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앵도나무, 앵도나무, 이스라지나무, 정금나무, 모새나무 外

2017. 5. 30. 16:20야생화, 식물 & 버섯 이야기



국립수목원국가생물종지식...
               

산앵도나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꽃색 붉은색
학명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개화기 5월, 6월

분포지역

중국; 전국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1m.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넓은 거꿀피침형 또는 달걀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2 ~ 5cm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 안으로 굽은 잔톱니가 있다.

   꽃은 5 ~ 6월 개화하며 총상꽃차례는 지난해 가지 끝에서 나오고 밑으로 처지며 2 ~ 3개 꽃이 달리고, 꽃부리는 종형으로 붉은빛이 돌고, 길이와 폭이 각 5 ~ 6(8)mm × 5 ~ 6mm이며 수술은 5개이다.

열매

   열매는 달걀형으로 남아있는 꽃받침조각 때문에 절구 같이 보이며 붉은색으로 9월에 성숙한다.

줄기

일년생 가지에 털이 있다.

생육환경

산의 중턱 이상

용도

과실은 식용.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체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알게실의 나무10. 산앵두나무| ³°″″´·,♡향수♡,·´″″°³

알게실 | 조회 22 |추천 0 | 2017.04.03. 17:13

                 

국문명산앵도나무
영문명學Vaccinum koreanum
한자명山櫻桃
용어설명꽃은 한 눈(芽)에 2∼4개가 속생(束生). 열매가 7월에 홍숙(紅熟). 전국에 분포.



   어긋나는데 달걀꼴 또는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빠르게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잔톱니가 있다. 앞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 맥 위에는 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다.

   5~6월에 묵은 가지에서 총상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2~3개의 엷은 홍색 또는 흰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통 모양으로 생겼으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에는 털이 있다.

열매

산앵두나무 (이스라지)의 열매

9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끝에 꽃받침 조각이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당체(棠棣)·산앵두·천금등(千金藤)·산이스랏나무·산앵도나무라고도 한다.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관상용으로 흔히 정원에 심으며 열매는 산앵두·산이스랏·욱리·울리(鬱李)·작매(雀梅)라 하여 식용한다. 씨를 욱리인, 뿌리껍질을 욱리근피(郁李根皮)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치통을 다스리며, 부종을 풀어준다.

관련질병: 각기, 구충, 변비, 복수, 부종, 소변불통, 완하, 윤장, 이뇨, 임질, 진통, 치통, 통경





산앵두나무| 수필 /산문
종로삼가 | 조회 206 |추천 0 | 2012.12.23. 16:05

 

  앵두나무 우물가에 동네 처녀 바람났네

  물동이 호미자루 나도 몰라 내던지고

  말만 들은 서울로 누굴 찾아서

  이뿐이도 금순이도 단봇짐을 쌌다네

 

  1960년대에 크게 유행했던 노래앵두나무 처녀이다. 그 시대를 반영하듯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는 젊은이들을 노래했다.

  잘 익은 앵두는 열매의 속이 들여다보일 듯 맑고 붉다. 만지면 톡 터질 것 같은 보드라운 감촉으로 사람들은 여인의 입술을 앵두에 비유하기도 했다.

  앵두는 5월 중순경에 붉게 익어 새콤달콤한 맛이 나는 과일이다. 고려 때부터 제사에 공물로 쓰였으며 앵도의 원산지는 중국 화북지방으로 알려진다.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씌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앵두나무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키는 3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고 잎의 앞뒷면에 털이 나 있다.

  꽃은 잎이 나오기 전에 1~2송이씩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5~6월에 구슬 모양으로 붉게 익는다. 과일도 맛있지만 보석처럼 아름다운 열매를 보기 위해서도 정원에 많이 심는다.

  앵두는 일반적으로 열매를 그대로 먹거나 화채를 만들어 먹는다. 또한 앵두로 술을 담그기도 한다. 앵두로 담근 술은 선홍색으로 식욕을 돋워 주며 피로를 풀어 준다고 한다.


  앵두나무의 사촌인 산앵두나무가 있다. 우리나라 산앵두나무(Vaccinium koreanum)는 산에서 자란다. 앵두나무가 마을에서 자라듯 산앵두나무는 높은 산에서 자란다.

 

 

  산앵두나무는 중국에서 들여온 앵두나무와 달리 우리나라에 산지에 자생하는 토종 나무이다. 산앵두나무는 앵두나무와 달리 진달래과(Eric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이름은 비슷하지만 꽃과 나무의 형태는 앵두나무와 전혀 다르다. 산앵두나무의 잎과 줄기는 진달래와 유사하다.

  꽃은 5~6월경에 붉은 빛이 감도는 흰색 또는 미색으로 핀다. 꽃은 새끼 손톱만한 종()을 거꾸로 매달아놓은 것처럼 핀다.

 

 

 

  산앵두나무는 해발 1000m이상의 비교적 높은 산지에서 자란다. 나무의 높이는 1m 정도로 작은 편이며 가지가 많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 어긋나는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뒷면에 털이 있다.


  산앵두나무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는다. 열매 또한 거꾸로 매달아 놓은 종처럼 달린다. 산앵두나무와 앵두나무의 형태는 전혀 다르나 열매가 앵두처럼 생겨서 산앵두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열매는 앵두처럼 맛이 좋은데 그 맛은 달콤새콤하다.

  산앵두나무가 자라는 곳은 지리산, 소백산, 설악산 등의 고산지대이다. 산을 힘겹게 오르다 산앵두나무를 만나면 말없이 반갑다. 잠시 발걸음을 멈춰 붉게 익은 산앵두를 보는 것만으로도 흐뭇하다. 더러는 잘 익은 산앵도 몇 개 따서 일행에게 건네는 것도 좋다.

  산앵두나무를 정원수로 기르면 어떨까? 영산홍처럼 무더기로 화단에 가꾸면 어떨까꽃보다 아름다운 열매를 보는 것도 행복한 일이다. 어디 한번 시도해 볼만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다음백과

산앵두나무속

다른 표기 언어 Vaccinium


    요약 진달래과에 속하며 150여 종(種)의 관목으로 이루어진 속.

      

       북반구 전체에 널리 분포하며 열대 산악지역을 따라 남쪽까지 퍼져 있다. 곧추 서거나 기면서 자라며 어긋나는 잎은 낙엽이 지거나 늘푸르다. 작은 꽃은 에리카속의 꽃들과 비슷하지만 씨방은 꽃밑부분에 달린다. 꽃은 원줄기나 잎이 달리는 줄기 사이의 잎겨드랑이에 무리지어 피거나 1송이씩 핀다. 장과는 보통 먹을 수 있다.


       이 속 식물 중 40여 종 이상이 북아메리카에서 자라는데 특히 북부지역과 산악지역에서 잘 나타난다. 바키니움 코림보숨과 다른 블루베리 종들은 미국 동부지역과 캐나다 근처에서 자란다. 월귤은 영어로 레드 워틀베리(red whortleberry) 또는 마운틴 크랜베리(mountain cranberry)라고도 하는데 캐나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로키 산맥 지대에서 자라는 것도 있으며, 바키니움 오키덴탈레, 바키니움 파르비폴리움, 바키니움 오바툼 등을 포함한 10여 종 이상은 태평양 연안 주(州)에서 볼 수 있다.


       영국에는 바키니움 미르틸루스·들쭉나무·넌출월귤·월귤 등 4종이 자라며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 등에도 널리 퍼져 있다(→ 넌출월귤, 블루베리, 빌베리).


       우리나라에는 8종의 산앵두나무속 식물이 있다. 이중 산매자나무는 낙엽성으로 한라산에서만, 애기월귤과 넌출월귤은 상록성으로 북한의 높은 산에서만, 모새나무는 상록성으로 흑산도 이남의 따뜻한 곳에서만 자란다. 산앵두나무는 한국에서만 자라는 종류로 정금나무와 함께 전국 곳곳에서 자라고 있으며, 들쭉나무는 한라산과 강원도 이북에서만, 월귤은 금강산 이북지방에서 자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넌출월귤(cranberry)

    확대보기

    넌출월귤(cranberry)

    출처 © Kelson/wikipedia | 이미지 사이즈 800x1449 | Public Domain 원출처 보기  


    넌출월귤
    넌출월귤

    2010.07.2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seoljg




    넌출월귤 꽃

    넌출월귤

    2012.01.02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jk6445/

          

      


    블루베리
    확대보기
    블루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Scott Bauer) | 이미지 사이즈 640x421 | public domain 원출처 보기



    블루베리
    확대보기
    블루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Dladek) | 이미지 사이즈 1024x768
          public domain 원출처 보기


    블루베리
    확대보기
    블루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Miika Silfverberg) | 이미지 사이즈 1280x853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블루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확대보기

    빌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Daniela Bertienová) | 이미지 사이즈 1244x1444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빌베리
    확대보기
    빌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Filip Vaculík) | 이미지 사이즈 800x600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블루베리|빌베리

    확대보기

    블루베리, 빌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Miika Silfverberg) | 이미지 사이즈 1280x959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블루베리|빌베리

    확대보기

    블루베리, 빌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peupleloup) | 이미지 사이즈 3072x2048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정금나무

    확대보기

    정금나무 < 블루베리 꽃

    출처 © WIKIMEDIA COMMONS (Darkone) | 이미지 사이즈 800x896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모살나무(정금나무)와 블루베리

    모살나무(정금나무)와 블루베리

    정금나무 우리들이 크면서는 모살나무라 부르고 따서 먹었는데, .....

    2010.01.12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jodoin/M86e



    정금나무열매 효능

    정금나무열매 효능

    2016.05.0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bth8075



    정금나무
    2010.06.20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bangzza




    빌베리|정금나무

    확대보기

    빌베리, 정금나무

    출처 © WIKIMEDIA COMMONS (Pleple2000) | 이미지 사이즈 2896x2196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산앵두나무
    산앵두나무

    진달래과(―科 Eric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산앵두나무 /산앵두나무( Vaccin...

    2009.06.01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pyosang



    산앵두나무
    산앵두나무

    2008.5.27

    2008.05.28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clickmtlove


    산앵도나무, 산앵두나무
    2008.08.07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skm52190


    산앵두나무

    [산앵두나무] - 오로지 한 사랑 꽃말도 참 예쁘지만, 꽃도 예쁘고 열매도 참 예쁩니다.

    2014.08.17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flowernpeople 



    성인병 예방에 좋은 토종 블루베리 『정금나무』


    성인병 예방에 좋은 토종 블루베리 , ‘ 정금나무 ’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블루베리가

    2016.11.19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ssgool/HamM


    정금나무(진달래과)



    정금나무(진달래과)

    2012. 6. 16. 전남. 남도 야산의 나지막한 정금나무 검붉은 꽃색이 무척 곱다. 종.....

    2012.06.2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qweenbee 






    망월봉에서  신선봉까지의 정금나무 가로수길은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 .

    드물게는 형제봉 넘어까지도 보입니다.



    황악산

    황악산( 黃嶽山 ) >정금나무 열매

    2016.08.17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ywjin/



    정금나무
    정금나무

    꽃이 필 시기에 만났더라면 아마 ...^^ 내년 꽃 필시기에 꼭 찾아볼 녀석이다.^^

    2009.08.1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tongllll



    정금나무
    정금나무 ??

    사람주나무 혹은 정금나무 이름찾기 두달만에 알았다 붉은 열매가 매혹적이라면 검은빛이 서글프...

