骨卜辞的形式,往往从正反两个方面来卜问,叫做“对贞”。这片甲骨的左边的卜辞即是从方面问:

    甲申卜,殼(qiao)贞:“妇好娩,不其嘉?”三旬又一日甲寅娩,允不嘉,惟女。

    从“不其嘉”来设问,结果和正面的卜问一样,确实不嘉,与原先的设问相符,所以验辞用了“允”字。

    我们说殷商甲骨完整的卜辞虽然有此四项,但并不是所以甲骨卜辞都四项俱全,尤其验辞出现的机会并不多。这一甲骨卜辞是四项俱全,具有一定的代表性。
 

楼楼的博客




乃孙乍且己鼎  (2011-10-02 18:30)

标签:

文化

分类: 书画文缘

   在商代金文中还有一件作品是不应该忽略的,那就是《乃孙作祖已鼎铭》。它是中国书法史上的方笔之祖。其方硬劲折的线质传达出刀凿斧劈时才具有的锋芒,其风神似乎只有西周《大盂鼎铭三国吴《天发神谶碑铭》等少数之作可以为继。在中国书法史上,从六朝人评述杜度“杀字”到董其昌所主张的“太阿斩截之势”(《画禅室随笔》卷一《评法书》)都是对刀笔相师的体认。方笔的斩截是自商代遗传给中国书法的一个重要的基因,是隶书全面贯彻的一种笔法。 
   
 

乃孙乍且己鼎铭文

  
  

阅读(513) ┆ 评论(0) ┆ 转载(37) ┆ 收藏(3)




(2011-10-02 18:10)

标签:                 

文化

分类: 书画文缘


      戍嗣子鼎,商代晚期。1959年5月河南安阳事后岗殉葬圆坑出土。现藏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通高48厘米 、口径39.5×34.5厘米 、腹深24.6厘米,重21.5公斤。直口折沿,腹微鼓,双立耳,圜底,半空足,足的中腰略束,近马蹄形。口下有扉棱六条,口下饰由夔龙组成的兽面纹六组,三足上部亦饰兽面纹。铭文记录了王对器主的赏赐, 记商某王某年,九月丙午这天,商王在宗庙明堂大室赏赐给戍嗣子鼎贝二十朋,戍嗣子因受荣宠,作了这件祭祀交父亲的宝鼎。铭末“犬鱼”就为戍嗣子所属家族的族徽。

    腹内壁有铭文3行,29字,合文二(嗣子、廿朋)。铭文字体象形特点突出,章法布局有行距无字距,具有参差变化,笔道镌刻清晰,雄伟有力,有的字体还具有典型的波磔体风格。器物本身和铭文内容对青铜断代、商代历史地理、以及古文字研究都有着一定的价值。

  

(864) ┆ 评论(2) ┆ 转载(25) ┆ 收藏(3)




(2011-10-02 17:13)


   殷商时期甲骨文的占卜过程是非常神秘而有特点的,一条完整的甲骨卜辞应该包括四个部分:一、序辞:叙述占卜的日期和贞卜的人物;二、命辞:记录所卜问的具体事情;三、占辞:记录视兆的人判断吉凶的话;验辞:应验的话。

    下面,我们以甲骨文《丙》274的卜辞为例来说明甲骨占卜的过程:


  

甲骨《丙》274
  
 

阅读(7668) ┆ 评论(2) ┆ 禁止转载 ┆ 收藏(6)










阅读(1336) ┆ 评论(0) ┆ 转载(52) ┆ 收藏(1)




    




毛公鼎

 

  毛公鼎,西周晚期青铜器物,道光

阅读(272) ┆ 评论(0) ┆ 转载(55) ┆ 收藏(1)




 






散氏盘

  因铭文中有“散氏”字样而得名。有人认为作器者为夨,又称作夨人盘。传清乾隆初年于陕西凤翔出土。

阅读(206) ┆ 评论(0) ┆ 转载(49) ┆ 收藏(2)




标签:

文化

分类: 书画文缘

夫钟铭文拓片
阅读(185) ┆ 评论(0) ┆ 转载(31) ┆ 收藏(2)





  周晚期金文 指周厉王、宣王、幽王时期的金文。这一时期的金文,图画文字完全消失。用笔遒劲苍健,淳厚古朴,结构规律更强。字形大多取纵势,中锋用笔,自然圆浑,被称为“玉箸体”,是西周金文的纯熟时期,为后来的秦系文字《石鼓文》秦小篆奠定了用笔和结字的基础。

 

[害夫]簋铭

   胡簋,是目前存世商周青铜簋中最大的一件,堪称“簋王”。1978年5月5日在陕西省扶风县法门镇齐家村1号西周窖藏出土。其器雄伟厚重,方底座,圆形腹,高圈足,凤鸟形双附耳。器底座上饰竖条瓦楞纹,腹上部和圈足各饰一圈钩云纹,腹中部饰竖条状瓦楞文。通体高59厘米,口径43厘米,腹深23厘米,重60公斤。簋的腹底部铸有铭文12行124字。[害夫]即“”,为周厉王名


阅读(182) ┆ 评论(0) ┆ 转载(61) ┆ 收藏(2)




史颂簋(盖)铭文(恭王)

 

 

史颂簋

通盖高7.2、腹深4.1、口径6.8寸,重14.6875斤(西清)。   弇口鼓腹,圈足沿外侈,兽首双耳,下有方垂珥,盖面隆起,上有圈状捉手。盖沿和口下饰窃曲纹,盖上和器腹饰瓦纹,圈足饰垂鳞纹和小兽面。

 


阅读(383) ┆ 评论(0) ┆ 转载(93) ┆ 收藏(2)





颂簋

通高30.1厘米,口径24.2厘米,重13.2千克  

   西周后期。盛食器。隆盖,顶有圈形把手。 圆腹,圈足,下附三兽足。腹部两侧有一对兽首耳。口沿上下各饰窃曲纹一周,盖与腹均饰横条脊纹,圈足饰重环纹。形制庄重。盖器同铭,各铸十五行一百五十二字,铭文与颂鼎同。

山东省博物馆原藏器,青岛市张秀琳又捐赠盖,致使器盖合一。系周宣王时铸器。  现藏山东省博物馆。为山东省博物馆十大镇馆之宝之一。


阅读(276) ┆ 评论(0) ┆ 转载(73) ┆ 收藏(3)










华夏第一位女将军妇好:系殷王武丁的配偶


2015-02-26 14:20:00 新民网 分享
参与


  

 

 “天命玄鸟,降而生商。《诗经·商颂·玄鸟》中这样写道。相传在远古的黄河之滨,一只“玄鸟”唱着歌儿从空中飞来,原始部落的人们以为它是上天的使者,一个个对它顶礼膜拜。一个叫简狄的女人,吞服“玄鸟”下的蛋后,怀孕生下儿子叫契。,便是传说中的商之始祖。

   站在公元2015年的门槛遥望,几千年前的殷商让我们陌生,但看到安阳小屯村的村民从地下挖出带有“图案”的甲骨时,繁盛的殷商仿佛展现在眼前。

   从商汤灭夏,再到盘庚迁都,商朝的都城在殷(今河南安阳)确立,之后,商朝达到了鼎盛。经过几千年的时光流转,在如今的安阳殷墟宫殿宗庙遗址,只剩下商朝的残垣断壁,但从商朝王室陵墓发掘出的器具甲骨中,依旧能感受到商王朝的强盛之风。

<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AppleGothic,sans-serif; font-size: 12pt;">(300-250)</span>  

   殷墟王陵遗址也是反映商王朝兴盛的一个侧影。1930年以来,在这里累计发现大墓13座,陪葬墓、祭祀坑与车马坑2000余处,并出土了大量的青铜器、玉器等。另外,在王陵的东边出土的司母戊大方鼎,是现今为止所发现的最大的青铜器。

   在殷墟博物苑,有一个深坑,堆放着很多的甲骨。“这是殷墟YH127甲骨窑穴,万余片的甲骨集中堆放,被人们称为中国最早的甲骨文档案库’。甲骨文是公认的世界最古老的三大文字系统之一。”殷墟博物苑的讲解员刘潇告诉记者。

   在殷墟博物苑另一处,有一座十分宏大的墓穴,这里曾安睡着的是华夏第一位女将军——妇好,她也是殷王武丁的配偶。该墓穴随葬器物分7层埋入,仅出土的货贝就有6880余件。

   文物往往使沉默的历史变得鲜活。在殷墟博物苑里,站在3000年前的大鼎、兵器、龟甲面前,商朝的历史画面在脑海里上演,王室的宫殿前举行的盛大仪式上,巫师正拿龟甲进行占卜,或者是硝烟四起的战场上,战马嘶鸣……

   历史的魅力或许就在于未知与想象。殷墟出土了大量都城建筑遗址和以甲骨文、青铜器为代表的丰富的文化遗存,系统展现了中国商代晚期辉煌灿烂的青铜文明,确立了殷商社会作为信史的科学地位。

   据了解,殷墟被评为20世纪中国“100项重大考古发现”之首,2006年被联合国科教文组织列为世界文化遗产。

责编:王敏







殷商,中心之国———附甲骨文释文及其图片
2011-10-19  水手藏  + 关注献花(0)

  

   殷商的历史对今人而言,实在太过久远。很难想象,三千年前的历史,竟被细心的记载在史籍里,代代相传,它是如此的真实,以至当后来出土了那个时空的文字时,竟能相互应证,相互诠释,这不得不让人惊叹。

  《商史和商代文明》,作者是研究殷商史的孟世剀老先生。这本书结合了史籍和甲骨文释文一起讲述,阅读后受益非浅。唯一遗憾的是它仅有甲骨文释文,而没有甲骨文图片对照。我平日里收藏了《甲骨文合集》里的一些图片,正好与之相反,有图片却没释文。于是便用了一个早上的时间,将此书感兴趣的几例甲骨文释文拿去对应我电脑里收藏的甲骨文图片。其中,一例释文没能在我所收藏的《甲骨文合集》图片里找到,而是幸运的靠万能的百度图片引擎找到了图片。
《甲骨文合集》此书昂贵到可怕,好在我只是个门外汉爱好者,对它也不纠结。
   前段时间,看了美片《史前一万年》,心里想的是,华夏这个名字及历史上它所代表的族群。这个族群从它建立王国之日起,它的文明程度便高于它周边的氏族与方国。它以自己为正统,为中心,不断合并周边的族群,并在合并中壮大,形成一个无论是文化、疆域或是人口都是那个时空里极为强大的国家。应该可以说,今日中国有如此辽阔的疆域和惊人的人口基数,就是在最初奠定基础的。
  《商史和商代文明》这书认为古蜀作为商的外服方国,其文化的高度发展并不逊色于商,但我总觉得文明的象征除了城市还应该有文字,而古蜀并无成熟阶段的文字。虽然,三星堆的青铜文化确实是太璀璨,太耀眼了。
非常令人困惑的是,三星堆文化明明就是中华文明的一部分,却总有些人老是瞎扯什么白种人或外星文明,这终究是鄙视自己所属的人种呢?还是鄙夷人类文明呢?(地球之外有无文明不做讨论)
   殷商周边有众多氏族与方国,这些氏族、方国和商的关系时好时坏,有时候附属于商,也进行通婚,有时候则敌对于商,进行骚扰掠夺。而商也经常对这些氏族、方国进行讨伐。
   在甲骨文里比较常见的氏族是羌,而常见的方国也有:土方、(工+口)方,方方、龙方等。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5177#甲骨文释文为:
戊寅,羌目示三屯,*(最后一字无法打出)
我找到了原甲骨文图片如下:

(被我框于蓝色框中的那字,便是“羌”,“羌”下面的象形字“目”为羌人名.图片经过我的剪切,为了让字迹清晰,原图太大了,且是TIFF格式的,只好转为JPG格式。)
羌人,是个非常古老的部落,分布广泛,殷商时代,羌人时常被作为祭品祭祀。但也有羌人分支与商王交好,向商王朝进贡占卜用的牛胛骨。这则卜辞,记述了羌人向商王进贡占卜用的牛骨。
*************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6057#甲骨文释文为:

“王占曰,有崇,其有来艰。迄至九日辛卯允有来艰自北, 3告曰:土方侵我田,十人。”
这图为《合集》6057#,我电脑里收集的《合集》图片中没有这张图,后在网上找到,如下:



(图中被我用方框框起来的为原文部分,2为“土方”二字,3为人名,此人可能是负责军事的情报官)
这则卜辞是关于土方这个方国入侵商都郊区抢庄稼的记录。在甲骨文卜辞中,土方经常出现,应该是一个军事实力不弱的大方国。
**************************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6087#甲骨文释文有两则,分别为:
(1)释文为:
“壬子卜,5贞:(工+口)方出,惟我有作祸。壬子卜,5贞:(工+口)方出,不惟我有作祸,五月。”
(2)夹于(1)中间,还有一小部分在角落。释文为:
“乙卯卜,争贞:3称册,王从伐土方,受有右。贞:勿从3。”
我找到了原甲骨文图片如下:




(3圈起的人名,是商王武丁时代的武将,时常在卜辞中出现。4圈起的字是“(工+口)方”二字,这是一个方国名,经常入侵商国。5圈起的是卜官的名字,这个名字亦时常出现。)
卜辞(1)是占卜(工+口)方会不会给商国带来灾祸。
卜辞(2)大致意思是:武丁派遣3这位大将前去讨伐土方这个方国,并占卜吉凶。
***************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6585#甲骨文释文为:
“贞:忽呼妇井伐龙方”
我找到了原甲骨文图片如下:




(2圈起的两字为“妇井”,商代有几位女性的将领,最著名的要属妇好了。3为“龙方”,既叫龙的方国。)
这则卜辞是占卜要不要呼命妇井前去讨伐龙方。
***************************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6948#甲骨文释文为:
“壬寅卜,*(与6087#甲骨里同一位卜官)贞:妇好娩,嘉。壬辰壹,癸巳娩,惟女。”
我找到了原甲骨文图片如下:



(这片甲骨布满了密麻的小字,最后被我从中载取了。找到 《商史和商代文明》所引用的卜辞,费了番功夫,看得眼睛都花了。
1。我分别圈起的两字为“妇好”,没错,这就是大名鼎鼎的武丁妻子,也是位商代的女将军妇好。)


这则卜辞是关于妇好生育的,“”为分娩,“嘉”意为是否生子。“”意为气不顺。不过最后是“惟女”,也就是妇好生的是个女儿。
觉得很神奇,居然能通过古文字去了解那个时代的人的生活,何况妇好的墓葬后来还出土了。又是一例甲骨文与考古的相互应证实例。

今人立的塑像,女中豪杰啊。何况武丁还是商代最有作为的国王,那是个很让人联想的联想的时空,如果忽略掉那时候残忍的人殉的话。虽然,人殉,这似乎是野蛮到文明的一种必然发展过程。


**************************
《商史和商代文明》书中列出的6812#甲骨文释文为:
“已卯卜,*(卜官名字打不出)贞:命多子从犬侯*周叶王事,五月。”
我后来详细对照了6812#甲骨图片,发现这段释文漏了一个字,所以不是“多子”,而是“多子族”,要加一个“族”进去。
我找到了原甲骨文图片如下:



(我框起来标记2的,是:“多子族”三字。也就是由商王室同姓的贵族子弟所组成的军队。3框住的是“周”,这个就是后来取代商的周。)
这段卜辞大致意思是,商王命令多子族跟从犬侯出兵迫挟周方的国王服从。
————————————————————————————
PS:曾经很迷恋甲骨文,后来出社会后兴趣啊爱好啊什么的也就都淡了,唯一保留下来的可能就是写点东西,若不是这本随意买来的书再勾起我的记忆,






한자의 발생과 형성전 | 서예 

            

도원장 2015.02.18 13:49
    


<한자의 발생과 형성전> 개최

 

 

 

 

2014년의 뜻깊은 일로, 그 동안 몇 년간에 걸쳐 틈틈이 준비해 왔던 <한자의 발생과 형성>에 관한 자료들로 전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서예공부에 깊이를 더하기 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는 것을 계기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산지역대학의 캠퍼스에서 아래와 같이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학장님과 교수님들, 학우님들과 동호인들의 관심과 격려, 그리고 가족 친지 여러분들의 성원 덕분에 뜻깊은 전시를 할 수 있게 된 것을 감사드립니다.

작품 전시도록은 판매용으로 제작하여 권당 \26,000원 씩에 판매하였습니다.

 

전시일정; 2014년 10월 18일 ~ 10월 22일

장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산지역대학 캠퍼스

 

 

 

 

 

전시된 작품의 목록입니다.

 



한자(汉字)의 발생(發生)과 형성(形成)목록

 

1. 동양 삼국 역사 연표(東洋三國歷史年表)

2. 원시의 골짜기 갑골문(甲骨文)의 세계

-. 무정왕(武丁王) 갑골문

-. 부호왕비(婦好王妃) 갑골문

-. 상대 말기(商代末期) 갑골문

-. 갑골문 작품, 高, 尊,

3. 그림에서 태동하는 상대 금문(商代金文)

-. 도상문자(圖象文字)

-. 양마천시부계(兩馬天豕父癸)

-. 자복자요자공(子蝠子葽子龏)

-. 조호표상록(鳥虎豹象鹿)

-. 십간. 십이지(十干十二支)

4. 상대 금문 걸작선(商代金文傑作選)

-. 소신여희존(小臣艅犧尊)

-. 내손작기정(乃孫作己鼎)

-. 신정 금문(汛鼎金文)

5. 강태공, 주 무왕이 개국한 주대(周代)의 금문

-. 대풍돈(大豊毁)

-. 묘필언(卯邲甗)

-. 세유금문(細卣金文)

-. 주공돈(周公毁)

-. 대우정(大盂鼎)

-. 국차첨(國差韂)

-. 모공정(毛公鼎)


<전시도록 필요한 분 별도 주문 받습니다 / mrdn@hanmail.net>


6. 주 말, 춘추전국(春秋戰國)-어지러운 세상, 다양한 문자들

-. 고문 금강경(古文金剛經)

7. 북모양의 돌에 새긴 엽갈문(獵碣文)

-. 석고문(石鼓文)

8. 진시황, 천하통일과 소전체(小篆體) 문자통일

-. 역산각석(嶧山刻石)

-. 가량명(嘉量銘)

-. 설문해자(說文解字)

9. 한 예서(漢隸書)의 정돈과 성쇠

-. 석문송(石門頌)

-. 예기비(禮器碑)

-. 조전비(曹全碑)

-. 장천비(張遷碑)

10. 위대한 서성 왕희지(王羲之)의 출현과 행서, 초서

-. 난정서(蘭亭序)

-. 초결가(草訣歌)

-. 17첩(十七帖)

-. 진초 천자문(眞草千字文)

11. 당 해서(唐楷書)의 확립

-. 찬보자비(爨寶子碑)

-. 구성궁 예천명(九成宮禮泉酩)

-.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 안탑성교서비(雁塔聖敎書碑)

-. 안근례비(顔勤禮碑)

12. 삼체 천자문(三體千字文)

13. 오체 반야심경(五體 般若心經)

 


작품해설



1. 동양 삼국 역사 연표(東洋三國歷史年表)


2. 원시의 골짜기 갑골문(甲骨文)의 세계


2-1. 상 무정왕 갑골문(商 武丁王 甲骨文)

무정왕 재위: 기원전 1250년~ 기원전 1192년

우골 탁본(牛骨 拓本) 높이 27.3 Cm,

소의 어깨죽지 뼈에 계미, 계사, 계유, 기묘에 각각 점을 쳐서 얻은 내용의 기록으로 이 갑골에 새겨진 기록은 한꺼번에 새겨진 것이 아니고 몇 차례로 나누어져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즉,1월 계미점(癸未卜), 계사점(癸巳卜), 계유점(癸酉卜), 을묘(乙卯)에 점을 친 기록인데 첫머리에 외족의 침략을 적고 있으며, 계미에는 왕자가 죽었다는 사실을, 계사에는 점괘를 무시하고 사냥에 나섰다가 왕자가 수레에서 떨어져 사고를 당한 사실을, 계유에는 꿈에 현몽이 있었는데도 재액을 받은 사실을 기록.

