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王维) - 당대 시인

2016. 2. 24. 14:47美學 이야기



      왕유(王维) - 당대 시인

[wáng wéi]  

王维

(唐代诗人)

编辑 锁定
王维(701年-761年,一说699年—761年),唐朝河东蒲州(今山西运城)人,祖籍山西祁县,唐朝著名诗人、画家,字摩诘,号摩诘居士。开元十九年(731年),王维状元及第。历官右拾遗监察御史、河西节度使。唐玄宗天宝年间,王维拜吏部郎中、给事中。安禄山攻陷长安时,王维被迫受伪职。长安收复后,被责授太子中允唐肃宗乾元年间任尚书右丞,故世称“王右丞”。
王维参禅悟理,学庄信道,精通诗、书、画、音乐等,以诗名盛于开元、天宝间,尤长五言,多咏山水田园,与孟浩然合称“王孟”。书画特臻其妙,后人推其为南宗山水画之祖。苏轼评价其:“味摩诘之诗,诗中有画;观摩诘之画,画中有诗。”[1]  存诗400余首,代表诗作有《相思》、《山居秋暝》等。著作有《王右丞集》、《画学秘诀》。
概述内图片来源:[2] 
   
本    名
王维
别    称
王右丞
字    号
摩诘
号摩诘居士
所处时代
唐朝
民族族群
汉人
出生地
蒲州(今山西运城永济市)
出生时间
701年,一说699年
去世时间
761年
主要作品
王摩诘文集》等
主要成就
创造了水墨山水画派;近体诗严守声律,意态豪放

人物生平编辑

王维于武则天长安元年(701年)出生在蒲州(今运城永济市)。
王维才华早显,与其小一岁的弟弟王缙幼年均聪明过人。十五岁时去京城应试,由于他能写一手好诗,工于书画,而且还有音乐天赋,所以少年王维一至京城便立即成为京城王公贵族的宠儿。有关他在音乐上的天赋,《唐国史补》曾有这样一段故事:一次,一个人弄到一幅奏乐图,但不知为何题名。王维见后回答说 :“这是《霓裳羽衣曲》的第三叠第一拍。”请来乐师演奏,果然分毫不差(根据沈括《梦溪笔谈》卷十七“书画”的考证,《霓裳羽衣曲》第三叠并没有拍,是散曲,白居易的句子“中序擘騞初入拍”也可以说明这一点。沈括精通音律,其言可信。王维工于音律,是正史所载之事,但这个故事却是编造的)。
唐玄宗开元十九年(731年),王维状元及第(一说开元九年<721年>中进士)。任太乐丞,因伶人舞黄狮子受累,贬为济州司仓参军。
开元二十三年(735年),张九龄执政,拔擢王维为右拾遗
开元二十四年(736年),调任监察御史,后奉命出塞,担任凉州河西节度幕判官。
出仕后,王维利用官僚生活的空余时间,在京城的南蓝田山麓修建了一所别墅,以修养身心。该别墅原为初唐诗人宋之问所有,那是一座很宽阔的去处,有山有湖,有树林也有溪谷,其间散布着若干馆舍。王维与他的知心好友度着悠闲自在的生活,过着半官半隐的生活。
天宝十四年(755年),安史之乱爆发。
至德元载(756年
王维诗画 (12张)
),长安被叛军攻陷,王维被捕后被迫出任伪职。战乱平息后,王维被下狱,交付有司审讯。按理投效叛军当斩,但因他被俘时曾作《凝碧池》抒发亡国之痛和思念朝廷之情,又因其弟刑部侍郎王缙平反有功请求削籍为兄赎罪,王维才得宽宥,降为太子中允,后兼迁中书舍人,官终尚书右丞[3] 
上元二年(761年),王维逝世。临终时,他仍作书向亲友辞别,完成后便安然离世。[4] 
王维早年有过积极的政治抱负,希望能作出一番大事业,后值政局变化无常而逐渐消沉下来,吃斋念佛。四十多岁的时候,他特地在长安东南的蓝田县辋川营造了别墅和在终南山上,过着半官半隐的生活。《辋川闲居赠裴秀才迪》这首诗是他隐居生活中的一个篇章,主要内容是“言志”,写诗人远离尘俗,继续隐居的愿望。诗中写景并不刻意铺陈,自然清新,如同信手拈来,而淡远之境自见,大有渊明遗风。
王维在诗歌上的成就是多方面的,无论边塞山水诗律诗还是绝句等都有流传人口的佳篇。

主要成就编辑

山水田园诗

王维的大多数诗都是山水田园之作,在描绘自然美景的同时,流露出闲居生活中闲逸萧散的情趣。王维的写景诗篇,常用五律和五绝的形式,篇幅短小,语言精美,音节较为舒缓,用以表现幽静的山水和诗人恬适的心情,尤为相宜。王维从中年以后日益消沉,在佛理和山水中寻求寄托,他自称“一 悟寂为乐,此生闲有余”(《饭覆釜山僧》)。这种心情充分反映于他的诗歌创作之中。过去时代不少人推崇王维此类诗歌,一方面固然由于它们具有颇高的艺术技巧,一方面也由于对其中体现的闲情逸致和消极思想产生共鸣。
明代胡应麟称王维五绝“却入禅宗”,又说《鸟鸣涧》、《辛夷坞》二诗,“读之身世两忘,万念皆寂”(《诗薮》),便是一个明证。雪景 传为王维作,王维其他题材的作品,如送别、纪行之类的诗中,也经常出现写景佳句,如“远树带行客,孤城当落晖”(《送綦毋潜落第还乡》)、“山中一夜雨,树杪百重泉”(《送梓州李使君》)、“日落江湖白,潮来天地青”(《送邢桂州》)、“大漠孤烟直,长河落日圆”(《使至塞上》)等,都是传诵不衰的名句。

边塞军旅诗

军旅边塞生活为题材的《从军行》、《陇西行》、《燕支行》、《观猎》、《使至塞上》、《出塞作》等,都是壮阔飞动之作。《陇头吟》、《老将行》则抒发了将军有功不赏的悲哀,反映了封建统治阶级内部矛盾的一个侧面。《观猎》生动地描写了打猎时的情景。《夷门歌歌咏历史人物的侠义精神。《少年行》四首表现侠少的勇敢豪放,形象鲜明,笔墨酣畅。这些作品一般认为是王维早期所作。
还有一些诗歌,如贬官济州时所作《济上四贤咏》以及《寓言》、《不遇咏》和后期所作《偶然作》六首之五《赵女弹箜篌》,对于豪门贵族把持仕途、才士坎坷不遇的不合理现象表示愤慨,反映了开元、天宝时期封建政治的某些阴暗面。
洛阳女儿行》、《西施咏》、《竹里馆》则以比兴手法,寄托了因贵贱不平而生的感慨和对权贵的讽刺。还有抒写妇女痛苦的《息夫人》、《班婕妤》等,悲惋深沉,也具有一定的社会意义。
一些赠送亲友和描写日常生活的抒情小诗,如《送别》“山中相送罢”、《临高台送黎拾遗》、《送元二使安西》、《送沈子福之江东》,《九月九日忆山东兄弟》、《相思》、《杂诗》“君自故乡来”等,千百年来传诵人口;《送元二使安西》、《相思》等在当时即播为乐曲,广为传唱。这些小诗都是五言或七言绝句,感情真挚,语言明朗自然,不用雕饰,具有淳朴深厚之美,可与李白、王昌龄的绝句比美,代表了盛唐绝句的最高成就。[3] 
部分诗作
相思

画论

《山水论》
凡画山水,意在笔先。丈山尺树,寸马分人。远人无目,远树无枝。远山无石,隐隐如眉;远水无波,高与云齐。此是诀也。
山高云塞,石壁泉塞,道路人塞。石看三面,路看两头,树看顶头,水看风脚。此是法也。
凡画山水,平夷顶尖者巅,峭峻相连者崖,悬石者岩,形圆者峦,路通者川。两山夹道者名为壑也,两山夹水名为涧也,似岭而高者名为陵也,极目而平者名为坂也。依此者粗知之仿佛也。
观者先看气象,后辨清浊。定宾主之朝揖,列群峰之威仪,多则乱,少则慢,不多不少,要分远近。远山不得连近山,远水不得连近水。山腰掩抱,寺舍可安;断岸坂堤,小桥小置。有路处则林木,岸绝处则古渡,水断处则烟树,水阔处则征帆,林密处居舍。临岩古木,根断而缠藤;临流石岸,欹奇而水痕。
凡画林木,远者疏平,近者高密,有叶者枝嫩柔,无叶者枝硬劲。松皮如鳞,柏皮缠身。生土上者根长而茎直,生石上者拳曲而伶仃。古木节多而半死,寒林扶疏而萧森。
有雨不分天地,不辨东西。有风无雨,只看树枝。有雨无风,树头低压,行人伞笠,渔父蓑衣。雨霁则云收天碧,薄雾霏微,山添翠润,日近斜晖。
早景则千山欲晓,雾霭微微,朦胧残月,气色昏迷。晚景则山衔红日,帆卷江渚,路行人急,半掩柴扉。
春景则雾锁烟笼,长烟引素,水如蓝染,山色渐清。夏景则古木蔽天,绿水无波,穿云瀑布,近水幽亭。秋景则天如水色,簇簇幽林,雁鸿秋水,芦岛沙汀。冬景则借地为雪,樵者负薪,渔舟倚岸,水浅沙平。凡画山水,须按四时。或曰烟笼雾锁,或曰楚岫云归,或曰秋天晓霁,或曰古冢断碑,或曰洞庭春色,或曰路荒人迷。如此之类,谓之画题。
山头不得一样,树头不得一般。山籍树而为衣,树籍山而为骨。树不可繁,要见山之秀丽;山不可乱,须显山之精神。能如此者,可谓名手之画山水也。
《山水诀》
夫画道之中,水墨最为上。肇自然之性,成造化之功。或咫尺之图,写千里之景。东西南北,宛尔目 前;春夏秋冬,生于笔下。初铺水际,忌为浮泛之山;次布路歧,莫作连绵之道。主峰最宜高耸,客山须是奔趋。回抱处僧舍可安,水陆边人家可置。村庄著数树以成林枝须抱体;山崖合一水而瀑泻,泉不乱流。渡口只宜寂寂,人行须是疏疏。泛舟楫之桥梁,且宜高耸;著渔人之钓艇,低乃无妨。悬崖险峻之间,好安怪木;峭壁巉岩之通途。远岫与云容交接,遥天共水色交光。山钩锁处,沿流最出其中;路接危时,栈道可安于此。平地楼台,偏宜高柳人家;名山寺观,雅称奇杉衬楼阁。远景烟笼,深岩云锁。酒旗则当路高悬,客帆宜遇水低挂。远山须要低排,近树惟宜拔迸。手亲笔砚之馀,有时游戏三昧。岁月遥永,颇探幽微。妙悟者不在多言,善学者还从规矩。
塔顶参天,不须见殿,似有似无,或上或下。芳堆土埠,半露檐廒;草舍芦亭,略呈樯柠。山分八面,石有三方。闲云切忌芝草样,人物不过一寸许,松柏上现二尺长。

绘画作品

苏轼曾说:“味摩诘之诗,诗中有画;观摩诘之画,画中有诗。”(《东坡题跋·书摩诘蓝田烟雨图》)同一时期的殷璠在其著作《河岳英灵集》中评价王维之诗:“在泉成珠,著壁成绘。”
王维不但有卓越的文学才能,而且是出色的画家,还擅长音乐。深湛的艺术修养,对于自然的爱好和长期山林生活的经历,使他对自然美具有敏锐独特而细致入微的感受,因而他笔下的山水景物特别富有神韵,常常是略事渲染,便表现出深长悠远的意境,耐人玩味。他的诗取景状物,极有画意,色彩映衬鲜明而优美,写景动静结合,尤善于细致地表现自然界的光色和音响变化。例如“声喧乱石中,色静深松里”(《青溪》)、“泉声咽危石,日色冷青松”(《过香积寺》)以及《鸟鸣涧》、《鹿柴》、《木兰柴》等诗,都有体物入微之作。并著有绘画理论著作《山水论》,《山水诀》。

