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23. 18:27ㆍ글씨쓰기
드디어 갑골문의 세계로 - 漢字의 발생과 형성(1) 서예
기록이 비교적 충실했던 중국에서도 불과 일백년 전만 하더라도 주(周)나라 이전의 상고사는 신화로 존재해 왔습니다.
그 신화가 역사로 편입된 것이 갑골문의 발견으로 인해서 적어도 기원전 1600년,지금으로 부터 약3,700년 전 까지로 거슬러 올라 가게 되었습니다.
갑골문이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 1899년,당시 북경의 국립도서관 관장격인 국자감 좨주 왕의영에 의해서 발견되었습니다.
금석학자이기도 했던 왕의영이 병에 걸려 한약재로 치료를 받던 중, 약재 중에 섞여 있던 용골이라는 뼈 조각에서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보게 되었습니다.
왕의영은 너무나 놀란 나머지 용골을 구입한 한약방으로 달려가 용골을 가져온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고, 얼마 후 산동의 골동상 범유경으로 부터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구입할 수가 있었습니다.
왕의영은 구입한 이 갑골에 새겨진 문자들이 금문 보다 훨씬 앞선 고대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듬해 1900년에도 왕의영은 수천편의 갑골을 구입했으나 유감스럽게도 그 해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왕의영이 수집한 갑골은 제자 유악이 입수했고, 그는 1903년, 왕의영으로 부터 전해 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서 <철운장귀>라는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내게 되어 갑골문이 최초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 후 <갑골 4당>이라는 라진옥, 왕국유, 동작빈, 곽말약에 의해 갑골문자에 대한 고증과 주석이 이루어지게 되어 중국의 고대 상나라 <수도였던 은허의 유적에 의해 은나라로도 불리움 / 기원전 1600년 ~기원 전 1046년>의 신화가 역사로 편입되어 중국 고대문명을 밝혀 주는 확실한 증거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갑골문은 지금까지 약 16만편이 발견되었으며, 중복된 글자를 제외하고 약 5천여자가 사용되었는데, 이 중에서 약 1천여자가 확실하게 해석되어 문맥을 파악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신영자 지음/ 갑골문의 비밀에서 간추림>
< 은나라 전성기의 무정왕 갑골문> 작품 구상
이 작품은 아래 갑골문 체본을 근거로 주변에 갑골문자를 자의로 구성한 것입니다.
<갑골문 체본>
앞으로 이 작업은 아래의 스케쥴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며, <은 무정왕 갑골문>은 그 첫 단추를 꿰는 작업입니다.
한자(漢字)의 발생(發生)과 형성전(形成展) 기획
1. 원시의 골짜기 甲骨文의 세계
1-1. 은 무정왕 갑골문
1-2. 은 부호왕비 갑골문
1-3. 은 말기의 갑골문
1-4. 갑골문 작품
2. 그림에서 태동하기 시작하는 殷 金文
2-1. 양마천시부정
2-2. 자복자요자룡
2-3. 거부신거어거집어
2-4. 제기차정부계
2-5. 소신존 금문
2-6. 소자 금문
2-7. 중자 금문
2-8. 극정 금문
3. 청동기에 새겨진, 철밥통 만큼 둔탁한 周金文
3-1. 周 무왕 대풍돈
3-2. 周 성왕 대보돈
3-3. 백자부돈
3-4. 세유 금문
3-5. 주공돈
3-6. 사송돈
3-7. 대돈
3-8. 국차첨
3-9. 대우정
3-10. 모공정
4. 大篆에서 小篆으로 가는 길목에 돌로 북을 만들어 石鼓文을 새기다.
석고문
5. 어지러운 세상 만큼이나 다양한 춘추전국시대 문자들
古文 金剛經
6, 소전으로 문자 통일
秦 驛山刻石 탁본
8. 隸書의 꽃을 피우는 한나라 석비들
8-1. 석문송 탁본
8-2. 을영비 탁본
8-3. 예기비 탁본
8-4. 조전비 탁본
8-5. 장천비 탁본
9. 위대한 書聖 王羲之의 출현과 行書, 草書
9-1. 행서- 난정서 탁본
9-2. 초서- 17첩 탁본
9-3. 초결가 탁본
10. 唐 諧書의 확립
10-1. 구성궁 예천명 탁본
10-2. 안탑성교서 탁본
10-3. 안근례비 탁본
- 다음 블로그 <무릉도원> 도원장 님의 글 중에서 전재 ......
http://blog.daum.net/imrdowon/8468194
그 동안 33회에 걸쳐 서예술의 근원이 되는 한자에 대하여 그 발생경로를 살펴 보고, 어떻게 형성되면서 변화를 거듭하여 오늘날 문학, 회화와 더불어 문자예술이라는 특이한 분야로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 보았습니다.