계유의 글씨체는 필력이 웅건하고 골력이 뛰어나다.

수많은 갑골 중 가장 크고 완전한 것으로 갑골문의 전형.


2-2. 부호왕비 갑골문(婦好王妃 甲骨文)

귀갑 탁본(龜甲 拓本) 안양 은허 YH127 발굴 출토

무정왕의 왕비 부호의 출산에 임하여 점을 친 내용으로 갑인날 출산했는데 점괘와 일치하게 딸을 낳았다는 점복의 기록. 1976년 발굴된 안양시 YH127 갑골갱에서는 전혀 도굴되지 않은 부호왕비묘에서 1만여 편의 갑골과 468점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는데 이 중 190점의 청동기에 명문이 새겨져 상대의 생활, 문화, 사회전반에 걸친 시대상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묘주의 신분과 매장연대가 확실하여 이 후 만들어진 청동기의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잣대가 되어 고고학상 획기적 성과를 얻었다. 그 밖에도 1,000여점의 부장품이 3,300년 만에 세상에 빛을 보았다.


2-3. 상대 말기 갑골문(商代 末期 甲骨文)

경도대학교 소장(京都大學校 所藏)

갑골문을 시대별로 연구한 결과 상대 말기가 되면 점복의 기록도 직계왕실의 제사기록이 많으며, 수렵의 길흉을 점친 기록도 많다. 서체 또한 붓으로 쓴 다음 칼로 새긴 흔적을 볼 수 있다


2-4. 갑골문 작품 상(甲骨文 作品 商)

전지. 구름무늬 황색지에 묵필

무정왕 갑골문을 중심으로 자연과 농경생활, 전쟁에 관한 갑골문으로 작품 구성.

이 갑골에 새겨진 기록은 한꺼번에 새겨진 것이 아니고 몇 차례로 나누어져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즉,1월 계미점(癸未卜), 계사점(癸巳卜),계유점(癸酉卜), 을묘(乙卯)에 점을 친 기록인데 첫머리에 외족의 침략을 적고 있으며, 계미에는 왕자가 죽었다는 사실을, 계사에는 점괘를 무시하고 사냥에 나섰다가 왕자가 수레에서 떨어져 사고를 당한 사실을, 계유에는 꿈에 현몽이 있었는데도 재액을 받은 사실을 기록. 계유의 갑골체는 필력이 웅건하고 골력이 뛰어나 서체 또한 수많은 갑골문 중에서 수작으로 꼽힌다.


2-5. 갑골문 작품 고(甲骨文 作品 高)

화선지 20호에 묵필

갑골문 <높을 고(高)>의 작품으로 애송시 구상


2-6. 갑골문 작품 준(甲骨文 作品 尊)

화선지 20호에 묵필

갑골문 <술그릇 준(尊)>의 작품으로 글자의 의미와 福을 비는 고대의 의식을 구상


3. 그림에서 태동하는 상대 금문(商代金文)


3-1. 궁시(弓矢)-화살을 상징하는 도상문자(圖象文字)

   부신준(父辛尊)에 새겨진 도상문자로 화살이 담긴 화살 통을 메고 성곽 주위를 순시하는 집단의 씨족 문양으로 추정되는데 화살 통에 담긴 세 개의 화살은 화살이 많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부신(父辛)은 씨족집단의 명칭이며 도상문자와 금문이 혼용되고 있어 이 후 한자의 발생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3-2. 거어(擧魚)-고기잡이를 상징하는 도상문자(圖象文字)

   그물망과 세 개의 낚시에 세 마리의 고기가 걸려있는 도상문자로 어로집단을 표시. 보통 그물망에 고기 한 마리, 또는 낚시 하나에 고기 한 마리 표시된 문자가 많은데 여기서 세 개는 큰 어로집단으로 요즈음으로 치면 원양어선단 정도의 씨족집단표식.

많다는 의미의 삼첩자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삼첩자

姦 간사할 간轟 울릴 굉磊 돌무더기 뢰淼 큰 물 묘犇 소 놀라 달아날 분贔 힘쓸 비三 석 삼森 수풀 삼鱻 날고기 선聶 소곤거릴 섭惢 의심할 예晶 맑을 정众 많이 설 음, 무리 중(=衆)矗 우거질 촉刕 벨 리麤 거칠 추蟲 벌레 충

劦 같이 힘쓸 협毳 솜털 취厵 源과 동자厽 담벽 류/루, 섞일 참(=參)叒 동방 신나무 약嚞 밝을 철垚 높은 모양 요壵 장할 장品 품수 품焱 불꽃 염孨 삼갈 전皛 밝을 효卉 풀 훼芔 (훈음미상)尛 자잘할 마晿 창(사람 이름에 쓰임)掱 소매치기 수 

歮 깔깔할 색灥 세 샘 천猋 개 달아날 표畾 밭갈피 뢰瞐 고운 눈 막羴 양노린내 전舙 말씀 화譶 재재거릴 답, 지껄일 집鑫 흠(이름에 사용)雥 새떼 잡雦 모을 집(=集)靐 우뢰소리 빙飍 큰 바람 휴/퓨飝 날 비馫 향기 흥驫 말 몰려 달릴 표龘 용이 갈 답 


3-3. 도상문자와 금문(金文)ㅡ양마천시부정(兩馬天豕父丁)

뉴욕 콜렉션 소장

   가운데 사람 모양의 양편으로 말 두 마리와 아래로는 돼지가 배치되어 있고 그 아래로 부정(父丁) 두 글자를 새겨 도상문자와 금문이 공존하는 복잡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3-4. 자복자요자공(子蝠子葽子龏)

공자 맹자 등 子의 글자는 높은 신분을 나타냈는데 고대에는 더욱 더 높은 신분의 왕자들을 의미하는 글자로 사용되었다. 세습제인 씨족사회에서 왕자들은 전쟁에 앞장서서 정벌의 공로를 세워 자자손손이 영화를 누릴 수 있었다. 무정왕은 60여명의 비빈들에게서 수많은 왕자가 출생하였는데 왕자들의 집단으로 추정되는 도상문자이다.


3-5. 조호표상록(鳥虎豹象鹿)

   도상문자에서 상형문자로 넘어오면서 사물의 형태를 본따 한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그 대상은 자연에서 비롯하여 농경, 자연 등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졌고 예를 든 조호표상록은 새, 호랑이, 표범, 코끼리, 사슴 등 동물의 형태를 본뜬 갑골문 당시의 상형문자이다.


3-6. 천간(天干)

   고대에는 열흘을 순(旬)이라 하여 열흘을 기준으로 점을 쳤는데 이 열흘 간 하루를 세는 단위를 십간으로 나누어 십간에 해당하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를 천간이라 했다.

   고대 상나라에서는 국왕이 점에 의지하여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였으므로 천간과 지지는 점술의 기본을 구성하는 요소였고, 갑골문에서도 가장 먼저, 가장 빈번히 사용된 글자였다.


3-7. 지지(地支)

   천간에서 하루를 나누고 하루의 시간을 다시 12등분으로 나누어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동물들로 지지를 나타내어 십간과 십이지를 갑자, 을축과 같이 조합하여 연도를 나타냈고, 60년을 주기로 하여 되풀이되기 때문에 60살이 되면 환갑이라고 했다.



4. 상대 금문 걸작선(商代金文傑作選)


4-1. 소신여희준(小臣艅羲尊)

시카고 브런디지콜랙션 소장

   이 특이한 청동기는 산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일찍부터 서양인들의 주목을 받아 해외로 유출되었으며 상대의 청동기로는 더물게 장문의 명문과 더불어 명문 중에 상대 말기에 동방경략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 또한 지대하다.

   새겨진 명문은 모두 4행 27자로 정사(丁巳)일에 왕이 당시 동이족의 중심지에서 선조의 제를 모셨는데 그 때 왕의 근친인 여(艅)에게 이 보물을 상으로 주었다. 때는 왕이 동이를 정벌한 해, 즉 왕이 즉위한 지 15년이 되던 해로 선조의 제삿날이었다. 그 후 동이족을 순무하기 위해 소신 와 그 자손들로 다스리게 하고 그들의 공로를 치하했다는 내용.


4-2. 내손작기정(乃孫作己鼎)

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직경 58.3Cm, 전체높이 81.8Cm

   상대 말기로 추정되는 고대 대표적인 대형 원형청동기로 장식이 지극히 정교하고 미려하며 내벽에 새겨진 2행 11자의 명문 또한 더할 나위 없이 우수하다. 대의는 조상을 위하여 그 자손이 정성을 다하여 이 보기(寶器)를 제사용으로 주조했다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4-3. 신정금문(汛鼎金文)

뉴욕 코머콜랙션 소장

   상대의 금문은 실용문자인 갑골문과 장식문자인 금문으로 확실하게 구분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두껍고 큰 글자가 보기 힘드는데 이 신정금문은 그래서 걸작으로 꼽힌다. 글자는 상대 금문으로서는 단정하며 도상문자와 연계되어 가지런히 배열되어 행열 또한 잘 정돈되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고대에는 포로나 노예의 눈을 찌르거나 할키는 형벌이 있었는데 여기서도 손톱을 세운 손으로 노예의 눈을 쥐어뜯으려는 글자가 보인다. 맨 끝의 두 글자 天龜는 씨족표식이다.



5. 강태공, 주 무왕이 개국한 주대 금문(周代金文)


5-1. 대풍돈(大豊毁)

   주나라 무왕은 강태공과 더불어 기원 전 1046년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봉건제를 시행하여 개국공신들에게 봉읍을 나누어 주었는데 강태공은 산동 제나라 땅을 봉지로 하사받았다. 문왕은 무왕의 아버지로 강태공을 기용하여 주나라로 하여금 상을 정벌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명문의 내용은 을해(乙亥)일 왕이 중신을 모아 백신을 청하여 문왕상제에게 제사를 올리면서 그 위대한 신업을 찬양하며 며칠에 걸쳐 대향연을 배푼 것을 기록하고 이를 위하여 보기를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그릇은 주나라 초창기의 연대가 밝혀진 매우 귀중한 보물이다.

   명문은 8행 78자로 말기갑골문과 유사한 글자가 섞여있다


5-2. 묘필언(卯邲甗)

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전체높이 47.6Cm

   언(甗)이라는 이름의 그릇은 시루를 의미하는데, 그릇의 전체적인 모양은 상대의 내손작기정과 닮았으나 장식미는 상대의 것이 더 우수하다.

   그릇의 내벽에 새겨진 2행 7자의 명문은 내손작기정의 명문과는 완전히 다른 서체로 내손작기정의 명문이 웅건 강직한데 비하여 천연스럽고 생동감 넘치는 도상문자와 어울려 영혼이 스며들어있는 경쾌한 율동미와 무궁무진한 자유로움을 자랑하고 있다.    명문의 내용은 묘필이라는 문중에서 어머니를 위하여 보기를 만들어 종묘에 진열했다는 내용


5-3. 세유금문

   유(卣)는 술통이나 술주전자를 의미하는 글자로 세유의 는 만든 사람의 이름이며, 이 글은 술주전자에 새겨진 서주 초기의 아주 훌륭한 금문이다. 명문 중에 성주년이라는 연대가 있어 주나라 성왕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매 글자마다 뚜렷하게 부상하는 듯 생동감이 넘치고 있어 아름다움을 더해 준다.

   명문은 27자로 주전자의 내부와 뚜껑에도 새겨져 있으며 마지막 세 글자는 부족표식의 도상문자이다.


5-4. 주공돈(周公毁)

런던 박물관 소장 전체높이 18.8Cm

   특이하게 짐승의 머리모양을 한 네 귀가 달린 청동기로 그릇의 내부에 서주초기 금문의 최고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8행 67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의 대의는 주공단의 자손으로 보여지는이 왕으로부터 정후를 이어받으면서 세 부락민을 노예로 하사받는 책명을 받았다. 이 은명에 감격하여 주왕실을 위해 진력할 것을 다짐하고 왕명을 책서해서 이 기를 만들었다.

   문장이 간결하고 고아할 뿐 아니라 서체도 전아한 가운데 유동감이 있어 걸작품으로 꼽힌다.


5-5. 대우정(大盂鼎)

상해박물관 소장

   전체높이 약 90Cm에 달하는 대형 청동기로 그릇을 만든 우(盂)는 강왕시기의 우수한 무장이었으며, 귀방을 토벌한 공로로 궁시갑주간과(弓矢甲冑干戈)등을 하사받은 사람으로 왕의 은총에 보답하여 조부의 제기로 이 정을 만들었다.

   명문은 19행 291자로 서주전체를 통하여 가장 대표적인 금문이며, 서주초기의 금문들이 거의 책명을 간략히 요약하고 있으나 이 정에서 처음으로 책명서 전문을 기재하여 후기 금문의 선구가 되었으며, 서체 또한 힘과 균정미가 갖추어진 금문의 수작이다.

   명문의 내용도 은의 멸망과 주 문왕, 무왕의 치적을 언급하는 등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어 사료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5-6. 국차첨(國差韂)

   고대 제나라에서는 첨이라는 형태의 항아리가 있었는지 명문 중에 보첨을 주조함이란 글이 있어 이 그릇의 이름을 국차첨이라 명명했는데, 춘추좌전의 기록에 기원전 589년 국차회맹에 관한 기록이 있어 이 그릇은 동주열국의 연대적 표준기가 되고 있는데 국차회맹이란 성공 2년 추 칠월에 진의 사제의 국좌가 회맹한 사건을 가리킨다.

   그릇의 뚜껑에 10행 52자의 명문이 부채모양으로 새겨져 있는데 서주에서 동주로 넘어온 시기에 세련되지 않은 전형적인 제나라의 서체를 띠고 있어 연대와 더불어 중요시 되고 있다.


5-7. 모공정

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높이 53.8Cm, 직경 47.9Cm

   서주말기 선왕초년(기원전 827년)에 주조된 이 청동기는 상주유명청동기 중 가장 많은 글자인 32행 500자가 그릇의 내면에 새겨져 있어 서주의 진귀한 사료일 뿐 아니라 왕의 책명서 전문을 완벽하게 기록하여 한편의 서주실록에 해당하고 고대사, 고문자학, 서법예술상 최고의 가치를 구비한 중국문명의 지보이다.

   명문의 대의는 주 선왕 즉위 초에 자신이 선대 문왕, 무왕의 업적을 잘 계승하기 위하여 모공에게 정무를 맡김에 왕위를 보익하고 상하내외를 동요시킴이 없도록 하여, 천자가 나라를 잃고 선왕의 영혼을 슬프게 하는 일이 없도록 당부하고 있다. 더불어 제사와 정벌에 사용하도록 향주와 황금마차 등 여러 선물을 하사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고문자의 해독에 있어 모공정 500자와 송정 162자로 거의 모든 대전체 문장의 해독이 가능해졌고, 서예의 측면에서도 대전체의 전형으로 되어 있다.



6. 주 말, 춘추전국(春秋戰國)-어지러운 세상 다양한 문자들


6. 고문 금강경

   석가모니의 가르침 중에서 금강경은 비교적 초기 경전에 속하는데 금강반야바라밀경 또는 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하는 짧고 매우 인기있는 대승불교 경전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는 이 경은 옛날부터 정신적으로 선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경전으로 알려져 이미 중국 북위시대에 한문으로 번역된 이래 많은 사람들이 번역하였고 당태종의 성교서로 유명한 현장도 이 경을 번역하였다.

   춘추전국시대의 어지러운 혼란상이 잘 나타나 있는 한자의 사용예가 고문 금강경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어 여기에 소개한다. 춘추시대 초기에 100여개의 나라가 각각 다른 문자와 언어를 사용하다보니 밝혀진 고문만도 38종에 이른다. 왕래가 비교적 자유로왔던 춘추전국시대 각 나라마다 사용하는 글자가 달라 그 혼란과 어려움은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고전(古篆) 38종 도해:http://blog.daum.net/imrdowon/8468298>


고전(古篆) 38종 도해

1. 玉조篆

2.奇字

3.大篆

4.小篆

5.上方大篆

6.墳書

7.穗書

8. 倒해篆

9.柳葉篆

10. 芝英篆

11.轉宿篆

12.垂露篆

13.垂雲書

14.碧落篆

15.龍爪篆

16. 鳥跡書

17. 雕蟲篆

18.과두書

19.鳥書

 20.鵠頭書

21.麟書

22.鸞鳳書

23.龜書

24.龍書

25.剪刀書

26,纓絡篆

27.懸針篆

28.飛白書

29. 수篆

30.金錯書

31.刻符書

32.鐘鼎篆

33.古篆

34.懸鐵書

35.鼎小篆

36.古鼎書

37.鳳尾書

38.太極篆

39.秦璽篆

1. 총 39종이나 上方大篆과  秦璽篆 는 형태가 유사하므로 동일한 종류로 분류하여 모두 38종이 됨.

2. 컴퓨터에서 출력하지 못하는 한자는 그 글자체를 그래픽으로 옆에 별도로 추가하여 표시하였음.



7. 북모양의 돌에 새긴 엽갈문(獵碣文)


7. 석고문

   전국시대 진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고문은 수렵에 관한 기록으로 알려져 엽갈문 또는 석고문이라고 알려져 왔는데 워낙 오랜 세월이 경과하다보니 마멸에 의해 지금은 알아볼 수 없게 되었고, 다행히 송대 탁본이 전해져서 이를 중각하여 전해 지고 있다. 이 송탁본은 절강성 천일각 소장으로 청의 완원이 1797년 중각하여 항주부학에 세웠고, 다시 1806년 중각하여 양주부학에 세워 전승했는데 그 후 천일각본은 화재로 소실되고 말았다. 현존하는 송탁본으로는 명의 안국이 소장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안국은 고탁본을 십여 통 소장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 북송탁본을 세 통 비장하고 있었다.

   석고의 크기는 대략 높이 90Cm, 직경 60Cm이고 각 석고마다 70여자씩 새겨져 있었다.