文学特色编辑

作品风格关键词:绘影绘形,有写意传神、形神兼备之妙。"诗中有画,画中有诗"。王维以清新淡远,自然脱俗的风格,创造出一种“诗中有画,画中有诗”“诗中有禅”的意境,在诗坛树起了一面不倒的旗帜。
诗如画卷,美不胜收
苏轼曾说:“味摩诘之诗,诗中有画,观摩诘之画,画中有诗”(《东坡志林》)。王维多才多艺,他把绘画的精髓带进诗歌的天地,以灵性的语言,生花的妙笔为我们描绘出一幅幅或浪漫、或空灵、或淡远的传神之作。他的山水诗关于着色取势,如“漠漠水田飞白鹭,阴阴夏木啭黄鹂”(《积雨辋川庄作》)“雨中草
色绿堪染,水上桃花红欲燃。”(《辋川别业》)“白水明田外,碧峰出山后”(《新晴野望》)
王维的山水诗关于结构画面,使其层次丰富,远近相宣,乃至动静相兼,声色俱佳,更多一层动感和音乐美,如“松含风里声,花对池中影”(《林园即事寄舍弟》)“万壑树参天,千山响杜鹃。山中一夜雨,树杪百重泉。”(《送梓州李使君》“郡邑浮前浦,波澜动远空。”(汉江临眺)“草间蛩响临秋急,山里蝉声落暮悲。(《早秋山中作》)又如《山居秋暝》:空山新雨后,天气晚来秋。明月松间照,清泉石上流。竹喧归浣女,莲动下渔舟。随意春芳歇,王孙自可留。有远景近景,仰视俯视,冷
色暖色,人声水声,把绘画美、音乐美与诗歌美充分地结合起来。王诗的画境,具有清淡静谧的人性特征。如《竹里馆》:独坐幽篁里,弹琴复长啸,深林人不知,明月来相照。幽静的竹林,皎洁的月光,让诗人不禁豪气大发,仰天长啸,一吐胸中郁闷。而千思万绪,竟只有明月相知。
神韵的淡远,是王维诗中画境的灵魂。《鹿柴》云:“空山不见人,但闻人语响,返景入深林,复照青苔上。”诗中着意描写了作者独处于空山深林,看到一束夕阳的斜晖,透过密林的空隙,洒在林中的青苔上,在博大纷繁的自然景物中,诗人捕捉到最引人入胜的一瞬间,有简淡的笔墨,细致入微地给出一幅寂静幽清的画卷,意趣悠远,令人神往。
情景交融,浑然天成
王维山水诗写景如画,在写景的同时,不少诗作也饱含浓情。王维的很多山水诗充满了浓厚的乡土气息和生活情趣,表现自己的闲适生活和恬静心情。如《田园乐七首》其六曰:“桃红复言宿雨,柳绿更带青烟。花落家僮未扫,莺啼山客犹眠。”《辋川闲居赠裴秀才迪》曰:“寒山转苍翠, 秋水日潺湲。倚杖柴门外,临风听暮蝉。渡头余落日,墟里上孤烟。复值接舆醉,狂歌五柳前。”在优美的景色和浓厚的田园气氛中抒发自己冲淡闲散的心情。还有如《渭川田家》:“ 斜光照墟落,穷巷牛羊归。野老念牧童,倚杖候荆扉。雉雊麦苗秀,蚕眠桑叶稀。田夫荷锄至,相见语依依。即此羡闲逸, 怅然吟《式微》。”从细微处入笔,捕捉典型情节,抒发无限深情。
王维写情还多言及相思别离和朋友间的关怀,慰勉之情。在《淇上别赵仙舟》一诗中写道:相逢方一笑,相送还成泣。祖帐已伤离,荒城复愁入。天寒远山净,日暮长河急。解缆君已遥,望君犹伫立。浓郁深情,扦面而至。
王维诗歌中借景寓情,以景衬情的手法,使他写景饶有余味,抒情含蓄不露。如《临高台送黎拾遗》:“相送临高台,川原杳何极。日暮飞鸟还,行人去不息。”写离情却无一语言情而只摹景物。《送杨长史赴果州》:“鸟道一千里,猿啼十二时。”既是景语,也是情名,将道路的荒凉之景与行者的凄楚之情融为一体,自然、含蓄而又回味深长。
在王维的诗歌中,有不少采用了直抒胸臆的表达方式,而且往往显得自然流畅,蕴藉含蓄。比如《送元二使安西》:渭城朝雨浥轻尘,客舍青青柳色新。劝君更尽一杯酒,西出阳关无故人。关怀体贴之情溢于言表。
王维写情之处妙处还在于对现实情景平易通俗的描写中,蕴含深沉婉约的绵绵情思。其《相思》一篇,托小小红豆,咏相思情愫,堪称陶醉千古相思的经典之作。
王维写情,又多隐喻比兴。如《杂诗二首》:家住孟津河,门对孟津口。常有江南船,寄
书家中否。君自故乡来,应知故乡事。来日绮窗前,寒梅著花未。已见寒梅发,复闻啼鸟声。心心视春草,畏向阶前生。全篇不著“相思”二字,看似信手拈来,实则句句意深。藉“寒梅”、“春草”喻意,相思之情跃然纸上。
诗渗禅意,流动空灵
与上述相反,王维又有很多诗清冷幽邃,远离尘世,无一点人间烟气,充满禅意,山水意境已超出一般平淡自然的美学,含义而进入一种宗教的境界,这正是王维佛学修养的必然体现。王维的生活的时代,佛教繁兴。士大夫学佛之风很盛。政治上的不如意,一生几度隐居,使王维一心学佛,以求看空名利,摆脱烦恼。
有些诗尚有踪迹可求,如《过香积寺》云:不知香积寺,数里入云峰。薄暮空潭曲,安禅制毒龙。”有些诗显得更空灵,不用禅语,时得禅理。有如羚羊挂角,无迹可求。如行到水穷处,坐看云起时。偶然值林叟,谈笑无还期(《终南别业》) 松风吹解带,山月照弹琴。君问穷通理,渔歌入浦深(《酬张少府》)充满一派亲近自然,身与物化,随缘任运的禅机。
又如:空山不见人,但闻人语响。返景入深林,复照青苔上(《鹿柴》) ;木末芙蓉花,山中发红萼,涧户寂无人,纷纷开且落。(《辛夷坞》);人闲桂花落,夜静春山空。月出惊山鸟,时鸣春涧中。(《鸟鸣涧》) 一切都是寂静无为的,虚幻无常,没有目的,没有意识,没有生的喜悦,没有死的悲哀,但一切又都是不朽的,永恒的,还像胡应麟《诗薮》和姚周星《唐诗快》所评:使人“读之身世两忘,万念皆寂,不谓声律之中,有此妙诠”。

个人影响编辑

王维的山水诗大都写于后期,与前人比较,他扩大了这类诗的内容,增添了它的艺术风采,使山水诗的成就达到前所未有的高度,这是他对中国古典诗歌的突出贡献。其中,写乡村景物和农家生活的田园诗充满着牧歌情调,表现他闲逸萧散的情趣和恬淡自适的心境。如《渭川田家》 ,《春中田园作》。更多的作品着重写农村美丽如画的风光,《新晴野望》:“新晴原野旷,极目无氛垢。农月无闲人,倾家事南亩。”《山居秋暝》写暮雨方霁,山村呈现的美景。王诗中那些描绘大自然幽静恬美的山水诗具有更高的审美价值。如《青溪》:言入黄花川,第每逐清溪水。随山将万转。趣途无百里。声喧乱石中,色静深松里。漾漾没菱荇,澄澄映葭苇。我心素已闲,清川淡如此。请留盘石上,垂钓将已矣。
通篇以心照水,用水衬心,物我融成一片,反映一种内在的对美的追求。但有些山水田园诗着力渲染空寂意境与落寞情怀。如《竹里馆》 、《辛夷坞》情走淡薄,旨归静趣。这无疑会对后世山水诗产生一定的消极影响。
王维具有多种才艺,不同艺术相互渗透对其诗歌产生了深刻的影响。他以画入诗,使其山水诗形成了富有诗情画意的基本特征。
王诗语言含蓄,清新明快,句式、节奏富于变化,音韵响亮、和谐,具有音乐美。总之,王维的山水诗无论从诗的题材内容,还是诗歌的艺术丰采上都对后世诗歌产生了深远的影响。

人物评价编辑

总评

世有“李白是天才,杜甫是地才,王维是人才”之说,后人亦称王维为诗佛,此称谓不仅是言王维诗歌中的佛教意味和王维的宗教倾向,更表达了后人对王维在唐朝诗坛崇高地位的肯定。王维不仅是公认的诗佛,也是文人画的南山之宗(钱钟书称他为“盛唐画坛第一把交椅”),并且精通音律,善书法,篆的一手好刻印,是少有的全才。
王维诗在其生前以及后世,都享有盛名。史称其“名盛于开元、天宝间,豪英贵人虚左以迎,宁、薛诸王待若师友”(《新唐书》本传)。唐代宗曾誉之为“天下文宗”(《答王缙进王维集表诏》)。杜甫也称他“最传秀句寰区满”(《解闷》十二首之八)。唐末司空图则赞其“趣味澄复,若清沈之贯达”(《与王驾评诗书》)。昔人曾誉王维为“诗佛”,并与“诗圣”杜甫、“诗仙”李白并提。
以思想内容而言,王维诗远不能与李、杜相提并论;而在艺术方面,王维确有其独特的成就与贡献。唐刘长卿、大历十才子以至姚合贾岛等人的诗歌,都在不同程度上受到王维影响。直到清代,王士祯标举神韵,实际上也以其诗为宗尚。

历代评价

李豫:卿之伯氏,天宝中诗名冠代,朕尝于诸王座闻其乐章。[6] 
殷璠:维诗词秀调雅,意新理惬,在泉为珠,着壁成绘,一句一字,皆出常境。[7] 
司空图:王右丞、韦苏州澄澹精致,格在其中,岂妨于遒举哉![8] 
刘昫等:①如燕、许之润色王言,吴、陆之铺扬鸿业,元稹、刘贲之对策,王维、杜甫之雕虫,并非肄业使然,自是天机秀绝。若隋珠色泽,无假淬磨,孔玑翠羽,自成华彩,置之文苑,实焕缃图。[9]  ②维以诗名盛于开元、天宝间,昆仲宦游两都,凡诸王驸马豪右贵势之门,无不拂席迎之,宁王、薛王待之如师友。维尤长五言诗。书画特臻其妙,笔踪措思,参于造化;而创意经图,即有所缺,如山水平远,云峰石色,绝迹天机,非绘者之所及也。[6] 
宋祁:①若侍从酬奉则李峤、宋之问、沈佺期、王维,制册则常衮、杨炎、陆贽、权德舆、王仲舒、李德裕,言诗则杜甫、李白、元稹、白居易、刘禹锡,谲怪则李贺、杜牧、李商隐,皆卓然以所长为一世冠,其可尚已。[10]  ②维工草隶,善画,名盛于开元、天宝间,豪英贵人虚左以迎,宁、薛诸王待若师友。画思入神,至山水平远,云势石色,绘工以为天机所到,学者不及也。[11] 
苏轼:味摩诘之诗,诗中有画;观摩诘之画,画中有诗。[1] 
辛文房:维诗入妙品上上,画思亦然。至山水平远,云势石色,皆天机所到,非学而能。[12] 

史料记载编辑

旧唐书·卷一百九十下·列传第一百四十》[6] 
新唐书·卷二百二·列传第一百二十七》[11] 
唐才子传·卷二》[12] 

后世纪念编辑

据《蓝田县志》记载,王维墓位于辋川乡白家坪村东60米处,墓地前临飞云山下的辋川河岸,原墓地约13.3亩。现被压在向阳公司14号厂房下。《唐右丞王公维墓》碑石被向阳公司14号按石料使用,压在水洞里。墓前遗物有清乾隆四十一年(1776年),督邮程兆声和陕西巡抚毕沅竖立的碑石两座,“文革”中被毁。王维的母亲也葬在此地,交通部六处修辋川公路时将王维母坟塔平毁。
参考资料


王维_百度百科   baike.baidu.com/





王维_简介_评论_正版图书_在线阅读-百度阅读    yuedu.baidu.com/ebook 2016-02-24





中国画欣赏
  (唐)王维《雪溪图》


  

高逸图

高逸图



王维的山水诗画



王维的山水诗画




滑动鼠标滑轮扩大图片 

水墨人物王维诗意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2010-11-05 13:03:10|  分类: 文史论衡 |  标签: |举报 |字号 订阅

  下载LOFTER 我的照片书  |
 

 

明末清初,在画坛上有一位极富影响的画家项圣谟,曾画过一组画,名《王维诗意图》,共十二开。顾名思义,是根据王维的诗意而绘。这一组图收在文物出版社和浙江美术出版社联合出版的《中国绘画全集》第18卷中。书中对这组画介绍说:“此册计十二开,每开均题有唐诗人王维的两句诗并画其意。此册画法以圆浑之笔作淋漓之墨,不少作品很有南宋人的画意,一反平时之画法:或作清旷之江天,或作嶙峋之泉岩,或作水阁之幽居。特别有一开作迷离远山,大雨滂沱、水天不分之景,真是法自己出,别具境界,把王维‘惊涛乱水脉,骤雨暗峰文’的诗意很好地表现了出来。”我根据画上的题诗进行了一一核对,发现这组画题名为《王维诗意图》大有问题,其中属王维诗的只有两开,其他均不是王维的诗。就连上面那段文字中所引“惊涛乱水脉,骤雨暗峰文”的诗句,也不是王维所写,而是卢照邻的诗句。下面对这组画所用诗句进行一一介绍。


第一开所用诗句“用拙存吾道,幽居近物情”出自杜甫的《屏迹三首》之一,全诗为:“用拙存吾道,幽居近物情。桑麻深雨露,燕雀半生成。村鼓时时急,渔舟个个轻。杖藜从白首,心迹喜双清。”第二开所用诗句“隔溪千亩竹,尽日一炉香”和第三开所用诗句“潜鳞自无饵,林鸟不曾惊”没有查到出处。第四开所用诗句“惊涛乱水脉,骤雨暗峰文”出自卢照邻的《巫山高》,全诗为:“巫山望不极,望望下朝雰。莫辨啼猿树,徒看神女云。惊涛乱水脉,骤雨暗峰文。沾裳即此地,况复远思君。”第五开所用诗句“好山行恐尽,流水语相随”出自贯休的《春山行》,全诗为:“重叠太古色,蒙蒙花雨时。好山行恐尽,流水语相随。黑壤生红黍,黄猿领白儿。因思石桥月,曾与道人期。”第六开所用诗句“山中一夜雨,树杪百重泉”出自王维的《送梓州李使君》,全诗为:“万壑树参天,千山响杜鹃。山中一夜雨,树杪百重泉。汉女输橦布,巴人讼芋田。文翁翻教授,不敢倚先贤。”第七开所用诗句“洪波回地轴,孤屿映云光”出自杨师道的《奉和圣制春日望海》,全诗为:“春山临渤海,征旅辍晨装。回瞰卢龙塞,斜瞻肃慎乡。 洪波回地轴,孤屿映云光。落日惊涛上,浮天骇浪长。 仙台隐螭驾,水府泛鼋梁。碣石朝烟灭,之罘归雁翔。 北巡非汉后,东幸异秦皇。搴旗羽林客,跋距少年场。 龙击驱辽水,鹏飞出带方。将举青丘缴,安访白霓裳。”第八开所用诗句“谷树云埋老,僧窗瀑影寒”出自崔涂的《宿庐山绝顶山舍》,全诗为:“一磴出林端,千峰次第看。长闲如未遂,暂到亦应难。谷树云埋老,僧窗瀑影寒。自嫌心不达,向此梦长安。”第九开所用诗句“涧远松如画,洲平水似铺”出自白居易《和微之春日投简阳明洞天五十韵》,因此诗太长,此略。第十开所用诗句“渔樵不到处,麋鹿自成群”出自许浑的《游茅山》,全诗为:“步步入山门,仙家鸟径分。渔樵不到处,麋鹿自成群。石面迸出水,松头穿破云。道人星月下,相次礼茅君。”第十一开所用诗句“欲投人处宿,隔水问樵夫”出自王维的《终南山》,全诗为:“太乙近天都,连山接海隅。白云回望合,青霭入看无。分野中峰变,阴晴众壑珠。欲投人处宿,隔水问樵夫。”第十二开所用诗句“窈窕晴江转,参差远岫连”出自李白的《送王孝廉觐省》,全诗为:“彭蠡将天合,姑苏在日边。宁亲候海色,欲动孝廉船。窈窕晴江转,参差远岫连。相思无昼夜,东泣似长川。”可见真正属于王维诗意的,只有两开。