    2012.02.07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choyh1207



    사람주나무 암꽃, 열매
    사람주나무 암꽃, 열매

    사람주나무 암꽃, 열매 사람주나무.... 이름이 그래서 인지 잊어지지 않는 수목 이름이지요

    2014.06.2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tlsehddkdl



    산앵두나무|월귤|정금나무
    확대보기
    산앵두나무, 월귤|정금나무

    출처 © WIKIMEDIA COMMONS (Mariluna) | 이미지 사이즈 3396x2483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들쭉나무

    확대보기

    들쭉나무

    출처 © WIKIMEDIA COMMONS (Kim Hansen) | 이미지 사이즈 2000x1500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



    들쭉나무|블루베리

    확대보기

    들쭉나무, 블루베리

    출처 © WIKIMEDIA COMMONS (Kim Hansen) | 이미지 사이즈 2000x1500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들쭉나무

    확대보기

    들쭉나무

    출처 © WIKIMEDIA COMMONS (Sinikas2_2008.jpg) | 이미지 사이즈 1024x1024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들쭉나무
    들쭉나무

    들쭉나무 학명: Vaccinium uliginosum L. 영명: Bog Bilberry,

    2014.07.23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0889/OVv7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다음백과

    진달래목

    다른 표기 언어 Ericales

    요약 2장의 떡잎으로 된 쌍떡잎식물강(→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꽃피는식물의 한 목.


       10과(科) 135속(屬) 2,700여 종(種)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관목과 소교목으로 세계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는데, 많은 개체와 종이 열대와 아북극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 목에는 진달래류·만병초류·히스류 등이 속한다. 이 목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밑씨에 1층으로 된 주피(珠皮)가 있는 점으로, 주피는 씨껍질이 될 밑씨의 바깥층이다. 예외는 있으나 관목인 점, 가죽질의 홑잎이 달리는 점, 암수 생식기관이 같은 꽃에 달리는 갖춘꽃인 점, 4개의 꽃가루가 모여 하나의 꽃가루처럼 되어 있는 점 등도 일반적인 특징이다.


       이 목의 많은 식물은 늪이나 모래가 많은 토탄질 토양에서 가장 잘 자라는데, 암석정원에 이식할 때는 물이 잘 빠지고 유기물질이 많은 습한 토양이 좋다. 만병초류와 진달래과(Ericaceae)의 많은 식물은 점토나 석회질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진달래과는 산맥을 따라 열대지방을 거쳐 아북극 지역까지 퍼져 널리 분포한다.


       이 목에서 가장 중요한 과로 80속 1,900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40속 이상이 재배되고 있다. 진달래 종류를 포함한 진달래속(Rhododendron)의 800종 가운데 적어도 377종이 가치있게 여겨지는데 이들은 식물계에서 가장 많이 선택되는 활엽상록수에 속한다. 아름답고 다양한 색을 가지는 많은 히말라야산 종이 지금은 훨씬 따뜻한 온대지역에서 자라고 있다. 깔때기 모양의 꽃을 피우는 진달래류는, 종 모양의 꽃을 피우고 늘푸른 잎을 가지며 보다 키가 큰 만병초류와 쉽게 구별이 되기는 하지만 꽃과 영양기관 분석만으로는 두 무리를 명확하게 구별하기가 어렵다.


       진달래류의 분류체계는 고정되어 있는데 진달래속을 8아속(亞屬) 17절(節)로 분류한다. 다른 관상용 속으로는 칼루나속·에리카속·칼미아속·피에리스속(Pieris) 등이 속한다.


       산앵두나무속(Vaccinium)의 원예품종은 바키니움 코림보숨(V. corymbosum)과 바키니움 아스헤이(V. ashei)로부터 많이 만들어졌는데 미국 동부에서 산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뉴잉글랜드와 캐나다 해안지역에서 자라는 키가 작은 블루베리는 비옥한 섬의 가장자리를 뒤덮고 있다. 겨울에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화재는 꽃이 피는 줄기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이로 인해 열매가 더 많이 맺힌다. 이 목에 속하는 나머지 9과는 독특한 분포상을 나타내며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식용 장과를 맺는 키위로 잘 알려진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야생화 정원과 삼림에 군체를 이루기 적합한 상록성 풀로 이루어진 노루발과(Pyrolaceae), 썩은 유기물에 붙어서 균류의 도움으로 살아가는 부생식물로 이루어진 수정난풀과(Monotropaceae) 등을 들 수 있다.


       버섯과 이와 근연인 점균류를 포함한 토양곰팡이의 실처럼 생긴 균사가 수정난풀과와 이 목의 다른 많은 식물의 뿌리를 덮고 있다. 뿌리의 바깥층은 균류와 서로 연결되어 균근으로 변하는데, 숙주식물이 무기염류와 유기물질을 잘 흡수할 수 있게 해주며 곰팡이에게도 이익이 된다. 진달래과가 번식하는 1가지 방법은 블루베리 군락이 각각의 군체로 구성되어 있는 데서 알 수 있다. 모식물에서 뿌리줄기가 퍼져나오다 어느 부위에서 어린 줄기가 올라오면 모식물과 떨어져 독립된 개체로 된다.


       그러나 씨에 의한 번식도 진달래목의 주요한 번식 방법이다.


       꽃차례는 대개 쭉 뻗은 가지 끝에 무리지어 달리며 가지를 치기도 한다. 많은 과의 종들이 잎겨드랑이에 1송이의 꽃을 피운다. 이 목의 전형적인 꽃의 형태는 꽃받침잎, 흰색 또는 분홍색의 꽃잎, 한 꽃에 달리는 수술암술로 되어 있다.

    씨방은 상위(上位)로 다른 꽃 기관보다 위에 달린다. 5장의 꽃받침잎은 아래쪽이 융합되어 녹색의 꽃받침으로 되며, 꽃부리를 이루는 5장의 꽃잎은 서로 떨어져 있다. 수술은 10개일 경우 2열로 돌려난다. 암술을 이루는 씨방은 4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 방에는 많은 밑씨가 들어 있으며, 1개의 암술대와 암술머리가 씨방 위로 나 있다.


       한국에는 5과 17속에 속하는 약 40여 종이 있다.

    돌매화나무과(Diapensiaceae)에는 키가 가장 작은 나무인 암매가 제주도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고 있으며, 시로미과(Empetraceae)에는 시로미 1종이, 매화오리과(Clethraceae)에는 매화오리 1종이, 한라산과 북한의 높은 산에서 자라고 있다(암매). 노루발과에는 5속 1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상록성인 노루발풀과 매화노루발이 흔히 자란다.

    진달래과의 식물로는 진달래와 철쭉을 비롯하여 9속 30여 종이 있는데, 진달래속과 산앵두나무속 식물들이 흔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암매

                                               암매


    암매
    확대보기
    암매

    출처 © WIKIMEDIA COMMONS (Kim Hansen) | 이미지 사이즈 2816x2112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돌매화나무(암매)
    돌매화나무(암매)

    돌매화나무(암매) ㅡ 세상에서 가장 키 작은 나무로 돌매화 나무로 기네스북에도 올라 있답니다.

    2016.02.18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healinggem


    암매
    확대보기
    암매

    © WIKIMEDIA COMMONS (Kim Hansen) | 이미지 사이즈 2816x2112 |

          CCL유형저작자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원출처 보기



    시로미

    시로미

    광릉수목원 2011/6/5 한라산 영실 무환자나무목,시로미과,시로미 학명:Empetrum

    2011.06.10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squirrel56


    확대보기

    시로미  

    2015.12.29 | 백과사전  100.daum.net/multimedia/41_58_00121


    650~700초까지 약용식물의 명칭과 효능

    650~700초까지 약용식물의 명칭과 효능

    650~700초까지 약용식물의 명칭과 효능 700초 싸주아리쑥 간경화 어혈 생혈 생리조절

    2014.10.20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dmbiowater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다음백과

    한국의 특산식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한국에 분포하는 식물.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또는 고유식물)로는 금강초롱·개느삼·금강인가목·미선나무·모데미풀 등을 비롯해 흔히 자라는 갈사초·회양목·누른종덩굴·매화말발도리·버들회나무·터리풀·개나리·땃두릅나무·금마타리·오동나무·조팝나무·산앵두나무 등 약 400여 종이 있는데, 이들은 독특한 식물자원으로 소중히 보호해야 한다. 외국에서 유입되어 우리나라 곳곳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에는 아까시나무를 비롯해 달맞이꽃·독말풀·돼지풀·망초·등심붓꽃 등이 있다. 1980년대 초반에는 약 80종의 귀화식물이 우리나라에 자라고 있었는데, 이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산앵두나무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Infobox plantae.png
    생물 분류 읽는 법산앵도나무속
    Blueberries.jpg
    블루베리.
    생물 분류
    계:식물계
    (미분류):속씨식물군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국화군
    목:진달래목
    과:진달래과
    아과:산앵두나무아과
    속:산앵두나무속
    (Vaccinium)
    • 본문 참조


    산앵도나무속(Vaccinium)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속이다. 월귤, 넌출월귤, 들쭉, 블루베리, 빌베리 등을 포함한다.

    하위 종[편집]

    수십여 종이 속한다.


    이 문서는 2016년 4월 28일 (목) 2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산매자나무

    그토록 기다렸던 나무를 앵글에 담았습니다. 한라산을 오르면서 눈도장만 찍었던 나무였답니다.

    2007.07.2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bong405060 


    광릉요강꽃 . 산매자나무. 동강할미꽃

    1순위. 광릉요강꽃 2순위. 산매자나무 3순위. 동강할미꽃

    2012.10.27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bklovewildflower 



    산매자나무 열매/ 진달래과

    산매자나무 Vaccinium japonicum Miq. 한국원산 낙엽활엽 소관목, 산지 능선.....

    2016.10.04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aktkr/G4xT



    산매자나무

    2012.01.21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flowerANDflowers



    지포나무

    Vaccinium oldhamii for. glaucinum (Nakai) Kitam.

    한국서식 산앵도나무속 (Vaccinium)의 종(種)

    산앵도나무속 Vaccinium 분류 :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합판화아강 < 진달래

    2013.02.01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dirchfmfckwdktj 




    매발톱나무'소벽'
    매발톱나무'소벽'

    매발톱나무'소벽' 당매자나무, 홍엽매자나무, 섬매자나무, 서양매자나무, 매발톱나무....게

    2016.08.04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tlsehddkdl


    마가목,산매자나무,산딸나무,호자덩굴
    매발톱나무 열매

    마가목(장미과) 산매자나무(진달래과) 산딸나무(층층나무과)

    2014.01.03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tobaggi-f/



    매발톱나무의 효능과 활용에 대하여..
    매발톱나무의 효능과 활용에 대하여..

    매발톱나무의 효능과 활용에 대하여.. 매발톱나무는 줄기와 잎에 매의 발톱처럼 날카로운

    2016.05.10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hanmaumisim




    월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Infobox plantae.png
    생물 분류 읽는 법월귤
    Vaccinium vitis-idaea L..jpg
    생물 분류
    계:식물계
    (미분류):속씨식물군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국화군
    목:진달래목
    과:진달래과
    아과:산앵두나무아과
    속:산앵두나무속
    종:월귤
    (V. vitis-idaea)
    학명
    Vaccinium vitis-idaea



       월귤 (Vaccinium vitis-idaea, 越橘)은 속씨식물진달래과의 작은 상록수의 관목으로 과실수를 맺는다. 원산지는 북부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온대기후에서 북극에 가까운 기온에서 자란다. 월귤은 대한민국에서도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며, 땃들쭉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땅들쭉이라 부른다.


       월귤은 영어 문화권에서 '링곤베리(lingonberry)', '카우베리(cowberry)', 혹은 '폭스베리(foxberry)', '마운틴 크랜베리(mountain cranberry)', '로부시 크랜베리(lowbush cranberry)' 등으로 부르며,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에서는 '파트리지베리(partridgeberry)' 라고 부른다.

    월귤은 거의 재배되지 않지만, 야생에서 과실을 주로 얻는다.