8. 진시황, 천하통일과 소전체(小篆體) 문자통일


8-1. 역산각석(嶧山刻石)

연대: 진(秦) 기원전 219년

중각: 송 순화 4년, 서기 994년 정문보 중각

서체: 소전체 찬서자: 진 승상 이사(李斯) 높이 218 너비 84Cm

   비석의 형태는 둥근 머리에 방좌형. 비문은 앞뒤로 15행이며 매 행마다 15자씩 새겨져 있다. 이사는 진시황대의 정치가, 법학가로 서예는 대전에 능하였다. 진시황은 기원전 219년, 전국을 순행하기 시작하여 산동성 역산현에 있는 역산에 올라 역산각석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태산에 올라서는 태산각석을 세우고, 동족의 산동 낭야에서는 낭야대각석을 세웠다. 내용은 모두 진시황의 공덕을 칭송하는 것으로 이사가 문장을 짓고 글씨를 섰다. 역산각석은 몇 종류의 모본이 전하는데 송 순화 4년 정문보가 중각한 모본을 장안본이라 하여 제일로 치며 현재 비림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8-2. 가량명(嘉量銘)

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전체높이 25.6Cm

신(新)나라 서기 9년 작

   한나라는 서기 8년 외척 왕망에 의해 멸망하고 왕망은 이라는 국호로 개국하였으나 한의 부활을 꿈꾸는 세력에게 서기 23년 멸망하고 만다. 을 기점으로 이전을 전한 또는 서한, 이후를 후한 또는 동한이라 부른다. 진시황을 숭상하여 개국하자마자 전국의 도량형을 통일하고 가량을 제작하여 전국 각지로 보내어 표준용기로 삼았다. 명문의 끝머리에 신나라 개국 원년에 새 도량형기를 제조하여 전국에 배포하니 자자손손 후세로 전해서 억년동안 천하가 그 혜택을 향유할지어다 하고 적었지만 신은 15년 만에 망하고 말았다.

   가량명은 조칙의 전문으로 20행 81자의 글자가 용기의 외부에 새겨져 있는데 서체는 장각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장엄하며 특별한 조형미를 나타내어 소전체의 전형으로 꼽힌다.


8-3. 설문해자(說文解字)

서기 100년 저술된 중국최초의 한자사전

   서기 100년 한나라의 허신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던 한자들을 정리하여 처음으로 설문해자라는 한자사전을 만들었는데 총 9,353자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놀라운 사실은 이 책에서 처음으로 글자의 기능별로 부수자의 개념을 도입하여 9,353자를 540군으로 분류하여 이 부수에 따라 찾아보기 쉽도록 배열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소속된 부수만 알아도 어떠한 뜻을 가진 한자인지 글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었다. 아직 예서가 탄생되기 이전이라 금문을 비롯한 소전의 여러 글자들이 총 망라되어 있어 전서를 공부하는 바이블이 되었고, 이 후 1716년 청나라 강희제에 의해 강희자전이 편찬되면서 이 기능별 540부수가 획수별로 214부수로 정리되어 검색에 편리하게 분류되어 지금까지 이 부수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部首名稱

각시씨

쟁기뢰

미칠이

기운기엄

귀이

새추

[氵]물수

오직율

비우

한일

작을소

[灬]불화

고기육

푸를청

뚫을곤

절름발이왕

손톱조머리

신하신

아닐비

점주

주검시

아비부

스스로자

낯면

丿

삐침

싹날철

점괘효

이를지

가죽혁

새을

메산

장수장변

절구구

가죽위

갈고리궐

개미허리

조각편

혀설

부추구

두이

장인공

어금니아

어그러질천

소리음

돼지머리해

몸기

[牜]소우

배주

머리혈

[亻]사람인

수건건

[犭]개견

괘이름간

바람풍

어진사람인

방패간

검을현

빛색

날비

들입

작을요

[王]구슬옥

[艹]초두머리

먹을식

여덟팔

广

엄호

오이과

범호엄

머리수

멀경몸

민책받침

기와와

벌레훼

향기향

민갓머리

스물입발

달감

피혈

말마

이수변

주살익

날생

갈행

뼈골

안석궤

활궁

쓸용

[衤]옷의

높을고

위튼입구몸

[彑]튼가로왈

밭전

덮을아

터럭발엄

[刂]칼도

터럭삼

짝필

볼견

싸울투

힘력

두인변

병질엄

뿔각

울창주창

쌀포몸

[忄]마음심

필발머리

말씀언

다리굽은솥력

비수비

창과

흰백

골 곡

귀신귀

튼입구몸

지게호

가죽피

콩두

물고기어

감출혜몸

[扌]손수

그릇명

돼지시

새조

열십

버틸지

눈목

갖은돼지시

소금밭로

점복

[攵]칠복

창모

조개패

鹿

사습록

[㔾]병부절

글월문

화살시

붉을적

보리맥

민엄호

말두

돌석

달릴주

삼마

마늘모

도끼근

[礻]보일시

발족

누를황

또우

모방

짐승발자국유

몸신

기장서

입구

없을무

벼화

수레거,차

검을흑

큰입구몸

날일

구멍혈

매울신

바느질할치

흙토

가로왈

설립

별신

맹꽁이맹

선비사

달월

대나무죽

쉬엄쉬엄걸어갈착

솥정

뒤져올치

나무목

쌀미

고을읍

북고

천천히걸을쇠

하품흠방

실사

닭유

쥐서

저녁석

그칠지

장군부

분별할변

코비

큰대

죽을사변

그물망

마을리

가지런할제

계집녀

갖은등글월문

양양

쇠금

이치

아들자

말무

깃우

[镸]길장

용룡

갓머리

견줄비

[耂]늙을로

문문

거북귀

마디촌

털모

말이을이

언덕부

피리약



9. 한 예서(漢隸書)의 정돈과 성쇠


9-1. 석문송(石門頌)

서기 148년 마애석각 한중박물관 소장

   석문송은 동한(東漢)의 항제(恒帝) 건화이년(서기148년) 에 새겨진 것으로 석문(石門), 즉 한중의 포사곡(褒斜谷)에 도로가 다시 개통된데 대하여 건위(楗爲),양맹문(楊孟文)의 공덕을 칭송하고자 새겨진 것으로 가장 초기형태의 예서이며 이십이 행으로 되어있고 행마다 약 서른 자의 글자들이 있다. 서체는 글자들이 매우 다양한 자태를 취하고 있고 획의 굵기 변화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 특색이 있다. 석벽에다 새겼기 때문에 탁본을 떠 보면 상당히 거칠지만 한대 예서의 또 다른 지평을 여는 글씨라 여긴다.

명대의 탁본은 가장 첫 행의 "惟"자 오른쪽 네 횡획이 분명하고 "高格下"중 "高"자 안의 "口"자를 새겨 넣지 않았다. 그러다 청나라 건가(乾嘉)년간 이후 "惟"자의 오른쪽이 주위의 석화(石花)에 묻혀있고 "高"자 안의 입구 자를 새겨 넣었다

   1970년 포성현에서 석문이 있는 골짜기에 댐공사를 하게 되자 이 훌륭한 문화유산을 물에 잠기게 할 수 없다고 하여 석벽을 두부모 자르듯이 싹뚝 잘라 한중박물관에 영구보존하면서 주변의 마애석각 13기도 함께 보존하게 되었다.


9-2. 예기비(藝器碑)

서기 156년 건립 산동성 곡부 공자묘 소장

   산동성 곡부에 있는 공자묘의 비림에는 한위(漢魏)이후 공자와 관련된 여러 석비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을영비(서기153년), 사신비(서기 168년)와 더불어 공묘삼비라 부르고,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예기비이다.

   예기비는 후한 영수 2년, 서기 156년 세워진 비로 한나라 노상인 한래가 공묘를 중수하고 제례에 사용할 예기들을 갖추게 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인데, 서예사에서는 한나라 예서의 가장 뛰어난 작품의 하나로 팔분예의 정상으로 꼽는다.

   팔분예(八分隸)란 청나라 옹방강이 팔자분산이란 표현으로 한나라 예서의 특징을 이전의 전서와 비교해서 표현한 것으로 소전이 장각에 의해 길쭉하게 늘어지는 형태임에 비해 八이라는 글자처럼 좌우로 분산되는 결구를 가진 예서체이다.

   예기비 서체의 가장 큰 특징은 파법에 있고, 파책의 마지막에 한껏 힘을 주어 강하게 긋는 필법은 힘차고 상쾌하여 매우 돋보이게 표현되는 데 있다. 더불어 一 二 三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횡획에서 느긋하고 대범한 결구와 기필에서 종필의 파임에 이르기까지 세련된 운필법은 팔분예 서법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9-3. 조전비(曺全碑)

후한 중평 2년 서기 185년 높이 272CM 너비 95cM

서안 비림박물관 소장

   한나라 예서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명비로 건립 후 땅속에 파묻혔다가 명대 만력(1573~1619) 초년에 섬서 함양 고성에서 출토되었는데 출토 당시 온전하였으나 지금은 두 조각으로 갈라져 있다.

본문은 20행 849자이며, 비음으로 441자가 새겨져 있다.

   지금 전하는 탁본은 대부분 비석이 깨진 후의 탁본이며, 출토 당시의 미단본 탁본은 매우 희귀한 가치를 지닌다. 비문은 오랜 세월 매몰되어 있었던 관계로 현재도 글자체가 또렷하며 그 서법은 기예가 능수능란하다. 장봉으로 붓을 기필하여 윤택함을 더하였고, 붓을 가지런히 천천히 펴서 표일한 멋이 나며, 배치를 뚜렷하게 하여 균정한 아름다움이 드러나고 있어 우아하고 수려한 서풍은 후한 예서 전성기의 최우수작으로 꼽히며 현존하는 수많은 한비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비석의 하나로 꼽힌다. 비문에는 조씨 일가의 가계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고, 특히 후한 말기 농민 봉기에 관한 중대한 역사사건이 적혀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9-4. 장천비(張遷碑)

서기 186년, 후한 영제 중평 3년 건립 높이 285cM 너비 96Cm

동평주학 소장

   기원 전 206년 고조 유방이 세운 한나라는 400여 년간 존속해 오다가 서기 220년 조조의 아들 조비가 세운 위나라에 망하고 소설 삼국지의 무대가 전개된다.

   석문송(148)에서 출발하는 한예명비 또한 을영비(153), 예기비(156), 사신비(168), 조전비(185)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고 장천비(186)에 와서는 고졸한 서체로 변모하게 된다.

   이 비의 제목은 한고곡성장탕음령장군표송이며, 제목이 말해주듯 장천곡성장으로 재직 시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이 그의 선덕을 표송하기 위한 것으로 장천이 탕음령으로 전보될 때 건립한 것으로 본다. 비문은 16행 566자, 서체는 한마디로 졸박하고 고직창휘하여 얼핏 무표정하고 평범한 모양을 하고 있으나 결코 단조롭거나 무표정한 서품이 아니며 조전비나 예기비에 비하여 필획이 살찌고 장중하다. 조전이 여성적이고 유려한 서품이라면 장천은 남성적인 졸박의 웅건한 서품으로 경박을 지양하여 미세한 변화를 숨기고 감추어 두텁고 후덕한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10. 위대한 서성 왕희지(王羲之)의 출현과 행서, 초서


10-1. 난정서(蘭亭序)

서기 353년 동진 영화 9년, 왕희지(서기 307~365)

   검은 먹이 부드러운 붓을 통하여 흰 여백을 헤집고 다니며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줄 때 서예라는 문자예술의 세계가 펼쳐진다.

장구한 세월에 걸쳐 발전되어 온 전서와 예서는 기록과 소통을 중시하는 인간 본연의 욕망에 충실한 통로를 마련해 주었고, 그 기록의 수단이 사람들에게 아름답다고 느껴지게 만든 것은 처음으로 왕희지에 의해서였는데 그 중에서도 그의 작품 난정서에서 비롯되었다.


   이 작품은 봄날 잔치의 흥겨움이 붓끝에서 피어나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즐거움에 도취되게 할 만치 아름다운 글씨로 전서와 예서가 공용되던 시기에 가히 전위적이고 혁신적이라 할 만큼 멋드러진 작품이었다. 그래서 왕희지 자신도 뒤에 술이 깨어 다시 써 보았지만 미치지 못하여 스스로도 신의 도움을 받았다고 찬탄하며 애지중지하여 대대로 전가의 보물로 전승했으며, 역대 고금의 서예가들이 이 난정서를 천하제일행서라고 이구동성으로 칭송하는 소이가 여기에 있다.


   <영화 구년 세재 계축 모춘지초>로 시작되는 이 명필 난정서는 28행 324자로 쓰여졌는데 서기 353년 음력 3월 3일, 왕희지사안 등 문사41명을 난정에 초청하여 수계를 행하고 유상곡수에 술잔을 띄우며 시를 읊었는데, 이 시들을 모아 시첩을 만들면서 손작이 후서를 쓰고 왕희지가 술이 거나한 상태에서 시첩의 서문을 적은 것이 천하의 보물 난정서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난정서의 원본은 왕희지의 글씨를 너무나 사랑하여 전국에 방을 내려 왕희지의 글씨를 수집하였고 저수량으로 하여금 진위를 감정케하여 진품을 내고에 간직하여 보존케 했던 당태종이 죽으면서 무덤에 부장품으로 소장했던 까닭에 전해지지 아니하고, 왕명으로 모사된 풍승소 신룡본 외에도 저수량 임모본, 구양순난정서 등 임모본 만도 500여 종이 넘는다.

이 서문은 문장으로서도 명문이어서 중국의 역대 명문들을 모아놓은 고문진보에 실려 있다.


10-2. 초결가(草訣歌)

   천자문을 모르고서는 한자를 공부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듯이 초서를 공부하는 사람 치고 초결가를 익히지 않고서는 초서에 입문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서예 5체 중 초서를 익히기가 가장 어렵다는데는 서예를 해 본 사람이면 어느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왕희지 초결가에서도 맨 첫머리에 <초성최위난 草聖最爲難>이라고 시작하면서 초서에 빼어나기가 가장 어렵다고 적고 있다. 따라서 초서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이 바로 왕희지의 초결가가 아닌가 싶다.

   초결가는 왕희지의 초서체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초서체의 글자들을 그 구성에 따라 풀이를 더해가면서 혼동하기 쉬운 글자들이나 두세 가지 글자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초서체들을 익히기 쉽게 운율을 붙여 일백여편의 구절로 노래처럼 편성했기 때문에 <초결백운가>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이 초결백운가를 모두 익혀 자유자재로 쓸 수 있게 된다면 천자문을 능가하는  왕희지 초서체 1,060자를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왠만한 초서작품은 무리없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위 교본의 내용에서 보듯이 초결백운가는 오언이구를 한 문장으로 하여 106개의 대구조로 총 1,060자의 초서체를 편偏, 방 旁, 유 類자를 흘려 쓰는 방법, 두 세 자로 한 자를 구성하는 방법, 점획의 증감을 통하여 다른 글자와 서로 변별하는 방법 등을 기술해 놓고 있어 초서를 공부하고자 하는 초학자에게 이보다 더 좋은 교재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편리성 때문에 돌에 새겨 교재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여러 종류의 탁본이 생겨났고 서첩으로도 제작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상고산방본이 정교하기로 유명하다.


10-3. 십칠첩(十七捷)

   17첩은 청대 삼희당의 보물이자 대만고궁박물관에서소장하고 있는 약 70만 점에 달하는 고미술품 중애서도 중국의 지보로 왕희지 초서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과 더불어 왕희지 초서의 대표작이다. <17첩>척독이라고 하는, 요즈음으로 치자면 엽서에 쓴 편지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의 짧은 글들을 작은 초서체로 써 놓은 것들인데 이것을 한데 묶어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 척독 모음집의 첫머리 글이 <17일 선서十七日先書>로 시작되기 때문에 후세 사람들이 17첩이라고 부르게 된 왕희지 초서의 백미이다.


   이 17첩이 왕희지 초서로 워낙 유명하다 보니 시대를 경과하면서 여러 종류의 판각본이 나오게 되었고, 그러한 판각본을 대별하여 두 부류로 묶을 수 있는데 그 첫 번 째가 이 탁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대자 행서 <륵勒>자가 새겨진 홍문관본 (또는 관본이라고도 함)이고, 다른 부류는 당대의 초서가 하지장과 송대의 하남본 계통을 묶은 하감본이다.

일반적으로 홍문관본이 저명하고 영향도 매우 컸고, 勒자 아래에

<홍문관에서 직접 교부하고, 신하 해무외가 새겨 관본에 충당하였다. 신하 저수량이 교열하였는데 과오는 없었다.>승권. 

이라고 새겨져 있고, 저수량의 교정과 검열을 필한 이 서첩이 왕희지 초서체의 정수라는데 이의가 없을 것이다. 


10-4. 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

   지영《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을 8백첩이나 써서 강동의 여러 사원에 나누어 주었다고 하는 만큼 여러 종의 천자문이 전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오랜 것은 송나라 대관(大觀)3년(1109)에 설사창(薛嗣昌)이 모각한 관중본(關中本)이고 그 밖의 명나라 말기에 유광양(劉光暘) 모각한 보묵헌본(寶墨軒本), 청대에 나언성(那彦成)이 모각한 용사기본(龍師起本)등이 지영천자문의 각본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양식을 구비하여 지영의 글씨로 보아 정당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관중본(關中本)이다.

   관중본(關中本)은 매행 10자, 표제를 합쳐서 2백 2행이고, 권후(卷後)에 설사창(薛嗣昌)의 발문(跋文) 15행이 있다. 그 발문은 우선 지영이 글씨에 뛰어 나고, 항상 연습을 했다는 말을 한 다음,「장안(長安)의 최씨(崔氏)가 소장하는 진적(眞蹟)이 특히 우수하므로, 석공을 시켜서 모각하여 조사(漕司)의 남청(南廳)에 보존하기로 했다. 대관기축(大觀己丑) 2월 11일, 낙안(樂安) 설사창기(薛嗣昌記)」라고 써 있다.


   석각(石刻)은 그 발문 뒤에 「질방강모(姪方綱摹) 이수영(李壽永) 수명간(壽明刊)」이라는 10자가 새겨 있는 게 원석(原石) 이고 번각(翻刻)에는 그것이 없다.



11. 당 해서(唐諧書)의 확립


11-1. 찬보자비(爨寶子碑)

서기 405년 건립

   한자의 발생과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이 비문만큼 흥미로운 글씨도 없어 당 해서편의 서두에 넣게 되었다. 그 이유는 이 비문의 글씨체가 예서인지 해서인지 아직도 의견이 분분할 만치 예서에서 해서로 넘어오는 과도기적 서체로 한자의 형성면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碑의 정식명칭은 진진위장군건녕태수탄부군묘비(晋振威將軍建寧太守府君墓碑)이고 동진 원흥 4년(서기405년)에 세운 것이다.


   晋나라 때에는 禁碑 정책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각석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이 비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비가 발견되기 전에는 왕희지 부자의 각첩 만이 東晋 시대 서예의 전부로 알고 있었으나 청대 이후 고증학과 금석학, 문자학 등의 발달로 남북조시대의 각석들이 발견됨에 따라 강소성에 있는 南梁의 예학명 (瘞鶴銘 )과 더불어 남조시대 최고의 각석 서예작품으로 꼽힌다.

   위비의 [중악숭고령묘비][국언운묘지] 등과 함께 예서와 해서 사이의 서체로 서체가 변하는 원류를 고찰할 수 있다.


11-2. 구성궁 예천명(九成宮禮泉銘)

서기 632년 건립 당 위징 찬 구양순 서

협서성 린유현 고궁 소장

   수씨(隨氏)의 구궁(舊宮)은 예전에 지었으니 이것을 버리면 아까울만 하고 이것을 헐려면 품이 겹친다. 일은 인순(因循)을 귀히 하니 어찌 반드시 개작(改作)하겠는가. 이때에 착조하기를 검소하게 하고 덜고 또 덜어서 그 태심(泰甚)을 버리고 그 퇴괴(頹壞)를 기워서 단지를 사력(沙礫)으로써 섞어하고 분벽(粉壁)은 도니(塗泥)로써 하고,옥체(玉?)는 토계(土階)에 접하였으며, 모자(茅茨)가 경실(瓊室)에 이어졌으니,우러러 장려함을 보면 기왕이 거울이 될만하며, 굽혀서 비검(卑儉)함을 살피면 족히 후손에 수훈(垂訓)할 수도 있다.