项圣谟出生在浙江嘉兴一个大户人家。在明代,这个家族出了不少知名人物,或以高官显爵,或以文学艺术而见于记载。他的五世祖项忠,是正统年间进士,官至兵部尚书。伯祖父项笃寿是嘉靖年间进士,官至兵部郎中。祖父项元汴是有名的书画收藏家、鉴赏家和书画家。所以,项圣谟从小就受到了良好的教育。

项圣谟的绘画作品以山水为主,画面布局大开大合,意境明净清雅,结构严谨而富于变化,笔法简洁秀逸,气韵高雅,极富书卷气,具有很高的品格和思想内涵。并喜画高大的乔木,特别喜欢画松树,当时就有“项松之名满东南”之誉。在花鸟画的创作上他同样具有鲜明的特色,尤其讲究造型,善于表现花叶和花瓣的层次、向背以及受光点的明暗,从而有别于当时其他花鸟画家的画风。

他的绘画还有一个显著特点,那就是对社会的关注。在明亡之前,他的作品不但真实地记录了人民所遭受的水旱等自然灾害,而且还对当时黑暗的封建统治有所揭露。而对于那些遭受苦难的人民,特别是农民,则寄予了同情。明亡之后,他的绘画作品主题思想为之一变,反映了强烈的民族思想感情,寄托着他对故国江山的怀念。故而被称为“画史之董狐”。

除绘画外,项圣谟亦精书法,善赋诗。其书法端庄严谨,峻拔出脱中不失书卷气。其诗多为题画诗,除了描绘山光水色、自然美景的山水诗外,还有许多表达了他对人民疾苦的同情和对故国的怀念,格调悲壮慨然。因国破家亡,晚年家贫,却志存高洁,不结交权贵,靠卖画以自给。

人们不禁要问,像项圣谟这有着高深艺术造诣和文学修养的人,怎么会弄出这样明显的错误呢?我想,这种错误不会出自画家本人。因为他所用诗句,都是给过多少次阅读之后,深思熟虑心有所感才确定下来的,之后还要构思画面,这样一个过程,怎么可能搞错呢?而所选的诗又不是一个人的。那么错在什么环节上呢?也许这组画不是画在一个时期,今天画一幅,明天画一幅,因风格相近,就把它们归拢在一起,随意放上了这个名字。也许在作者去世后,他的学生或后人整理他的遗作,看有王维的诗句就随手安了上去。还有一件可疑之处,那就是项圣谟曾与吴必红等人曾合作过一组十六开的《王维诗意图》,项圣谟绘了其中的两开。是不是有人搞混了,把这组画的名称放到那组画上去了也未可知。时代已经久远,也没有查到其他相关资料,这只能是一种猜测了。其实我倒认为,这组画取名为《唐人诗意图》更为确切些。


第一开所用诗句“用拙存吾道,幽居近物情”出自杜甫的《屏迹三首》之一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二开所用诗句“隔溪千亩竹,尽日一炉香”没有查到出处《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和第三开所用诗句“潜鳞自无饵,林鸟不曾惊”没有查到出处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四开所用诗句“惊涛乱水脉,骤雨暗峰文”出自卢照邻的《巫山高》,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五开所用诗句“好山行恐尽,流水语相随”出自贯休的《春山行》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六开所用诗句“山中一夜雨,树杪百重泉”出自王维的《送梓州李使君》,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七开所用诗句“洪波回地轴,孤屿映云光”出自杨师道的《奉和圣制春日望海》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八开所用诗句“谷树云埋老,僧窗瀑影寒”出自崔涂的《宿庐山绝顶山舍》,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九开所用诗句“涧远松如画,洲平水似铺”出自白居易《和微之春日投简阳明洞天五十韵》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十开所用诗句“渔樵不到处,麋鹿自成群”出自许浑的《游茅山》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十一开所用诗句“欲投人处宿,隔水问樵夫”出自王维的《终南山》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第十二开所用诗句“窈窕晴江转,参差远岫连”出自李白的《送王孝廉觐省》,

《王维诗意图》错在哪个环节上(原创) - 梅庆吉 - 梅和勒.慶吉

  

 


 


王维_百度图片    image.baidu.com  - 查看全部132,595张图片





王维的的诗词全集、诗集(406首全)_诗词名句网   www.shicimingju.com/ba...      百度快照 - 68%好评





王维_王维唐诗精选_王维唐诗赏析_王维的古诗大全_王维代表作品

www.xigutang.com/tangs...    百度快照 - 评价




王維   




작주여배적(酌酒與裵迪) / 왕유(王維)| 예술촌 쉼터

viva | 2015.11.29. 10:39

                 

작주여배적(酌酒與裵迪) / 왕유(王維)

 

酌酒與君君自寬 (작주여군군자관)   친구여 술이나 드시게 

人精蒜覆似波瀾 (인정산복사파란)   인정은 물결같이 뒤집히는 것          * 마늘
白首相知猶按劍 (백수상지유안검)   늙도록 사귄 벗도 칼을 겨누고
朱門先達笑彈冠 (주문선달소탄관)   성공한 이도 후배의 앞길을 막나니
草色全經細雨濕 (초색전경세우습)   비에 젖어 잡풀은 우거져도
花枝欲動春風寒 (화지욕동춘풍한)   봄바람 차가와 꽃은 피지 못하거늘
世事浮雲何足問 (세사부운하족문)   뜬구름 같은 세상 말을 해 무엇하랴
不如高臥且加餐 (불여고와차가찬)   누워서 배불리 지내는 게 제일이지   

 

시어 풀이

 

작주(酌酒) : 술을 따름

여군(與君) : 그대에게 줌

자관(自寬) : 스스로 마음을 너그럽게 가짐

번복(飜覆) : 뒤집힘, 빈부귀천에 따라서 인정이 뒤바뀜

백수상지(白首相知) : 백발이 되도록 오랜 사귄 벗

안검(按劍) : 손에 칼을 댐

주문선달(朱門先達) : 부귀를 누리며 앞서 출세한 선비

탄관(彈冠) : 관의 먼지를 털고 벼슬하기를 기다리는 것

() : 노인의 비유

() : 훌륭한 인물의 비유

부운(浮雲) : 뜬구름을 가리키는 말로 세상일이 그처럼 허무하다는 뜻임. 직유법

가찬(加餐) : 맛있는 음식을 더 많이 취하는 것

 

감상

이 시의 본래 제목은 작주여배적(酌酒與裵迪)’으로서, 불우한 친구 배적에게 술을 권하며 위로하는 내용으로 된 7언 율시(七言律時)이다.

술이나 들면서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라고 친구에게 권하면서, 인정은 믿을 것이 못됨을 한탄했다. 백수(白首)가 되도록 오래 사귄 친구도 이해에 따라 적이 되고, 영달한 선배도 신진의 길을 막는 세상. 관계(官界)에서 일생을 보낸 왕유는 그러한 내막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마치 잡초는 잘 자라도 꽃은 그렇지 못한 것처럼 소인은 출세하고 군자는 불우한 것이 통례라고 한 현실적 감정을 5, 6구에서 적절하고도 통렬하게 표현하였다.

사회가 다르고 시대가 바뀌었으나, 현세 또한 차가운 인정의 파도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니, 이 시가 우리의 현실적 문제로서 느껴지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다.

--------------------------------------------------------

친구인 배적과 술잔을 나누며 인생살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사람의 마음이란 파도와 같아 언제 어떻게 변할는지 종잡을 수 없는 일이다. 오래된 친구 사이에도 갈등이 일어 원수처럼 될 수 있고, 높은 벼슬아치들은 지난 날 자기들도 그랬으면서도 새로 벼슬하고자 하는 젊은이를 보고는 벼슬길에 눈이 뒤집혔구나 한다.

잡초 같은 민초(民草)들은 임금님의 은혜에 만족하지만, 글을 배운 선비들은 벼슬길에 들어 청운의 뜻을 펴 보려고 하나 반대파나 간신들의 모함을 받기 쉬운 법이다. 인생사란 저 뜬 구름과 같은 것, 그저 제 몸 온전히 가지기를 꾀하는 게 바람직한 일이다. 봉건 시대에 당파나 모함으로 인해 사약(賜藥)을 받던 사례가 다반사이던 일을 상상해 보면 인생행로는 고난의 길인 것이다.

 

------------------------------------------------------------

왕유(王維: 699759) 

중국 당 나라 중기 시인. 서가(書家). 화가(畵家). 오언시(五言詩)에 능하며 진()'도잠(陶潛)', ()'사영운(謝靈運)'의 계통을 따라 정밀하고 담박(淡泊)한 자연을 즐겨 읊었다. 그의 시문을 모은 <왕우승집(王右丞集)> 28권이 있다.

 

배적(裵迪: 716?) 

당 나라 시인. 젊은 시절에는 왕유, 최흥종(崔興宗)과 친해 같이 종남산(終南山)을 거닐면서 서로 화창(和唱)했다. 왕유와 각각 5언절구(五言絶句) 20수를 지었는데, 망천의 여러 경치를 노래한 작품이다.

) --> 


 cafe.daum.net/yesulchon/Viw/54193   碧波 藝術村





当前位置: 习古堂国学网>> 唐诗赏析>> 王维>>

  •  王维生平介绍 
  •    

    王维(701761 ), 字摩诘,祖籍太原祁(今山西祁县)。九岁知属辞,十九岁应京兆府试点了头名,二十一岁(开元九年)中进士。任大乐丞。但不久即因伶人越规表演黄狮子舞被贬为济州(在今山东境内) 司功参军。宰相张九龄执政时,王维被提拔为右拾遗,转监察...


  •  《相思》王维唐诗鉴赏

    相思 王维 红豆生南国, 春来发几枝? 劝君多采撷, 此物最相思。 王维诗鉴赏 这首诗是青年王维所作爱情诗的代表。该诗由物感怀,借助红豆鲜艳色彩和有关的动人传说,以含蓄深沉而清新流畅的语言,传达浓烈的相思之情,十分感人。《相思》流传至今仍不失为咏...


  •  《九月九日忆山东兄弟》王维唐诗鉴赏   
  • 九月九日忆山东兄弟 王维 独在异乡为异客, 每逢佳节倍思亲。 遥知兄弟登高处, 遍插茱萸少一人。 王维诗鉴赏 《九月九日忆山东兄弟》一诗,是王维十七岁时所作。王维少年时就与胞弟王缙离开家乡蒲州到西京长安和东都洛阳客游。在诗歌创作方面的久负盛名,使...


  •  《鸟鸣涧》王维唐诗鉴赏

    鸟鸣涧 王维 人闲桂花落, 夜静春山空。 月出惊山鸟, 时鸣春涧中。 王维诗鉴赏 《鸟鸣涧》是王维题友人皇甫岳所居诗《皇甫岳云溪杂题五首》的第一首。诗人以娴熟精炼的笔法,重点描绘了皇甫岳别墅中的景色,展现了一幅幽静恬人的春山月夜的图画。 这首诗极...


  •  《青溪》王维唐诗鉴赏

    青溪 王维 言入黄花川, 每逐青溪水。 随山将万转, 趣途无百里。 声喧乱石中, 色静深松里。 漾漾泛菱荇, 澄澄映葭苇。 我心素已闲, 清川澹如此。 请留盘石上, 垂钓将已矣。 王维诗鉴赏 这首诗又题《过青溪水作》,大约是王维初隐蓝田南山时所作。 言入...


  •  《新晴野望》王维唐诗鉴赏

    新晴野望 王维 新晴原野旷, 极目无氛垢。 郭门临渡头, 村树连溪口。 白水明田外, 碧峰出山后。 农月无闲人, 倾家事南亩。 王维诗鉴赏 这是一首田园诗,描写初夏的乡村,雨过天晴,诗人眺望原野所见到的景色。新晴原野旷,极目无氛垢。诗的开头两句,总述...


  •  《夷门歌》王维唐诗鉴赏

    夷门歌 王维 七雄雄雌犹未分, 攻城杀将何纷纷。 秦兵益围邯郸急, 魏王不救平原君。 公子为嬴停驷马, 执辔愈恭意愈下。 亥为屠肆鼓刀人, 嬴乃夷门抱关者。 非但慷慨献奇谋, 意气兼将生命酬。 向风刎颈送公子, 七十老翁何所求! 王维诗鉴赏 此诗题材出自...


  •  《酬张少府》王维唐诗鉴赏

    酬张少府 王维 晚年惟好静, 万事不关心。 自顾无长策, 空知返旧林。 松风吹解带, 山月照弹琴。 君问穷通理, 渔歌入浦深。 王维诗鉴赏 这是一首赠友诗。题目冠以酬字,表明张少府先有诗相赠,王维再和以此诗。 晚年唯好静,万事不关心。首句平淡自然似开...