    월귤 열매

    월귤잼

    용도[편집]

       야생에서 채집한 월귤은 북부, 중앙, 동부 유럽, 특히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발트 해 국가, 폴란드, 슬로바키아, 카렐리아, 러시아에서 인기있는 과일로, 공유지이나 사유지에서 유럽의 전통인 "자유 산책"에 따라 채집될 수 있다. 월귤은 상당히 시큼한 편이라, 월귤잼, 주스, 콤포트, 시럽 등의 형태 등으로 먹기 전에 월귤은 거의 항상 조리되거나, 당화해서 먹는다.

    위키스피시즈에 관련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희귀식물 ‘월귤’ 홍천서 발견 ㅡ  편집 2005.01.27(목) 23:18

    ㅡ 위키백과








    월귤에 관한 정보 USDA Forest Service

    Index of Species Information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Introductory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AUTHORSHIP AND CITATION : Tirmenstein, D. 1991. Vaccinium vitis-idaea. In: Fire Effects Information System, [Onlin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oratory (Producer). Available: http://www.fs.fed.us/database/feis/ [ 2017, May 31]. Revisions: 17 September 2013: The Fire Case Study of Zasada and others' [123,124,125] study was converted to a Research Project Summary. ABBREVIATION : VACVIT SYNONYMS : NO-ENTRY SCS PLANT CODE : VAVI VAVIM COMMON NAMES : mountain cranberry northern mountain cranberry lowbush cranberry TAXONOMY : The currently accepted scientific name of mountain cranberry is Vaccinium vitis-idaea Linnaeus (Ericaceae) [6,106,107]. Northern mountain cranberry (Vaccinium vitis-idaea subsp. minus (Lodd.) Hulten) is the only recognized subspecies occurring in North America [54]. In some areas, mountain cranberry hybridizes with dwarf bilberry (V. myrtillus) [1]. A naturally occurring hybrid (V. X intermedium Ruthe.) has been identified [87]. LIFE FORM : Shrub FEDERAL LEGAL STATUS : No special status OTHER STATUS : NO-ENTRY

    DISTRIBUTION AND OCCURRENCE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GENERAL DISTRIBUTION : Mountain cranberry is a circumpolar, circumboreal species that occurs throughout parts of
    North America, Eurasia, and Japan [101,106].  The New World subspecies (ssp. minus) extends from northwestern Greenland
    across the Canadian Arctic southward to New England [114].  It grows westward to the Great Lakes and British Columbia and
    reaches islands in the Bering Sea [42,114].  In North America, mountain cranberry is restricted to areas north of the glacial
    boundary [106].  The subspecies vitis-idaea occurs throughout northern Europe from Scandinavia to northern Italy and the
    Caucasus, across northern Siberia and Japan southward into northern China and Korea [42].

    ECOSYSTEMS :    FRES10  White - red - jack pine    FRES11  Spruce - fir    FRES19  Aspen - birch    FRES23  Fir - spruce   
    FRES26  Lodgepole pine    FRES44  Alpine

    STATES :      AK  CT  ME  MA  MN  NH  VT  WI  AB  BC      LB  MB  NB  NF  NT  NS  on  PE  PQ  SK      YT

    BLM PHYSIOGRAPHIC REGIONS : None

    KUCHLER PLANT ASSOCIATIONS :    K015  Western spruce - fir forest    K093  Great Lakes spruce - fir forest    K094 
    Conifer bog    K095  Great Lakes pine forest    K096  Northeastern spruce - fir forest    K106  Northern hardwoods    K107 
    Northern hardwoods - fir forest    K108  Northern hardwoods - spruce forest

    SAF COVER TYPES :      1  Jack pine      5  Balsam fir     12  Black spruce     13  Black spruce - tamarack     16  Aspen    
    17  Pin cherry     18  Paper birch     38  Tamarack    107  White spruce    201  White spruce    202  White spruce - paper birch
       204  Black spruce    218  Lodgepole pine    251  White spruce - aspen    253  Black spruce - white spruce    254  Black
    spruce - paper birch

    SRM (RANGELAND) COVER TYPES : None

    HABITAT TYPES AND PLANT COMMUNITIES : Mountain cranberry grows as an understory dominant or codominant in
    a variety of forest communities including many dominated by jack pine (Pinus banksiana) and lodgepole pine (P. contorta). 
    It also occurs as a dominant or indicator in dwarf shrub and shrub tundra communities. Common codominants include dwarf
    birch (Betula nana), alpine bearberry (Arctostaphylos alpina), Labrador tea (Ledum spp.), feather moss (Pleurozium spp.),
    willow (Salix spp.), sedges (Carex spp.), lichen (Cladina spp.), and crowberry (Empetrum nigrum).  Mountain cranberry is listed
    as a dominant or indicator in the following plant association, ecosystem association, habitat type, and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s: Forest community types of west-central Alberta in relation to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17] Field
    guide to forest ecosystems of west-central Alberta [18] Vegetation types in northwestern Alaska and comparisons with  
    communities in other arctic regions [39]         Plant associates:  Cloudberry (Rubus chamaemorus), Canada beadruby
    (Maianthemum canadense), prickly rose (Rosa acicularis), paper birch (B. papyrifera), sedge, mountain-laurel (Kalmia
    angustifolia), bearberry (Arctostaphylos uva-ursi), crowberry, twinflower (Linnaea borealis), willow, bog blueberry (Vaccinium
    uliginosum), fireweed (Epilobium angustifolium), bluejoint reedgrass (Calamagrostis canadensis), bog Labrador tea, and
    feather moss commonly occur with mountain cranberry in white and black spruce and jack pine communities [7,22,26,38,48,
    120]. Willows, bog Labrador tea, prickly rose, crowberry, bog blueberry, sedges, cottongrass (Eriophorum vaginatum), and
    cloudberry are common associates in treeless sphagnum bogs, cottongrass muskeg, and dwarf shrub marsh communities

    MANAGEMENT CONSIDERATIONS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IMPORTANCE TO LIVESTOCK AND WILDLIFE : Browse: Mountain cranberry browse is readily eaten by barren-ground caribou, black bear, moose, arctic hare, and snowshoe hare [38,42].  In parts of Alaska, it is an important if not key moose browse [3]. Utilization by moose is typically heaviest when available browse is limited and when light snow accumulations allow the animals to reach the plants easily [93].  on the Kenai Peninsula, it may comprise up to 25 percent of winter moose diets.  Moose may dig through 20 inches (50 cm) of snow to feed on the foliage, but if winter snow depths are excessive, the animals rarely expend the energy necessary to reach the plants [77]. Generally, moose eat only trace amounts of mountain cranberry during the summer [10,77]. In some parts of Canada, mountain cranberry browse is a primary food of barren-ground caribou [73].  The evergreen leaves are an important item in the winter diet [38].  In the Mackenzie District of northwestern Saskatchewan, leaves of mountain cranberry and bog blueberry (V. uliginosum) accounted for 21.5 percent of the barren-ground caribou winter diet but only 3.8 percent of the summer diet [38].  However, in some areas, caribou continue to feed heavily on mountain cranberry browse throughout the summer [111]. In Newfoundland, snowshoe hares often consume large amounts of shoots during the winter [38].  Where snow depths prohibit winter use, hares may feed on leaves made available by melting snows.  Seasonal percent composition of leaves of mountain cranberry and bog blueberry in the diet of snowshoe hares in Newfoundland was as follows [118]:              winter     April     May     summer     fall               0.3       17.4      9.3      6.6       10.9  Mountain cranberry browse is of little value to domestic livestock but provides some winter browse for reindeer [23,73].  It is not eaten by domestic sheep if more preferred forage is available [88]. Fruit:  Berries of mountain cranberry are an important food source for many species of birds and mammals.  Many wildlife species feed on fruit left on the ground from the previous year [38,55].  Berries are an important spruce grouse food during spring, summer, and fall.  Berries persisting from the previous year are eaten from late spring through early August.  In interior Alaska, percent volume use of mountain cranberry by spruce grouse was 37.6 in July and August, 40.1 in September, and 17.3 in September [29]. In many areas, berries are an essential food source for birds migrating northward in the spring [38,55].  The common raven, ring-necked pheasant, rock ptarmigan, sea gulls, geese, grouse, partridges, and many species of songbirds, such as the scarlet tanager, eastern bluebird, and thrushes, readily consume mountain cranberry fruit [38,42,88].  Fruit of Vacciniums are readily eaten by the northern mockingbird, rufous-sided towhee, gray catbird, American robin, brown thrasher, ruffed grouse, spruce grouse, whimbrel, herring gull, and Canada goose [72,105,106]. The red-backed vole eats large quantities of mountain cranberry fruit during the fall.  Berries are a primary winter food source as well; the rodents burrow under snow to reach the persistent fruit [117].  The red fox also consumes large amounts of fruit during late fall [38]. Mountain cranberry fruit is an important black bear food in many areas bu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Alaska [40].  Berries remain on the plant over winter, and black bears begin feeding on berries during the early spring as soon as the snow has melted [38,40].  Fruit again assumes importance in black bear diets during the fall [40].  Many other mammals, including the polar bear, eastern chipmunk, and white-footed mouse, also feed on the fruit of mountain cranberry [38,55].  Fruits of many Vacciniums are readily eaten by species such as the red squirrel, gray fox, skunks, and chipmunks [72,106]. PALATABILITY : Mountain cranberry browse is at least seasonally palatable to many species of mammals including the barren-ground caribou, snowshoe and arctic hares, and moose.  Berries are readily eaten by a variety of birds and mammals.  Palatability of the fruit increases over winter [99]. NUTRITIONAL VALUE : Browse:  Nutrient content of browse varie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soils, phenological development, and proximity to smelters [42,45,95]. Calcium, manganese, aluminum, silver, lead, and boron tend to accumulate in plant tissue even at low soil levels [42].  Food value peaks in summer [38].  In winter, acid-detergent, fiber, and lignin content increase but levels of magnesium, zinc, manganese, calcium, potassium, sodium, copper, and iron decline.  Protein content remains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year at 5 to 6 percent [77].  Energy content has been estimated at 509 kcal/100 g [73].  Nutritional value of browse from the Kenai Peninsula of Alaska was documented as follows [77]:                         August          February Protein (%)               5.7              5.4  Ca (ppm)                4920.0            26.7 Mg (ppm)                1328.0             4.6 K (ppm)                  438.3            29.8 Na (ppm)                  55.0            22.8    Cu (ppm)                   5.8             0.2 Fe (ppm)                  51.3             3.2 Mg (ppm)                  17.6             1.9 Zn (ppm)                   8.3             0.3 Fruit:  Berries are high in tannins and anthocyanins.  The caloric content is moderate [38]. COVER VALUE : NO-ENTRY VALUE FOR REHABILITATION OF DISTURBED SITES : Potential rehabilitation value of mountain cranberry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Plants are able to survive on extremely harsh sites, and some rehabilitation potential is possible.  on the Arctic Coastal Plain, sprouts have been observed on and under debris left from oil exploration activities [28]. Mountain cranberry can be readily propagated from seed and stem or rhizome cuttings [32,42].  Meristem propagation techniques have also been described [101].  Stem cuttings root easily if planted in the spring or early fall but exhibit slow rhizome development and poor subsequent vegetative spread [32].  Clumps of wild mountain cranberry can be divided and transplanted onto disturbed sites [42].  Survival of these transplants is variable, ranging from 30 to 90 percent [32]. Propagation techniques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25,32,42,61,63]. OTHER USES AND VALUES : Mountain cranberry fruit can be eaten raw or cooked to make a tart sauce [6,99].  Berries are used to make preserves, jam, jelly, candy, syrup, pickles, juice beverages, and wine [42,47].  Fruit can be added to rose hips to make a tasty jelly [38], or added to various ice cream products [42].  In some areas, berry-picking is an important recreational activity [59].  Fruit is widely processed and marketed in Japan and Europe [42] and is harvested commercially in parts of Alaska, Scandinavia, Russia, and Canada [42,43].  Considerable amounts of fruit are imported into the United States annually [11].  Much of this imported fruit is consumed by peoples of Scandinavian descent who use the so-called "Swedish lingenberry" in traditional dishes [6].  Mountain cranberry has the potential for more extensive commercial development [15,37,74].  Some native stands could be managed with a minimum of cultivation, as are those of low sweet blueberry [74].  The feasibility of expanded commercial operations is currently being tested in parts of North America [42]. Many Native Americans and indigenous peoples of Eurasia used the leaves and fruit of mountain cranberry as food or medicine [57,106]. Preparations made from the leaves were used to treat bladder problems, gout, and rheumatism [90].  Medicinal fruit jellies were used to treat sore throats and colds [106].  The Slave, Athabaska, Cree, and Inuit people ate the fruit fresh and preserved them for winter use [38,106]. Berries were often boiled and mixed with oil to facilitate storage for long periods [106]. Arbutin, which is obtained from the leaves and stems, is used by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preparations used to treat intestinal disorders.  Mountain cranberry forms a dense, attractive mat and has been planted as an ornamental ground cover [24].  It was first cultivated in 1789 [42].  Mountain cranberry has shown promise for use in developing hardy fruit-producing cultivars [64]. OTHER MANAGEMENT CONSIDERATIONS : Fruit production:  Fruit production in mountain cranberry varies widely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site factors such as shade and soil, annual weather conditions, and the genetic make-up of the individual clone [62,63,71,78,81].  Poor fruit production may be due to a lack of pollinators, cold damp weather during flowering, late spring frosts, or hail [42,43,57].  Plants growing in the shade rarely produce fruit or flowers, but plants growing in full sun commonly bear an abundance of fruit [62].  Some geographic variation in this pattern has been noted. on dry sunny sites in Alberta, flower bud production may be greatest in partial shade of aspen (Populus tremuloides) [38].  In the cool, rainy climates of the Maritime Provinces, flower bud production is typically best on exposed sites [38].  Kuchko [57] reported poor yields beneath forest canopy, although yields were often good in adjacent gaps created by timber harvest. Fruit yields are generally greater on peat than on mineral soil [63].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plants produced 82 kg/100 m sq on peat but produced only 14 kg/100 m sq on mineral soil [63].  Temperatures of 30 degrees F (-1.5 degrees C) can kill 50 percent of all flowers, and exposure to 26 degrees F (-3.5 degrees C) can destroy 50 percent of the buds and unripe fruit [62].  In harsh arctic environments, only plants in protected areas, such as on south-facing rock crevices, flower [42]. Maximum yields in cultivated stands may reach 9,140 pounds per acre (8,150 kg/ha) [38].  Elsewhere, yields may range from 19.5 pounds per acre (17.4 kg/ha) [51] in Swedish peatlands to 560 pounds per acre (500 kg/ha) in some Finnish forests [38].  Yields are generally highest where mountain cranberry cover is greatest and competitors are few [71]. Details on fruit yields are available [32,57,81]. Cultivation:  Mountain cranberry generally responds more favorably to fertilizer and irrigation than do other members of the genus [56]. However,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 does not always increase fruit yields.  Comparatively little fertilizer is required for good growth and development [42]; if too much is added, vegetative growth may be promoted at the expense of fruit production [101].  Where weeds are a problem, fertilizer may increase competitors at the expense of mountain cranberry [62].  Mulches such as milled peat can increase fruit production in some instances [42].  The effects of mulch, fertilizers, and irrigation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32,42,46,53,62,63]. Fruit yields may be increased by various means.  Herbicides have been used to reduce weeds in commercially managed fields of mountain cranberry [37,63].  Honeybees can be used to supplement native bee populations when pollinator availability is low [74].  Fruit is generally harvested by hand [42].  Small comb-sieves or rakes are commonly used [38,101]. Chemical response:  Mountain cranberry is susceptible to herbicides such as 2,4-D and 2,4,5-T [38].  These herbicides cause browning of stems and leaves and at high concentrations can kill the plants [38].  The effect of herbicides has been documented [8,38]. Damage/disease:  Plants can be killed by exposure to cold temperatures in the absence of a protective snow cover [83].  Unacclimated plants can be killed by exposure to temperatures of 28 degrees F (-2.5 degrees C) or below;, acclimated plants can survive exposure to temperatures as low as 8 degrees F (-22 degrees C) [42].  Mountain cranberry is susceptible to several diseases and insect infestations [38,42].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Mountain cranberry growing near smelters can accumulate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95].  Plants growing near a zinc smelter in Poland exhibited reduced leaf size and other types of damage [20].  Mountain cranberry can also accumulate a wide range of radionuclides such as radium-226, lead-210, and uranium [97]. Tests indicate that summer oil spills are more damaging to mountain cranberry than those that occur in February [38].  Predisturbance cover of 48 percent was reduced to 0 by a summer crude oil spill.  A low-intensity winter spill reduced cover to 12 percent while a high-intensity oil winter spill reduced cover to 6 percent [38]. Recovery of mountain cranberry can occur 10 to 15 years after an oil spill [38]. Timber harvest:  After some types of logging treatments in a mature white spruce (Picea glauca) forest in Alaska, cover and frequency of mountain cranberry increased fairly rapidly [26]. Biomass:  Mountain cranberry biomas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canopy cover [44,77].  Maximum dry matter accumulation occurs in full sunlight [43].  Holloway [42] observed that 80 percent of the total biomass of mature plants was underground.  Biomass has been examined in detail [38,42,94].