   당태종이 피서지를 수나라의 옛 궁궐 인수궁으로 결정하면서 내린 조칙인데 이 궁궐에서 좋은 샘물이 솟아나자 이를 예천이라 이름 짓고 위징으로 하여금 그 내력을 적고 구양순으로 하여금 글씨를 써서 비석에 새긴 것이 천고의 명비 구성궁 예천명이다.

<入道於諧有三 九成.化度.廟堂三碑耳 / 입도어해유삼 구성. 화도. 묘당 삼비이> 해서로 들어가는 길은 세가지가 있으니, 구성궁 예천명화도사비, 그리고 공자묘당비의 세 비문이다.


    이 말은 추사 김정희 선생께서 서예를 시작하는 분들이 서예의 기초공부를 해서로 부터 시작하라고 권유하면서 그 중에서도 구성궁 예천명이 해서의 대표가 될 만 하다고 하신 말씀이다.


11-3.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

서기 633년 당 정관 7년 높이 280Cm 가로 110Cm

서안 비림박물관 소장

   우세남이 글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후에 예종이 된 이 단<공자묘당지비>라는 전액을 쓴 비석이다. 비문은 34행 매행 65자.

명 가정 34년 (1556) 관중대지진 때 비석이 절단되어 세토막이 되었다. 비석 뒷면에 송 천희 3년의 발흥송이 새겨져 있다.

당태종 즉위 초, 공자의 33대 손 공덕윤을 포성후에 책봉한 것과 새로이 공묘를 수리한 일을 기록하였다.

   원비는 당 정관 초년에 새워져 서법이 아름답고 절묘하여 수차례 탁본이 이루어졌고 결국 심하게 훼손되자 측천무후가 예종에게 청하여 중각했으나 후에 소실되었으며, 현재 비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은 송 건덕 년간에 왕언초가 모각한 것이다.


11-4. 안탑성교서비(雁塔聖敎序碑)

서기 648년 건립 당태종 서문 찬, 당 고종 술성기 찬, 저수량 서

산시성 서안의 자은사(慈恩寺) 안탑(雁塔) 내에 있는 비(碑)

   현장삼장(玄奬三藏)이 인도에서 가져온 불전 번역에 대하여 당 정관(唐貞觀) 22년(648), 태종이 현장법사의 청을 듣고 응해서 내린 『대당삼장성교서(大唐三藏聖敎序)』황태자(고종)『술성기(述聖記)』저수량(禇遂良)이 서단(書丹)하여 서, 기(序, 記) 각 1비(碑)로 한 것. 영휘4년(653) 10월에 서비(序碑)가, 동년 12월에 기비(記碑)가 되어 후에 장안 년 간(長安年間, 701~705) 탑을 개수할 때 제1층 남쪽벽 좌우에 끼워 넣었다. 서기(序記) 양비(兩碑)는 흑대리석제로 모양과 크기가 같으며 서비는 좌서(左書)로 좌우가 대칭되도록 하였다. 석질이 견고하고 보존이 양호하며 결체법(結體法)도 완성되어 초당 석각 중에서 걸작품으로 꼽힌다. 곧이어 건립되는 집왕성교서비와 함께 서예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1-5. 안근례비(顔勤禮碑)

서기 779년 당 대력 14년 높이 268Cm 가로 92CM 안진경 찬서

비석의 3면에 44행 매행 38자 씩 새겨져 있다.

   안진경이 70세 때 증조부 안근례를 위하여 세운 비석이기 때문에 단 하나의 필선도 구차함이 없고 강건함을 깊이 드러내어 법도가 엄하여 사람과 글씨가 모두 완숙한 경지에 이르러 서법예술의 극치로 평한다. 서안 비림박물관에 소장된 안진경의 다른 비석들은 오랜 세월 수많은 탁본으로 인해 훼손이 심한데 이 비는 땅 속에 묻혀 있다가 근년에 발견된 덕택에 글자체가 원래의 면모를 잃지 않아 안진경체의 풍후하고 심웅한 풍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안체가 이전의 서체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수백 년 동안 유행하던 방절(모나게 꺾는 필법) 위주의 필법에서 벗어났다는 것이다. 전서의 원전필법을 해서에 인용하였으며, 잠두호미로 장봉과 수필에 주의하였고 파임 속에 예서의 잠두연미 필법을 수용하여 점획의 강인함과 두터움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자형에 넉넉함을 더함으로써 그 기세가 더욱 당당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최고의 명비작품으로 꼽힌다.



12. 삼체 천자문(三體千字文)


13. 오체 반야심경(五體般若心經)

   자랑스러운 우리문화재 고려팔만대장경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국보인데 그 내용의 첫 번째로 600권 500만 여자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의 대반야경을 싣고 있는데 이 분량은 팔만대장경 전체 분량의 삼분의 일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또는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이라고 높여 부르는 반야심경은 제목 10자를 포함해서 270자로 된 비교적 간단한 경전이지만 석가모니가 49년간에 걸쳐 설법한 이 대반야경의 내용을 요약하고 압축해서 엮은 불교의 핵심이자 요체이며 정수이다.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이 깨달음을 얻어 구도자 사리자에게 공-비움의 진리를 강조하여 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 구절의 주문 <아제아제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는 산스크리트어의 음역으로 <도달한 때, 도달한 때, 피안에 도달한 때, 피안에 완전히 도달한 때 깨달음이 있나니 축복 하소서>라는 뜻으로 이 주문을 지성으로 세 번만 외우면 온갖 고통을 다 진정시켜 준다고 하여 널리 독송되고 있다.


   이렇게 간결한 문장에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현장법사의 구도를 칭송한 당태종성교서에 이미 왕희지의 집자체로 비석에 새겨졌고, 구양순을 비롯한 역대 내노라하는 서예가 치고 이 반야심경을 작품으로 남기지 않는 사람이 없을 뿐 아니라 현대에 이르러서도 비단 불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서예작품으로 널리 쓰여지고 있다.


<명필 반야심경 모음 ; http://blog.daum.net/imrdowon/8468070>

   따라서 한자의 발생과 형성, 변천의 측면에서 한자가 어떻게 문자예술이라는 독특한 분야까지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어 다섯 가지 서체를 소개하는 의미에서 오체반야심경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http://blog.daum.net/imrdowon/8468555         

- 다음 블로그 <무릉도원> 도원장 님의 글 중에서 전재 ......   





불길하다. 딸이다”…3천년전 갑골문에도 ‘남녀차별’이…

이기환 | 스포츠경향 편집국장 겸 문화·체육에디터


은 무정(재위 기원전 1250~1192)의 왕비 부호가 출산을 앞두고 점을 친 과정과 결과를 새긴 갑골문. 만약에 정(丁)일이나 경(庚)일에 낳는다면 아들일 것이라는 점궤를 얻었다. 하지만 31일 뒤 갑인일(甲寅日)에 출산했는데, 딸이었다.

은 무정(재위 기원전 1250~1192)의 왕비 부호가 출산을 앞두고 점을 친 과정과 결과를 새긴 갑골문. 만약에 정(丁)일이나 경(庚)일에 낳는다면 아들일 것이라는 점궤를 얻었다. 하지만 31일 뒤 갑인일(甲寅日)에 출산했는데, 딸이었다.                      



(가)“부호(왕비)가 아이를 낳으려 합니다. 아들일까요?(婦好娩 嘉)”
(나)“정(丁)일에 낳으면 길(吉)하니 아들일 것이다.(申娩吉 嘉)”
(다)“(하지만) 갑인일에 아이를 낳았다.(甲寅娩) 길하지 않았다. 딸이었다.(不吉 女)”



■아들은 길하고, 딸은 불길하다 = 은(상)나라 중흥군주인 무정(武丁·재위 기원전 1250~1192)이 거느린 왕비는 64명에 달했다. 그 가운데 법정 배우자는 3명이었는데, 부호는 바로 2번째 왕비였다. 부호의 출산이 임박하자 조정은 점(占)을 쳤다. 태어날 아이가 아들인지, 딸인지를 물었다. (가)(나)(다)는 점을 치고, 그 결과를 적은 갑골문의 내용이다.

무정왕은 아들을 어지간히 바랐지만, 결국 출산날짜를 맞추지 못하는 바람에 딸을 낳았음을 알 수 있다. 매우 실망했을 것이다. 갑골의 내용을 보면 아들을 낳으면 ‘길(吉)’하고, ‘기쁘다’는 뜻의 ‘가(嘉)’로 표현했다. 반면 딸은 ‘불길(不吉)’하고 ‘기쁘지 않다(不嘉)’라 했다. 즉 점을 친 결과, ‘길’하면 아들을 낳아, 매우 기쁘지만 ‘불길’하면 딸을 낳고, 재수 없다는 뜻이다. 남아선호, 남녀차별의 뿌리는 이처럼 깊다.


■은(상) 시조설화에 숨은 뜻 = 은(상)나라(기원전 1600~1046) 시조설화에 그 비밀이 숨어 있다. 은(상)의 시조인 설(설)의 어머니는 간적(簡狄)이었다. 간적은 강가에서 놀다가 새(현조·玄鳥)의 알을 주워 삼킨 뒤 설을 낳았다. <시경>은 이를 두고 “하늘이 현조에게 명하여 내려와 상(商)을 낳았다(天命玄鳥 降而生商)”고 했다. 여기서 ‘알을 삼켜 낳았다’는 것은 한마디로 ‘아버지 없는 자식’이라는 뜻이다.

이를 두고 역사가들은 “이 시조설화는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임을 뜻하는 것’이라고 했다. 즉 ‘간적’은 모계 씨족사회의 마지막 여성지도자이며, ‘설’은 부계사회의 시조라는 것이다.

주지하듯이 은(상)의 시대는 청동기가 극성기를 이뤘던 때였다. 강력한 신권과 왕권이 공존했고, 아들이 왕위를 세습하기 시작했다. 자연 남녀차별의 풍조가 퍼졌을 것이다.




위 갑골문의 상세한 내용.

위 갑골문의 상세한 내용.



■“암탉이 울면 집이 망한다” = 이같은 딸은 ‘불길, 불행의 씨앗’이라는 전통은 계속 이어진다. 한비자(韓非子·기원전 280?∼233)는 “아들을 낳으면 서로 축하하고. 딸을 낳으면 죽였다”고 증언했다. 오죽했으면 성인이라는 공자(孔子)도 “여자와 소인은 길들이기 힘들다.(唯女子與小人爲難養也)”고 했을까. 그 이유가 기막히다.

“가까이 하면 버릇없이 굴고 멀리하면 원망하기 때문이다.(近之則不遜 遠之則怨)”(<논어> ‘양화’)

루쉰(魯迅·1881~1936)은 훗날 “공자가 말한 여자 속에는 그의 어머니도 있을까”하고 비아냥댔다.


   망국의 책임을 여자에게 돌리는 ‘몰염치’도 서슴지 않는다. 주나라를 세운 무왕이 대표적이다. 은(상)의 마지막 군주(주왕)을 치면서 출사표를 던진다.

“옛말에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이 망한다’고 했소이다.(牝鷄之晨 惟家之索) 은 왕은 부인의 말만 듣고 선조에게 드리는 제사를 그만두고 나라를 어지럽혔소.”

   여기서 주왕의 부인은 ‘희대의 요부(妖婦)’라는 ‘달기’(己)를 일컫는다. 주왕은 달기를 위해 주지육림(酒池肉林)을 만들어 벌거벗은 남녀들을 풀어놓았다. 또 불 위에 기름기둥을 걸어놓고는 죄수들에게 걷게 했다. 그들이 미끌어져 떨어지는 모습을 즐긴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포락형(炮烙刑)’이다. 사실 나라를 망친 장본인은 주왕 그 사람이다. 그런데도 주 무왕은 애꿎은 달기에게 책임을 물어 ‘암탉 운운’하면서 꾸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왕비 부호의 출산을 앞두고 친 점궤. 갑골에 “신(申)일에 낳으면 길(吉)해서 ‘아들일 것’(嘉)이라는 점궤가 나왔지만, 갑인(甲寅)일에 출산했다. 그래서 ‘불길(不吉)’하여 딸을 얻었다”고 기록했다.

역시 왕비 부호의 출산을 앞두고 친 점궤. 갑골에 “신(申)일에 낳으면 길(吉)해서 ‘아들일 것’(嘉)이라는 점궤가 나왔지만, 갑인(甲寅)일에 출산했다. 그래서 ‘불길(不吉)’하여 딸을 얻었다”고 기록했다.




■“아녀자가 왕이 되다니. 나라가 망하지 않은 것이 다행” = 굳이 중국에서 예를 찾을 필요가 없다.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은 신라 선덕여왕의 시대를 일컬어 “나라가 망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폄훼했다.

“남자는 존귀하고 여자는 비천하다. 어찌 아녀자가 안방에서 나와 정사를 처리할 수 있겠는가. 신라는 여자를 왕으로 세웠으니 참 어지러운 세상의 일이다. 나라가 망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다.(男尊而女卑 豈可許 出閨房 斷國家之政事乎 新羅扶起女子 處之王位 誠亂世之事 國之不亡幸也)”(<삼국사기> ‘신라본기·선덕여왕조’)

상대등 비담(毗曇) 등은 “(선덕)여왕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女主不能善理)”면서 반역을 일으키기도 했다.


   신라 35대 경덕왕(742~765)의 ‘아들 타령’은 끔찍했다. 조강지처인 왕비(삼모부인)가 아들을 낳지 못하자 궁궐에서 쫓아냈다. 만월부인을 새 왕비로 들였다. 왕은 표훈스님을 불러 “제발 아들이 생기도록 천제에게 빌어달라”고 간청했다. 하지만 천제의 응답은 “딸은 낳을 수 있지만 아들은 안된다”는 것이었다.

경덕왕은 “부디 딸을 아들로 바꿔달라”고 재차 간청한다. 그러자 천제는 표훈스님을 통해 “딸을 아들로 바꾸면 나라가 어지러워진다”고 경고한다. 왕은 “그래도 괜찮다”고 고집을 피운다.

천제는 할 수 없이 아들을 내줬다. 그 아들이 바로 혜공왕이다. 하지만 혜공왕이 즉위하자 나라에는 도둑이 들끓었다. 혜공왕은 마침내 반란군에게 살해됐다. 지나친 ‘아들타령’이 나라를 기울게 만든 것이다.



         출산 중인 신라시대 토우. 표정에서 산고(産苦)의 아픔이 배어나온다.

출산 중인 신라시대 토우. 표정에서 산고(産苦)의 아픔이 배어나온다.        

                



■경국지색의 고사 = 그런데 역사가들은 “여성의 빼어난 미모가 나라를 기울게 한다”고까지 하면서 또 여성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것이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는 고사이다. 고사(故事)는 한나라 무제 때 나왔다. 당대의 음악가인 이연년이 황제 앞에서 춤을 추며 노래했다.

“북방의 아름다운 여인, 그 미모가 단연 빼어나네.(北方有佳人 絶世而獨立)/눈길 한 번에 성이 기울고 눈길 두 번에 나라가 기우네.(一顧傾人城 再顧傾人國)/성과 나라를 기울게 함을 어찌 모를까.(寧不知傾城與傾國)”(<한서>·‘이부인전’>

중국 역사서는 걸핏하면 역대 왕조가 망한 까닭을 이 ‘경국지색’의 탓이라고 돌린다.


   주나라 유왕(782~771) 때의 일이다. 유왕이 총애한 여인 중에 포사가 있었다. 그런데 이 여인은 웃지 않았다. 왕은 여자를 웃기기 위해 무진 애를 썼다. 그런데 유왕은 전쟁에 대비하여 봉수와 대고(大鼓·큰 북)를 만들었다. 위험에 처해 있을 때 봉화를 올리고 북을 쳐서 제후들을 불러 모으려 한 것이다.


■서양도 마찬가지 =

   어느 날 유왕이 봉화를 올렸다. 제후들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적군은 오지 않았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포사가 깔깔 대며 웃는 것이 아닌가. 유왕은 ‘이거다’ 싶어 그 다음부터 날이면 날마다 거짓봉화를 올렸다. 제후들은 화가 나서 오지 않았다. 그런데 훗날

오랑캐(견융)와 끌어들인 반란이 진짜로 일어났다. 유왕은 다급하게 봉화를 올렸다. 하지만 양치기 소년이 된 유왕을 위해 아무도 오지 않았다. 주나라는 이 때부터 급속도로 쇠락했다.


   이밖에도 ‘경국지색’으로 망국의 책임을 돌리는 예는 많다. 춘추전국시대 오나라 부차(夫差·기원전 496∼473)는 월나라 구천(勾踐·재위 기원전 496∼465)이 바친 서시(西施)라는 여인 때문에 나라를 잃었다. 당나라 현종양귀비 때문에 현혹되어 나라를 누란의 위기로 빠뜨렸다.


   하기야 서양이라고 별 수 없다. 파스칼클레오파트라의 코가 한치만 낮았어도’라는 말은 상식이 되었다. 서양속담 중에서도 동양의 ‘경국지색’을 상징하는 것들이 제법 있다.

‘A fair wife and a frontier castle breed quarrels(미모의 아내와 국경의 성은 전쟁을 부른다.)’

‘Was this the face of Helen that launched a thousand ships and burnt the topless tower of troy’(수천 척의 배를 동원하고 트로이의 많은 탑을 무너뜨린 것은 헬렌의 미모였던가?)



태평성대는 여성의 몫 = 그러나 잘못된 역사는 죄다 여성 때문이었을까. 잘난 남성들이 정치를 제대로 했다면 결코 나라를 잃는 수난을 겪지 않았을 것이다. ‘여인천하’가 태평성대였던 때도 꽤 있었다.


   예컨대 한나라 시조 고조(유방)의 부인인 여태후는 고조가 죽자 어린 천자를 대신하여 정권을 잡았다. 물론 정권을 잡기까지 온갖 악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특히 고조 생전에 총애를 받던 척부인의 손발을 절단내고, 눈과 귀를 파내 돼지우리에 살게 했다. 그러면서 ‘사람돼지(人체)’라 불렀다. 그런 만행을 저질렀지만 여태후의 시대는 한나라 역사를 통틀어 가장 태평한 시대로 꼽힌다.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은 이같은 여태후의 비정한 정치와 정권욕을 맹비난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칭찬했다.

“모든 정치가 안방에서 이뤄졌지만 천하가 태평하고 안락했다. 백성들이 농삿일에 힘쓰니 의식이 나날이 풍족해졌다.”(<사기> ‘여태후본기’)


   측천무후(재위 690~705)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온갖 간계를 써서 황후가 된 그는 당나라 고종의 건강을 핑계 삼아 독재권력을 휘둘렀다. 문예와 이무(吏務)에 뛰어난 신흥관리를 등용하여 구 귀족층을 배척하였다. 690년 국호를 주(周)로 바꾸고, 스스로 황제라 칭했다. 중국 사상 유일한 여제(女帝)로 15년간 천하를 지배했다. 치세 내내 악랄한 책략과 잔인한 탄압을 가했다.