  •  《归嵩山作》王维唐诗鉴赏

    归嵩山作 王维 清川带长薄, 车马去闲闲。 流水如有意, 暮禽相与还。 荒城临古渡, 落日满秋山。 迢递嵩高下, 归来且闭关。 王维诗鉴赏 这首诗抒写诗人辞官归隐途中所见的景色和心情。 嵩山,古称中岳,在今河南登封县北。 清川带长薄,车马去闲闲。首联描...


  •  《谓城曲》王维唐诗鉴赏

    谓城曲 王维 渭城朝雨浥轻尘, 客舍青青柳色新。 劝君更进一杯酒, 西出阳关无故人。 王维诗鉴赏 本诗又题《送元二使安西》是王维在三十多岁时为送出使安西的友人元二所作的一首送别诗。 渭城朝雨浥轻尘,客舍青青柳色新二句,紧紧抓住富有特征和代表性的景...


  •  《观猎》王维唐诗鉴赏

    观猎 王维 风劲角弓呜, 将军猎渭城。 草枯鹰眼疾, 雪尽马蹄轻。 忽过新丰市, 还归细柳营。 回看射雕处, 千里暮云平。 王维诗鉴赏 《观猎》是王维前期描写将军射猎情景的诗作。 全诗共分两部分。前四句为第一部分,写射猎的过程。 首联风劲角弓鸣,将军猎...


  •  《终南山》王维唐诗鉴赏

    终南山 王维 太乙近天都, 连山到海隅。 白云回望合, 青霭入看无。 分野中峰变, 阴晴众壑殊。 欲投人处宿, 隔水问樵夫。 王维诗鉴赏 《终南山》一诗约作于开元末至天宝初年,此时诗人王维曾在他的终南山别业过着纵情山水,亦官亦隐的生活。这首诗是诗人望...


  •  《山居秋暝》王维唐诗鉴赏

    山居秋暝 王维 空山新雨后, 天气晚来秋。 明月松间照, 清泉石上流。 竹喧归浣女, 莲动下渔舟。 随意春芳歇, 王孙自可留。 王维诗鉴赏 王维青年时期,由于政治比较清明,曾创作过一些豪迈俊爽的诗篇。后来奸相李林甫当权,排斥异己,诗人几经贬谪,越发理...


  •  《渭川田家》王维唐诗鉴赏

    渭川田家 王维 斜光照墟落, 穷巷牛羊归。 野老念牧童, 倚杖候荆扉。 雉雊麦苗秀, 蚕眠桑叶...

  •  《春中田园作》王维唐诗鉴赏 
  •    

    春中田园作 王维 屋上春鸠鸣, 村边杏花白。 持斧伐远扬, 荷锄觇泉脉。 归燕识故巢, 旧人看新历。 临觞忽不御, 惆怅远行客。 王维诗鉴赏 屋上春鸠呜,村边杏花白首联就传达出浓郁的春天的气息。斑鸠是报春的使者,它最早追随着春天的脚步飞到村庄中来,在...

  •  《送别》王维唐诗鉴赏 
  •    

    送别 王维 下马饮君酒, 问君何所之? 君言不得意, 归卧南山陲。 但去莫复问, 白云无尽时。 王维诗鉴赏 这首诗写送友人归隐。全诗六句,仅第一句叙事,五个字就叙写出自己骑马并辔送了友人一段路程,然后才下马设酒,饯别友人。下马之处也就是饯饮之地,大...

  •  《奉和圣制从蓬莱向兴庆阁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应制》 
  •    

    奉和圣制从蓬莱向兴庆阁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应制 王维 渭水自萦秦塞曲, 黄山旧绕汉宫斜。 銮舆迥出千门柳, 阁道回看上苑花。 云里帝城双凤阙, 雨中春树万人家。 为乘阳气行时令, 不是宸游重物华。 王维诗鉴赏 蓬莱宫,即唐大明宫。唐代宫城位于长安东北...


  •  《和贾至舍人早朝大明宫之作》王维唐诗鉴赏
  • 。 九天阊阖开宫殿, 万国衣冠拜冕旒。 日色才临仙掌动, 香烟欲傍衮龙...

  •  《酬郭给事》王维唐诗鉴赏 
  • 酬郭给事 王维 洞门高阁霭余晖, 桃李阴阴柳絮飞。 禁里疏钟官舍晚, 省中啼鸟吏人...


  •  《息夫人》王维唐诗鉴赏 
  • 息夫人 王维 莫以今时宠, 能忘旧日恩。 看花满眼泪, 不共楚王言。 王维诗鉴赏 息夫人本是春秋时息国君主的妻子。公元前680年,楚王灭了息国,将她据为己有。她虽在楚宫里生了两个孩子,但默默无言,始终不和楚王说一句话。 莫以今时宠,能忘旧日恩,这两句...


  •  《山中》王维唐诗鉴赏

    山中 王维 荆溪白石出, 天寒红叶...


  •  《陇头吟》王维唐诗鉴赏

    陇头吟 王维 长安少年游侠客, 夜上戍楼看太白。 陇头明月迥临关, 陇上行人夜吹笛。 关西老将不胜愁, 驻马听之双泪流。 身经大小百余战, 麾下偏裨万户侯。 苏武才为典属国, 节旄空尽海西头。 王维诗鉴赏 《陇头吟》是王维用乐府旧题写的一首边塞诗。 题...


  •  《老将行》王维唐诗鉴赏

    老将行 王维 少年十五二十时, 步行夺取胡马骑。 射杀山中白额虎, 肯数邺下黄须儿。 一身转战三千里, 一剑曾当百万师。 汉兵奋迅如霹雳, 虏骑崩腾畏蒺藜。 卫青不败由天幸, 李广无功缘数奇。 自从弃置便衰朽, 世事蹉跎成白首。 昔时飞箭无全目, 今日垂...


  •  《桃源行》王维唐诗鉴赏

    桃源行 王维 渔舟逐水爱山春, 两岸桃花夹去津。 坐看红树不知远, 行尽青溪不见人。 山口潜行始隈隩, 山开旷望旋平陆。 遥看一处攒云树, 近入千家散花竹。 樵客初传汉姓名, 居人未改秦衣服。 居人共住武陵源, 还从物外起田园。 月明松下房栊静, 日出云...


  •  《洛阳女儿行》王维唐诗鉴赏

    洛阳女儿行 王维 洛阳女儿对门居, 才可容颜十五余。 良人玉勒乘骢马, 侍女金盘脍鲤鱼。 画阁朱楼尽相望, 红桃绿柳垂檐向。 罗帏送上七香车, 宝扇迎归九华帐。 狂夫富贵在青春, 意气骄奢剧季伦。 自怜碧玉亲教舞, 不惜珊瑚持与人。 春窗曙灭九微火, 九...


  •  《答张五弟》王维唐诗鉴赏

    答张五弟 王维 终南有茅屋, 前对终南山。 终年无客长闭关, 终日无心长自闲。 不妨饮酒复垂钓, 君但能来相往还。 王维诗鉴赏 这是诗人中年以后隐居终南山期间写的一首赠答友人的小诗。张五弟,即张湮,唐代书画家,官至刑部员外郎,与王维友好。因排行第五...


  •  《辋川闲居赠裴秀才迪》王维唐诗鉴赏

    辋川闲居赠裴秀才迪 王维 寒山转苍翠, 秋水日潺湲。 倚杖柴门外, 临风听暮蝉。 渡头余落日, 墟里上孤烟。 复值接舆醉, 狂歌五柳前。 王维诗鉴赏 这首诗描绘辋川秋日傍晚的幽美风光,抒写了诗人的隐居之乐和对友人的真挚情谊,画出了一幅绝妙的高士秋趣图...


  •  《冬晚对雪忆胡居士家》王维唐诗鉴赏

    冬晚对雪忆胡居士家 王维 寒更传晓箭, 清镜览衰颜。 隔牖风惊竹, 开门雪满山。 洒空深巷静, 积素广庭闲。 借问袁安舍, 翛然尚闭关。 王维诗鉴赏 王维这首《冬晚对雪忆胡居士家》就是一首抒写雪中思友的诗,表达出对友人深切的关怀。胡居士: 名不详。只...


  •  《过香积寺》王维唐诗鉴赏

    过香积寺 王维 不知香积寺, 数里入云峰。 古木无人径, 深山何处钟。 泉声咽危石, 日色冷青松。 薄暮空潭曲, 安禅制毒龙。 王维诗鉴赏 香积寺:唐佛寺名,在今陕西长安县南神禾原上。 香积:佛教传说众香国的佛名。 王维的诗,不只是诗中有画,而且往往诗...


  •  《使至塞上》王维唐诗鉴赏

    使至塞上 王维 单车欲问边, 属国过居延。 征蓬出汉塞, 归雁入胡天。 大漠孤烟直, 长河落日圆。 萧关逢候骑, 都护在燕然。 王维诗鉴赏 开元二十五年(737),河西节度副大使崔希逸战胜吐蕃。同年,对王维颇为赏识的开明政治家张九龄被贬迁荆州,王维也被...


  •  《送梓州李使君》王维唐诗鉴赏

    送梓州李使君 王维 万壑树参天, 千山响杜鹃, 山中一半雨, 树杪百重泉。 汉女输橦布, 巴人讼芋田, 文翁翻教授, 不敢倚先贤。 王维诗鉴赏 赠别之作,多从眼前景物写起,即景生情,抒发惜别之意。王维此诗,立意则不在惜别,而在劝勉,因而一上来就从悬想...


  •  《积雨辋川庄作》王维唐诗鉴赏

    积雨辋川庄作 王维 积雨空林烟火迟, 蒸藜炊黍饷东葘。 漠漠水田飞白鹭, 阴阴夏木啭黄鹂。 山中习静观朝槿, 松下清斋折露葵。 野老与人争席罢, 海鸥何事更相疑。 王维诗鉴赏 王维的这首七律名篇,描写山庄雨景和隐居心情。 全诗八句四联,首联写积雨天农...


  •  《孟城坳》王维唐诗鉴赏

    孟城坳 王维 新家孟城口, 古木余衰柳。 来者复为谁, 空悲昔人有。 王维诗鉴赏 孟城坳:这是《辋川集》的第一首。王维隐居于辋川别业时,常与裴迪携手赋诗,步仄径,临清流 (王维《山中与裴秀才迪书》),二人同咏辋川孟城坳等二十景,各成五言诗二十首,...


  •  《鹿柴》王维唐诗鉴赏

    鹿柴 王维 空山不见人, 但闻人语响。 返景入深林, 复照青苔上。 王维诗鉴赏 这是王维后期的山水诗代表作 五绝组诗《辋川集》二十首中的第四首。鹿柴(zhi寨),是辋川的地名。 诗里描绘的是鹿柴附近的空山深林在傍晚时分的幽静景色。第一句空山不见人,先...


  •  《白石滩》王维唐诗鉴赏

    白石滩 王维 清浅白石滩, 绿蒲向堪把。 家住水东西, 浣纱明月下。 王维诗鉴赏 这诗是王维《辋川集》中的一首,描写白石滩月夜景色,清新可喜,颇堪玩味。 白石滩,辋水边上由一片白石形成的浅滩,是著名的辋川二十景之一。王维的山水诗很注意表现景物的光...


  •  《竹里馆》王维唐诗鉴赏

    竹里馆 王维 独坐幽篁里, 弹琴复长啸。 深林人不知, 明月来相照。 王维诗鉴赏 《竹里馆》描写在远离人烟的竹林深处诗人所感受到的天然乐趣。诗人独自一人,尽情地弹琴,时而发出长啸。在这幽静的竹林里,没有别人知道诗人的存在,只有天上的明月,将它皎洁...


  •  《辛夷坞》王维唐诗鉴赏

    辛夷坞 王维 木末芙蓉花, 山中发红萼。 涧户寂无人, 纷纷开且落。 王维诗鉴赏 这是王维田园组诗《辋川集》二十首中的第十八首。这组诗全是五绝,犹如一幅幅精美的绘画小品,从多方面描绘了辋川一带的风物。作者很善于从平凡的事物中发现美,不仅以细致的笔...


  •  《杂诗三首(选一)》王维唐诗鉴赏

    杂诗三首(选一) 王维 君自故乡来, 应知故乡事。 来日绮窗前, 寒梅着花未? 王维诗鉴赏 《杂诗三首》,是王维拟江南乐府民歌风格所作的一组抒写男女别后相思之情的五言绝句。第一首: 家住孟津河,门对孟津口。常有江南船,寄书家中否?描写闺人怀远以及...


  •  《送沈子福之江东》王维唐诗鉴赏

    送沈子福之江东 王维 杨柳渡头行客稀, 罟师荡桨向临圻。 惟有相思似春色, 江南江北送君归。 王维诗鉴赏 王维的送别诗,几乎首首都有新意。这一首艺术构思新巧缜密,想象大胆丰富,比喻自然贴切,感情深切浓郁。 首二句点出送别的时间、地点。杨柳渡头是实...


  •  《漆园》王维唐诗鉴赏

    漆园 王维 古人非傲吏, 自阙经世务。 偶寄一微官, 婆娑数株树。 王维诗鉴赏 这是王维《辋川集》中的一首。漆园是辋川二十景之一。但这首诗的意不在描绘漆园的景物,而在于通过描写与漆园有关的典故,表明诗人的生活态度。 诗的前两句,反用郭璞《游仙诗》...


  •  《山中送别》王维唐诗鉴赏

    山中送别 王维 山中相送罢, 日暮掩柴扉。 春草明年绿, 王孙归不归? 王维诗鉴赏 这首《山中送别》诗,没有描写离亭饯别的情景,而是匠心独具,选取了与一般送别诗截然不同的角度。 诗的首句山中相送罢,在一开头就告诉读者相送已罢,把送行时的话别场面、...


