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은 흔히 어렵다고 합니다. 그림 자체의 감상뿐만 아닙니다. 그림의 이해와 감상을 돕는 용어들도 낯설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용어들을 하나하나 살펴본다면 어떨까요. 옛 그림에 훨씬 친근하게 다가가게 해줄 도구가 되는 용어를 차례로 소개합니다. 소개 순서는 그림의 형식, 그림의 종류, 낙관과 한문시와 같이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먹과 붓을 사용해 표현하는 주요 기법, 그림 설명에 자주 나오는 그림 스타일, 조선시대 후기의 주요 화파, 자주 등장하는 미술사 책 등 입니다.
옛 그림이 그려져 있는 형태는 여럿입니다. 그 중에는 옆으로 길기도 하고 위아래로 긴 것도 있습니다. 이런 형태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다릅니다.
먼저 옆으로 긴 그림은 말아서 보관하여 흔히 '두루마리 그림'이라고 합니다. 한자로는 권축(卷軸) 또는 권(卷)이라고도 합니다. 요즘은 권(卷)이라는 한자말이 서책을 세는 단위나 순서를 이르지만, 원래는 '말려 있는 글'을 칭하는 한자였습니다. 권(卷)자 아래쪽의 卩(병부절)이 무릎을 구부린 모양, 즉 '둥글게 말다'는 의미로 여기에서 두루마리 그림을 뜻하게 된 것입니다. 두루마리 그림은 옆으로 길다는 의미에서 횡축(橫軸), 횡권(橫卷)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두루마리 그림은 여러 장의 종이를 길게 잇대어 그림을 그리는 바탕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두루마리 형식은 고대부터 사용된 것인데, 고대 중국에는 서사(書事), 즉 글 쓰는 일의 재료가 되는 것이 종이가 아니라 아직 나무였던 시기에 시작됐습니다.
나무나 대나무를 좁고 길게 자르고 다듬어 그 위에 글씨를 썼는데 이를 목간(木簡) 또는 죽간(竹簡)이라고 합니다. 죽간과 목간은 위쪽에 구멍을 뚫어 실로 꿰어 둘둘 말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요.
나무나 대나무를 좁고 길게 자르고 다듬어 그 위에 글씨를 썼는데 이를 목간(木簡) 또는 죽간(竹簡)이라고 합니다. 죽간과 목간은 위쪽에 구멍을 뚫어 실로 꿰어 둘둘 말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요.
이는 동양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글씨나 그림을 나일강가에서 나는 갈대 파피루스를 엮어 그 위에 그렸지요. 이 역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린 뒤에 둘둘 말아 보관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는 양피지에 그림이나 글씨를 썼는데 이것도 보관할 때에는 둘둘 말아 두었지요. 고대 그리스 시대에 그린 두루마리 그림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이 있습니다.
한국의 옛 두루마리 그림 가운데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시대 초기의 대화가 안견(安堅)이 그린 <몽유도원도(夢遊桃園圖)>입니다. 여기에는 안견의 그림 이외에 안견을 후원했던 당시 안평 대군의 글씨 그리고 이 그림을 보고 시를 적었던 당대의 유명한 학자 20여명의 시도 함께 표구되어 있습니다. 또 시의 분량이 많아 현재는 2개의 두루마리로 나뉘어져 표구된 상태입니다.
안견 <몽유도원도> 견본담채 1447(세종 29년) 38.7x106.5㎝ 일본 덴리(天理)대학 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