약 3,300여년 전의 은나라 무정왕과 부호왕비의 갑골문에서 출발하여, 같은 시대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왔던 은의 금문을 살펴 보면서, 흔히들 갑골문에서 한자가 발생되었다고 알고 있는 상식이 실제로는 갑골문이 아니라 은대의 금문으로 부터 한자가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갑골문은 은의 멸망과 더불어 사라져 버리지만 금문은 주나라로 계승되어 800여년간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우리가 대전이라는 전서체로, 초기의 한자로 알고 있는 산씨반, 모공정, 석고문 같은 전서체로 태어나게 됨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서적이나 문헌이 생겨나기 이전의 하도 오래 전 시대의 일이다 보니 남아있는 유물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주로 청동기에 새겨져 오랫동안 땅 속에 묻혀 있다가 발굴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 몇 점 되지 않는 단편적인 유물에서나마 학자들의 끈질긴 연구에 힘입어 이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됨을 다행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유물들이 근세 아편전쟁 이후 열강의 중국침략 과정에서 해외로 뿔뿔이 흩어져 버린 까닭에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체계화 시킨 문헌을 찾지 못하여 나름데로 인용 가능한 문헌들에 의해서 부족하나마 이 부분을 이렇게 밖에 완결지을 수 밖에 없었음을 아쉽게 생각합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인터넷의 발달로, 이전에는 엄두도 내지 못할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이만큼이라도 참고하여 정리할 수 있게 되었음을 참으로 고맙게 생각합니다.
본격적이고 종합적인 서체는 뭐니뭐니 해도 역산각석으로 부터 출발하는 소전체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실에 이의를 가질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역산각석은 물론이고, 뒤따라 새겨지는 태산각석이나 낭아대 각석조차도 오랜 세월의 풍화와 잦은 전란의 와중에서 흔적없이 사라져 버려 하마트면 소전체의 원형을 구경조차도 할 수 없었을 것을, 다행히 송나라 시대 중각본 탁본에 의해서 완벽한 자료를 볼 수 있게 됨은 천우신조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뒤이어 전개되는 한나라 400여년의 역사에서는 공자라는 성인의 영향에 힘입어 예기비와 조전비를 비롯한 예서체의 훌륭한 석비들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전해져 내려오는 까닭에 오늘날 까지도 예서체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문자도 다양해지면서 서체 또한 필연적으로 변하지 않을 수 없는 환경이 되자 전서와 예서의 느린 서체로는 사회적 여건을 충족시키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필요는 발명을 가져온다는 철리에 따라 행서와 초서가 발생하면서 오늘날 까지 서성으로 존경받는 왕희지의 출현에 의해 행서와 초서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됨을 봅니다.
또한 행초의 발전과는 별도로, 한 편에서는 예서체의 근본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행서와 초서의 혼란스러운 서체에서 정리정돈의 질서와 명확한 의사전달의 필요성에 의해서 해서가 발전을 거듭하여 당나라 시대에 이러러서는 초당 3대 서예가라고 불리우는 구양순, 저수량, 우세남에 의해서 사실상 해서체의 완성을 보게 됩니다.
예나 지금이나 자연의 섭리는 한결같아서 달이 차면 이지러지듯, 모자라면 채우게 되듯, 화려와 풍요의 뒤에는 또다른 변혁이 요구되듯이 여태까지의 해서와 행서, 초서에서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왕희지의 서법에 반발이라도 하듯 안진경체라는 이질적인 해서체가 탄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혁은 후세에 필연적으로 사고의 다양성을 제시해 주면서 여러가지 서체를 혼합하거나 융합하여 개성적인 새로운 서체를 개발하여 서예술을 발전시키게 됨을 보게 됩니다.