  •  《书事》王维唐诗鉴赏

    书事 王维 轻阴阁小雨, 深院昼慵开。 坐看苍苔色, 欲上人衣来。 王维诗鉴赏 这是一首即事写景之作。题为书事,是诗人就眼前事物抒写自己瞬间的感受。 开头两句,写眼前景而传心中情。绵绵细雨刚刚停止,天色还稍稍带阴,诗人缓步走向深院。虽是白天,却懒...


  •  《蓝田山石门精舍》王维唐诗鉴赏

    蓝田山石门精舍 王维 落日山水好, 漾舟信归风。 玩奇不觉远, 因以缘源穷。 遥爱云木秀, 初疑路不同。 安知清流转, 偶与前山通。 舍舟理轻策, 果然惬所适。 老僧四五人, 逍遥荫松柏。 朝梵林未曙, 夜禅山更寂。 道心及牧童, 世事问樵客。 暝宿长林下...


  •  《送綦母校书弃官还江东》王维唐诗鉴赏

    送綦母校书弃官还江东 王维 明时久不达, 弃置与君同。 天命无怨色, 人生有素风。 念君拂衣去, 四海将安穷。 秋天万里净, 日暮澄江空。 清夜何悠悠, 扣舷明月中。 和光鱼鸟际, 淡尔蒹葭丛。 无庸客昭世, 衰鬓日如蓬。 顽疏暗人事, 僻陋远天聪, 微物...


  •  《齐州送祖三》王维唐诗鉴赏

    齐州送祖三 王维 相逢方一笑, 相送还成泣。 祖帐已伤离, 荒城复愁入。 天寒远山净, 日暮长河急。 解缆君已遥, 望君犹伫立。 王维诗鉴赏 祖三即祖咏,是王维诗友,王维另有《赠祖三咏》一诗,称彼此结交二十载,可见交谊之深。此诗作于贬谪济州时。 相逢...


  •  《宿郑州》王维唐诗鉴赏

    宿郑州 王维 朝与周人辞, 暮投郑人宿。 他乡绝俦侣, 孤客亲僮仆。 宛洛望不见, 秋霖晦平陆。 田父草际归, 村童雨中牧。 主人东皋上, 时稼绕茅屋。 虫思机杼鸣, 雀喧禾黍熟。 明当渡京水, 昨晚犹金谷。 此去欲何言, 边穷徇微禄。 王维诗鉴赏 朝与周人...


  •  《偶然作(之六)》王维唐诗鉴赏

    偶然作(之六) 王维 老来懒赋诗, 惟有老相随。 宿世谬词客, 前身应画师。 不能舍余习, 偶被世人知。 名字本皆是, 此心还不知。 王维诗鉴赏 王维《偶然作》共存六首。这首诗写老态、懒意,抒写了一种大彻大悟、无悲无喜的宁静淡泊之心。 老来懒赋诗,惟...


  •  《献始兴公》王维唐诗鉴赏

    献始兴公 王维 宁栖野树林, 宁饮涧水流。 不用食粱肉, 崎岖见王侯。 鄙哉匹夫节, 布褐将白头。 任智诚则短, 守仁固其优。 侧闻大君子, 安问党与仇。 所不卖公器, 动为苍生谋。 贱子跪自陈: 可为帐下不? 感激有公议, 曲私非所求。 王维诗鉴赏 张九龄...


  •  《不遇咏》王维唐诗鉴赏

    不遇咏 王维 北阙献书寝不报, 南山种田时不登。 百人会中身不预, 五侯门前心不能。 身投河朔饮君酒, 家在茂陵平安否? 且共登山复临水, 莫问春风动杨柳。 今人作人多自私, 我心不说君应知。 济人然后拂衣去, 肯作徒尔一男儿! 王维诗鉴赏 这首诗以第一...


  •  《从岐王过杨氏别业应教》王维唐诗鉴赏

    从岐王过杨氏别业应教 王维 杨子谈经所, 淮王载酒过。 兴阑啼鸟换, 坐久落花多。 径转回银烛, 林开散玉珂。 严城时未启, 前路拥笙歌。 王维诗鉴赏 岐王李范是睿宗的第四个儿子,玄宗的弟弟,好学工书,礼贤下士。岐王带领王维等人同游杨氏别业并命他们写...


  •  《过刘司直赴安西》王维唐诗鉴赏

    过刘司直赴安西 王维 绝域阳关道, 胡烟与塞尘。 三春时有雁, 万里少行人。 苜蓿随天马, 蒲桃逐汉臣。 当令外国惧, 不敢觅和亲。 王维诗鉴赏 这是一首送别诗,司直,官名,大理寺(掌管刑狱)有司直六人,从六品上。安西,指安西都护府。《旧唐书地理志》...


  •  《送赵都督赴代州得青字》王维唐诗鉴赏

    送赵都督赴代州得青字 王维 天官动将星, 汉地柳条青。 万里鸣刁斗, 三军出井陉。 忘身辞凤阙, 报国取龙庭。 岂学书生辈, 窗间老一经。 王维诗鉴赏 这是一首作于离筵之上的送别诗。一位姓赵的都督即将带兵开赴代州(治所在今山西代县),王维等人为赵都督...


  •  《送邢桂州》王维唐诗鉴赏

    送邢桂州 王维 铙吹喧京口, 风波下洞庭。 赭圻将赤岸, 击汰复扬舲。 日落江湖白, 潮来天地青。 明珠归合浦, 应逐使臣星。 王维诗鉴赏 这是一首送别诗。邢桂州指邢济。 首句写京口(即今日镇江)送别场景, 铙吹喧京口 ,钟鼓齐鸣,以听觉感受来写视觉形...


  •  《送丘为落第归江东》王维唐诗鉴赏

    送丘为落第归江东 王维 怜君不得意, 况复柳条春。 为客黄金尽, 还家白发新。 五湖三亩宅, 万里一归人。 知祢不能荐, 羞为献纳臣。 王维诗鉴赏 丘为,嘉兴人,屡试不第,归山读书数年,天宝初中进士,官至太子右庶子,九十六岁卒。王维与他兴味相投,交谊...


  •  《酌酒与裴迪》王维唐诗鉴赏

    酌酒与裴迪 王维 酌酒与君君自宽, 人情翻覆似波澜。 白首相知犹按剑, 朱门先达笑弹冠。 草色全经细雨湿, 花枝欲动春风寒。 世事浮云何足问, 不如高卧且加餐。 王维诗鉴赏 本诗写于《辋川集》同时,是王维晚年诗作中十分值得玩味的一篇。 首句酌酒与君君...


  •  《菩提寺禁裴迪》王维唐诗鉴赏

    菩提寺禁裴迪来相看说逆贼等凝碧池上作音乐供奉人等举声便一时泪下私成口号诵示裴迪 王维 万户伤心生野烟, 百官何日再朝天。 秋槐叶落空宫里, 凝碧池头奏管弦。 王维诗鉴赏 据《旧唐书王维传》:禄山陷两京,玄宗出幸,维扈从不及,为贼所得。维服药取痢伪...


  •  《田园乐》王维唐诗鉴赏

    田园乐 王维 萋萋芳草春绿, 落落长松夏寒。 牛羊自归村巷, 童稚不识衣冠。 王维诗鉴赏 《田园乐》是一组六言绝句,共七首,题目一作《辋川六言》,当是诗人退居辋川别业时所作。 诗中表现了村居环境的幽宜、民风的纯朴。芳草、长松 ,其色调、其形态就给人...


  •  《田园乐》王维唐诗鉴赏(山下孤烟远村)

    田园乐 王维 山下孤烟远村, 天边独树高原。 一瓢颜回陋巷, 五柳先生对门。 王维诗鉴赏 在王维笔下,这首诗简直象一幅萧疏清淡的水墨画。它描绘的是远景。山下,不是指近处山下,而是指远处山下,因为山下有远村作伴。可见, 远村暗示出远山。且此山与天边


习古堂国学网








    

    무슨 일로 홀로 꽃이 없소 하니

김광우 (misulm****)

                13.12.15 09:55             


무슨 일로 홀로 꽃이 없소 하니

 


問春桂문춘계: 봄 계수나무에게 묻기를

桃李正芳華도리정방화: 복숭아와 오얏나무 이제 막 향기로운 꽃 피워

年光隨處滿연광수처만: 봄빛이 곳곳에 가득하거늘

何事獨無花하사독무화: 무슨 일로 홀로 꽃이 없소 하니

春桂答춘계답: 봄 계수나무 대답하기를

春華詎能久춘화거능구: 봄꽃이 어찌 오래갈 수 있으리

風霜搖落時풍상요락시: 바람과 서리 몰아칠 때에는

獨秀君知不독수군지불: 나 혼자 빼어난 줄 그대는 아는가 모르는가.

 

 

   앞서 소식蘇軾의 춘야행春夜行을 올렸는데, 소식이 봄날의 밤에 가는 봄이 아쉬워서 춘야행을 읊었다면 왕유王維(699?~759)는 봄날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이 시를 읊었습니다.

우선 시가 쓰인 때가 안사의 난이 중국 전체를 회오리바람으로 휘몰아칠 때였습니다.

안록산安祿山이 난을 일으켰을 때 많은 사대부들이 그에게 협력했습니다.

양귀비楊貴妃의 양자였던 안록산은 한때 궁정에서 크게 세력을 떨쳤으나, 결국 아들의 손에 살해되어 씁쓸한 삶을 마감했습니다.

왕유도 한때 안록산의 군대에 붙잡혔으나, “약을 먹어 벙어리가 되었다”고 하면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시로 신세를 한탄했습니다.

 

   현종은 귀비 양옥환楊玉環(양귀비)을 총애하여 정치를 보살피지 않았고 이임보李林甫와 양국충楊國忠이 차례로 집권하던 때였습니다.

중국 역사에서 환관이 나라를 망친 때가 여러 차례 있었는데, 이때에도 환관 고력사高力士가 정치에 개입하여 정치가 몹시 부패했습니다.

호족 출신의 안록산은 세력을 키워 정치적으로 양국충과 대립하였고, 양국충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755년(천보 14)에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는 먼저 낙양을 점령하고 대연황제大燕皇帝라 칭한 후 장안을 공격하자 현종은 창황히 사천으로 도망가게 되었습니다. 현종은 도중에 양귀비를 자살하게 하고 영무靈武에서 숙종에게 양위하여(756) 안사의 난을 평정하도록 했습니다.

 

   왕유는 시인이자 화가로도 유명합니다.

그의 자字는 마힐摩詰인데, 유維와 자字 마힐은《유마경維摩経》에 나오는 거사居士 유마힐維摩詰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왕유는 어려서부터 시詩와 서書, 음곡音曲 등에 뛰어난 재주를 나타냈으며, 9살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고, 15살에 당唐나라 수도였던 장안長安(지금의 서안西安)으로 유학 가서 황실皇室에까지 이름을 떨쳤습니다.

현종玄宗(재위 712∼756) 말기에 이부낭중吏部郎中과 급사중給事中 등의 요직要職을 역임했습니다.

 

   755년 안사의 난이 일어나고, 756년 장안長安이 점령되자 왕유는 반란군에 사로잡혀 뤄양洛陽으로 끌려갔으며, 그곳에서 안녹산으로부터 벼슬을 받았지만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기고 남전藍田(陝西省 長安 동남의 縣)의 중난산終南山 기슭에 세운 망천장輞川莊에 머물며 시詩로서 자신의 마음을 나타냈습니다.

758년 현종玄宗의 뒤를 이은 숙종肅宗(재위 756~762)이 반란군을 물리치고 장안과 뤄양을 탈환한 뒤 왕유는 안녹산에게 벼슬을 받은 일로 문책을 받았지만 사정이 인정되어 사면赦免받았습니다.

그리고 태자중윤太子中允으로 등용된 뒤, 태자중서자太子中庶子, 중서사인中書舎人, 급사중給事中을 거쳐 상서우승尙書右丞이 되었습니다.

 

   시인으로서 왕유는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李白(701~762), 시성詩聖이라 불리는 두보杜甫(712~770)와 함께 중국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3대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힙니다.

왕유는 그림에도 뛰어나 송宋나라의 소식蘇軾(1036~1101)은 왕유의 시와 그림을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詩中有畵 畵中有詩”고 평했습니다.

왕유는 정건鄭虔, 오도자呉道子 등과 함께 중국 남종화南宗畵의 개조開祖로 여겨지고 있으며, 문인화文人畵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인물이나 꽃, 대나무, 산수山水의 정경 등 다양한 소재를 그림으로 나타냈는데, 특히 수묵水墨 산수화山水畵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왕유는 자연을 소재素材로 한 오언五言 율시律詩와 절구絶句에 뛰어난 성취를 보여 육조六朝 시대부터 내려온 자연시自然詩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당나라 시대의 자연시 전통을 대표하는 인물을 왕맹위유王孟韋柳라 부르는데, 왕유와 위응물韋應物(737~804), 맹호연孟浩然(689~740), 유종원柳宗元(773~819)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 다음 아고라 자료 ......





시인 왕유王維의 선禪

 

심법心法의 회랑回廊
    중국선종사를 대하는 우리가 자칫 잊어버리기 쉬운 것은 자신들이 성취한 시업의 영광을 통해 당대선종과 합류하고 있는 시인들의 존재이다.
당대 중국 문학은 당대의 선종 불교와 더불어 동양인의 심성이 누릴 수 있는 최대치의 행복한 꿈을, 우리를 심법의 회랑으로 안내하는 길잡이로서 우리의 생애에 등록되어야 마땅하다. 우리가 좀 더 당대 중국 문학과 중국 불교의 치연성에 주의를 기울린다면 동양문화의 중책을 이루고 있는 중국문학과 불교의 본질에 대해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독실한 선종귀의자였던 왕유(701-761). 시성, 두보(712-770) 저 요염한 비가 장한가와 비파행의 시인이며 진생의 희비애락을 모두 불교체험으로 이행시켜 버린 백거이(772-846) 고문운동의 대가 한유(768-824)그리고 귀기와 요절의 숙명을 시업의 댓가로 지불해야 했던 슬픈 이하(790-816)...이들이 문학과 불교를 확인하는 일은 선의 고전을 보는 행위 못지 않은 가치를 점유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문학과 인생, 불교야말로 그들 자신의 생애를 바쳐 전념했던 인간탐구의 예술적 결실이기 때문이다.