   요승(妖僧) 회의(懷義)장역지 형제와 추문을 남기는 등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과거제의 인원수를 늘려 과거체제의 위상을 높였다. 이같은 획기적인 인재선발 정책은 일반인도 사회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꿈을 불어넣었다. 토지-상업자본-학식이 결합된 지배층의 기반이 과거제를 통해 확립됐다. 이로써 전제왕정의 안정을 기했다. 농업발전에도 힘썼다. 또 당근과 채찍으로 이민족을 다스려서 변방의 안정을 도모했다. 절정의 정치력과 외교력을 발휘한 것이다. 결국 역사가 ‘여자 핑계’를 대는 것은 그야말로 ‘비겁한 변명’이었을 뿐이다.


   그리고보니 최근 대한민국을 쥐락펴락하는 여야의 수장(한나라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한명숙, 진보신당 이정희·심상정 공동대표)을 모두 여성이 차지했다. 이제 은(상)의 정인(貞人·점을 주관한 사람)이 와서 점을 치면 점궤가 이렇게 나오지 않을까.

“길(吉)하다. 기쁠 것이다. 기쁘다(嘉). 그러니 딸을 낳을 것이다.”


(참고자료) <‘갑골문 겸 갑골문해독’, 양동숙, 서예문인당, 2005년에서>






경향신문






考古随笔

甲骨文与随葬品中的商代王后妇好 王后·母亲·女将?
发布时间:2016-07-11    文章出处:中国考古网    作者:朱乃诚    点击率: 1211

  1976年五六月间由中国科学院考古研究所(即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安阳工作队安阳小屯村北发掘的殷墟小屯5号墓是迄今发现的唯一一座未被盗掘的商代王室墓葬。墓室上建有宗庙性质的建筑——“母辛宗”。墓葬中出土了1928件(组)精美的文物,包括铜器468件、玉器755件、宝石制品47件、骨器564件,还有贝、石制品等。其中许多是前所未见的珍品,展现了商代晚期高宗武丁时期王朝中兴、社会空前繁荣的景象。根据110多件青铜器上铸有 “妇好”铭文,以及甲骨文中对妇好事迹的记录出,多数学者同意其墓主即武丁妻子——妇好,并且是一位传奇的女子。
 
  甲骨文中的妇好
  
  武丁有64位妻子,但是法定的配偶只有三位,即妣辛、妣戊、妣癸。妇好(妣辛)是在武丁后期最早死去。妇好多才多艺,深得武丁的宠爱。在殷墟出土的十多万片甲骨文中,有近200片甲骨文记载了这位传奇女子的一些故事。王宇信、张永山、杨升南等甲骨学家已经对这些甲骨文作了充分的阐述。
 
  女将领
 
  妇好武丁的军队征集兵员。《殷墟书契前编》5.12.3“甲申卜,殻,贞乎妇好先登人于庞。”意思是武丁卜辞问:命令妇好为王的先导,从庞这个部族征集兵员吗?
 
  妇好率领13000人征伐羌方《库方二氏所藏甲骨卜辞》130“辛巳卜,贞登妇好三千登旅万,伐乎[羌]。”意思是武丁卜辞问:命令妇好征召13000军旅征伐羌方吗?这是甲骨文中记录的武丁时期征召军旅人员数量最多、规模最大的一次军事行动。
 
  妇好参加过伐土方的战争。 据《库方二氏所藏甲骨卜辞》237“贞王勿乎妇好往伐土方。”意思是武丁卜辞问:商王不命令妇好去伐土方吗?
 
  妇好率领过将领征伐东夷《殷墟文字乙编》2948+2950“贞王勿[令]妇好从侯[告伐夷]。”意思是武丁卜辞问:王命令妇好统率侯告伐夷方与否?
 
  妇好还参加过对西南巴方的战斗《殷契粹编》1230正),并打了一场漂亮的伏击战(《殷墟文字乙编》2948+2950)。
 
  这些卜辞表明,妇好作为一位将领统率,地位十分高贵,能率领最多达13000人的军旅以及有关将领进行征战,而且骁勇善战,深得武丁的信任。在妇好死后,武丁还将妇好当作神灵祭祀,以乞求对“”方战争的胜利(《殷虚书契续编》3.1.2“庚子卜,殻贞,匈 方于好,)。

 
妇好率领万三千军队伐羌方的甲骨文(图片采自《商王武丁与后妇好》第76页
 
 
妇好攻打巴方设埋伏卷的甲骨文(图片采自《商王武丁与后妇好》第174页)
 
  
主持祭祀
 
  妇好主持燎祭《铁云藏龟》45.1“贞勿乎妇好。”意为卜辞是问:不命令妇好去主持烧柴之祭吗?
 
  妇好主持过祭祀先妣。《殷契粹编》1232“壬戍卜,□,贞妇好□不往于妣庚。”意思为卜辞是问:妇好不去祭祀她的老祖母妣庚么?
 
  还有如妇好主持祛除灾殃的祭祀、主持祭祀神泉、主持祭祀宾祭等的记载。另外,妇好还派人进行祭祀活动。如妇好派人去眉地举行祭祀。(《簠室殷契征文•典礼》114、《殷墟书契续编》4.29.1“□,殻,贞妇好使人于眉。”
 
  这些卜辞表明了妇好不仅有异于常人的军事才能,在占卜算卦、主持祭祀方面也是得心应手,经常主持各种祭祀活动,祭祀对象常为先妣、父、母、神泉等。

 
  与武丁其他妻子的关系
 
  现于加拿大皇家安大略博物馆藏中的第128号甲骨文字记载了:“贞乎妇好见多妇于。 ”武丁命令妇好在徉这个地方会见“多妇”。这些卜辞说明妇好作为一位位高权重的卜官同时也以武丁法定配偶的身份会见其他夫人们。因此,从所有的甲骨文记载都可以看出妇好的地位之高,深得武王的器重。


 
妇好见“多妇”的甲骨文(图片采自《商王武丁与后妇好》第70页)
 
  生育
 
  在后宫生活中,武丁时常关心妇好的分娩预产期以及生男生女的卜辞。 《殷墟文字丙编》247:“甲申卜,殻,贞,妇好娩,嘉。王□占曰:其唯丁娩,嘉。其唯庚娩,弘吉。三旬又一日甲寅娩,不嘉,唯女。”甲申这一天贞人殻问:妇好要生孩子,吉利吗?商王武丁看了卜兆之后说:丁日这一天生吉利呢,还是在庚日这一天生吉利。结果是在三十一天之后的甲寅日分娩,不吉利,生了个女孩。妇好还生了男孩“孝己”,在妇好生前被立为太子。妇好死后,孝己被武丁的其他妻子谗言,放逐而死。
 
妇好生育卜辞甲骨文(图片采自《故宫文物月刊》总355期第17页)
 

  此外,许多卜辞记载了武丁关心妇好日常生活中的吉凶祸福与健康状况,也不断地占卜为之求神保护。在妇好死后,武丁为失去妇好而伤心,并为死去的妇好进行祭祀。这些都表明武丁对妇好的关心超过对其他诸妇,妇好与武丁的关系比其他诸妇要密切。
 
  依据甲骨文卜辞记录,我们大体可以看出,妇好是武丁最为宠爱的一位妻子,她能生育,会处理武丁诸妻的事务关系,能够主持重要的祭祀活动,是一位卜官,最引人注目的是能够率领众多将士四方征战,而且骁勇善战,屡建战功。
 
  妇好墓的随葬品
 
  妇好一生的传奇,在墓葬随葬品中得到了体现。1928件(组)随葬品中,有许多大型的青铜礼器与精美的玉器,还有许多兵器。如青铜兵器有4把钺91件戈、4件铲形器、37件镞(另有两束20件镞)等,占随葬青铜器总数的四分之一多。还有54件玉戈、玉矛、玉戚、玉钺、玉刀等玉质仪仗类兵器。数量如此多的武器随葬,表现了墓主人生前与征战活动的密切关系。
 
  其中两把铜钺加上木柲,重量都在10千克以上,是目前发现的商代形体最大、纹饰庄重典雅的铜钺,而且均铸妇好铭文,是妇好本人使用的兵器。可以想见当年妇好持此大铜钺征战四方的威武形象,所到之处,无不所向披靡。随葬品中还有开弓射箭的玉扳指,也应是妇好本人使用的。

编号M5︰799长39.5厘米,刃宽钺37.3厘米,肩宽28.9厘米,重9千克,铜钺两面都饰两虎食人首纹饰
 
编号 M5︰800长39.3厘米,刃宽38.5厘米,肩宽29厘米,重8.5千克,铜钺两面都饰一首两身龙纹
 
  在随葬品中,有5件“司母辛”铭文的青铜器,即2件“司母辛”青铜方鼎、2件“司母辛”青铜四足觥,1件方形高圈足器。妇好死后,孝己是同辈中法定的第一位祭奠者,5件“司母辛”器物,应是孝己为其母妇好所作的祭器。这表明墓主妇好确实有过生育。

  
M5∶809司母辛铜方鼎  M5∶809司母辛铜方鼎铭文
 
  
M∶803司母辛铜四足觥  M5∶850司母辛高圈足铜器
 
  妇好的形象
 
  通过对妇好墓出土的近2000件文物的分析,我们认为妇好的形象可能与随葬在墓中具有人物造型特征的器形或人物雕像有关。这类器物有16件,其中编号为M5∶371的圆雕玉人像可能体现的是妇好的形象

M5∶371圆雕玉人像
 
  M5∶371圆雕玉人像,玉质黄褐色,呈双手抚膝的安然跪坐姿态。整器高7厘米,宽约3.6厘米,厚约6.8厘米。首部为窄面厚头形。长脸尖颌,细长眉。双眼单线雕刻,刻纹较粗深,形状近“”字形,瞋眼正视前方,显得炯炯有神。低鼻粱,宽鼻凸,小嘴薄唇呈抿唇状,抽象形扁耳。后脑低平。整个头形与面部五官特征呈蒙古人种的特点,朗目疏眉,气宇轩昂。而深厚的头形,又显得是一位很有力量的人形。头戴圆箍形頍,用以束发。头发在后脑颈部拢向右耳后侧辫成长辫一条,往上盘至头顶,由头顶绕至左耳后侧,又沿后脑盘至右耳后侧,辫梢与辫根相接,压于圆箍形頍下。头顶露发丝,上有一对系孔,系孔前有一小孔,似为插笄或插冠孔。頍前有卷筒状冠饰。卷筒状冠饰两端分别饰三道凹玄纹,凹玄纹之间饰三组沿卷筒状弧旋的双线折角线纹。卷筒状的这些纹饰似表现了戴纹样的编织物卷成筒状、两端束箍后作为冠饰。
 
  圆肩,双臂与人体胸、腰、股间不相连,为镂空圆雕,呈现出细腰、垂曲细臂状态的女性形体的特征。
 
  身着衣,交领垂于胸,长袖至腕,窄袖口。宽带束腰,衣下缘似及足踝。腰下腹前系悬长条形“蔽厀”,下缘过膝部。脚似穿鞋。衣饰华丽花纹,以双勾阴线表现,整体似以勾角云纹为地纹纹饰,配上主题纹饰的龙纹与“”字形眼睛纹。如在衣袖与背部及衣下端饰勾角云纹,在上臂左右外侧分别饰“”字形眼睛纹,在衣下部的左右股外侧分别饰龙纹。左侧的龙纹尾部延伸为宽柄器上半部的主题纹饰。宽腰带上饰对角三角纹与菱形纹。“蔽厀”为素面无纹。这种具有花纹的丝织品应是当时的一种华丽的衣着装饰,显示着装者的雍容华贵,并且是目前所见商代最为华丽的着装。
 
  腰左侧边插一宽柄器,上端延至身后体外,器端呈两侧弯卷的卷云状,下端与人体腰部相接并伸向臀股侧边。宽柄器纹饰,左侧面的上部为与衣下部纹饰相连的一条龙纹,下部为独立于人体外部的勾角云纹;右侧面的上下部都为独立于人体外的勾角云纹。
 
  整个雕像的人像形态十分生动,尤其是脸部的五官特征、发辫、头的形状,以及手指等,表现得十分细腻,以仿真方式处理。而衣着的花纹与宽柄器纹饰则以当时流行的玉雕纹饰——双勾阴线组成的勾角云纹表现,似有夸张成分。
 
  总体上看,这是一尊写实风格极强的玉圆雕立体人像,是迄今发现的商代也是先秦时期写实特征最为鲜明、最为形象生动的人物玉雕作品。从雕琢工艺与技术角度分析,这样的人物玉雕作品,也只有在商代晚期武丁时期才可能产生。堪称中国古代首件完美的写实人物玉圆雕作品。
 
  M5∶371圆雕玉人像携带兵器的特点,主要体现在人像后端、插于腰左侧边的宽柄器。《殷墟妇好墓》考古报告曾提出这一宽柄器可能象征的是武器或具有某种含义的器物,张广直先生则将这件圆雕玉人像背后的宽柄器现象与巫师巫术联系起来考虑,但都没有对宽柄器作深入的分析。现提出三个进一步分析的切入点。
 
  第一,宽柄器不是在人像的后腰正中向后突出,而是在后腰的左侧向后突出,这现象表明将宽柄器制作于人像后腰左侧,不是受玉料的限制,而是有意雕琢。由此推测雕琢这一宽柄器表示的是人像携带的一种器物。这件器物可能是在腰左侧顺腰股部插入携带,因人像呈跪坐状,使得所携带的器物向人像后侧突出。
 
  第二,从宽柄器与跪坐人像的大小比例角度分析,宽柄器的形体较为长大,可能表现的是一种柄宽首宽刃的器物。当然不排除玉工雕琢时的夸张表现,宽柄器上的纹饰可能就是一种夸张的表现。
 
  第三,宽柄器所表现长柄宽首宽刃的器物,可能与墓中的随葬品有关。
 
  依据以上三点分析,可以在妇好墓出土的随葬品中寻找与M5∶371圆雕玉人像后端、插于腰左侧边的宽柄器形制特点接近的器物做进一步的分析。
 
  在妇好墓中出土的1928件(组)随葬品中,属长柄宽首的器物主要有兵器与工具可以进行对应的探索。而从形制特征看,只有一种两侧呈勾云内卷的青铜铲形器可能与宽柄器的形制特征有联系。
 
  妇好墓出土的两侧呈勾云内卷的青铜铲形器《殷墟妇好墓》将之归入青铜工具——铲,有四件。形制呈扁长方形,主要的特点是在铲体两侧后端呈勾云内卷,圆形銎,在銎部及铲体后部勾云内卷部分满饰精美的纹饰。

 M5∶715青铜铲形器,长11.5厘米,刃宽10厘米
 
GM21∶9曾伯青铜钺, 长19.3厘米,刃宽14.8厘米
 
  这种形制特殊、施精美纹饰的精制的青铜铲形器,其使用功能不应是工具类的铲,而是一种兵器。其形制精巧,便于随身携带。犹似后来的随身佩戴的剑。形制类似的青铜铲形器,在殷墟早年的发掘中,于安阳西北岗M1005墓中也有出土,表明这种青铜铲形器在商代晚期确实曾流行过。妇好墓出土的两侧呈勾云内卷的青铜铲形器的形制与M5∶371圆雕玉人像后端、插于腰左侧边的宽柄器端部的形制基本相同。而湖北枣阳郭家庙曾国墓地出土的GM21∶9曾伯 青铜钺,在器身正面铭“曾白(伯)铸戚戉(钺)用为民”,器物自铭证明这类形制的青铜铲形器确实是属于戚钺类的兵器。据此推测M5∶371圆雕玉人像后端的宽柄器象征的可能是两侧呈勾云内卷的青铜铲形器是人像携带的一种戚钺类兵器
 
  妇好身材的探索
 
  关于妇好的身材,依据墓中随葬的那些青铜兵器,尤其是两把大型青铜钺,可以推定妇好的身材高大而强壮,否则不可能舞动两把重达近10千克的大铜钺。另外,依据M5∶371圆雕玉人像的宽柄器所象征的两侧呈勾云内卷的青铜铲形器,也可以推测妇好的身材比一般女子要高大。因为青铜铲形器安装木柄之后的总长度可能达到80厘米左右。如果依照M5∶371圆雕玉人像及宽柄器的比例估算,人像的实际上身长约有80厘米,推测整个人像的实际站立高度可能在175厘米以上,是女子中身材高大的形象。
 
  此外,妇好墓中出土的玉扳指也可以说明墓主的身材高大强壮。M5︰973玉扳指呈深绿色,有褐斑。下端平齐,上端位前高后低的斜口。正面饰兽纹,背面有一条凹槽,为扣弓弦使用。可套入成年人拇指。我们曾经做过试验,这件玉扳指可以套戴在身高1.75米以上较为壮实的男子手指上。这是考古发掘出土的年代最早的玉扳指,也是目前发现的商周玉扳指中体量最大的一件。

M5︰973玉扳指,高2.7~3.8厘米,孔径2.4厘米,壁厚0.4厘米
 
M5︰973玉扳指套戴示意
 
  《史记•殷本纪》记述:武丁修政行德,天下咸欢,殷道复兴。”这是司马迁对商王武丁在位59年业绩的评价与赞叹。殷墟的发掘成果以及甲骨文的记录反映了武丁时期确实是商王朝最为兴盛时期,社会的政治、军事、经济、文化、艺术等空前繁荣。而妇好墓所展示的丰富的物质文化以及甲骨文对妇好事迹的记录表明,作为商王武丁的妻子——妇好,有着多样的人生经历与不凡的身份角色,得到商王武丁的宠爱,拥有大量的财富,地位显赫。
 
  所以在妇好死后,武丁将妇好的墓葬埋于宫殿宗庙区附近,并在墓上营建了纪念性的建筑物——“母辛宗”。墓中随葬了大量珍贵的物品。包括妇好生前使用的各种青铜礼器、武器与玉器,以及绝世佳品——绿松石象牙杯。755件玉器随葬,表明妇好生前特别喜爱玉雕作品,包括前世的各种玉雕珍品,当时流行的各种玉雕工艺品,并且由玉工雕琢了她自身的形象——M5∶371圆雕跪坐玉人像(见上图)。
 绿松石象牙杯
 
  也正是因为M5∶371圆雕跪坐玉人像塑造的是商王朝晚期盛世王后妇好本人生前的形象,才能够以技艺最好的玉工、非凡的雕琢工艺、极为认真的雕琢精神,模仿妇好的形象及携带兵器跪坐的姿势进行写实创作雕琢,生动逼真的形象、丰富细腻的特征,可谓是中国古代人物玉雕的极品。这也为我们充分展示了3200年前商代晚期玉雕工艺的成熟发展状态,让我们目睹了武丁时期玉雕巅峰之作的精品。这件玉雕作品,使得妇好在3000多年之后再现尊容,并且将传至永远。

(作者:朱乃诚  中国社科院考古研究所研究员。本文电子版由作者提供,原文刊于:《大众考古》2016年第5期)


 







자식을 품에 안은 어머니… 이보다 더 '아늑한 사랑' 있을까

[강상헌의 만史설문] <56> 좋을 호(好)




   여(女)와 자(子)가 합쳐진 글자 호(好)를 ‘여자와 남자가 엉킨 모습’이라며 키득거리는 이들이 꽤 있다. 술자리 재능과시 재료 중 하나일까. 스스로 ‘문자 있다’고 자부하는 이들 중에 이런 사례는 더 많은 것 같다. 好자는 3500년 전 문자의 새벽인 갑골문 시기 그림글자다. 어머니가 아들을 안고 있는 따뜻한 모습이다. 한자를 왕따시켜 버린 우리 사회가 겪는 필연적인 블랙코미디일까. 자(子)는 아들이고 자식이다. ‘남자’로 해석할 수 없는 단어다.