    BOTAN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GENERAL BOTANICAL CHARACTERISTICS : Mountain cranberry is a low, creeping, evergreen subshrub that commonly
    reaches 2 to 6 inches (5-15 cm) in height [4,90,114].  It typically grows in dense rhizomatous colonies and frequently forms
    mats [106]. Stems are slender and trailing [38,114]; stem morphology has been examined in detail [76].  The root system is
    variable [6].  Plants have a network of fine, shallow, fibrous roots, and may possess a taproot [32,38].  The dichotomously
    branched rhizomes possess numerous hairlike roots [98].  Maximum rooting depths of 2 to 11 inches (5-28 cm) have been
    reported [42,100]. The thick, simple, leaves are obovate, oblong, or elliptic [38,90].  The green leaves turn purplish in fall [38].
    Flowers occur on terminal racemes singly or in groups of up to 15 [90]. Floral morphology has been examined in detail [79].
    Fruit is a bright to dark red, globular berry approximately 0.2 to 0.4 inch (6-10 mm) in diameter [4,55,106,114].  The four-celled
    berries are acidic to sour or bitter [6,90,106].  Yellow, short-beaked seeds average 0.04 inch (1 mm) in length [42,106].

    RAUNKIAER LIFE FORM :    Chamaephyte    Geophyte

    REGENERATION PROCESSES : Mountain cranberry reproduces through seed and by vegetative means [38]. Seed:  In
    many areas, seedlings first bear fruit at 3 or 4 years of age [32,63].  However, British studies suggest that few flowers are
    produced until plants reach 5 to 10 years of age [88].  Flowers are pollinated by bumblebees and bee flies (syrphid flies) [38,
    42].  Plants may be self- or cross-pollinated, but fruit set is much greater after cross-pollination [6].  Berries are often
    produced in abundance.  In parts of North America, berries average 3 to 15 seeds per berry [43]. Seeds are dispersed by
    birds and mammals [38]. Germination:  Seed can germinate on bare ground, but only if conditions are favorable [38]. 
    Fresh seed generally exhibits best germination [37,38].  Germination declined from an average of 76.5 percent for seed
    extracted from fresh fruit and then planted immediately to less than 10 percent for seed stored 12 to 16 months before
    planting [38].  In laboratory tests, good germination was reported after stratification at 32 to 41 degrees F (0-5 degrees C)
    for up to 5 months [42,61].  Seeds typically germinate within 3 weeks after exposure to temperatures of -7 to -4 degrees F
    (20-25 degrees C) in light or dark [32,42].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 cranberry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19,62,63]. Seedling establishment:  Seedlings are rarely observed in the field [42,62,75,102].  In Estonia, seedlings are
    generally observed only in protected areas such as near tree stumps, fallen logs, or stones [71]. Some seedlings do
    develop in favorable years in parts of Nova Scotia and Newfoundland [38]. Seed banking:  Seed of mountain cranberry has
    been detected in soil samples [75,106], but seed banking potentials for this species are unknown.  In black spruce (Picea
    mariana)-jack pine forests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seeds of mountain cranberry and bog blueberry were found in 71
    percent of the soil samples tested [50].  Studies near the Great Slave Lake revealed mountain cranberry and bog blueberry
    seed in 65 percent of the cores sampled.  Seed densities averaged 3.3 per 1,000 cc, but only 21 percent were viable. 

    A second study revealed 4.8 seeds per 1,000 cc, but none of the seeds were viable [38]. Vegetative regeneration: 
    Vegetative regeneration is of primary importance in the mountain cranberry [88].  Plants commonly expand through horizontal
    rhizomes [88].  Rhizomes may sprout singly or in groups of 1 or 2 per square meter [42].  Large, older clones may be
    separated into numerous daughter clones by disturbances such as frost, fire, or burrowing mammals [38,88].  Rhizome
    length, depth, and the location of shoots on the rhizomes are greatly influenced by soil and other site characteristics [98]. 
    Rhizome depth is inversely related to the thickness of soil organic layers [98].  Rhizomes grow well in peat but can also
    penetrate to mineral soil.  In Britain, rhizomes are generally confined to the humus layer [38] and are estimated to average
    4 to 8 inches (10-20 cm) deep [88].  Smith [98] reported that rhizome depth in Alberta varied from 8 to 11 inches (19-28 cm).  He found that 22.1 percent of the shoots were located terminally and 77.9 percent arose at midrhizome locations.  Rhizome characteristics
    as related to various sit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The trailing or creeping stems of mountain cranberry
    also root at the nodes [38,114].  This mode of regeneration may be important on some harsh, subarctic sites [38].

    SITE CHARACTERISTICS : Mountain cranberry is widely distributed in northern temperate forests and in many arctic and
    alpine communities [38,60,114].  It commonly grows on exposed sites, such as windswept crags, bare headlands, rocky
    ledges, scree, sea cliffs, hilly rocky barrens, and mountain summits [21,38,81,88,91].  At the southern edge of its range,
    mountain cranberry occurs primarily in bogs, but in the north it grows on both wet and dry sites [38].  Mountain cranberry
    occurs on high moors, heath barrens, sand dunes, and in peatlands, forest swamps, and bogs [38,41,114].  In mature f
    orests, plants often grow on top of decaying tree stumps [42]. Climate:  Mountain cranberry grows under a variety of climatic
    regimes. In much of Canada, it occurs in areas characterized by short cool summers and long cold winters [38].  In black
    spruce-white spruce-jack pine forests of northern Canada, its distribution may be correlated with arctic air masses. 