그   들은 문학이라는 인간탐구의 보편적인 주제를 불교적 실존으로 환원시키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문학과 인생은 시간의 강 저편에서 투명한 광채를 발하고 있는 것이다.
왕유, 두보, 백거이와 같은 당대 제일급의 시인들은 선과 합류함으로서 동양의 자연과 인생을 선의 깊고 무한한 영감으로 표백한다. 그뿐만 이니라 시인들은 그들이 갈고 닦은 전아한 문사로서 입적한 선승들의 전기적 비명을 쓰고 있다. 시인들은 선승들의 비평 집필자로서 시인과 선승의 정신적인 친연관계를 확인하고 잇는 것이다.


고독한 산책자 왕유
    남종화의 원조, 비파의 명연주자, 시인 왕유 시인은 유마경의 주인공 유마힐을 자신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름 그대로 王·維·鷹인 것이다. 유사경은 범어 비마리꺼르띠 Vimalakirti의 음사. 무구칭 정명 이구라고 한역된다. 유마힐은 그 자위처럼 번뇌 속에 있으나 번뇌의 물듦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있는 자유인이다. 대승적인 인간의 전형으로서 유마힐은 " 인간은 번외의 오물에 더렵혀져 있으나 더러움 그 자체는 아니다."라는 붓다의 선언을 범부의 일상 속에서 자유롭고 당당하게 실현한다. 왕유는 바로 이와 같은 인간상을 자신이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삼았으며, 그 자신 선과 문학을 통해서 유마의 길에 오르고자 했던 불교체험자였다.


   젊은 날의 왕유는 재기발랄하고 명석한 정신을 갖고 있었다. 태평광기는 묘년결백, 풍자도미했던 왕유의 편모를 이렇게 기록한다. 우승 와유, 약관에 문장득명, 음율에 밝았다. 특히 비파의 명연주자로서 여러 귀인들의 집에 자주 드나들었으며 기왕이 그를 중히 여겼다.


   이처럼 문학, 음악, 회화에 다재다능했던 왕유는 721년 진사로 입신하여 관리생활을 시작한다. 그러나 왕유도 봉건 왕조사회에서 지식인과 시인이 겪어야 할 시련을 피할 수 없었다. 왕유도 백거이도 당왕조의 궁정에서 벌어지는 권력투쟁에 견디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시인들은 정치가 손을 뻗을 수 없는 세계, 소세계에서의 해방을 지향하고 있다. 이 점이 당대시인들의 연대기에서 보 여지는 공통적인 운명인 것이다. 성당盛害 (7l2-766)이후 작문, 작시 능력을 위주로 하는 과거제도가 정착되면서 신분이 낮은 독서인도 고급관리로서 입신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는 했으나, 과거에 합격하더라도 정쟁에 휘말려 불우한 생애를 보낸 사람들이 많았다. 그들은 자신의 정치적인 이상과 재능을 정당하게 평가하지 않는 귀족사회에 모순을 느꼈으며 그 비분강개함을 시로 표현했다.


   특히 백거이의 풍유시를 계승하는 만당의 피일휴(843-883?)같은 시인은 직접 황소의 난에 참여하여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문학이 아닌 행동으로 표출해 내고 있기도 하다. 이 불우한 생훨과 그들의 재능이 바로 당시의 문학적 에네르기였던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몇 차례의 좌천생활을 경험한 왕유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련은 755년 안록산의 난중에 입은 부역자의 혐의와 그 수모였다. 당 왕조의 부패와 전황에 분개한 안록산이 난을 일으키자 현종은 사천성으로 피난하고 수도 장안은 반란군의 수중에 떨어진다. 장안에 남아 있던 왕유는 반란군에 의해 보리사에 구금된다. 시인은 약물을 복용하고 이질병을 가장했으나, 반란군측은 그를 낙양으로 이송하여 급사중의 벼슬을 강요했다. 반란이 평정된 757년 왕유는 부역자의 혐의로 중죄에 처해질 뻔했으나 반란평정의 공신으로 승진한 동생 왕진의 간절한 구명운동으로 화를 면하게 된다. 이후 왕유의 명예는 빠르게 회복되어 759년에는 우숭상에까지 오르지만 시인은 안록산의 난중에 격은 곤욕과 정치에 대한 절망 때문에 관직에 대한미련을 버리게 된다. 이미 관직에 대한 미련을 버린 왕유는 장안 남쪽의 교외에 소재한 망천장에 은거하여 관리로서의 입신보다는 시와 그림, 선에 몰두한다. 도광선사의 문하에서 "십년좌하十年座下, 부복수교 俯伏受敎"한 선불교 접촉은 모친 최씨의 영향이 컸다. 7502년 모친 최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유는 집을 기증하여 절 만들기를 청하는 표에서 이렇게 쓴다.


   " 신의 망모 고 박롱현군 최씨는 일찍이 대조선사의 문하에서 삼십여 년 사사하였습니다. 신의 어미는 살아 계시는 동안 거친 옷과 채식, 계율을 지키며 참선하였습니다. 산림에 즐거이 머물며 적정越靜을 구하는 일에 뜻을 두었습니다."


대조선사는 바로 북종 신수의 사법제자關法弟子인 보적普寂(651-739)의 시호諸虎이다. 왕유의 모친 최씨는 중국여인들이 바라마지 않는 비단옷마저 몸에 걸치지 않고 북종선의 보적선사에게 선을 수업한 불교도였던 것이다. 모친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불교사장인 영향을 받은 왕유는 아내가 죽은 서른 살 이후 완전히 불교사상을 체현하는 생활을 꾸리게 된다. 그의 전기를 싣고 있는 구당서권백구섭은 이렇게 적는다.


   그의 방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다만 차 끓이는 도구와 경을 보는 작은 책상, 노끈 의자가 놓여 있었을 뿐이었다. 하루의 일과가 끝나면 처소에 돌아와 향을 피우고 홀로 앉아 참선으로서 시간을 보냈다. 아내가 죽자 재취함이 없이 삼십여 년을 홀로 살았다. 장안에 머물 때는 항상 십여 명의 명승들과 함께 식사를 하며 현담을 나누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았다. 현대의 우리는 그가 왜 이처럼 고독한 산책자로서 살아갔는지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단 한가지 이미 자기발견의 정점에 도달해 있는 구도자는 누구나 이단자로서의 고독과 숙명을 감수하지 않는다면 뭇 이웃들, 세계와의 화해, 자신과 이별하기 전 자신을 다시 만날 수 없다. 떠남의 질적인 변화로서의 만남 그것이 바로 심법의 숨은 비밀인 것이다. 그리고 너무 난해하기조차 하다.



선문 禪門의 비명 碑銘 집필자로서의 왕유
    왕유는 선승들의 비명 집필자였다. 그는 먼저 북종선의 등사燈史 능가사자기를 정각의 비명 대강대안국사고대덕정산비명을 썼다. 정각은 중종황후 위씨의 동생이다. 세속의 길을 따라 걸었다면 좋았을 법했던 정각은 황후인 누이의 권력욕을 질타하며 출가의 길을 더욱 멀고 높이 걸어갔던 인물이다. 정각은 피로 피를 씻는 궁중의 권력투쟁에 전율했다.
그래서 그는 왕질의 공주들이 바쳐 오는 법의조차도 고개를 돌리고 쳐다보지도 않았던 변정치의 선승이었다. 이런 사람의 비명을 왕유가 쓴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묘비명이란 고인의 세계를 잘 알고 있는 친지에 의해서 씌여지는 것인 만큼 왕유와 정각은 같은 주소를 갖고 있는 정신 세계의 주민들이었다. 또한 왕유의 선종 접촉은 북종뿐만 아니라 남종을 망라하고 있다. 돈황의 선문현 신회어록神會鍵은 남종와 거장 신회와 왕유의 만남을 상세하게 묘사한다. 개원 28년(740)경 시어사 왕유는 공무 여행중이던 남양군 임단역에서 신화를 만난다. 왕유는 물었다. "만일 수도한다면 반드시 해탈할 수 있겠는가?" 신회는 대답한다. "중생의 자심은 본래 모든 오염으로부터 벗어난 청정 그것이다. 만약 억지로 수도한다는 마음을 일으켜 닦는 바가 있다면 곧 망심이다. 해탈하지 못하리다. 왕유는 신회의 확신에 찬 답변을 듣고 놀라서 말했다. "놀랍도다. 나 일찍이 여러 대덕들의 설법을 들어 왔건만 이와 같은 설법은 들어보지 못했다."그리고 며칠간 신회로부터 삼종돈오의 종지를 귀기울여 들은 왕유는 주변의 관리들에게 말한다. "이곳 남양에는 거룩한 대덕이 계시다. 불법의 심원함이란 실로 불가사의하기만 하다." 왕유는 시심유수를 단호히 부정하고 인간이면 누구나 본래 모든 불결에서 해방된 자심청정의 세계를 갖고 있다고 설하는 신회의 압도적인 인간신뢰정신에서 깊은 감동을 받았던 것이다. 그 감동이 당시의 어느 누구에게서도 얻을 수 없었던 순수한 인간 확신의 정신, 남종선의 세계로 왕유를 인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만남을 인연으로 신회는 왕유에게 선의 제6조 혜능의 비명집필을 의뢰한다. 그래서 씌여진 비명이 「能禪師磋」이다. 왕유가 쓴 대표적인 이 두 비명은 오늘날까지 남겨져서 선종사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왕유의 시와 미적 美的 단념 斷念
「녹채塵菜」「목란채 木蘭蘭」 「죽리관 竹籬館」 「산거추명山廳願螟」 「과향적사過齊靜」와 같은 왕유의 대표적인 자연시는 자연의 수려한 이미지를 섬세하게 포착, 응결하여 동정일여의 세계로 환원시키는 한편 단순한 자연묘사가 아닌 인생이 원숙한 통찰을 보여 준다. 인세 人世의 허상을 체험한 왕유의 절망은 자연복귀, 오로지 자연을 대상으로 한 미적 美的 단념 斷念을 통해서 질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다. 불교는 단념을 가르친다. 단념이란 우리의 흔한 통념처럼 어떤 희망이나 갈구가 ‘좌절되었을 때, 그 욕구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염 念이란 번뇌이며 망상이며 죽음에 이르는 집착이다. 결국 우리의 인생이란 단념의 재반복을 끊임없이 연출해야만 하는 악몽 같은 것이 아닐까? 왕유의 자연시에 내재된 자연현생활적 단념은 이미 자연현상 자체의 형상 자체에서도 해방된鍵, 무한절대의 이법瓚去을 보아 버리고 있다. 시간은 모든 것을 극복한다.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는 무상 속에 있는 미적 단념을 통틀어서 직관된 진은 그 인간의 운명을 함에 완성시켜 버린다. 그래서 무상과 영원이란 어떠한 차별도 없는 것이다. 확실히 왕유의 문학적 상상력은 선불교의 접촉을 통해서 체득한 직료견성直了見生 내심지중 심법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그래서 동시대의 시인 원함은 "당대의 시장, 선리에 정통한 왕형"이라고 평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불교적인 시련을 거쳐서 도달한 시인만이 지복, 소세계에서의 해방이었다.


   761년 7월의 어느 날, 시인은 눈을 감는다. 구당서는 시인의 북음을 이렇게 적는다.

임종 무렵 시인의 아우 왕진은 봉상에 있었다. 시인은 붓을 찾아서 진에게 작별의 서신을 쓰고 평생의 친구들에게도 서신 수통을 썼으니 모두 더욱 열심히 봉불수심에 힘쓸 것을 권하는 내용이었다. 시인은 서신 쓰기를 마치고 이내 숨을 거두었다.

소세계小世界의 고뇌와 절망을 조용히 감내하면서 지신의 문학을 원숙한 불교 체험으로 이행시킨 이 위대한 예술가의 생애는 이렇게 막을 내렸다. 시인은 독백한다.

일생의 수많은 상심사
불교가 아니면 무엇이 있어 달랠 것인가?




www.haeinji.org/m/index.php?contents=default_view&seek_no=14&webzine_no=2..  