저의 작업은 어디까지나 <한자의 발생과 형성>이라는 제목이 말해 주듯, 서예 5체의 탄생배경과 각서체의 완성품 내지는 걸작품들을 가능한 한 정확한 탁본과 문헌, 서예자료에 의해서 규명해 봄으로써 서예를 하면서 가지게 되는 의문과 혼란에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서예 5체의 기본에 관한 한 확실한 바탕을 정리하여 제시해 주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나아가 앞으로 대학에서 서예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 걸음 진보된 서예를 연마하여 우리나라의 서예가 현대화, 세계화, 대중화를 이루는데 선봉이 될 수 있도록, 그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는 마치 불교가 인도에서 일어났으나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서 꽃 피우듯이,
바둑이 중국과 일본을 거쳐 우리가 세계를 제패하듯이,
한류가 팝과 째즈와 사물놀이를 조화시켜 세계에 우리 문화를 선양하듯이,
서예 또한 젊은이들이 사명을 가지고 개척해 볼 충분한 가치가 있는 분야라는 확신을 심어 주어,
희망과 용기를 가지고 도전해 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게 인터넷에 공개하여 게제하는 이유입니다.
이 자료를 정리할 수 있게 도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이 자료를 보아주신 분들과,
앞으로 이 자료를 잘 활용하여 발전과 창조를 이루어 내실 분들께 무한한 존경과 고마움을 표합니다.
2013. 01. 09.
무릉도원 // 도원장 / 김 치환 올림.
연락전화 / 010-8950-4569
이메일 / mrdn@hanmail.net
경남 양산시 하북면 충렬로 1673.
총정리 목차
한자(漢字)의 발생(發生)과 형성전(形成展) 기획
1. 원시의 골짜기 甲骨文의 세계
1-1. 은 무정왕 갑골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194
1-2. 은 부호왕비 갑골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197
1-3. 은 말기의 갑골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20
1-4. 갑골문 작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12
2. 그림에서 태동하기 시작하는 殷 金文
2-1. 양마천시부정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21
2-2. 제기차정부계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24
2-3. 삼첩자의 탄생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24
2-4. 소신여희존 금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27
2-5. 극정 금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30
2-6. 금문 작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03
3. 청동기에 새겨진, 철밥통 만큼 둔탁한 周金文
3-1. 무왕 대풍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36
3-2. 성왕 대보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39
3-3. 주공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42
3-4. 사송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46
3-5. 대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49
3-6. 대우정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55
3-7. 국차첨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58
3-8. 모공정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62
3-9. 주 금문 작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67
4. 大篆에서 小篆으로 가는 길목에 돌로 북을 만들어 石鼓文을 새기다.
석고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70
5. 어지러운 세상 만큼이나 다양한 춘추전국시대 문자들
古文 金剛經 ; http://blog.daum.net/imrdowon/8468298
6, 소전으로 문자 통일
6=1. 秦 驛山刻石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09
6-2. 소전체로 쓴 반야심경 작품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30
8. 隸書의 꽃을 피우는 한나라 석비들
8-1. 을영비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11
8-2. 예기비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13
8-3. 조전비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17
8-4. 장천비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19
9. 위대한 書聖 王羲之의 출현과 行書, 草書
9-1. 행서- 난정서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22
9-2. 초서- 17첩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24
9-3. 초결가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28
10. 唐 諧書의 확립
10-1. 구성궁 예천명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34
10-2. 안탑성교서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49
10-3. 안근례비 탁본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70
- 다음 블로그 <무릉도원> 도원장 님의 글 중에서 전재 ......