    However, in harsh rockfield and tussock communities of the far North, it may be related to the influence of moist Pacific air
    masses [38,60].  In taiga communities of Alaska, winters are long and cold, but summers are short and hot [110].  Mean
    annual precipitation is 8 inches (21 cm), and average annual temperature is 20 degrees F (-6.7 degrees C) [84].  In parts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annual precipitation averages 12 inches (30.4 cm) [68]. Soils:  Mountain cranberry grows on
    shallow, poorly developed mineral soil as well as on drained peat [51,88].  Soils are often of low fertility and have little calcium
    but may be high in decaying organics [42,101].  Mountain cranberry commonly grows on acidic sandy loams or loamy clays
    [42,57].  Holloway and others [45] reported poorest vegetative growth on sandy soils.  Soil pH ranges from 2.7 to 8.2, but
    best growth has been reported at 4.0 to 4.9 [38,42,49].  Soils are often characterized by low base saturation and low lime
    content [45].  Soils may be derived from a variety of parent materials, including sandstone, gneiss, granite, and glacial
    outwash sands and gravel [38]. Elevation:  In New England, mountain cranberry is generally restricted to higher mountains
    [55].  In the Northwest Territories, plants often occur at lower elevations (to 4,950 feet [1,500 m]) [38].  Generalized
    elevational ranges by geographic location are as follows: Location     Elevation Authority Adirondacks   up to 5,300 ft
    (1,615 m)           Keeler 1969 e Canada         sea level to 4,250 ft (0-1,290 m)  Hall and Shay 1981 AB               to 7,400 ft (2,250 m)              Hall and Shay 1981 Yukon            6,900 to 7,900 ft (2,100-2,400 m)  Hall and Shay 1981

    SUCCESSIONAL STATUS : Mountain cranberry is noted for its wide ecological amplitude [69].  It is not generally considered
    a pioneer species but does occur in early seral stages in some communities [38,65].  Mountain cranberry persists indefinitely,
    unless shaded out by conifers, and assumes a climax role in various rockfield communities of the far North [38]. Mountain
    cranberry commonly invades tundra bog communities dominated by species such as alpine sweetgrass (Hierochloe alpina),
    lichens (Alectoria ochroleuca, A. nitidula), and woodrush (Luzula confusa) from adjacent summit rockfields.  Mountain
    cranberry also invades senescent cottongrass tussock communities and areas of frost activ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initial pioneers.  However, on some sites, seral mat communities made up of mountain cranberry, crowberry, and lichens
    eventually give rise to white spruce stands.  In barrens of Newfoundland, mountain cranberry grows as a seral species which
    is displaced by black spruce and balsam fir [38].  It also occurs in some early seral communities dominated by paper birch
    [65]. Black spruce:  Mountain cranberry is important in stable climax black spruce communities but also dominates many
    seral stages [34,65,80]. Stands are initially colonized by bryophytes and herbaceous species such as fireweed and willow
    [7,27].  Mountain cranberry generally reaches stable levels within 25 years after fire or other disturbances [38]. However,
    maximum cover and frequency were attained at 144 years in certain black spruce/mountain cranberry communities [38]. 

    In black spruce stands in interior Alaska, mountain cranberry is present within 5 to 30 years after disturbance and persists for
    many years.  It is common in stands 200 years old or older and represents the most abundant low shrub in tree-dominated
    stages [34].  In black spruce stands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mountain cranberry remains abundant in 200- to 300-year
    -old stands despite the decline of most vascular plants [7]. Chapin and others [14] reported that mountain cranberry
    becomes more prominent as succession progresses from immature black spruce to muskeg. White spruce:  Mountain
    cranberry occurs in many climax white spruce forests on uplands of interior Alaska [65].  It is present during the moss-herb
    stage which occurs 1 to 5 years after fire [27,34].  Mountain cranberry peaks and declines after the dense tree stage, which
    occurs from 15 to 40-46 years or longer after fire, but remains present in later stages [34].  Dyrness and others [27] reported
    that in interior Alaska, mountain cranberry was common in 150-year-old white spruce stands. Jack pine:  In jack pine-lichen
    woodlands of the northern Canada, mountain cranberry is an early colonizer on recently burned sites [13]. It persists after
    "the cessation of major successional changes" at 25 to 45 years [13] and remains common in stands up to 280 years of
    age [38]. Tundra communities:  In sedge-tussock tundra and shrub tundra communities of Alaska's Seward Peninsula,
    bryophytes initially reestablished burned sites.  Bryophytes often reach maximum cover within 2 to 4 years after fire, but the
    recovery of shrubs such as mountain cranberry is often much slower.  In shrub-tundra communities, mountain cranberry may
    not recover to prefire levels even by 5 to 6 years after fire or other disturbance [84,85].

    SEASONAL DEVELOPMENT : In Alaska, vegetative buds began growth during the first week of June and underwent rapid
    elongation throughout June.  The growth rate of terminal vegetative buds decreased by July 1.  Leaf expansion began during
    the last week of May and the first week of June; all leaves had expanded within 1 month [42].  Karlsson [52] observed that
    old leaves became photosynthetically active approximately 2 weeks after bud break. Near Mt. Washington, New Hampshire,
    and in parts of Nova Scotia, vegetative growth began in late June [38,42].  In Britain and perhaps elsewhere, leaf expansion
    can begin as early as March, although it usually occurs from mid-May to mid-June.  Shoot growth generally ends in mid-July. 
    Leaves may persist for up to 3 years.  However, some old leaves may be shed by August of the second year [38].  Plants
    become dormant by fall [42]. Flowers develop from buds initiated the previous year [101].  In interior Alaska, reproductive
    bud growth begins in mid-May [42].  In parts of Britain, two periods of flowering (spring and summer) have been observed at
    certain low-elevation sites [88].  Flowering may last 9 to 18 days [57] or as long as 19 to 27 days.  Fruit ripens approximately
    78 to 84 days after full bloom [42]. Phenological development may be related to the timing of snowmelt [38]. In interior
    Alaska, plants were in maximum full bloom approximately 6 weeks after snowmelt and exhibited first visible signs of growth 2
    weeks after snowmelt.  Unusually cool temperatures can delay phenological development.  Roots and rhizomes undergo two
    periods of active growth annually in early spring and fall [42].


    FIRE ECOLOGY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FIRE ECOLOGY OR ADAPTATIONS : Mountain cranberry occurs in a variety of communities across a wide climatic range.  It persists under a regime of relatively frequent fires but also grows in areas that rarely burn.  Black spruce communities are dependent on frequent fires, and most associated species, including mountain cranberry, are well adapted to fire [110].  Fires in black spruce communities of Alaska and northern Canada are commonly lightning caused and tend to be large [68,110].  Fire frequencies average 80 to 200 years [96,110].  In moister black spruce/mountain cranberry communities in eastern Canada, fires may occur at 500-year intervals [35].  Mountain cranberry remains important in jack pine stands that burn at 20- to 40-year intervals and in Swedish pine forests that burn every 40 years [13,30]. Fire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treeline communities of the North. In Siberia, past extensive fires may have destroyed forest communities. Trees may have been unable to reestablish on these harsh sites under the current climatic regimes.  Low-shrub-dominated tundra communities composed of species such as mountain cranberry may have eventually replaced these forest stands [108].  Fire intervals in shrub subzones of forest-tundra communities have been estimated at 1,460 years [96]. Mountain cranberry continues to be abundant on these infrequently burned sites. In many forest communities, mountain cranberry requires fire for its maintenance [30].  Increases in cover and vigor after fire are commonly observed [9].  Mountain cranberry generally reestablishes a site through sprouting from rhizomes and aerial stems.  Very limited reestablishment may occur on exceptional sites in good years by seed transported from off-site. FIRE REGIMES : Find fire regime information for the plant communities in which this species may occur by entering the species name in the FEIS home page under "Find Fire Regimes". POSTFIRE REGENERATION STRATEGY :    Small shrub, adventitious-bud root crown    Rhizomatous shrub, rhizome in soil    Initial-offsite colonizer (off-site, initial community)


    FIRE EFFECTS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IMMEDIATE FIRE EFFECT on PLANT : Underground regenerative structures of mountain cranberry generally survive light fires [102,115].  Plants often survive even when aerial portions are consumed by fire [92].  However, plants may be killed by moderate to heavy, duff-consuming fires [115].  Survival is related to many factors including soil moisture levels, season of burn, fire severity and intensity, and rhizome depth [38]. Rhizomes can sometimes survive soil surface temperatures of 820 degrees F (438 degrees C) [102].  In arctic tussock communities, plants often survive severe fires which remove all aboveground material [116].  The heat-sensitive seeds of mountain cranberry are usually destroyed by fire [115]. DISCUSSION AND QUALIFICATION OF FIRE EFFECT : NO-ENTRY PLANT RESPONSE TO FIRE : Mountain cranberry commonly sprouts from rhizomes or buds located on surviving portions of aerial stems after fire damages or consumes aboveground material [115,116].  Sprouting from stumps, or "rootstocks" has also been reported [13,65].  Reestablishment through seed is extremely rare [102].  Surviving portions of the aerial stems sprout within a short time, but rhizome sprouting may be delayed until the following year [115]. The speed of reestablishment varies according to the season of burn, site characteristics, and fire intensity and severity.  Reestablishment is generally rapid after light fires [27]; plants are often common on lightly burned sites [102].  Regeneration may be slow after hot fires that damage or destroy underground regenerative structures [27,102,111]. In northern spruce communities, intense, stand-destroying, late summer fires which consume the organic layer [110] can be particularly damaging to mountain cranberry [65]. on some sites, plants may sprout within months after a light burn and regain prefire cover within a few years [102].  Mountain cranberry generally appears within the first 6 years after fire in black spruce-lichen, jack pine-lichen, and white spruce-birch communities [38].  Residual survivors were observed at the end of the fifth growing season in black spruce communities of southeastern Manitoba [16].  In a severely burned black spruce community of interior Alaska, it became abundant within 5 years after fire but set little fruit [117].  Viereck [109] observed slow recovery after fire in a black spruce/feather moss- lichen community of interior Alaska.  Recovery was as follows:                         percent cover (1971 fire)         unburned        1972       1975      1980            18             1          1         7 Mountain cranberry was present within 1 to 5 years after fire in white spruce communities of Alaska [34].  Mountain cranberry is a common early colonizer in jack pine communities, although reestablishment generally takes at least several years [13].  In North America, postfire recovery may be more rapid in moister, eastern boreal forests [68]. Reestablishment of mountain cranberry is often slow in tundra communities [85].  Plants attained prefire coverage by the end of two full growing seasons in arctic tussock communities [116].  In northwestern Alaska, production was still significantly lower on sites burned 13 years earlier than on unburned sites [33]. DISCUSSION AND QUALIFICATION OF PLANT RESPONSE : Fire severity:  Recovery is typically much more rapid after light fires. Postfire recovery in Alaska has been documented as follows [111]:                                   percent cover                   1971        1972        1973        1974        control heavy burn         .05         .50         .30         .90         ---- light burn        3.45        3.55        1.65        6.10        20.35 heavy burn        0            .15         .20         .35         6.90 In sedge-shrub tundra on the Seward Peninsula of Alaska, little or no sprouting was observed within 2 years on severely burned sites where mountain cranberry was a prefire dominant.  After light to moderate severity burns in sedge-tussock communities, mountain cranberry sprouted and recovered relatively quickly.  Shoot dens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wo of the four sites, from 43 shoots per meter square to 126 per meter square and from 25 per meter square to 43 per meter square.  However, sprouts were generally located on the surface or sides of tussocks, suggesting that they escaped burning within the tussock mass [84]. Recovery of mountain cranberry may be relatively slow in many types of tundra shrub communities.  Recovery of mountain cranberry by tundra community was as follows [84]:                   sedge tussock-shrub tundra (burned 1977)          Frequency (no. of plots)*               Cover (%)                 1973    1978     1979           1973     1978     1979 site 2       10      10       10            6.9      0.8      1.3 site 3       --      10       10            ---      0.5      0.5 site 4       --      10       10            ---      0.5      0.5 site 5       --       9        9            ---      0.5      0.5 *Number of 1-m2 plots in which species occurs (ten plots sampled)                 birch and ericaceous shrub tundra (burned 1977)                                  1973               1978                  1979                         Cover               Cover                 Cover                          _                   _                     _                Freq.*   (x %)     Freq.*    (x %)       Freq.*    (x %) nonfrost boils   10       7           0       0             0       0 frost boils      10       4           0       0             0       0    *Number of 1-m2 quadrats in which species occurs/no. of quadrats on that site X 10                         sedge-shrub tundra (burned 1977)          Prefire (1973)      1 yr after (1978)          2 yrs after (1979)         Freq.*  Cover**  Freq.*   Cover**  Dens.***  Freq.*  Cover**  Dens.*** site 8   10     2.8        3       0.2       2        4        0.2     3 site 9   10    15.5        6       0.3       2        7        0.3     5 *   Number of 1-m2 plots in which the species occurs (ten plots sampled) **  Mean percent cover averaged over 10 plots *** shoots/m2 Postfire frequencies of mountain cranberry 1 year after a summer fire in sedge tussock-shrub communities of the Seward Peninsula of Alaska were greatly reduced [119]:    sampling date       late May 1978        mid-June 1978                         freq. %               freq. % burned                0.23                  0.05 unburned              1.00                  1.00 See the Research Project Summary of Wright's [119] study for further information. For information on prescribed fire and postfire responses of many plant species, including mountain cranberry, see these Research Project Summaries: FIRE MANAGEMENT CONSIDERATIONS : Postfire biomass:  Postfire reduction in mountain cranberry production was as follows after a fire in an arctic tussock community [116]:           mean annual production (g/m sq)           burned            unburned site 1      0.1               5.8 site 2      0.6               7.5 site 3      0.6               1.8 site 4      4.0               9.5 Biomass:  Biomass following a late June wildfire in interior Alaska was measured at 0.04 grams per square meter during postfire year 1, 0.08 grams per square meter during postfire year 2, and 1.4 grams per square meter during postfire year, compared to a control measurement of 5.1 grams per square meter [108]. Fuels and flammability:  Engelmark [30] reported that Vacciniums are highly flammable due to specific chemical properties.  In northern Sweden, species such as mountain cranberry can serve as ignition points and as a continuous fuel mat for surface fires.  In many black spruce stands of Alaska and northern Canada, an open, highly flammable, ericaceous shrub layer can carry a fire [110].  However, Quintilio and others [82] observed that an extensive mat of mountain cranberry and alpine bearberry served as an effective fire barrier in a jack pine stand near Darwin Lake, Alberta.  Fire seldom penetrated more than a few centimeters into the vegetative mat.  The extensive ground mat noticeably reduced the fire spread rate and coverage [82].