어머니와 아들, 강렬한 사랑의 형상인 모자상(母子像)은 예술의 영원한 주제다. 사진은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원초적인 기억일 터다. 엄마의 가슴은 생명의 바다인 자궁(子宮)처럼 아늑한 사랑이다. 눈길 주고받으며 나누는 그 본능의 애정을 잊는 사람은 없다. 그 아름다운 기억 앞에서 시인 아닌 사람 있을까. 그런데, 남자와 여자가 뭐 하는 거라고. 무지(無知)가 북채를 잡았나. 요즘말로 ‘무식이 드럼 치는’ 얘기 아닌가.

예전에도 술안주쯤으로 유통되던 일화(逸話)이긴 하다. 그러나 SNS를 통해 전해진 ‘오늘의 유머 한 토막’의 ‘EDPS의 원조 좋을 호 글자’ 대목을 보며 웃어야 할지, 한숨 쉬어야 할지 한참 헷갈렸다. 스마트폰 시대의 새로운 문맹(文盲) 현상으로 일단 주목한다.

또 언급할 대목, 이런 세태에 영향을 받은 것일까. 어떤 한자사전은 “…어머니와 아들 혹은 여자와 남자의 애정이라는 데서 ‘좋아하다’를 뜻한다”고 풀었다. 사전 집필자의 머릿속에 잘못 입력된 핑크빛 지식이 그렇게 어긋나게 반영된 것으로 본다. 이론이 있을 수 있겠다. 근거를 함께 제시해주면 다음에 논의할 주제로 삼겠다.

EDPS를 ‘전자데이터처리장치’라고 말할 사람은 별로 없다. 요즘 이 용어는 원래 뜻보다는 음담패설(淫談悖說)로 대충 이해한다. 음담패설은 오래된 스토리텔링으로 나름의 뜻과 지위를 갖는다. ‘나쁜 것’이라 할 것이 아니다. 그 뜻을 제대로 새기고 활용해야 하는 재미난 장르(genre)다. ‘포르노’(pornography)라는 옆집 장르도 있다. 다만 ‘19금(禁)’인 점 주의.


   엄마 젖을 빠는 아들의 모습, 모(母)와 자(子)의 합체인 (호)자도 好와 같은 글자다. 女 글자를 살짝 기울이고 젖꼭지 점 두 개를 찍은 것이 엄마 母 글자다. 그 변용, 감동적이다.

동아시아의 전통이 서린 한자가 음담패설로도 쓰이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그 글자는 애당초 음담패설의 대상이나 재료가 될 주제가 아니었다. 나와 내 어머니, 당신과 당신의 어머니의 모습이다. 이 모습이 ‘좋고 아름다운’ 것이다. 더 좋은 것이 있을까. 어느덧 그리움과 눈물을 부르는 그 이름, 어머니, 사랑합니다. 한자의 그림은 이렇게 읽는 것이다.

이 好자는 은(殷)이라고도 하는 중국 고대의 상(商)나라 왕비 부호(婦好)의 이름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왕비는 정복왕으로 유명했던 무정왕의 아내로, 전쟁에 직접 나서서 영토를 넓힌 장수(將帥)로도 유명하다. 



부호(婦好)에 관한 일이 기록된 상(商)나라의 갑골문.


   갑골문에는 ‘부호가 강(羌)족의 왕을 묶어올까요’, ‘부호에게 군사 1만3000명을 뽑아 정벌하게 할까요’하고 묻는 대목이 있다. ‘부호가 아이를 낳는데 길(吉)할까요(아들일까요?)’ 묻는 출산점(占)도 있다. 商(상·기원전 1600년경∼1046년)은 갑골문이 만들어진 시기의 문화수준 높은 나라였다. 전설의 인물로 그 존재가 전해져 오다가 1900년경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역사의 인물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당나라의 측천무후(則天武后·624∼705년)와 함께 중국 역사상 최고의 여걸(女傑)로 평가되기도 한다. 사람의 이름에 나쁜 의미의 글자를 넣었을 리 없다. 첫 好자도, 꼭 ‘좋다’나 ‘아름답다’는 뜻이 아니었더라도, 긍정적인 뜻을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엄마와 아이의 합체는 ‘좋은 것’으로 이미지가 고정이 된 것이다.

아들을 품에 안은 어머니의 모습은 자애롭고 성스러운, 찬탄의 대상이다. 미술의 주제 또는 대상으로서의 모자상(母子像)은 그래서 지역과 시대를 넘어서는 사랑의 상징이다. 기독교미술의 큰 주제인 피에타(pieta)는 그 상징 중의 대표 격(格)이다.

어머니와 아들의 모습은 이렇게 글자로, 예술작품으로 인류를 적신다. 포르노 또는 음담패설의 리스트에서 호(好)자를 지금 당장 빼야 하는 이유다.

강상헌 언론인·우리글진흥원 원장

호(好)의 옛글자들. 여(女)와 자(子)가 앞뒤로 바뀌기도 했다.
■ 사족(蛇足)


   피에타는 십자가에서 내린 그리스도의 주검을 안고 슬퍼하는 성모 마리아를 표현한 것이다. 미켈란젤로가 빚은 조각 작품 피에타는 종교와 인종을 뛰어넘어 오래 인류에게 감동을 준다. 피에타는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이탈리아 말이다.

고고학, 미술학, 이집트학 등은 피에타라는 이 미술의 장르가 이집트의 대표적 여신 이시스(Isis)가 어린 아들 호루스(Horus) 신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의 상징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한다. 피에타라는 미술형식의 원조가 이집트의 신들이라는 것이다.

이집트의 여신 이시스는 죽은 남편 신 오시리스를 신통력으로 잠깐 살려 사랑을 나누고 아기 호루스 신(神)을 낳는다. 호루스에게 젖을 먹이는 이시스 모습의 부조(浮彫)나 조각 작품이 이집트, 루브르박물관, 영국박물관 등에 많다.

친척과 친구 등 가장 가까운 사람들이 모여 죽은 그리스도를 애도(哀悼)하는 모습 중에서 마리아와 그의 아들의 형상만을 선택해 묘사한 피에타는 13세기 독일의 수도원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전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골문의 비밀 : 갑골문과 무정 왕, 그리고 부호 왕비

표지이미지
  • 자료유형

    단행본

  • 개인저자

    신영자

  • 서명/저자사항

    갑골문의 비밀 :갑골문과 무정 왕, 그리고 부호 왕비 =The oracle bones in the era of emperor Wu Ding and empress Fu hao /신영자 지음

  • 발행사항

    서울 :문,2011

  • 형태사항

    183 p. : 천연색삽화 ;22 cm

  • 총서사항

    高麗大中國學硏究所 문화시리즈 ;3

  • 부분표제

    Oracle bones in the era of emperor Wu Ding and empress Fu hao

  • ISBN

    9788994427126
    9788994427102(세트)

  • 서지주기

    참고문헌(p. 167-173)과 색인수록




mlibrary.korea.ac.kr/search/detail/CATLAZ000045648377?mainLink=/search/la..  







중국 문자의 시작 - 갑골문(甲骨文)
2009년 07월 06일 (월) 14:30:20

민재홍(중어중문) 교수  -

 

    문자는 언어를 기록하는 시각적인 부호이자 사상(思想)을 교류하는 도구이다. 한자는 중국인들에게 있어, 중국의 유구한 역사적 틀을 지탱해 준 문화적 유산일 뿐만 아니라, 한국·일본·베트남 등 다른 동아시아 문명권들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중국 한자는 은(殷)나라 때 거북의 껍질에 쓰여진 갑골문(甲骨文)에서 시작되었다. 甲은 거북의 껍질이라는 뜻이고, 骨은 짐승의 뼈를 말한다. BC 1300년 경,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 은나라 왕실은 나라의 크고 작은 모든 일을 거북 점(占)을 통해 길흉 화복을 판단하였다.

 거북의 껍데기나 짐승의 뼈를 쑥대불 위에 올려 지지면서 갈라진 흔적을 보고 길흉을 점치는 습속(習俗)이었다. 조상에 대한 제사, 지리, 출생, 건축, 해몽, 질병 치료, 결혼 등 왕실의 모든 일에 대해 먼저 점복을 진행하고, 그 점괘에 따라 행동하였다.  


    당시 황하 유역의 많은 거북들이 희생되었고, 현재 발굴된 거북 조각으로 볼 때, 약 16,000 마리의 거북이 몰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니, 가히 거북 위령제라도 지내야 할 것 같은 생각이다.

 갑골의 제작 과정을 보면 먼저, 거북의 내장을 모두 발라내 텅 비게 하면 평평한 배 껍질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이 지금의 A4지 한 장이 되는 것이다. 그 다음 점을 치고자 하는 내용을 거북 배 껍질에 새긴 다음, 쑥대에 불을 붙여 그 위에 올려 놓으면 껍질의 반대편이 갈라지게 되고, 이것을 보고 당시의 전문적인 점쟁이(貞人)가 점괘를 해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남쪽 땅에 풍년이 들까요?”, “며칠 뒤에 월식이 있을 거란 얘기가 있는데, 진짜일까요?”, “4일 뒤에 비가 내릴까요?”, “왕께서 새로운 마을을 만들려고 하는데, 일이 순조롭겠습니까?”, “왕비께서 아이를 출산하는데 순산을 하시겠습니까?”, “이웃 부족과 전쟁을 하려고 하는데, 언제 공격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등등. 모두 이런 식의 내용이다. 

 이처럼 은 왕실은 자신들의 기록을 거북 뼈와 짐승 뼈에 정성껏 새겨 놓았다. 그리고 그 기록들은 약 3200년 동안 땅 속에 묻혀 아무도 그 존재를 모른 채, 잊혀져 가고 있었다.


    그러나 역사의 진실은 언젠간 터져 나오는 법. 1899년 중국 하남성(河南省) 안양(安陽)의 한 농촌에서 나뒹굴고 있던 뼈 조각들이 발견되었고, 그 갑골에는 은나라 273년간의 역사들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었다.

 20C 초 갑골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당시 서구 열강들의 고고학자들이 대거 발굴에 참여하고, 많은 갑골 조각들을 자기 나라로 도굴해 가는 상황이 벌어졌다. 그래서 많은 갑골 조각이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일본 등으로 유출되었다.

 이렇게 되자, 중국에서도 정부 차원의 갑골문 연구 센터인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을 조직하여 대규모 발굴 작업 및 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현재까지 발굴된 갑골 조각에 실린 한자의 총 수는 약 5,000여 자이고, 이 중 2,000자 정도가 해독된 상태이다. 이 해독된 2,000자를 분석하면, 현재의 한자 해서체(楷書體)로 굳어지기 까지, 매 글자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갑골에서, 금문(金文)으로, 다시 소전(小篆), 예서(隸書)를 거쳐, 지금의 해서체 까지 어떻게 하나의 글자가 생성 발전 변화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사람 인(人)’은 사람이 서 있는 모습을 옆에서 형상화 한 것이고, ‘큰 대(大)’는 사람을 정면에서 바라보고 형상화 하였다. ‘큰 대(大)’자에 사람 머리 정수리 부분을 표현하면 ‘하늘 천(天)’이 되고, ‘대(大)’자의 머리 부분에 비녀를 꽂으면 ‘지아비 부(夫)’가 된다. 고대에 남자도 성인이 되면 비녀를 꽂았기 때문이다. ‘대(大)’자에 양쪽 겨드랑이 부분을 점으로 표시하면 ‘겨드랑이 역(亦)’이 되는데, 현재의 ‘또 역(亦)’은 원래 겨드랑이가 본래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大)’를 두 사람이 앙 쪽에서 끼고 있으면, ‘낄 협(夾)’이 되고, 사람의 양쪽 겨드랑이에 베 옷이 있으면 ‘시원할 상(爽)’이 된다. 또한 사람의 머리가 비뚤어지게 표현한 것은 ‘일찍 죽을 요(夭)’자가 된다. 이처럼 하나의 글자에 다른 부호나 글자를 추가하면서, 새로운 글자가 생겨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이 아(兒)’는 두개골이 아직 닫히지 않은 아이의 머리 모습을 형상화 하였고, ‘계집 녀(女)’는 두 팔을 앞으로 모으고 다소곳하게 앉아 있는 여인의 모습을, ‘어미 모(母)’는 여기에 가슴을 상징하는 두 점이 들어가 있다. ‘아내 처(妻)’는 꿇어 앉아 있는 여인의 머리에 비녀를 꽂아 주는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며느리 부(婦)’는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청소하고 있는 모습이다. 또한 우리가 일반적으로 여자(女)와 남자(子)가 함께 있으면 좋아서, ‘좋을 호(好)’라고 알고 있는데, 이는 갑골문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잘못 해석한 것이다. ‘좋을 호(好)’는 갑골문에 엄마가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사내 남(男)’은 밭에서 쟁기나 농기구를 들고 일하는 모습으로 상형화 하였다.


    또한 갑골의 특징은 거북의 껍질에 글씨를 쓰다 보니, 자연히 지금의 가로쓰기가 아닌 세로쓰기였다는 것이다. 이는 고대 중국의 주요한 쓰기 재료였던 대나무인 죽간(竹簡)과도 관련이 있는데, 세로쓰기로 사물을 표현하다 보니 모든 동물들을 左에서 右로 그린 것이 아니라, 上에서 下로 형상화하였다는 것이다. 갑골에 보이는 모든 동물들이 가로가 아닌, 세로로 서 있는 모습이 우스꽝스러울 정도이다.

 이와 같이 회화성을 보이는 갑골문은 이미 발음과 형태, 의미를 골고루 갖춘 완벽한 문자인 동시에, 후대 한자의 발전과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국 문자의 원류라고 할 수 있다.

ⓒ 덕성여대신문(http://www.dspress.org)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dspress.org/news/articleView.html?idxno=2615  




[fù hǎo]  

妇好

(商王武丁妻子)

编辑 锁定

妇好 [1] 好姓(古音(zǐ),同子姓),妇为尊称,中国历史上有据可查(甲骨文)的第一位女性军事统帅,同时也是一位杰出的女政治家。“妇”为亲属称谓。铜器铭文中又称“后母辛”是因为她的庙号称辛,即乙辛,周祭卜辞中所称的妣辛。祖庚祖甲的母辈“母辛”也就是她。
出土的大量甲骨卜辞表明,在武丁对周边方国、部族的一系列战争中,妇好多次受命代商王征集兵员,屡任军将征战沙场。曾统兵1.3万人攻羌方,俘获大批羌人,成为武丁时一次征战率兵最多的将领。参加并指挥对土方、巴方、夷方等重大作战,著名将领沚、侯告等常在其麾下。对巴方作战中,率领沚布阵设伏,断巴方军退路,待武丁自东面击溃巴方军,将其驱入伏地,予以歼灭。是为中国战争史上记载最早的伏击战。在"国之大事,在祀与戎"(《左传·成公十三年》)的商代,妇好还经常受命主持祭天、祭先祖、祭神泉等各类祭典,又任占卜之官,为武丁统治集团的重要成员。曾率兵镇压奴隶反抗斗争。竭心尽力维护奴隶主阶级统治和特权,深受武丁宠幸,被封于外地,担负守土、从征的重任。卒于武丁时期。 [2] 
因此武丁十分喜欢她,她去世后武丁悲痛不已,追谥曰“辛”,商朝的后人们尊称她为“母辛”、“后母辛”。 [3]  妇好墓于1976年于河南安阳殷墟发现 [4]  ,墓中的谜团正在不断发掘之中。
(概述内图片来源:《中国后妃百图》)
  • TA说
1976年,一座完封的甲骨坑在殷墟小屯宫殿基址区内出土,墓葬坑的主人拥有大量的青铜器玉器、甲骨、大钺和发笄,还有来自海外的货贝等等,表示墓葬坑主人是个很富有的王、祭司、大将军,而且是一位女子。...详情
相关新闻
    内容来自
    本    名
    妇好
    别    称
    母辛、后母辛、后妇好
    所处时代
    商朝
    民族族群
    华夏族
    主要成就
    平定鬼方、羌方、土方等地
    谥    号
    墓所在地
    河南安阳市殷墟博物苑
    墓发现时间
    1976年

    妇好人物生平

    编辑
    妇好是商王武丁60多位妻子中的一位 [5]  ,即祖己引的母亲。死后庙号“辛”,生活于公元前12世纪前半叶武丁重整商王朝时期,是我国有历史记录的最早的女政治家和军事家,中国历史上第一位有据可查的女英雄。从其墓中挖掘推断她的姓应该是“好”,“妇”则是一种亲属称谓,铜器铭文中又称“后母辛”。妇好的“好”字,卜辞的写法或者是左子右女,妇好墓出土的器物上(比如那件编号为827的觚)还有种很复杂的写法是中间一个“子”,左右各有一个“每(母)”,应该是“好”的繁构。
    妇好 妇好
    她是中国历史上有名的军事家,是个善于打仗的女将军殷墟甲骨文记录了她攻克了周边诸多方国,这在历史上都是罕见的。但妇好墓中出土的钺应属仪仗,由专人持握立于战车之上。值得一提的是,这种仪仗作用在我国早期的墓中多有发现。
    在我们民族的文明初期,和其他几个远古文明一样,同样遇到了古印欧人的威胁,但是,正是在妇好的带领下,我们成功地战胜了侵略者,把自己的种族和文明保存了下来,成为四大文明古国中唯一挺立至今的民族。
    妇好是商王武丁的妻子,出土的大量甲骨卜辞表明,妇好多次受命征战沙场,为商王朝拓展疆土立下汗马功劳。她还经常受命主持祭天、祭先祖、祭神泉等各类祭典,又任占卜之官。然而,妇好不幸在三十余岁去世,不过在商朝时期也不能算是早逝,然而,相对于在位59年的武丁来讲确实算是过早的逝去了,武丁十分悲痛,妇好有独葬的巨大墓穴,而且有拜祭的隆礼。这在商朝时期是非常少见的。
    1976年在河南安阳小屯西北发现其完整墓葬,在现存的甲骨文献中,她的名字频频出现,仅在安阳殷墟出土的1万余片甲骨中,提及她的就有200多次。她就是3000 多年前商王武丁的王后妇好。
    商朝的武功以商高宗武丁时代最盛,武丁通过一连串战争将商朝的版图扩大了数倍,而为武丁带兵东征西讨的大将就是他的王后妇好。甲骨文记载:有一年夏天,北方边境发生战争,双方相持不下,妇好自告奋勇,要求率兵前往,武丁犹豫不决,占卜后才决定派妇好起兵,结果大胜。此后,武丁让她担任统帅。从此她东征西讨,打败了周围二十多个方国(独立的小国),那时作战,出动的人数都不多,一般也就上千人,和大规模械斗差不多,但是根据记载妇好攻打羌方的时候一次带兵就有一万三千多人。也就是说占都城十分之一的军队都交给她了。
    妇好 妇好
    商高宗武丁前后立过三个王后,商王的妻子不但是他的配偶还是战将和臣僚,妇好是他的原配。不过武丁有六十多个妻子,妇好只是其中之一。值得注意的是妇好并不和武丁住在一起,而是经常待在自己的封地里。有自己的封地和财产。这种现象在后来的中国历史上再也没有出现过。不过在当时这似乎是个普遍的现象。武丁的妻妾兼女将除了妇好至少还有好几个,有名字记载的还有一位妇?,地位仅次于妇好,也曾多次率师远征,同时为武丁管理农业和内政。她被封在井方,也就是今天的河北邢台
    3000年后在前后相隔40年的两次意外发现中,她却作为商代最具体的形象出现在今人的眼前。商王为爱妻操持冥婚。但是,人们还是疑惑,为什么妇好会嫁给如此多的国王?难道在商代王后有权利多次配婚吗?中华书局的老专家赵诚已经退休多年,但是对甲骨文的研究仍然痴心不改,他对《甲骨文合集》2636版有其独到的见解:武丁是目前已知的商王中在位时间最久的国王,他在位59年,而他所珍爱的王后妇好在他之前就去世了。商代人迷信鬼神,崇尚天命。他们认为人世间的一切都取决于上天、神灵与祖先。武丁对妇好的感情极为特殊,也许是相爱至深,也许是相敬如宾,他对于妇好的离去总是难以释怀。于是,这位开明的君主就把他珍爱的妻子许配给去世已久的贤王,大概他认为,这些死去的祖先会在阴世保护他的妻子,或者,他也认为,妇好的杰出完全可以与伟大的帝王相提并论。甲骨文的卜辞正是武丁对祖先急切的询问。
    捕获的奴隶(南蛮子) 捕获的奴隶(南蛮子)