http://blog.daum.net/imrdowon/8468375
甲骨文
- ID编号:JD626454 ┊ 日期:2011/6/3 22:14:45 ┊ 藏友:[风间水月]
您是本贴第1694个阅读者 [加入我的收藏夹] [复制本帖地址,分享给好友] [我要评论(12)]
[jiǎ gǔ wén]
甲骨文
(中国古代文字)
记载内容编辑
发展历程编辑
一、雄伟期
二、谨饬期
三、颓靡期
四、劲峭期
五、严整期
产生背景编辑
发掘地点编辑
考古发掘编辑
文字特点编辑
研究历史编辑
书籍编辑
书法
史料记载编辑
历史价值编辑
收藏机构编辑
藏品鉴别编辑甲骨文藏品的后人作伪并不高明,鉴定时须注意如下几点:
殷墟之外的甲骨文编辑
更早的甲骨文
放大镜看的甲骨文
少数民族地区出土
- 参考资料
- 1. 甲骨文特点 .新华网.2008-04-24[引用日期2014-01-21]
- 2. 甲骨文的主要内容 .新华网河南考古.2006-05-25[引用日期2014-11-9]
- 3. 近百年来的殷墟甲骨文研究(之二) .聊城大学.2010-4-30 [引用日期2014-01-21]
- 4. 中国甲骨文发现34个新字和新字形 .中新网[引用日期2014-10-16]
- 5. 甲骨文与甲骨文书法 .ps123.2009-4-3[引用日期2014-11-9]
- 6. 甲骨文的文化价值 .新华网.2006-04-11[引用日期2014-11-9]
- 7. 甲骨文的鉴别与辨伪 .西安晚报.2004-03-07[引用日期2014-11-9]
- 8. 殷墟之外的三种甲骨文 .艺术中国[引用日期2015-03-29]
商 祭祀狩猎涂朱牛骨
商 《祭祀狩猎涂朱牛骨刻辞》正面 河南安阳出土 高32.2cm,宽19.8cm 中国国家博物馆藏
祭祀狩猎涂朱牛骨刻辞正面(局部)
祭祀狩猎涂朱牛骨正面拓片局部(点击放大)
祭祀狩猎涂朱牛骨背面(点击放大)
祭祀狩猎涂朱牛骨背面拓片(点击放大)
商朝时期
河南省安阳市殷墟出土
长32.2厘米、宽19.8厘米
这是一块牛胛骨版记事刻辞。骨版正面刻辞4条,背面2条,共160余字,字内填朱。正面第一条记载商王武丁宾祭仲丁;第二条记狩猎时子□堕车;第三条记子□死;第四条是子寅用羌人十,举行宜祭。背面记载天象情况,这片刻辞保存完整,对研究商代社会历史和天文气象价值甚高。
本版图文由可嘉提供
选自《中国美术全集》
上一张 第五张图表
최근 수정 시각 : 2015-11-07 01:31:55
1. 발견[편집]
소둔촌을 살펴본 나진옥은 이곳이 전설 속의 나라로 불리던 상나라의 수도 은이 아닐까 하는 조심스런 추측을 하게 되었고, 이후 왕국유가 이 일대를 조사한 결과 반경이 천도한 은허일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로 중화민국 차원에서 중일전쟁 이전까지 열다섯 차례에 걸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다수의 갑골문과 청동기, 무덤등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로 다시 조사가 재개되어 1986년까지 15만 개의 갑골문을 발굴하게 된다.
2. 상황[편집]
대체로 소둔촌 동부에 왕궁 등이 위치하고 있었고, 소둔촌 북쪽의 무관 마을 쪽에서는 13기의 거대한 무덤들이 발견되었는데 그중 한 무덤은 조성만 되었을 뿐 안에는 어떤 유물이나 유골도 출토되지 않아 학자들은 이 무덤이 은의 마지막 왕인 주왕의 무덤으로 조성되었다가 은이 멸망하고 주왕이 죽임을 당하면서 쓰이지 못했을 걸로 추측한다.
은의 제22대왕 무정의 왕비 부호의 묘로 추정되는 무덤은 도굴되지 않은 채로 발견되었는데 6마리의 개와 16명의 순장된 유골들, 440여기의 청동기, 600여기의 옥세공품, 석기류, 골각기와 더불어 화폐로 쓰인 걸로 보이는 조개껍데기 4400여개가 출토되었다.
은허에서 발견된 갑골문들에선 약 5000여자의 문자가 발견되었고 그중 1700여자가 해독된 상태다. 이 갑골문들은 한자의 유래가 되었을것으로 보인다.
은허 유적은 2006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3. 관련 항목[편집]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글씨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甲骨文的分期与书风特点(附图欣赏) (0) | 2016.01.23 |
---|---|
은 부호왕비 갑골문- 漢字의 발생과 형성(2) (0) | 2016.01.23 |
모공정 금문-한자의 발생과 형성(20) (0) | 2016.01.23 |
<제9강> 중국 서예사 (0) | 2016.01.22 |
북위 묘지명들 (0) | 2016.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