往五 Silk Road 國傳(11)/ 양관(陽關)과 돈황고성
        글쓴이 : ilman


往五 Silk Road 國傳(11)/ 양관(陽關)과 돈황고성

*. Silk Road 길에 구한 나의 소중한 자료들
   돈황의 막고굴에서 한인(漢人) 가이드 H를 만난 것은 나에게는 커다란 행운이었다.
하나하나 설명하여 주는 모습이 목소리와 함께 우아하고 품위 있는 여성 해설사였기 때문이다. 나는 두어시간이나 그녀의 곁에 바짝 붙어서서 하나도 빠짐없이 그 돈황 벽화에 대한 진귀한 해설을  놓치지 않고 녹취하여 왔다.
그러나 그 세계문화 유산인 돈황 석굴의 그림을 설명만을 들으며 카메라에 담아오지 못한 아쉬움 때문에 그녀에게 서점을 안내 받았다.
거기에는 고맙게도 한국어로 보고 들을 수 있는 DVD('中國石窟)와 '둔황예술명품'이란 책자가 있어 이를 구입할 수 있었다. 
이만하면 그런대로 실크로드의 자료를 수집하였구나 하는 흡족한  마음에 회심의 미소가 저절로 나며 나는 마냥 행복하였다.
내가 실크로드를 다니며 그동안 구입한 자료로는 다음과 같다.
新疆省과 甘肅省 지도/ 天池 DVD/ 新疆寶典 DVD/ 吐魯番투루판 책자와 DVD(新疆電子音像출판사)/ '모던 실크로드 따라 2만리'(한국사진기자단1987년) / ' 사진집 실크로드'(NHK취재반, 서린문화사) 6권(하정우 소장)/ 알짜배기 세계여행시리즈 '실크로드'(정지영 저, 성하출판, 2006)/ 내가 찍은 1,500 이상 컷 사진/ 전 과정에서 가이드 설명 녹취물 등등

*. 양관(陽關)의 여정 
  돈황에서 서남쪽 70km 지점에 양관(陽關)과 서북쪽 90km 떨어진 곳에 있는 옥문관(玉門關)은 둘 다 한(漢)나라 시절 만리장성과 함께 흉노(匈奴) 방어를 위한 군의 진영과 시설물이 있던 곳이다.
둘 다 서역(西域)을 드나드는 경계선으로 오늘날 국경선 같이 반드시 여기서 신고를 하고 떠나야 하는 곳이다.
옥문관(玉門關)은 옛모습이 거의 사라져 볼 것이 없다 하여서 우리는 2003년에 복원하였다는 양관(陽關)을 찾았다.
이곳 관광은 입구에서 봉수대가 있는 곳까지 오픈된 20인 승의 전동차로 가면서 당시의 모습을 복원하여 놓은 성곽과 망루와 당시 주둔군의 진지와 무기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양관에서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곳이 밤에는 봉화로, 낮에는 연기로 나라의 위급을 알렸다는 봉수대(熢燧臺)였다.






   그 양관(陽關)이란 이름이 선명한 누각의 홍여문을 나서 보니 한없는 사막이 끝간데 없이 열려 있는 것이 망망대해를 바라보는 것 같다. 그 문루를 끼고 전망대로 만들어 놓은 긴 회랑에는 사각형의 수없는 시비(詩碑)가 오석(烏石)에 음각(陰刻)으로 쓰여 서있는데, 그 마당 너머에 당(唐) 나라의 대시인 왕유(王維)의 석상이 그의 대표시와 함께 서있다.
거기 쓰여 있는 시는 별리(別離)의 노래로는 중국 최고의 백미(白眉)라고 칭송 받는 것으로 ‘送元二使安西'(송원이사안서)란 7언 절구의 한시였다. 그 간곡한 시의 내용을 보며 시조(時調)로 의역하여 보았다.



 



 

渭城朝雨浥輕塵(위성조우읍경진)
客舍靑靑柳色新(객사청청유색신)
勸君更盡一杯酒 (권군갱진일배주)
西出陽關無故人(서출양관무고인)

- 당 시인 왕유

위성(渭城) 객사(客舍) 아침 푸른 비에 버들이지만
양관(陽關) 밖 나서면 친구 없는 사막뿐이라오.
그대여
술한잔 권하니
마시게나, 우정(友情)의 이 마음을.
-ilman 시조 譯


  위 시는 친한 벗인 원씨(元氏) 댁 둘째 아들을 서역 지방인 장안에서 안서(安西)로 보내며 썼다는 정겨운 이별의 노래다. 위 渭城, 客舍'란 장안(현 西安)에 있는 지명이요 관리들이 머물던 곳이다.
송대 당송8대가인 蘇軾(호 소동파)은 王維(호 摩詰)의 시를 다음과 같이 극찬하였다.
  -'蘇軾曰; 味摩詰之詩, 詩中有畵, 觀摩詰之畵, 畵中有詩.'(소식이 말하기를 왕유의 시를 음미하여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왕유의 그림을 보면 그림 가운데 시가 있네.)
그 소동파가 살아 있어서 나의 글을 본다면 'ilman, 당신도-' 하는 소릴 들을 것 같다. 나의 모든 문장에는 그림이 함께 하고 있으니말이다.


 






 
 
 








   우리도 돈황(敦煌, 둔황)과 그런 이별을 해야겠다.유원역(유園驛)으로 가는 도중에 영화 촬영을 위해 만들어 놓은 셋트장 '돈황고성(敦煌古城)'을 잠깐 둘러 보고 거기서 침대열차를 타고 우리는 우루무치로 원점회귀하여야 하겠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나듯이 다시 총총히 떠나서 다시 또 이별을 만나는 것이  여행인가 보다.


- 다음은 '왕오 Silk Road 국전'/ 우루무치의 남산공원과 홍산공원

.


www.soundofhope.kr/bbs/board_view.php?bbs_code=bbsIdx52&num=24938  





왕유의 시 세계| 창고

노은정 | 2002.08.15. 20:48



# 왕유의 시 세계 # 


 
   << 詩經>>으로부터 발원하여 한대 악부시(漢代 樂府詩)에서 꽃 피웠던 사실 주의적 전통은 변새시파(邊塞詩派)로 연결되었고, <<楚辭>>로부터 비롯된 낭만주의적 전통은 위진을 거쳐 당나라의 전원산수시(田園山水詩)로 맥을 잇게 된다.

   당나라가 전성기를 맞으며 풍요로운 삶을 통해 우러난 낭만적인 문학 풍조는 우선 산수의 아름다움과 전원(田園)의 한적한 생활을 구가하는 전원산수시를 잉태시켰다. 동진의 도연명(陶淵明)과 남조의 사령운(謝靈運).포조(鮑照)등을 거치며 개척되었던 전원산수시(田園山水詩)는 궁체시(宮體詩)의 위세에 눌려 한때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당나라가 전성기에 접어들면서 정신적인 여유를 되찾은 시인들은 다시금 자연의 아름다움을 음미할 수 있을 정도로 여유를 되찾았고 그간 축적되었던 전통을 십분 발휘하여 괄목할만한 성과를 올리게 된다. 그 중에서도 맹호연(孟浩然)왕유(王維)가 가장 뛰어났다. 특히 왕유는 시와 서화를 겸비했으며 동시에 불교의 선까지 결합하여 이 분야에 있어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작가 소개 : 왕유는 당대시인으로 예술적인 재능이 가장 뛰어난 사람이며 위대한 시인일 뿐만 아니라 음악과 서예에도 정통하였다. 그는 또한 유명한 화가로 문인화의 시조이기도 하며 시가, 음악, 서예, 그림의 예술적 표현에만 급급하지 않고 이론 방면에도 대단히 조예가 깊었다. 그리고 중국화의 양대산맥인 남종화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작가의 일생
@ 장안 원년(701년)~~ 상원 2년(761년)
@ 산서성(山西省) 기현(祁縣) 사람이나 아버지를 따라 하동(河東/지금의 산서성 포현(蒲
縣))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 9세에 시와 문장을 지을 수 있었고, 청소년 시기에 이미 뛰어난 시를 많이 지었다.
@ 17세에 집을 떠나 있을 때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라는 시를 지었다.
@ 21세에 진사 시험에 합격했다. (관직:대악승-우습유-감찰어사)
@ 개원 24년(736년) 이임보가 장구령을 몰아내고 재상에 오른후 왕유는 전보 명령을 받 고 양주(지금의 감숙 평량)의 문관을 지냈다.- 사지새상(使至塞上)
@ 변경 생활 3~4년 후 다시 장안으로 돌아와 장안 부근 종남산에 ‘망천별서(輞川別墅)’ 라고 불리는 별장을 하나 구입하여 은거생활을 시작하였다. - 망천집(輞川集)
@ 당 현종 천보 14년(755년) 겨울 ‘안.사(安史)의 난’이라는 최대의 재난을 맞게 된다.
@ 2년후 당 왕조의 새 황제 숙종은 회홀(위그르족) 군대의 도움으로 장안을 수복하였다.
왕유의 충성심을 보고 직위는 전보다 조금 떨어진 태자중윤에 임명되었다. 이내 원래 의 관직으로 복직되어 나중에는 상서우승에까지 올랐다.
@그러나 왕유는 이미 모진 세파를 많이 겪은 터라, 뜬구름에 지나지 않는 부귀공명을 다 투어 추구하는 것에 아무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그는 화려한 궁문을 나 와 대자연의 품에 안겨 철저하게 은거 생활에 들어갔다. -이 시기에 많은 산수시를 써 서 시가 예술의 최고 경지에 이르고 있었다.



< 녹채(鹿砦)>

空山不見人(공산불견인) 텅 빈 산 사람은 보이지 않고,
但聞人語響(단문인어향) 단지 두런두런 사람의 말소리인 듯.
返景入深林(반경입심림) 반사된 햇빛이 숲 속 깊이 들어와,
復照靑苔上(복조청태상) 파란 이끼 위에 다시 환히 비춘다.



< 죽리관(竹里館)>

獨坐幽篁裏(독좌유황리) 그윽한 대나무숲 속 홀로 앉아,
彈琴復長嘯(탄금복장소) 거문고를 타다가 다시 길게 휘파람을 불어본다.
深林人不知(심림인불지) 깊은 숲 속이라 사람들은 몰라도,
明月來相照(명월래상조) 밝은 달이 찾아와 서로 비추어 본다.

* 이들 작품에서 시의 음운은 이미 충분히 갖추어져 있으며, 마치 한 폭의 그림과 같은 절경을 구성하고 있어, 독자의 마음과 눈을 즐겁게 해주면서 끝없는 운치를 선사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시의 정감과 의취, 그리고 회화적인 운율과 색감이 고도로 융합.통일되어,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칭찬이 그치지 않았다.




< 송별(送別)>

山中相送罷(산중상송파) 내가 산중에서 너를 보낸 후에,
日暮掩砦扉(일모엄채비) 날은 이미 저물어 돌아와 다시 사립문을 닫는다.
春草明年綠(춘초명년록) 내년에 이르러 봄풀이 녹색으로 변할 때,
王孫歸不歸(완손귀불귀) 나는 왕손이 돌아올지 안 돌아올지를 모르겠다 ?



< 양관곡(陽關曲)> 혹은 <위성곡(渭城曲)>

渭城朝雨浥輕塵(위성조우읍경진) 위성(渭城)땅 아침 비에 촉촉이 젖어들어
客舍靑靑柳色新(객사청청유색신) 주막집 버들잎은 청신(淸新)하기만 하구나
勸君更進一杯酒(권군갱진일배주) 자네에게 권하노니 한잔 더 들이키게
西出陽關無故人(서출양관무고인) 양관(陽關)지나 서역 길엔 친구 없지 않겠는가

* 이 작품은 전형적인 전원시라고 하겠다. 앞 2구는 송별의 시간, 지점, 정서를 묘사하기 위해, ‘봄비’,‘도로’,‘객사’,‘버드나무’ 등 자연경물을 안배해 이별의 정서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였고, 나중 2구는 이별할 때 나눈 인사말과 축원 등을 한 잔의 술에 녹여, 복잡한 심리와 풍부한 정감을 가장 평범하고 간략한 방식으로 표출해 내었다.

   왕유의 작품은 오언절구가 일품으로 이 분야에 있어서는 당나라를 통털어 초일류급으로 평가된다. 그의 작품은 그림과 같아서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고도 말한다. 그의 시는 가히 호방한 풍격과 무한한 함축미를 함께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왕유는 산수와 자연을 묘사한 시인 중에 도연명을 가장 숭배했었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
왕 유 : 담백한 채색,불교의 심오한 사상을 평이한 산수시로 녹였음.
도연명 : 자연에 대한 소담한 묘사 ,전원생활의 유유자적한 맛을 읊었음.



cafe.daum.net/chinaplay/A2GS/245  중국희곡감상




화중유시(畵中有詩) 시중유화(詩中有畵)| 산.은.산.물.은.물

長樂山人 이종인 | 2016.01.14. 18:41 

   

 화중유시(畵中有詩) 시중유화(詩中有畵)




  최봉동(崔鳳桐) 청산불묵천추화(靑山不墨千秋畵)




화제(畵題)


靑山不墨千年屛 流水無絃萬古琴

청산불묵천년병 유수무현만고금

 

청산은 먹으로 그리지 않아도 천년의 병풍이요

흐르는 물은 줄이 없어도 만고의 거문고더라  

-------------------------------------------





 화중유시(畵中有詩) 시중유화(詩中有畵)


---------------------------------

#1. 동양화(東洋畵) 이해하기

#2. 화중유시(畵中有詩) 시중유화(詩中有畵)

#3. 조선인(朝鮮人)의 시정(詩情)과 화의(畵意)

---------------------------------



#1. 동양화(東洋畵) 이해하기

 

   동양화는 그림의 재료에 따라 수묵화, 채색화 등으로 분류하고 주제에 따라 산수, 인물, 화조, 초충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서양화와는 달리 휴식과 위안 등의 목적을 가지고 다양하게 그려져 왔으며 지금의 예술보다는 예도(藝道)의 의미로 수행과 함께했다 그림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있고 그에 따른 뜻과 의미를 지니게 되는 동양화를 생각할 때 그림 하나하나의 뜻과 의미를 알아가는 것도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동양화가들은 어떻게 주변을 관찰하고 무엇을 중시하였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그림을 그렸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동양화 와 그 속에 담겨있는 정신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더욱 중요하다 할 것이다

 

1. 움직이며 관찰한다.