    REFERENCES

    SPECIES: Vaccinium vitis-idaea
    REFERENCES :  1.  Ahokas, Hannu. 1971. Notes on polyploidy and hybridity in Vaccinium        species. Annales Botanici Fennici. 8: 254-256.  [9699]  2.  Ahokas, Hannu. 1979. Artificial, reciprocal hybrids between Vaccinium        microcarpum and V. vitis-idaea. Annales Botanici Fennici. 16: 3-6.        [9695]  3.  Allen, Arthur W.; Jordan, Peter A.; Terrell, James W. 1987. 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s: moose, Lake Superior region. Biol. Rep. 82        (10.155).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47 p.  [11710]  4.  Anderson, J. P. 1959. Flora of Alaska and adjacent parts of Canada.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543 p.  [9928]  5.  Bernard, Stephen R.; Brown, Kenneth F. 1977. Distribution of mammals,        reptiles, and amphibians by BLM physiographic regions and A.W. Kuchler's        associations for the eleven western states. Tech. Note 301. Denver, CO: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agement. 169 p.        [434]  6.  Biermann, John E. 1975. A description of Vaccinium vitis-idaea. Fruit        Varieties Journal. 29(1): 5-7.  [1901]  7.  Black, R. A.; Bliss, L. C. 1978. Recovery sequence of Picea mariana -        Vaccinium uliginosum forests after burning near Inuvik,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Canadian Journal of Botany. 56: 2020-2030.  [7448]  8.  Bovey, Rodney W. 1977. Response of selected woody plants in the United        States to herbicides. Agric. Handb. 493.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01 p.  [8899]  9.  Bradshaw, Richard H. W.: Zackrisson, Olle. 1990. A two thousand year        history of a northern Swedish boreal forest stand.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4): 519-528.  [12762]  10.  Butler, C. E. 1986. Summer food utilization and observations of a tame        moose Alces alces. Canadian Field-Naturalist. 100: 85-88.  [8871]  11.  Camp, W. H. 1942. on the structure of populations in the genus        Vaccinium. Brittonia. 4(2): 189-204.  [9512]  12.  Camp, W. H. 1945. The North American blueberries with notes on other        groups of Vacciniaceae. Brittonia. 5(3): 203-275.  [9515]  13.  Carroll, S. B.; Bliss, L. C. 1982. Jack pine - lichen woodland on sandy        soils in northern Saskatchewan and northeaster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Botany. 60: 2270-2282.  [7283]  14.  Chapin, F. Stuart, III; Van Cleve, Keith. 1981. Plant nutrient        absorption and retention under differing fire regimes. In: Mooney, H.        A.; Bonnicksen, T. M.; Christensen, N. L.; [and others], technical        coordinators. Fire regimes and ecosystem propertie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1978 December 11-15; Honolulu, HI. Gen. Tech. Rep. WO-26.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301-321.        [4397]  15.  Christ, E. 1977. Crossbreedings between cranberries (Vaccinium        macrocarpon Ait.) and cowberries (Vaccinium vitis idaea L.). Acta        Horticulturae. 61: 285-294.  [9506]  16.  Chrosciewicz, Z. 1976. Burning for black spruce regeneration on a        lowland cutover site in southeastern Manitob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6(2): 179-186.  [7280]  17.  Corns, I. G. W. 1983. Forest community types of west-central Alberta in        relation to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 995-1010.  [691]  18.  Corns, I. G. W.; Annas, R. M. 1986. Field guide to forest ecosystems of        west-central Alberta. Edmonton, AB: Canadian Forestry Service, Northern        Forestry Centre. 251 p.  [8998]  19.  Crossley, John A. 1974. Vaccinium L.   Blueberry. In: Schopmeyer, C. S.,        ed. Seeds of woody plants in the United States. Agric. Handb. 450.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840-843.        [7774]  20.  Czuchajowska, Zuzanna. 1987. Influence of zinc smelter emissions on        leaves of Pinus sylvestris and Vaccinium spp. as revealed by some        morphological & ecophys. indice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iology. 27(1): 67-83.  [9255]  21.  Dansereau, Pierre. 1959. The principal plant associations of the Saint        Lawrence Valley. No. 75. Montreal, Canada: Contrib. Inst. Bot. Univ.        Montreal. 147 p.  [8925]  22.  Daubenmire, Rexford. 1953. Notes on the vegetation of forested regions        of the far northern Rockies and Alaska. Northwest Science. 27: 125-138.        [10816]  23.  Dayton, William A. 1931. Important western browse plants. Misc. Publ.        101.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14 p.  [768]  24.  De Vault, Dorothea. 1977. Four uncommon groundcovers. American Rock        Garden Society Bulletin. 35(1): 36-40.  [9508]  25.  Doran, William L. 1957. Propagation of woody plants by cuttings.        Experiment Station Bul. No. 491.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ollege of Agriculture. 99 p.  [6399]  26.  Dyrness, C. T.; Viereck, L. A.; Foote, M. J.; Zasada, J. C. 1988. The        effect on vegetation and soil temperature of logging flood-plain white        spruce. Res. Pap. PNW-RP-392.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45 p.        [7471]  27.  Dyrness, C. T.; Viereck, L. A.; Van Cleve, K. 1986. Fire in taiga        communities of interior Alaska. In: Forest ecosystems in the Alaskan        taiga. New York: Springer-Verlag: 74-86.  [3881]  28.  Ebersole, James J. 1987. Short-term vegetation recovery at an Alaskan        arctic coastal plain site. Arctic and Alpine Research. 19(4): 442-450.        [9476]  29.  Ellison, Laurence. 1966. Seasonal foods and chemical analysis of winter        diet of Alaskan spruce grous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30(4):        729-735.  [9735]  30.  Engelmark, Ola. 1987. Fire history correlations to forest type and        topography in northern Sweden. Annales Botanici Fennici. 24(4): 317-324.        [6688]  31.  Eyre, F. H., ed. 1980. Forest cover typ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Washington, DC: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148 p.  [905]  32.  Fernqvist, I. 1977. Results of experiments with cowberries and        blueberries in Sweden. Acta Horticulturae. 61: 295-300.  [9609]  33.  Fetcher, Ned; Beatty, Thomas F.; Mullinax, Ben; Winkler, Daniel S. 1984.        Changes in arctic tussock tundra thirteen years after fire. Ecology.        65(4): 1332-1333.  [7234]  34.  Foote, M. Joan. 1983.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dynamics of plant        communities after fire in the taiga of interior Alaska. Res. Pap.        PNW-307.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108 p.  [7080]  35.  Foster, David R. 1985. Vegetation development following fire in Picea        mariana (black spruce) - Pleurozium forests of south-eastern Labrador,        Canada. Journal of Ecology. 73: 517-534.  [7222]  36.  Garrison, George A.; Bjugstad, Ardell J.; Duncan, Don A.; [and others].        1977.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forest and range        ecosystems. Agric. Handb. 475.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68 p.  [998]  37.  Hall, Ivan V.; Beil, Charles E. 1970. Seed germination, pollination, and        growth of Vaccinium vitis-idaea var. minus Lodd.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50(6): 731-732.  [9174]  38.  Hall, Ivan V.; Shay, Jennifer, M. 1981. The biological flora of Canada.        3. Vaccinium vitis-idaea L. var. minus Lodd. Supplementary Account.        Canadian Field-Naturalist. 95(4): 434-464.  [9125]  39.  Hanson, Herbert C. 1953. Vegetation types in northwestern Alaska and        comparisons with communities in other arctic regions. Ecology. 34(1):        111-140.  [9781]  40.  Hatler, David F. 1972. Food habits of black bears in interior Alaska.        Canadian Field-Naturalist. 86(1): 17-31.  [10389]  41.  Heinselman, M. L. 1970. Landscape evolution, peatland types and the        environment in the Lake Agassiz Peatlands Natural Area, Minnesota.        Ecological Monographs. 40(2): 235-261.  [8378]  42.  Holloway, Patricia Sue. 1981. Studies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lingonberry, Vaccinium vitis-idaea L. Sain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148 p. Thesis.  [9610]  43.  Holloway, Patricia S.; Stushnoff, Cecil; Wildung, David K. 1982.        Gibberellic acid-induced fruiting of lingonberries, Vaccinium        vitis-idaea L. ssp. minus (Lodd.) Hult. HortScience. 17(6): 953-954.        [9192]  44.  Holloway, Patricia S.; Van Veldhuizen, Robert M.; Stushnoff, Cecil;        Wildung, David K. 1982.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vegetative growth        of lingonberrie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62(4): 965-968.        [9164]  45.  Holloway, Patricia S.; Van Veldhuizen, Robert M.; Stushnoff, Cecil;        Wildung, David K. 1982. Vegetative growth and nutrient levels of        lingonberries grown in four Alaskan substrate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62(4): 969-977.  [9163]  46.  Ingestad, Torsten. 1973. Mineral nutrient requirements of Vaccinium        vitis idaea and V. myrtillus. Physiological Plant. 29(2): 239-246.        [9116]  47.  Iwagaki, H.; Ishikawa, S.; Tamada, T.; Koike, H. 1977. The present        status of blueberry work and wild Vaccinium species in Japan. Acta        Horticulturae. 61: 331-334.  [9701]  48.  Jameson, J. S. 1961. Observations on factors influencing jack pine        reproduction in Saskatchewan. Technical Note No. 97. Forest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Forestry, Canada. 24 p.  [7284]  49.  Jeglum, John K. 1971. Plant indicators of pH and water level in        peatlands at Candle Lake, Saskatchewan. Canadian Journal of Botany. 49:        1661-1676.  [7450]  50.  Johnson, E. A. 1975. Buried seed populations in the subarctic forest        east of Great Slave Lake, Northwest Territories. Canadian Journal of        Botany. 53: 2933-2941.  [6466]  51.  Kardell, Lars. 1986. Occurrence and berry production of Rubus chamaemorus L., Vaccinium oxycoccus L. & Vaccinium microcarpum Turcz. and Vaccinium vitis-idaea on Swedish peatland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1): 125-140.  [3711]  52.  Karlsson, Staffan P. 1985.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leaf        carbon economy of a deciduous and evergreen dwarf shrub: Vaccinium        uliginosum and V. vitis-idaea L. Holarctic Ecology. 8: 9-17.  [9158]  53.  Karlsson, P. Staffan. 1985. Effects of water and mineral nutrient supply        on a deciduous and an evergreen dwarf shrub: Vaccinium uliginosum L. and        V. vitis-idaea L. Holarctic Ecology. 8: 1-8.  [9157]  54.  Kartesz, John T. 1994. A synonymized checklist of the vascular flora of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Greenland. Volume II--thesaurus. 2nd ed.        Portland, OR: Timber Press. 816 p.  [23878]  55.  Keeler, Harriet L. 1969. Vacciniaceae--huckleberry family. In: Our        northern shrubs and how to identify them.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15-342.  [9272]  56.  Korcak, Ronald F. 1988. Nutrition of blueberry and other calcifuges.        Horticultural Reviews. 10: 183-227.  [9612]  57.  Kuchko, A.A. 1988. Bilberry and cowberry yields and the factors        controlling them in the forests of Karelia, U.S.S.R. Acta Bot. Fennica.        136: 23-25.  [8903]  58.  Kuchler, A. W. 1964. Manual to accompany the map of potential vegetation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Special Publication No. 36. New York: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77 p.  [1384]  59.  Kuusipalo, Jussi; Niemensivu, Helena; Berg, Mari-Anna; Mikkola, Marja.        1989. A cross-sectional population survey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berries and berry products in Finland. Silva Fennica. 23(1): 59-69.        [8529]  60.  Larsen, James A. 1971. Vegetational relationships with air mass        frequencies: boreal forest and tundra. Arctic. 24: 177-194.  [8258]  61.  Lehmushovi, Aaro. 1975. Methods of propagating the cowberry. Annales        Agriculturae Fenniae. 14(4): 325-333.  [9776]  62.  Lehmushovi, A. 1977. Trials with the cowberry in Finland. Acta        Horticulturae. 61: 301-308.  [9680]  63.  Lehmushovi, Aaro; Sako, Jaakko. 1975. Domestication of the cowberry        (Vaccinium vitis-idaea L.) in Finland. Annales Agriculturae Fenniae. 14:        227-230.  [9520]  64.  