    妇好考古发现

    编辑
    考古发现
    妇好墓概况
    妇好墓概况(7张)
    1976年由殷商考古专家郑振香女士和陈志达先生主持发掘的妇好,被列为当年全国十大考古成果的前列。
    妇好墓位于丙组基址西南,是1928年以来殷墟宫殿宗庙区最重要的考古发现之一,也是殷墟科学发掘以来发现的、唯一保存完整的商代王室成员墓葬,该墓南北长5.6米,东西宽4米,深7.5米。墓上建有被甲骨卜辞称为“母辛宗”的享堂
    甲骨文中有关妇好的记载有200多条。她曾率领13000多人的军队去攻打前来侵略的鬼方,并大胜而归,因功勋卓著而深得武丁、群臣及国民的爱戴。妇好终因积劳成疾而先逝,国王武丁予以厚葬,并修筑享堂时时纪念。

      1976年发现的妇好墓是一座墓主人身份清楚、没有失盗的王室墓葬。该墓共出土随葬物品1928件,其中青铜器440多件,玉器590多件,骨器560多件。此外还有石器、象牙制品、陶器以及6000多枚贝壳。妇好墓出土的器物异常精美,如工艺精湛的小玉人、镶嵌绿松石的象牙杯等。在出土的大量的青铜器中,有多件上面铸有“妇好”的铭文。特别是一件带有“妇好”铭文的武器“钺”,学界普遍认为是妇好可以领兵打仗的权力标志。安阳殷墟博物苑建有复原的妇好墓,供游人参观。
    妇好享堂
    妇好墓出土文物(1)
    妇好墓出土文物(1)(21张)
    母辛宗),即是妇好死后,国王武丁为祭祀妇好,在其墓圹上所修建的宗庙建筑。妇好──庙号“辛”。其墓上的享堂,卜辞称“母辛宗”。这座建筑就是对母辛宗遗迹的科学复原。
    尊立于妇好享堂前的汉白玉妇好雕像,这是根据有关资料雕塑的。你看它目光炯炯,不怒而威,披坚执锐,威风凛凛,显示了华夏最早的巾帼女将的英姿和风采。她手持的这件龙纹大铜钺,是其生前曾使用过的武器,重8.5公斤。另一件虎纹铜钺重9公斤。妇好使用如此重的兵器,可见武艺超群,力大过人。古代的斧钺主要用于治军,曾是军事统率权即王权的象征。
    殷墟是商王朝后期的王都,据文献记载,自盘庚迁殷至帝辛覆亡,历经8代12王。据夏商周断代工程所列《夏商周年表》确认盘庚迁殷为公元前1300年,武王克商年为公元前1046年,共有200多年,商王朝居殷最久是无可争辩的。
    自1928年董作宾先生首次发掘殷墟至今(2013年)恰是75周年。殷墟早已蜚声中外,现仅就妇好墓的发现与发掘过程中的主要情况和收获作一回顾。

    妇好发掘经过

    妇好墓位于当时小屯村的西北地,这里原是一片高出周围农田的岗地,1975年冬,掀起“农业学大寨”平整工地的浪潮,这片岗地成为被平整的目标。要保护这片遗址必须提出充分的理由,由于过去没有在这一带作过发掘工作,对遗址内涵知之甚少,当时考古研究所安阳工作站的工作人员共同商量,决定对重要遗址进行钻探。小屯遗址的钻探工作由笔者负责,岗地上的棉杆尚未拔掉,只能在边缘钻探。11月20日开始,经钻探得知耕土层下即出现殷文化层,而且靠东部东西长约70米的夯土比较厚,向西较薄,岗地南边是取土形成的断崖,断崖南面是空地。我考虑如果将南边的断崖清理出来,所观察到的现象更为可靠。于是11月23日开始清理断崖的工作,陈志达也参加了清理工作,清理了三天,铲刮出长约140米的断面。东边显露出密集的夯土房基,向西地势较低,但仍有夯土。夯土房基的发现,为保护这片遗址提供了重要依据。经与村里的负责干部联系,请他们看过现场后,都表示同意保护,并说,今后也不在这里取土。保护遗址问题得到圆满解决,并决定第二年进行发掘。
    经办理申报,批复手续后,于1976年春季开展
    后母辛方鼎 后母辛方鼎
    了对小屯村西北地的发掘。重点是发掘建筑基址,参加工作的人员有郑振香陈志达南京大学历史系张之恒教授也参加了一段时间的发掘。为弄清房基下边夯土的范围和性质发掘了1号房基,清除房基土之后,下面出现的是一长方形坑,内填夯土,其南边被取土挖掉,但经钻探得知向下仍有夯土,找到其南边缘,整体呈长方形,很像一座墓,但钻探时一杆探不到底,于是系绳下探,由于夯土硬且干,探铲带不上土,探到5米多仍未到底,有人说,小屯墓坑少,尽是“死夯土”(指房基土),影响民工的情绪。于是采取先将局部向下挖,距地表深3米时停下来。我与有经验的技工商量,我们还得钻探,一杆探不到底可以加接杆,用螺丝柠紧,如果超过6米深就接近地下水了,夯土成湿泥也不好探,需加柠杆(拧杆是横插在接杆顶端的),有位老工人说,用拧杆要两人推动。我说,这好办,星期日停工,留下参加钻探的人员大干一天,目的是探到底,弄个水落石出,即是不是墓也放心了,在场的人表示赞同。
    5月16日是星期日,天气晴朗,我对大家说,咱们今天的任务就是探到底,多打几个孔,只要探到底无论出现什么现象,都算完成了任务,工人们干劲很大,开始在边缘探,几个孔在不同深度都碰到似石头的硬东西,打不下去。最后决心在中心部位钻孔,我想如果是墓葬应该有现象。有位年轻人说,这可是关键的一铲,使得在场的人情绪有些紧张。从距地表3米至6米深进度比较快。从水井得知此处水位是6.5米。故向下夯土变成泥,探铲探上的泥,上提时往往滑下去,这时加用拧杆用转动的力量向下钻孔,一铲铲下探,速度很慢,每铲上来都仔细看土质有无变化,工人们都很辛苦,从6米探到深7米用了半个多小时,正在推动拧杆下探时,突然探杆下陷了约70厘米,把杆下探的工人何保国紧握探杆,使尽全身的力气向下坠,探杆又下沉约50厘米,出现硬底。这时在场的人谁也没有出声,小心翼翼地慢慢向上拔铲,探铲提上来了,满铲都是鲜红的漆皮,气氛顿时活跃起来,大家异口同声地说,是墓葬,眼光敏锐的何振荣师傅发现铲内有件东西,他一把抓过来跑到水渠边上洗净,原来是一件玉坠,一座墓葬呈现在大家的面前。
    集中力量发掘此墓葬,基口长5.6米、宽4米、深约8米。当时对面积仅有20多平方米的一座竖穴墓,并未抱过高的希望,但出人意料的是在挖掘墓的填土中就不断出现遗物。遗物是分层埋入的,可分为6层,最先发现的是1件残陶爵,距地表深约3米,在墓穴东北部出现了一件大理岩石臼,出土时底朝上,翻过来一看,臼孔内满染朱砂,色泽鲜艳。这件臼的发现提高了大家的积极性,其后相继出土数层文化遗物。各层所出遗物不一一细说。仅将出土遗物最多的一层简述如下,此层距墓口深5.6米,在墓室中部有叠压在一起的3件象牙杯和大量骨笄,大概原是放在木匣中的。在其南面布满不同质料的随葬品,有石豆、成对的石鸟,精美的骨刻刀和一面铜镜,另有散放的骨笄多件。取出上层遗物之后,露出压在下面的遗物,有两面铜镜,一件大石蝉,另有小石壶、石垒、石罐等供玩赏的“弄器”,还有玉管,玛瑙珠等。出土时色泽鲜艳。清理完第6层已接近水面,但仍不断发现遗物,其中最重要的是刻有“后辛”二字的石牛、靠墓壁发现殉人骨架和狗骨架。由于不断有新的发现,工地气氛十分活跃,尤其是小青年问这问那,有的问会不会出个“虎头彝”(指)。老师傅说,说不定会出个虎头彝让你们开开眼,旁边的人笑起来。清理完这层遗物已临近水面,不再向下挖,水面以上的发掘告一段落。
    6月4-5日进行水下发掘的准备工作,原定6日开始发掘,但供电局未送电、工人们很心急,有位老师傅建议,用辘轳绞水可以下挖,对下边的情况多了解一些,已安排好下水的工人很赞成。于是商定只挖北端和墓室中间一小部分,向下挖了不久,中部出了两件玉簋和1件石人。北边大型铜器逐渐显露,最先露出水面的是大方鼎。鼎耳出来了,长方形口也很明显,围观的人喊,“铜炉”!大也露出水面。大型铜器的出现令人惊喜,但考虑到安全,停止下挖,并找供电局联系,要求解决供电问题,以便抽水,供电局同志看了现场,答应第二天全天供电。
    7日早上先抽去坑内积水,9点以后气温上升,工人分组轮流下水操作。先从椁室中部向下发掘,很快进入棺室,棺内布满玉器,开始取出1件向上传递1件,玉戈、玉人等不断送上来,但墓内遗物太多,传递太慢,于是将玉器放入水桶内,残铜器装入筐内,送上地面,一筐筐铜器取上来之后,用平车送到工作站,桶内的玉器由两人抬回去,陈志达与工作站的人员将玉器1件件用纸包好,放入纸盒内。工地上墓坑上下的人员都在紧张操作。大约午后1点多种,棺内的玉器,以及椁内的小型铜器已基本取出。恰在这时出水量少了。于是抓住这一有利时机,清理墓室周围陈放的大型铜器,大型铜器不能装筐,只能用绳索捆紧,再由强壮的工人顺着坑壁慢慢拉上来,由我记录下器物的出土位置排列顺序。参加发掘的人处于紧张的劳动中,围观的人熙熙攘攘,其中也有懂得古物的,每取上一件,就有人喊,又是一件,三联甗架被拖上来了,有人说,六条腿,这是啥?旁边的人说,没见过。偶方彝的器体取上来了,有个孩子喊,长方的像猪槽。负责安全的人在极力维护秩序,要大家不要挤,以后让大家看,但围观的人兴趣不减,议论纷纷。下午3点多,遗物取净了,最后将被朱砂和漆皮染红的水抽去,露出腰坑和生土底。在水下操作的人非常自豪,有的说,这个墓挖得干净利落,侯德隆师傅说,亮底了,放心吧,不会丢下东西。
    发掘结束了,戴忠贤、屈如忠二人将发掘过程中未喝完的酒拿出来说,大家喝酒吧。工人们边喝边议论,有的说,出了这么多小人,好几个虎头彝,真想不到。也有的说,从来没见过这么个坑。不久我们就在安阳工作站办了小型展览,各村的群众和安阳市的有关单位看了展览后表示满意,也为他们的家乡自豪。

    妇好随葬品

    妇好墓虽然墓室不大,但保存完好,随葬品极为丰富,共出土不同质料的随葬品1928件,有青铜器、玉器,宝石器、象牙器、骨器、蚌器等,最能体现殷墟文化发展水平的是青铜器和玉器。青铜器共468件,以礼器和武器为主,礼器类别较全,有炊器、食器、酒器、水器等。多成对或成组,妇好铭文的鸮尊、小方鼎各一对,成组的如圆鼎12件,每组6件,铜斗8件,每组4件。后母辛铭文的有大方鼎、四足各一对。其他铭文的,有成对的方壶、方尊、圆等,且多配有10、10爵。有铭文的铜礼器190件,其中铸“妇好”铭文的共109件,占有铭文铜器的半数以上,且多大型重器和造型新颖别致的器物。如鸮尊、圈足造型美观,花纹繁缛。三联甗、偶方彝,可说是首次问世。三联甗是灶形器与配套使用,它可以同时蒸出三大甑相同或不同的食品,又可移动位置,使用方便,是炊具的创新。汽柱甑形器实为汽锅,在昆明用汽锅蒸鸡,是一道美食,同样的炊器在3000多年前已出现,足以说明殷人对食品也是刻意求精的。
    妇好墓葬探访 妇好墓葬探访
    墓内的铜器群不仅是精美的艺术品,而且是商王朝礼制的体现。“妇好”铭文的铜器是一个比较完整的礼器群。“后母辛”铭文的铜礼器当是子辈为妇好所作的祭器,其他不同铭文的铜礼器大多是酒器,大型酒器配10觚、10爵。大概是贵族或方国奉献给这位赫赫有名的王后的祭器,这些也是研究殷代礼制的重要资料。
    武器有戈、等,两件铸“妇好”铭文的大铜钺最令人瞩目,一件纹饰作两虎捕捉人头,虎似小虎,形象生动。相似的图案曾见于“后母戊”大鼎的两耳上。似有震慑作用。
    墓内出土玉器多件,绝大部分完整或稍残缺。以深浅不同的绿色为主,也有棕色的,白玉很少。当安阳市玉雕厂的工作人员看了玉器之后,就有人提出墓内所出以新疆青玉为多,对这一见解我们很关注,后经多位有经验的人士验证,确定妇好墓内所出以新疆玉为主。后经科学鉴定,多为透闪石,也有阳起石。透闪石与新疆玉相合,所鉴定标本硬度为摩氏6度。新疆玉在殷墟的发现具有重要意义。
    玉器类别比较多,有等礼器,作仪仗的等,另有工具和装饰品。玉礼器对研究礼制极为重要,礼玉以琮、璧为主。《周礼·大宗伯》:“苍璧礼天,黄琮礼地”。这虽是反映周朝的观念,但用玉石器进行祭礼在新石器时代即已出现,而以良渚文化资料最为系统。尽管时代不同,考古文化不同,但用琮、壁进行祭祀当是一脉相承的。
    装饰品为数最多,有420多件、大部分为佩带玉饰,少部分为镶嵌玉饰,另有少数为观赏品。玉石人是研究当时人的发式、头饰、着装等的实物资料。各种动物形玉饰有神话传说的龙、凤,有兽头鸟身的怪鸟兽,而大量的是仿生的各种动物形象,以野兽、家畜和禽鸟类为多,如虎、熊、象、猴、鹿、马、牛、羊、兔、鹅、鹦鹉等,也有鱼、蛙和昆虫类。玉雕艺人善于抓住不同动物的生态特点和习性,雕琢的动物形象富有生活气息,如一件回首状的小鹿,表现出警觉的神情,而头部歪向一侧的螳螂则显得悠闲自在,生动传神。玉器之外还有绿松石、孔雀石、绿晶雕琢的艺术品和玛瑙珠等。3件象牙杯,有两件成对,造型美观,雕琢精致,堪称国之瑰宝。在此还应说一说墓内所出的6800多枚海贝,经鉴定为货贝,1件阿拉伯绶贝(也称阿文绶贝)、2件脉红螺。海贝产生于我国台湾、南海(广东沿海、海南岛、福建厦门东山以南),反映商王朝与我国东海、南海海域有直接间接的联系,是极重要的证据。

    妇好发现意义

    “妇好”之名见于武丁时期甲骨文,生前曾主持祭祀,从事征战,地位显赫。妇好墓属殷墟早期,与武丁时代相合。墓主妇好当为武丁配偶。其重要性在于该墓保存得好,年代与墓主身份清楚,是商王朝晚期的一座王后墓。上个世纪30年代在侯家庄一带的王陵区内发掘的大墓均遭古今盗掘,因此对商代王室墓的全貌知之甚少。妇好墓的发掘在某种程度上弥补了这一缺憾。墓内所出的铜礼群和武器,以及大量玉石器等,大体上反映了武丁前后商王朝礼器群的类别和组合,是研究商代礼制的重要资料。大型青铜礼器、武器和大量的玉器、象牙器也显示了商王朝的兴旺和手工业的发展水平。商文化是经过长期的发展所形成的,从玉器可以看出在发展过程中吸收了新石器时代某些文化的先进因素,如红山文化的玉龙、“猪龙”,良渚文化的琮、璧等,并不断发展和创新,丰富了商文化的内涵,为祖国的文化增添了光彩。妇好墓的各种文化遗物,以及贝类、海螺等,尚有待于我们从多方面、多视角进行研究。

    妇好近代猜测

    编辑
    一九七六年在河南安阳殷墟发现的妇好墓,使这位湮灭三千多年的女政治家和军事家的事迹重见天日,考古学家和历史学家认为应该给予这位古代的杰出妇女以应有的历史地位。
    公元前十二世纪时,正是中国殷商时期。由于频繁的战乱,商王朝留给今人的痕迹已经非常稀少,但是就在这些为数不多的遗物中,却有相当一部分属于一位特殊的女人。
    武丁见于史料的“诸妇”多达六十多位,其中只有三人拥有王后的地位,妇好则是第一位。而且也是伟大的商朝中兴之王武丁一生中唯一真正爱过的女人。
    在现存于世的甲骨文献中,“妇好”的名字频频出现,仅在安阳殷墟YH127甲骨穴中出土的一万余片甲骨中,她就出现过两百多次!而且武丁在这些占卜中向上天祈告的内容,包括妇好的各个生活侧面:征战、生育、疾病,甚至包括她去世后的状况如何。足见武丁对妇好用心之深。
    妇好并不姓妇,她的父姓是一个亚形中画兕形的标志,当她嫁给武丁成为王妻之后,武丁给了她相当丰厚的封土和士民,在她的封地上,她得到了“好”的氏名,尊称为“妇好”,或者“后妇好”。妇好的谥号为“辛”,商王朝的后人们尊称她为“母辛”、“后母辛”。