 

(唐)의 현종(玄宗)이 가릉(嘉?지방의 경치를 그리워하여 오도자(吳道子)로 하여금

그려오게 하였는데 오도자는 가릉지방을 둘러보고는 빈손으로 돌아왔다 현종이 그 이유를 물으니 “저는 비록 밑그림을 그리지 않았으나 모두 마음속에 담아왔습니다”라고 답하였다 훗날 오도자는 대동전이라는 건물에 벽화를 그리게 되었는데 여기에 3백3여리에 걸친 가릉지방의 풍경을 담아 하루 만에 완성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우선 사물을 관찰함에 있어 동양의 화가들은 고정된 시점으로 바라보지 않고 걸으면서 보고 생각하면서 대상의 각 방면을 세세하게 관찰하며 추후 관찰한 기억에 의거해서 재현하는 방법으로 창작하게 된다. 특정한 시간과 장소 일정한 거리와 각도에서 보여지는 사물을 관찰하고 묘사하며 형태와 빛 색등의 객관적인 상황을 추구하는 고정된 시점의 서양화와는 분명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산수의 경우 서양화에선 고정된 시점으로 보여지는 산의 형상과 명암 색 채의 변화는 반드시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객관적인 요소의 제한을 받게 된다 하지만 동양화에선 산속을 거닐며 경치를 즐길 때 변화하는 봉우리의 모습과 산속에서 만나는 계곡과 작은 암자 숲속의 마을등 마음속에 담아둘 내용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초기 산수화에서부터 이동 시점의 이른바 ‘산의 모습은 걸음에 따라 변하고’, 산의 면면을 모두 본다. 라는 묘사방법이 이미 존재 하였던 것이다

 

2. 형상보다 그 정신을 취한다.

 

동양화가들은 현실을 관찰할 때 전면적인 관찰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시종 느낌이 크고 깊으며 생동 하는 면을 취사선택하여 포착하였다 즉 정신이 깃들어있는

부분은 분명하고 정확하게 공들여 표현하고 배경을 포함하여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여 여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이것은 예술적인 중요한 형상을 돋보이게 함은 물론 동시에 보는 이 들에게 더욱 넓은 상상의 여지를 남겨 주게 되는 데 눈앞에 펼쳐진 광경 이외에 다하지 못한 또 다른 의미까지 작품에 포함 시키는 것이다

 

3. 구조적 속성을 묘사한다.

 

동양화는 빛에 의한 명암의 변화보다 대상의 구조묘사를 중시한다. 수묵의 농담 변화 선의 가볍고 무거움 휘어지고 구부러짐 등은 모두 물체의 조직구조를 표현

하기 위한 것이고 밝고 어두운 처리는 단지 화면의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치하는 것으로 화면의 리듬감과 체적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4. 형상을 기억해서 묘사한다.

 

동양화는 형상을 기억하는 관찰방법을 강조한다. 이는 복잡하고 잡다하게 얽혀 있는 현상에 얽매이지 않고 관점에 따라 선택된 골격을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

게 한다. 왜냐하면 기억속의 형상들은 대상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들로 이는 화가의 머릿속에서 종합되고 개괄되어 복잡하고 미세한 부분들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결국 동양화가들은 대상을 시종 앞에 놓고 천천히 모사함을 반대하고 순간에 발생하는 동세를 포착하여 시각기억 혹은 형상기억에 의해 표현낼 것을 강조한다. 만약 형상 기억에 의한 창작방법이 없었다면 동양화의 독특한 예술양식 역시 생겨날 수 없었을 것이다 중국의 고전 화론(畵論)에서는 인물을 그 릴 때에는 ‘눈앞에서 갑자기 벌어지는 순간적인 것에 주의하여야’하며 산수를 그릴 때에는 ‘각지의 절경을 두루 찾아 밑그림을 많이 그려야’하고 꽃과 대나무를 그릴 때에는 ‘반드시 오래된 밭을 찾아서 아침 저녁으로 관찰해야 한다’라고 했다 눈앞에 보여지는 현상에 국한하여 판단하는 것보다 그 형상의 속성과 그럴 수밖에 없는 이치에 접근 하려하는 것 외형보다 내용적인 면을 강조하고자 함일 것이다.

 

어느 날 친구가 찾아와서 무수한 말을 늘어놓았을 때 그 말에 대해 하나하나 분석하려하는 것 보다 그 친구가 왜왔는지를 살피고 간파하려는 것이 한국 사람들의 속성인 것처럼 동양화의 다양한 그림 속에서 화가가 표현 하고자했던 뚜렷한 관점과 이야기를 간파한다면 우리 민족 고유의 우수한 정신성과 해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선 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


#2. 화중유시(畵中有詩) 시중유화(詩中有畵)



왕곤(汪琨) 공취습인의(空翠濕人衣)


 

   북송(北宋)의 곽희(郭熙1023-1085)는 ‘그림은 소리 없는 시이고 시는 형상 없는 그림이다(畵是無聲詩 詩是無形畵)’라고 말하여 시를 소리, 그림을 형상으로 등식화했다. 이때의 소리는 이야기가 율격과 리듬에 맞게 표현된 것이고 형상은 이미지가 음영과 색조로 표현된 것이다. 이것은 군자와 문인은 산수를 사랑하면서 자기를 수양해야 한다는 수기치인의 예술론이다.

 

한편 남송의 동파 소식(蘇軾 1037-1101)은 [동파지림(東坡之林)]에서 당의 왕유(王維 701-761)에 대해 ‘마힐의 시를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마힐의 그림을 보면 그림 속에 시가 있다. 시와 그림은 원래 하나이며 자연스럽고 청신해야 한다(味摩詰之詩 詩中有畵 觀摩詰之畵 畵中有詩 及詩畵本一律 天工与清新)’고 평했다. 소동파가 왕유의 시와 그림을 함축적으로 정의한 것은 왕유(王維 701-761)의 산수화 남전연우도(藍田煙雨圖)를 평한 것에서 기원한다.

 

이 그림에 상응하는 왕유(王維)의 산수시(山水詩) 산중(山中)은 이렇다.

 

荊溪白石出(형계백석출) 형계 계곡 흰 돌들 드러나 있고

天寒紅葉稀(천한홍엽희) 날이 추우니 붉은 잎도 드무네

山路元無雨(산로원무우) 산길에는 비 내린 적도 없는데

空翠濕人衣(공취습인의) 푸른 빛 스며들어 옷을 적시네

 

   이 시를 읽는 사람은 계곡의 흰 돌과 가을 단풍잎을 선연하게 떠올릴 것이고 비가 갠 가을의 산길을 걸어가는 사람의 옷과 하늘이 조화로운 모습을 선명하게 연상할 것이다. 산수화 <남전연우도>에 시가 있어 화중유시라면 산수시 <산중>에는 그림이 있어 시중유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까 그림을 그리면서 시를 쓰고, 시를 쓰면서 그림을 그린 셈이다. 하지만 시가 그림이 되는 것은 아니고, 시의 회화적 요소 때문에 회화적인 시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중유화 화중유시는 예술적 감흥 또는 정신적 사유가 다른 장르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시불(詩佛)로 불리면서 남종화의 시조로 알려져 있고 음악에도 뛰어났던 왕유(王維, 701-761)는 중세의 전형적인 문인이었다. 당송의 문인들은 완성된 인격을 지향하면서 교양과 학식을 두루 연마했지만 전문 예술가는 아니었다. 동양의 문인은 시서화악(詩書畵樂)을 섭렵하고 여러 장르로 감흥과 사상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는 것은 문인들에게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이 표현을 한 소동파 역시 시문과 회화 그리고 서법과 음악을 두루 섭렵했다. 이처럼 시중유화 화중유시는 동양예술론의 형상적 특징이면서 장르적 본질을 나타낸 미학개념이다. 특히 산수, 전원, 화조를 주제로 수묵화를 많이 그린 왕유의 작품에는 이야기적인 요소가 많아서 그의 그림을 보는 사람들은 그림 속에 뜻이 있고, 이야기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시(詩)는 언지(言志) 즉 뜻을 이야기로 표현한 언어예술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이야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 폭의 그림과 같은 이미지를 연상케 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이것이 ‘시 속에 그림이 있다’라는 시중유화(詩中有畵)다. 반면에 그림은 구도, 색채, 청각과 시각의 이미지, 음영, 농담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다. 그러므로 시중유화는 시가 그림과 같다는 것이 아니라 시에 그림의 요소가 있어서 그림을 보는 것 같다는 뜻이다. 이와 반대로 ‘그림 속에 시가 있는’ 화중유시(畵中有詩)는 그림 속에 뜻과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중유시는 그림이 시와 같다는 것이 아니라 그림에 시의 요소가 있어서 시를 보는 것 같다는 뜻이다. 따라서 시중유화는 시가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시가 표현한 풍경에 의경, 의상, 운미(韻味)가 무궁하다는 뜻이고, 화중유시는 그림의 정취가 사실적으로 표현된 것보다 그림이 표현한 정취에 의경과 의상이 깊고 무궁하다는 뜻이다.

 

충북대교수 김승환

*참고문헌 蘇軾, [東坡之林].

*참조 <기운생동>, <우의심원>, <의경>, <의상>

 

-----------------------------


#3. 조선인(朝鮮人)의 시정(詩情)과 화의(畵意)


동호(東湖)1 김홍도의 도강도(渡江圖)



동호(東湖)2 일러스트레이션 조승연




 

   정초부(鄭樵夫1714-1789)는 조선 후기의 노비 시인(詩人)이다. 초부(樵夫나뭇군)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대부 여춘영(呂春永 1734-1812)의 집에서 나무를 하고 잡일을 하는 신분이었다. 이러한 정초부가 지은 시(詩) 중 동호(東湖)는 조선 후기 서정시(敍情詩)의 백미(白眉)로 손꼽힌다.


 

동호(東湖)

                                      정초부(鄭樵夫1714-1789)


東湖春水碧於藍(동호춘수벽어람) 동호의 봄 물결은 쪽빛보다 푸르고

白鳥分明見兩三(백조분명견양삼) 백로 두세 마리 또렷하게 보인다

柔櫓一聲飛去盡(유로일성비거진) 노 젓는 소리에 새들은 날아가고

夕陽山色滿空潭(석양산색만공담) 노을진 산빛만이 빈 물에 가득하다

-----------------------

 

翰墨餘生老採樵(한묵여생로채초) 시인의 남은 생애는 늙은 나무꾼 신세

滿肩秋色動蕭蕭(만견추색동소소) 지게 위에 쏟아지는 가을빛 쓸쓸하여라.

東風吹送長安路(동풍취송장안로) 동풍이 장안 대로로 이 몸을 떠다밀어

曉踏靑門第二橋(효답청문제이교) 새벽녘에 걸어가네 동대문 제이교(第二橋)를.

-----------------------

※ 동호(東湖)는 현재 옥수동 주변의 한강(漢江)을 이른다.

동호(東湖) 화제(畵題), 김홍도의 도강도(渡江圖)

 


   쪽빛보다 푸른 봄 물결을 가르며 유유히 강을 건너는 배, 강가에 깃들었던 백로 두세 마리는 노 젓는 소리에 놀라서 날아간다. 새가 떠난 강에는 노을 아래 산 빛이 가득하다는 내용이 평화롭고 담박한 봄날의 서정을 전해준다. 이 시는 당시 문인은 물론 무지한 아이들까지 알 정도로 인구에 회자되었던 시이다. 여춘영은 이 시를 “왕공(王公)도 혼자 차지하지 못하고 장사도 억지로 빼앗지 못하는 것”이라고 칭송했다 한다. 그는 정초부가 죽자 〈제문〉을 짓기도 했다. 노비로서 이런 시를 지은 정초부의 문재(文才)도 놀랍지만, 반상이 엄격했던 사회에서 비천한 정초부의 문재를 진심으로 아끼고 존중했던 여춘영의 품성 또한 존경스럽다.

 

   정초부(鄭樵夫)의 시(詩) 동호(東湖)를 그린 작품이 김홍도의 도강도(渡江圖)이다.

 

조선인의 시(詩)를 그림으로 옮긴 작품들 중 엄지손가락을 번쩍 들 수 있는 작품이다. 화면 중앙에는 섬인 듯, 강가인 듯 낮은 절벽과 나무가 그려졌다. 그 앞을 지나는 작은 배에는 사람과 물건이 실려 있음이 간일한 필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화제인 정초부의 시 〈동호〉는 화면의 균형을 위해 화면 중앙에 차분히 자리했다. 김홍도는 이 같은 경물 배치를 통해 보는 사람의 시선을 화면 중앙으로 모으고 한편으로 좌우의 여백을 통해 동호의 평온하고 잔잔한 물결을 유추하게 하고 있다. 아무것도 없는 화면이 가득 차 있다. 여백으로 시의(詩意)를 표현한 것이다.

 

이 그림을 가만 살펴보면 왜 조선시대 제일의 화가로 김홍도를 앞세우는지 알 수 있다. 화면에 그려진 갓을 쓴 인물, 배를 젓는 상투 튼 사공…… 조선인의 모습이다. 어색한 유복(儒服)을 두른 학자, 쌍상투를 튼 중국 동자의 모습이 아니고 김홍도가 살던 시절, 김홍도와 함께 살아가던 소박하고 진솔한 조선인의 모습인 것이다. 김홍도는 조선 후기 화가 중 누구보다도 많은 시의도(詩意圖)를 그렸다. 이 시의도 또한 화가로서의 역량을 알 수 있지만 더욱 중요하게 와 닿는 것은 시대적 주체성을 가진 화가라는 점이다. 김홍도는 조선인이 쓴 시를 조선인의 모습으로 그려낸 것이다. ‘역시!’ 하며 무릎을 치게 한다.

 

다시 한 번 화면으로 시선을 옮겨보자. 김홍도는 배를 타고 가는 인물 중 가장 좌측의 인물은 뒷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측면이 주로 그려지는 인물 표현에 익숙한 회화 감상자로서는 인물의 뒷모습 표현이 생소하기만 하다. 김홍도는 왜 선비의 모습을 뒷모습으로 표현했을까? 선비가 마치 동호와 원경의 섬(혹은 강가 절벽)을 감상하고 이 시를 읊은 화자로 보인다. 어쩌면 김홍도는 그림을 보고 있는 우리에게 뱃전에 앉은 그 선비가 되어, 선비의 눈을 빌려 동호를 감상하라 조언하고 있는 듯하다.


안대회 (명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cafe.daum.net/dasongwon/75Db/323  다송원(茶松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