Liebster, G. 1977. Experimental and research work on fruit species of        the genus Vaccinium in Germany. Acta Horticulturae. 61: 19-24.  [9693]  65.  Lutz, H. J. 1953. The effects of forest fires on the vegetation of        interior Alaska. Juneau, AK: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36 p.        [7076]  66.  Lutz, H. J. 1956. Ecological effects of forest fires in the interior of        Alaska. Tech. Bull. No. 1133.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121 p.  [7653]  67.  Lyon, L. Jack; Stickney, Peter F. 1976. Early vegetal succession        following large northern Rocky Mountain wildfires. In: Proceedings, Tall        Timbers fire ecology conference and Intermountain Fire Research Council        fire and land management symposium; 1974 October 8-10; Missoula, MT. No.        14. Tallahassee, FL: Tall Timbers Research Station: 355-373.  [1496]  68.  Maikawa, E.; Kershaw, K. A. 1976. Studies on lichen-dominated systems.        XIX. The postfire recovery sequence of black spruce-lichen woodland in        the Abitau Lake region, N.W.T. Canadian Journal of Botany. 54:        2679-2687.  [7225]  69.  Maini, J. S. 1966. Pytoecological study of sylvotundra at Small Tree        Lake, N.W.T. Arctic. 19: 220-243.  [8259]  70.  Mallett, K. I.; Volney, W. J. A. 1990. Relationships among jack pine        budworm damage, selected tree characteristics, and Armillaria root rot        in jack pin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 1791-1795.        [12760]  71.  Manni, R. 1988. Biology and berry production of the cowberry in Estonian        SSR. Acta Bot. Fennica. 136: 33-36.  [8904]  72.  Martin, Alexander C.; Zim, Herbert S.; Nelson, Arnold L. 1951. American        wildlife and plants.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Inc. 500 p.        [4021]  73.  Miller, Donald R. 1976. Taiga winter range relationships and diet.        Canadian Wildlife Service Rep. Series No. 36. Ottawa, on: Environment        Canada, Wildlife Service. 42 p. (Biology of the Kaminuriak population of        barren-ground caribou; pt 3).  [13007]  74.  Mohr, H. A.; Kevan, P. G. 1987. Pollinators and pollination requirements        of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and V. myrtilloides        Michx.) and cranberry .... Proceeding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ontario. 118(0): 149-154.  [10806]  75.  Morin, Hubert; Payette, Serge. 1988. Buried seed populations in the        montane, subalpine, and alpine belts of Mont Jacques-Cartier, Quebec.        Canadian Journal of Botany. 66: 101-107.  [6376]  76.  Odell, A. E.; Vander Kloet, S. P.; Newell, R. E. 1989. Stem anatomy of        Vaccinium section Cyanococcus and related taxa. Canadian Journal of        Botany. 67(8): 2328-2334.  [8944]  77.  Oldemeyer, John L.; Seemel, Robert K. 1976. Occurrence and nutritive        quality of lowbush cranberry on the Kenai Peninsula, Alaska. Canadian        Journal of Botany. 54: 966-970.  [9641]  78.  Paal, Taimi. 1988. The structure of South Karelian (U.S.S.R.) cowberry        coenopopulations. Acta Botanica Fennica. 136: 27-31.  [9606]  79.  Palser, Barbara F. 1961. Studies of floral morphology in the Ericales.        V. Organography and vascular anatomy in several United States species of        the Vacciniaceae. Botanical Gazette. 123(2): 79-111.  [9032]  80.  Parminter, John. 1983. Fire-ecological relationships for the        biogeoclimatic zones and subzones of the Fort Nelson Timber Supply Area:        summary report. In: Northern Fire Ecology Project: Fort Nelson Timber        Supply Area. Victoria, BC: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53 p.  [9203]  81.  Penney, B. G.; McRae, K. B.; Hall, I. V.; Morris, R. F.; Hendrickson,        P. A. 1985. Effect of harvest date and location on the yield of        Vaccinium vitis-idaea L. var. minus Lodd in eastern Newfoundland. Crop        Research. 25(1): 21-26.  [9603]  82.  Quintilio, D.; Fahnestock, G. R.; Dube, D. E. 1977. Fire behavior in        upland jack pine: the Darwin Lake project. Information Report NOR-x-174.        Edmonton, AB: Forestry Service, Fisheries and Environment Canada,        Northern Forest Research Centre. 49 p.  [7244]  83.  Raatikainen, Mikko; Vanninen, Irene. 1988. The effects of the 1984-1985        cold winter on the bilberry and ligonberry yield in Finland. Acta Bot.        Fennica. 136: 43-47.  [8902]  84.  Racine, Charles H. 1981. Tundra fire effects on soils and three plant        communities along a hill-slope gradient in the Seward Peninsula, Alaska.        Arctic. 34(1): 71-84.  [7233]  85.  Racine, Charles H.; Johnson, Lawrence A.; Viereck, Leslie A. 1987.        Patterns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tundra fires in northwestern        Alaska, U.S.A. Arctic and Alpine Research. 19(4): 461-469.  [6114]  86.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ndon Press. 632 p.  [2843]  87.  Ritchie, J. C. 1955. A natural hybrid in Vaccinium  I.  The structure,        performance, and chorology of the cross Vaccinium intermedium Ruthe. New        Phytology. 54: 49-67.  [9014]  88.  Ritchie, J. C. 1955. Biologic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Vaccinium        vitus-idaea L. Journal of Ecology. 43: 701-708.  [9025]  89.  Ritchie, J. C. 1957. The vegetation of northern Manitoba. II. A prisere        on the Hudson Bay lowlands. Ecology. 38(3): 429-435.  [10552]  90.  Robuck, O. Wayne. 1985. The common plants of the muskegs of southeast        Alaska. Miscellaneous Publication/July 1985.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131 p.  [11556]  91.  Roland, A. E.; Smith, E. C. 1969. The flora of Nova Scotia. Halifax, NS:        Nova Scotia Museum. 746 p.  [13158]  92.  Rowe, J. S.; Scotter, G. W. 1973. Fire in the boreal forest. Quaternary        Research. 3: 444-464.  [72]  93.  Schwartz, Charles C.; Regelin, Wayne L.; Franzmann, Albert W. 1988.        Estimates of digestibility of birch, willow, and aspen mixtures in        moos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2(1): 33-37.  [4535]  94.  Shaver, Gaius R. 1986. Woody stem production in Alaskan tundra shrubs.        Ecology. 67(3): 660-669.  [4928]  95.  Shaw, George. 1981. Concentrations of twenty-eight elements in fruiting        shrubs downwind of the smelter at Flin Flon, Manitoba. Environmental        Pollution (Series A). 25(3): 197-209.  [10794]  96.  Sirois, Luc; Payette, Serge. 1989. Postfire black spruce establishment        in subarctic and boreal Quebec. Canadian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9: 1571-1580.  [10110]  97.  Sheard, J. W. 1986. Distribution of uranium series radionuclides in        upland vegetation of northern Saskatchewan. I. Plant and soil        concentrations. Canadian Journal of Botany. 64(11): 2446-2452.  [10680]  98.  Smith, D. W. 1962. Ecological studies of Vaccinium species i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42: 82-90.  [7004]  99.  Soper, James H.; Heimburger, Margaret L. 1982. Shrubs of ontario. Life        Sciences Misc. Publ. Toronto, on: Royal ontario Museum. 495 p.  [12907] 100.  Strong, W. L.; LaRoi, G. H. 1986. A strategy for concurrently monitoring        the plant water potentials of spatially separate forest ecosystem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6(2): 346-351.  [10805] 101.  Trajkovski, Viktor. 1987. Facts about lingonberries (cowberries,        partridgeberries). Fruit Varieties Journal. 41(1): 39.  [9601] 102.  Uggla, Evald. 1959. Ecological effects of fire on north Swedish forests.        Stockholm, Sweden: Almqvist and Wiksells. 18 p.  [9911] 103.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1994. Plants        of the U.S.--alphabetical listing.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954 p.  [23104] 104.  Van Cleve, Keith; Dyrness, C. T. 1983. Introduction and overview of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black spruce(Picea mariana) forest in relation to other fire-affected taiga ecosystem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 695-702.  [7883] 105.  Van Dersal, William R. 1938. Native woody plants of the United States,        their erosion-control and wildlife valu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362 p.  [4240] 106.  Vander Kloet, S. P. 1988. The genus Vaccinium in North America.        Publication 1828. Ottawa: Research Branch, Agriculture Canada. 201 p.        [11436] 107.  Vander Kloet, S. P. 1989. Typification of some North American Vaccinium        species names. Taxon. 38: 129-134.  [8918] 108.  Viereck, Leslie A. 1979. Characteristics of treeline plant communities        in Alaska. Holarctic Ecology. 2: 228-238.  [8251] 109.  Viereck, Leslie A. 1982. Effects of fire and firelines on active layer        thickness and soil temperatures in interior Alaska. In: Proceedings, 4th        Canadian permafrost conference; 1981 March 2-6; Calgary, AB. The Roger        J.E. Brown Memorial Volume. Ottawa, on: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123-135.  [7303] 110.  Viereck, L. A. 1983. The effects of fire in black spruce ecosystems of        Alaska and northern Canada. In: Wein, Ross W.; MacLean, David A., eds.        The role of fire in northern circumpolar ecosystem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Ltd.: 201-220.  [7078] 111.  Viereck, L. A.; Dyrness, C. T. 1979. Ecological effects of the        Wickersham Dome Fire near Fairbanks, Alaska. Gen. Tech. Rep. PNW-90.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71 p.  [6392] 112.  Viereck, L. A.; Dyrness, C. T.; Batten, A. R.; Wenzlick, K. J. 1992. The        Alaska vegetation classification. Gen. Tech. Rep. PNW-GTR-286.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78 p.  [2431] 113.  Viereck, L. A.; Foote, Joan; Dyrness, C. T.; [and others]. 1979.        Preliminary results of experimental fires in the black spruce type of        interior Alaska. Res. Note PNW-332. Portland, O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27 p.  [7077] 114.  Viereck, Leslie A.; Little, Elbert L., Jr. 1972. Alaska trees and        shrubs. Agric. Handb. 410.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265 p.  [6884] 115.  Viereck, Leslie A.; Schandelmeier, Linda A. 1980. Effects of fire in        Alaska and adjacent Canada--a literature review. BLM-Alaska Tech. Rep.        6. Anchorage, AK: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gement, Alaska State Office. 124 p.  [7075] 116.  Wein, Ross W.; Bliss, L. C. 1973. Changes in Arctic Eriophorum tussock        communities following fire. Ecology. 54(4): 845-852.  [9827] 117.  West, Stephen D. 1982. Dynamics of colonization and abundance in central        Alaskan populations of the northern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rutilus. Journal of Mammalogy. 63(1): 128-143.  [7300] 118.  Wolff, Jerry O. 1978. Food habits of snowshoe hare in interior Alaska.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42(1): 148-153.  [7443] 119.  Wright, John M. 1981. Response of nesting lapland longspurs (Calcarius        lapponicus) to burned tundra on the Seward Peninsula. Arctic. 34(4):        366-369.  [7885] 120.  Zoltai, S. C.; Tarnocai, C. 1971. Properties of a wooded palsa in        northern Manitoba. Arctic and Alpine Research. 3(2): 115-129.  [9778] 121.  Stickney, Peter F. 1989. Seral origin of species originating in northern        Rocky Mountain forests. Unpublished draft on file a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oratory, Missoula, MT; RWU 4403 files. 7 p.  [20090] 122.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National Biological Survey. [n.d.]. NP        Flora [Data base]. Davis, CA: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National        Biological Survey.  [23119] 123. Dyrness, C. T.; Norum, Rodney A. 1983. The effects of experimental fires on black spruce forest floors in interior Alask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 879-893. [7299] 124. Zasada, John C.; Norum, Rodney A.; Teutsch, Christian E.; Densmore, Roseann. 1987. Survival and growth of planted black spruce, alder, aspen and willow after fire on black spruce/feather moss sites in interior Alaska. The Forestry Chronicle. 63(2): 84-88. [85354] 125. Zasada, John C.; Norum, Rodney A.; Van Veldhuizen, Robert M.; Teutsch, Christian E. 1983. Artificial regeneration of trees and tall shrubs in experimentally burned upland black spruce/feather moss stands in Alask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 903-913. [6991]