    妇好轶事典故

    编辑

    妇好民族拯救者

    在大约3300年前,地球经历了一次小冰期,全球气温下降,高纬度地区的生活条件急剧恶化。生活在亚欧草原上的古印欧人不得不向南迁徙,进而引发了史称“印欧大迁移”的事件。
    其中,讲小亚细亚-亚美尼亚印欧语的部落,从小亚细亚东部分几批横穿安纳托利亚高原进入欧洲。希腊此时已经有前期从小亚东部而来,与当地土著米诺亚文明混合而成的希腊语迈锡尼文明,但是后期来到的印欧人比较野蛮,对当地文明形成很大的冲击,使希腊进入了一个西方学者所谓的黑暗时期,直到大约400年后的公元前8、9世纪文化才开始逐渐恢复。
    另外一只向东迁徙的印欧人在中亚附近分开,一支继续向东最终到达中国的新疆,与当地文化混合形成小河文化。另一支向南进入印度后将创造出灿烂文明的印度原住民征服后,制定了种姓制度:入侵者在剽窃了原住民的文化后被列为最高的种姓,二者文化的真正创造者,印度的原住民却被列为低等种姓,最终,比中国起源更早的印度文明就在这种野蛮的种族隔离制度下逐步衰亡——因为被禁止学习就意味着政治人才的匮乏,所以印度历史上基本没有统一的局面,也没有国家和民族认同感。
    这次迁徙对文明的破坏影响到了整个欧亚大陆。但进入中国的这支印欧人未能继续前进,可能是因为巨大的人口规模优势,华夏文明在这场急风暴雨中屹立不倒,成为整个东亚的文明的灯塔。

      学者李济把武丁时期有关“西北战争”的甲骨文梳理后说:“这些最为可靠的原始资料,透露了中华民族在形成时代艰苦奋斗的真相,尤其是在内蒙古、河套一带发生的争夺战,实为奠定中国文明的一连串决战的序幕,其重要性不亚于传说中史学家歌颂的黄帝阪泉涿鹿之战。”
    他还用一些间接资料说明这场战争的伟大意义:武丁时代征伐的外族,“与蹂躏印度文化的雅利安民族以及征服两河流域的迦塞族有极其相近的文化关联,并且有些血缘关系;他们虽没有文字,却拥有很进步的战争武器”,但“在这一时代,中华民族在西北边疆打了一次勇敢的、胜利的自卫战,这一战奠定了殷商时代200年的文化生活,为东亚及太平洋区域建立了一个伟大文明的新基础"。

      印欧语族人根本不把其他民族的人当人看,他们不是设法和他们打败的民族融合,而是制定出种族隔离或种族灭绝制度:远的说,有入侵印度的印欧人(即雅利安人)的种姓制度;近的说,有欧美人在非洲贩卖黑奴和对美洲印第安人的屠杀。从这个意义上来说,妇好对于华夏文明的贡献足可与大明洪武帝相媲美,甚至更大,因为那时萌芽阶段的华夏文明架构还很脆弱,如同一棵小树苗,一场暴风雨就能将其摧毁;不像13、14世纪时已经有了深厚的底蕴和基础,如同参天古木,雷霆风暴过后,挺拔依然。
    老祖宗有句名言:“国之大事,在祀与戎。”也就是说,国家大事,除了祭祀与占卜之外,就是保卫边防、开拓疆土和掳掠奴隶的征战了。武丁是商朝历史上有名的一代雄主,他在位59年中,频繁出征作战,先后征服了西北、东南的周边部族,极大地扩充了王朝的版图,史称他统治的时期为“武丁中兴”。在这个过程中,妇好当然是一个举足轻重的人物。当时的文献里,对她参与的军事活动都有颇为详尽的记载。
    妇好墓穴玉凤 妇好墓穴玉凤
    妇好墓穴玉凤通高13.6厘米,壁厚0.7厘米,1976年河南省安阳殷墟妇好墓出土,现藏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 妇好墓出土了很多玉龙,而玉凤仅此一件,说明妇好对凤的极端重视。此器与商代甲骨文中的凤字极为似,是研究商代人心目中凤的形像的极佳实物。玉凤高冠勾喙,短翅长尾,作亭立回首欲飞状,飘逸洒脱,舒展的长尾自然弯曲,尾翎有合有分,素洁无纹。身前有透穿镂孔,更使凤体丰满迷人。背部外凸的穿孔圆钮,应是供穿绳悬挂之处。 凤的形像美丽、精巧,玉质晶莹润洁,让人忍不住多看一眼而持之难释。 《山海经》上说:“凤鸟首文曰德,翼文曰顺,膺文曰仁,背文曰义,见则天下和。”足见凤在当时还是道德、仁义的象征,也许当年妇好佩此玉凤,除了表示高贵,还寓吉祥之意。

    妇好久经沙场

    “辛巳卜,登妇好三千,登旅万,呼伐羌。”这是甲骨文中记载的出兵最多的一次战争,这次战争的最高统帅就是妇好。当时,久经沙场、战功累累的禽、羽等武丁爱将,都归妇好率领。那一仗打下来,羌人势力被大大削弱,商之西境得以安定。
    那时,距都城安阳西部(晋中南)有一个强悍的部族土方。他们经常肆意侵入商的边境,掳掠人口财物,是王朝多年的心头大患。于是,武丁命妇好率兵出战,只一仗,就打退了入侵之敌。妇好乘胜追击,彻底挫败了土方。从此土方再也不敢入侵,后来终被划入商的版图。
    妇好最精彩的战役是和武丁一起征伐巴方的一战。战前妇好和夫君议定计谋,妇好在敌人西面埋伏军队,武丁则带领精锐部队在东面对巴方军队发起突然袭击。巴方军队在武丁军与妇好军的包围圈中顾此失彼,阵形大乱,终于被围歼,南境遂平定。这大概也是中国最早有文字记载的“伏击战”了。

    妇好文武双全

    武丁 武丁
    贵为王后的妇好,不爱“红装”爱“武装”,或者说爱 “武装”更甚“红装”。在1976年发掘的妇好墓中,发现了精美的骨刻刀、铜镜、骨笄、玛瑙珠等许多女性专用的饰品,以及大石蝉、小石壶、石垒、石罐等供玩赏的“弄器”,这都说明她有女性娇美的一面。令人称奇的是,除却这些小玩意,陪葬品里还有大量的兵器。妇好墓出土了2件青铜钺,其中一件大钺长39.5厘米,刃宽37.5厘米,重达9千克。钺上饰双虎扑噬人头纹,还有“妇好”二字铭文。有文章根据此说妇好手持两柄大钺冲锋陷阵,并由此推断“妇好臂力惊人”。那是不了解历史造成的误解,那种巨型兵器双手持握尚可,一手一个就难以运用。其实这种作为权力象征的仪仗用器和军队使用的大旗一样,都是必须有专门一个人(贵族)持握,站在战车上,《诗·长发》说:“武王(汤)载旆,有虔秉钺。如火烈烈,则莫我敢曷。”这是说商汤(武王)伐桀,汤自己在战车上执着大旗,臣子有虔执着大钺,以示受天命而征伐。《史记·周本纪》说 “(周)武王左杖黄钺,右秉白旄以麾”,黄钺、白旄都是象征权力和威仪的用器,用来指挥三军(以麾),而不是拿着这两样东西去冲锋陷阵。黄钺就是青铜钺,因为青铜器刚刚铸造出来的时候是黄色的,古代又叫做“黄金”,放置时间长了才生锈变成青黑色。所以该钺并非实战兵器,而是妇好统帅权威象征物的仪仗用器,可见妇好掌握着征伐之权,这在当时应该是件很了不起的事情。
    妇好扁足方鼎 妇好扁足方鼎

    妇好政务

    卜辞里记载妇好参与的政务也不少,武丁经常派遣妇好外出办事,所以卜辞中贞问妇好是不是要到大商来?武丁命令妇好到某处去,顺利吗?

      妇好要派遣人去做事。妇好还和大臣配合为王办事。妇好还会见多妇,“多妇”是武丁众后妃的通称,武丁的后妃见于卜辞的就有六十多位,来自不同的方国和部族,都身份高贵。妇好在徉地召见多妇,可见妇好的身份要比多妇高。

      妇好还会见老人。统治者会见耆老(当时诸侯贵族中年高德昭的老人)是为了表示自己尊老敬老,爱护臣属。这件事情武丁也派妇好去做,可见对妇好的信任,同时也看出妇好地位的高贵不凡。

      妇好还要向大商进贡,卜辞说“妇好示十屯。宾。”(《合集》)“示”是进献的意思,“屯”就是“纯”,是占卜用的甲骨的计量单位,两片牛肩胛骨(即左右肩胛骨)为一纯,“十屯(纯)”就是二十片牛肩胛骨。最后的“宾”是武丁时期的卜官,是他接收了妇好进献来的卜骨,所以在卜骨上刻上自己的名字,表示是自己签收的。还记载她向大商进贡卜龟,卜辞说“好入五十”,卜辞中凡是说多少屯(纯)的是卜骨,仅说数字不说量词的是卜甲,就是占卜用的龟甲,这在古代是很难得、很宝贵的东西,称为“宝龟”,妇好一次贡50件,说明妇好很富有。

      犯人或奴隶逃走了,也让妇好去抓捕,卜辞说:“贞:呼妇好执”(《合集》),“执”甲骨文的写法是象双手持“幸”之形,“幸”是桎梏犯人的刑具,卜辞中的“执”就是抓捕犯人的意思。

      总之,妇好参与的大商事务甚多,凡是男人们能干的事情,妇好都有所参与,巾帼不让须眉。

    妇好占卜官

    妇好的重要性,除却王后和一流的军事将领的尊贵身份外,还体现在她拥有一个特殊的职位,那就是主持祭祀的占卜官。在她那个时代,人们迷信鬼神,崇尚天命,非常盛行祭祀占卜,特别是商王室和奴隶主统治阶级,几乎所有国家大事都要反复占卜、祈问鬼神。因此,祭祀是最重要的国事活动之一。而掌握这项最高神职权力的祭司,要具有广博的学识、崇高的地位,通过与鬼神沟通,成为国家重大国事的实际决策者。

    妇好夫妻情深

    妇好墓 妇好墓
    武丁是商王朝的第二十三位国王,第二十位王盘庚的侄儿。盘庚继位时,商王朝已经出现了内乱外患并举的迹象,盘庚为了摆脱困境,将商王朝的都城迁往北蒙(即今河南安阳)。盘庚完成迁殷的壮举之后若干年,商王朝的中兴之王武丁接过了王杖。
    武丁的经历,与近三千年后的俄国彼得大帝有异曲同工之妙。
    武丁的父亲小乙是盘庚的四弟,做梦也没有想过自己能继位为王。因此在武丁小的时候,小乙将自己的儿子武丁送到民间去生活。武丁没有向任何人吐露自己的王族血统,而是象一个普通人那样学习各种劳作的知识,像一个普通人那样经历各种疾苦,从而为他未来继位中兴王朝奠定了基础。也正是这段经历,使他得到了筑屋奴隶出身的傅说
    武丁是个性非常强、也非常富于情感和壮志的君主。妇好就是武丁的第一位王后。她嫁给武丁之前的身份,应该是商王国北部部落的公主,有着非同一般的出身和见识。妇好十分的聪明,也有着超乎寻常的勇气和智慧。商王朝武功最盛的君王武丁是她的丈夫,而武丁时代的赫赫武功中,有着妇好相当一部分的功劳。商王朝带着浓烈的母系氏族遗风,这几个形容词用在商王后的身上,一点问题都没有。妇好臂力过人,她所用的一件兵器重达九公斤,足见她的身体强壮。而该兵器为大,更可见她的骁勇。
    妇好和武丁,是一对真正志同道合的好夫妻。刚刚结婚的时候,武丁对妇好领兵作战的能力还不是非常了解。某年夏天,北方边境发生外敌入侵,派去征讨的将领久久不能解决问题,妇好便主动请缨,要求率兵前往助战。武丁对妻子的要求非常犹豫,考虑很久之后,还是通过占卜才决定让王后出征。没想到,妇好一到前线,调度指挥有方,而且身先士卒,很快就击败敌人,取得了胜利。
    商代女战神 商代女战神
    武丁从此对妻子刮目相看,封妇好为商王朝的军事统帅,让她指挥作战。从此以后,妇好率领军队征讨作战,前后击败了北土方、南夷国、南巴方,以及鬼方等二十多个小国,为商王朝开疆拓土立下了不朽战功。其中,在对羌方一役中,武丁将商王朝一半以上的兵力都交给了她:一万三千余人。这场战役大获全胜,也是武丁时期出兵规模最大的一次。
    除了率军作战,妇好还掌握着商王朝的祭祀占卜之典,经常主持这类典礼。她是名副其实的神职人员,最高祭司。
    妇好为武丁和商王朝立下的最伟大战功之一,就是率领一万三千人的大军征讨西北的内蒙古河套一带的敌军之战。这场战争对于殷商王朝乃至于整个中华历史,都具有伟大的划时代意义。
    陪葬品 陪葬品
    当然,武丁并不是只会窝在王宫里,为出兵放马的妻子占卜问天的无用男人,他自己也屡屡率军出征。在攻打巴方国(今湖北西南部)的时候,他和妇好一起领军,并且分工合作——让妇好在西南方设下埋伏之阵,自己率领各路侯伯从东面发动攻势,将敌人赶入妇好的铁桶阵中,一鼓歼之。
    每当妇好单独出征、凯旋的时候,武丁总是抑制不住喜悦出城相迎,有一次一直迎出八十多公里。当这对夫妻带领着各自的部属,终于在郊外相遇的时候,久别重逢的激动使他们忘记了国王和王后的身份,将部属们甩在后面,两人一起并肩驱策,在旷野中追逐驰骋。而武丁更将妻子看得无比重要甚至于既爱且敬,这一次浪漫的并骑留在了史料中,而没有见诸文字的恩爱自然更多。琴瑟和谐,羡煞后人。
    武丁是一个非常有见识的君王,他并不因为妇好是自己的妻子,就认为她理所应当要无偿为自己的国家奉献。在妇好立下赫赫功绩之后,论功行赏之时武丁没有忘记她,给她划分了封地。
    妇好在自己的封地上,就是一切的主宰,她主持封地范围内的一切事务,拥有田地的收入和奴隶民众。她还向丈夫武丁交纳一定的贡品,一切都按照国王和诸侯的礼仪来办理。决不因私废公。妇好的封地一定是商王朝最富庶的地方之一,因为在她的封地上,她拥有自己独立的嫡系部队三千余人——在那个年代,普通小国的全部兵力也不一定能够达到这个数目。由于经济独立,妇好能够为自己铸造大规模的青铜制品,现存于世的妇好偶方鼎就是其中之一。
    “后辛”石牛 “后辛”石牛
    武丁和妇好,不但是感情方面的夫妻,也是事业方面的伙伴。为了管理自己的封地,妇好经常离开王宫,到封地去生活(有点象如今的职业女性因公出差)。小别胜新婚,妇好虽然常因征战和理政与武丁分别,但是仍然屡屡为他生育儿女。
    然而妇好三十三岁就死去了。虽然相对于那个时代,她的享年已经不短,但是相对于她享国长达五十九年的丈夫武丁,却太短暂了。
    妇好的不幸去世,使武丁非常痛心,将她下葬在自己处理军政大事的宫室旁边,让自己随时都能看到妻子、日夜守护着她。
    即使如此,武丁仍然觉得自己守护的力量不够,不足以深达幽冥。于是,他率领儿孙们为妇好举行了一次又一次大规模的祭祀,并且为妇好举行了多次冥婚,将她的幽魂先后许配给了三位先商王:武丁的六世祖祖乙、十一世祖太甲、十三世祖成汤。在最后将妇好许配给成汤之后,武丁终于放下了心,认为有多达三位伟大的先人共同照看,妇好在阴世里能够得到安全和关怀了。
    妇好为武丁留下了儿子,名叫孝己。而妇好在艰难中生育的女儿是谁呢?武丁至少有过两个女儿担任过商政府中的官员,并且象妇好那样拥有自己的封地。她们是子妥和子媚,即子妥鼎、子媚鼎的主人。谁是妇好的女儿?也或者除了子妥和子媚,还另有其人。

    妇好去世之谜

    从已经翻译过来的甲骨来看,妇好的死因有好几种可能。
    青玉簋 青玉簋
    甲骨卜辞上,有这样的记载:“妇好要分娩了,不好。三旬又一日,甲寅日分娩,一定不好。女孩。”妇好是因为难产而去世的吗?
    还有一块甲骨上的记载则是:“出贞……王……于母辛……百宰……血。”又忍不住让人揣测,妇好是因为战役而亡,至少也是战伤复发而逝——那年头的战争,其实就是大规模的械斗,想要不负伤,恐怕不可能。所以武丁才为她复仇而战。

    妇好卜辞记载

    编辑
    壬寅卜,壳贞:妇好娩嘉?壬辰向癸巳娩,叀(惟)女。《合集》6948正
    己丑卜,壳贞:翌庚申,妇好娩?贞:翌庚申,妇好不其娩?一月。《合集》
    甲申卜,壳贞:妇好娩嘉?王乩曰:其叀(惟)丁娩,嘉;其叀(惟)庚娩,弘吉;三旬又一日甲寅娩,不嘉,叀(惟)女。《合集》14002正
    叀妇好令比沚瞂,若?(《合集》7501)
    辛巳卜,争贞:今者王共人呼妇好伐土方。《合集》6412
    辛未卜,争贞:妇好其比沚瞂伐印方,王自东亳(薄)伐捍,陷于妇好立(位)。《合集》6480
    贞:王令妇好比侯告伐尸方。《合集》6480。
    辛子卜,□贞:登妇好三千,登旅万,呼伐□。《英》150正

    妇好历史评价

    编辑
    从历史记载可以发现,妇好去世多年之后,武丁仍然对她念念不忘。按照国家制度,武丁在妇好去世后又册立了新的王后。然而这位王后虚有其名,武丁眼前心底,仍然只有妇好一人,对新王后视若无睹。不久,这位王后就在抑郁中离开了人世。于是第三位王后又应运而生……每当国家有战事,武丁都要亲率子孙大臣,为妇好举行大规模的祭礼,请她的在天之灵保佑自己能够旗开得胜。
    腰佩宽柄器玉人(奴隶) 腰佩宽柄器玉人(奴隶)
    上世纪,安阳小屯村的殷墟被陆续发掘,然而十一位曾定居安阳的商王大墓已仅剩了十一座空陵,在三千年的历史中早被盗得空空如也。谁也没有想到,保存完好如初的却是妇好墓
    一九七六年五月十七日,一位女考古学家郑振香,主持了另一个女人,商王后、大将妇好墓的发掘。
    墓中出土了4面铜镜,还有4件铜钺以及130件青铜兵器。除了以一对后母辛大方鼎为首的200余件青铜礼器,还有十五种共156件酒器、以及来自新疆等地的玉器佩饰755件、来自台湾、海南甚至更远处的海贝7000多枚、各色宝石制品47件。以及各种陶器、石器、海螺等等。除此之外,还有为妇好殉葬的16名殉人、6条殉狗。
    如此丰厚的陪葬品,不仅体现了武丁对妻子的敬爱之情,更体现了妇好生前丰富多彩的生活。她不但是一位将领,能征善战且善饮,更是一位尊贵的贵妇人,爱美而且擅于修饰,更是一位拥有独立经济能力的贵族领主,拥有庞大的奴隶群。
    妇好,是中国历史上第一位真正的传奇女子,伟大的王后。

    妇好影视形象

    编辑
    舞剧《武丁与妇好》海报 舞剧《武丁与妇好》海报
    20世纪20年代的豫剧剧目《龙凤令》,就是根据关于妇好的民间传说而创作的剧目。
    近年, [6]  台湾汉唐乐府新排南管乐舞剧《武丁与妇好》,本剧力邀奥斯卡金像奖得主、华人艺术之光的叶锦添先生合作,共同打造“殷商王后”舞台服装之艺术新境。







    词条图册 更多图册


    词条图片
    词条图片(18)
    妇好墓概况
    妇好墓概况(7)
    妇好墓出土文物...
    妇好墓出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