    ㅡ USDA Forest Service ㅡ







    익생양술대       

    이스라지

    동의어 욱자(郁子), 산매자(山梅子), 작매자(雀梅子), 거하리(車下李)      





    요약 테이블
    분류 낙엽 활엽 소관목
    학명Prunus japonica var. nakaii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과 들
    번식 꺾꽂이·접목·씨
    약효 부위 종인(씨알맹이)
    생약명 욱리인(郁李仁)
    1~2m
    장미과
    채취기간 6~7월(열매 성숙기)
    취급요령 종인을 꺼내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맵고 쓰고 약간 시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4~6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앵두·양앵두의 씨

       어긋나며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자잘한 겹톱니가 있다.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촘촘히 나 있다.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잎과 함께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오판화가 2~4개씩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양성화이다. 꽃받침 조각은 타원형이고 잔톱니와 털이 있다.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꼴이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다.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씨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

       7~8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앵두처럼 붉게 익는데 털은 없다. 열매의 맛은 약간 떫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당옥매(唐玉梅)·참옥매화라고도 한다. 앵두나무와 흡사하고 열매 역시 작지만 앵두와 비슷해서 산앵두라 부른다. 유사종으로

    잎맥에 털이 많은 것을 털이스라지, 작은 꽃자루에 털이 없고 꽃받침 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씨방과 암술대의 밑 부분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산이스라지라 한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방향성이 있다. 이스라지의 씨를

    욱리인이라 한다. 여기서 욱(郁)은 '향기가 가득하다'는 뜻이며 이스라지의 꽃과 열매가 작지만 모두 향기롭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과육은 떫지만 먹을 수 있고, 씨 속에 들어 있는 알맹이를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대·소장 질환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각기, 복수, 부종, 소변불리, 완하, 진통, 치통, 해열, 황달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체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전체항목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민속 특산 식물사전                

    이스라지나무

    동의어 산앵도나무, 유수라지나무      

                            

    요약 테이블
    분류 장미과(Rosaceae)
    서식지 산기슭 숲 속
    학명Prunus japonica var. nakaii (Lev.) Rehder
    본초명 욱리인(郁李仁)
    분포지역 한국(전역), 만주
    이스라지나무

                 

    생물학적 특징

    낙엽활엽 관목, 높이 1m
    잎은 호생, 난형, 급한 점첨두, 원저 또는 예저, 복세거치연, 표면은 무모, 이면은 맥 위에 잔털
    꽃은 5월 연한 홍색 개화, 산형화서
    꽃받침은 잔톱니와 잔털이 있음, 꽃잎은 타원형 또는 장란형
    열매는 핵과, 7~8월 적색 성숙, 원형
    종자는 원형, 길이 12㎜

    용도

    약용 : (종자) 이뇨작용, 변비, 소화촉진에 사용한다.

    성분

    지방유, amygdalin 배당체, 정유, 유기산, vitamin B1 등이 들어있다.


    이스라지나무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체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안덕균. 1998. 원색한국본초도감. 교학사
    •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정태현. 1958. 한국식물도감. 신지사

    출처

    민속ㆍ특산식물사전
    민속ㆍ특산식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포함된 700여종의 약용식물을 포함하여, 총 1000여 종의 한국 민속ㆍ특산식물을 수록







    비슬산에 산앵두나무 군락지…관기봉∼조화봉, 키는 0.5m∼1m

        

    2016-05-12 22:30

        

     
    비슬산 산앵두나무 군락지


















       비슬산에서 산앵두나무 군락지가 발견됐다.

    권영시 비슬산연구소장은 "비슬산 관기봉과 조화봉 사이에 평균 키가  0.5~1m 정도에 달하는 산앵두나무 군락지를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는 "개체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양의 산앵두나무 군락지를 찾아냈으며, 산앵두나무는 높은 산에 자생한다지만 이처럼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산은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곳"이라고 했다.


       권 소장은 "맑은 날씨에 봄볕을 받아 꽃봉오리가 연초록 및 복숭아 색깔과 유사한 발그레한 색을 띠며 개화가 시작되는 종 모양의 장면까지 포착했다"고 덧붙였다. 비슬산의 문화유산과 명소, 산세에 얽힌 설화와 풍광 등을 다루는 한 방송 프로그램의 현지 해설가로 참여하던 중 산앵두나무 군락지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높은 산에서 자라는 산앵두나무는 5~6월에 꽃을 피우고 꽃의 길이는 5~6㎜, 직경은 3~4㎜로 종 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2, 3개가 한꺼번에 가지 끝에 거꾸로 매달리고, 열매는 둥글고 9월에 빨갛게 익는다. 관상용으로 쓰이고 열매는 식용으로도 쓰인다. 과실로 먹으면 새콤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약으로 쓴다.


    달성 강병서 기자 kbs@msnet.co.kr














































    비슬산에 산앵두나무 군락지…관기봉∼조화봉, 키는 0.5m∼1m 2016.05.12 | 매일신문








    棣 산앵두나무 체, 익숙할 태 부수木 (나무목, 4획)

    총12 덧글 0 | 조회 336 | 2014-12-08 16:21:06

    운영자 (admin)  

         

    棣  산앵두나무 체, 익숙할 태 부수木 (나무목, 4획) 총12

    1. 산앵두나무 
    2. 성(姓)의 하나 
    3. 통하다(通--) 
    a. 익숙하다 (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나무목(木☞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이(隶)로 이루어짐 



    같은 뜻을 가진 한자(유의자)


    蒮 부추 육, 앵두나무 욱 
    櫻 앵두 앵 
    樱 앵두 앵 
    榶 산앵두나무 당 
    㮋 산앵두 욱 
    梒 앵두 함 
    栘 산앵두나무 체, 산이스랏나무 이 
    栯 산앵두 욱, 나무 이름 유 
    桜 앵두 앵 



    jjhyanggyo.or.kr/sub6/board16/?method=view&no=12458&page=17   전주향교
































































    Re:앵도나무,산앵도나무-정천(나영학)의 자생식물 이야기 | ³°″″´·,♡향수♡,·´″″°³

    알게실 | 조회 66 |추천 0 | 2017.04.03. 17:22

    앵도나무

    과명 : 장미과

    학명 : Prunus tomentosa Thunb.

                  영명 (Downy Cherry, Manchu Cherry)

       

    2012. 4. 12. 경남 산청군 시천면

     


    ♣ 분포

    한국(전국 재배), 중국, 일본

    ♣ 용도

    정원수, 식용

    ♣ 나무 이야기

      뻐꾸기 울 때 지나간 시간들이 너무 아쉬운 듯, 사랑과 그리움도 수줍게 익는 계절 빨간 앵두가 먹음직스러운 계절이다.

    조선대 세종대왕이 창덕궁에 기르며 특히 좋아했다던 앵도나무는 낙엽 관목으로 높이 2~3m 정도로 자란다. 줄기와 가지가

    밑에서 갈라지며 길게 뻗는다. 수피는 흑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벗겨지며, 린 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길이 4~8㎝의 꺼꿀달걀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의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3~4월 잎이 피기 전에 지름 1~2㎝의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의 꽃이 줄기에

    1~2개씩 달리고, 1~2㎜의 짧은 꽃자루가 있으며 융모가 난다. 꽃잎은 거꿀계란형이며 끝이 둥글고, 꽃받침열편은 길이 2~3㎜의

    삼각상 계란형이다. 수술은 20~25개, 암술대는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핵과이다. 지름 1~2㎝의 타원형이며 5~6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증식은 분주하거나 꺾꽂이, 실생, 접목으로 한다.

     필자가 태어나던 해(1957년), 가수 김정애의 앵두나무 처녀라는 대중가요가 등장한다. “앵두나무 우물가에 동네 처녀

    바람났네 / 물동이 호밋자루 나도 몰래 내던고 / 말만 들은 서울로 누굴 찾아서 / 입분이도 금순이도 담봇짐 쌌다네.” 우물가

    하면 연상되는 게 바로 앵두나무다. 앵두나무는 양지바르고 습한 곳을 좋아해서 우물가에 많이 심기 때문이다. 우물가 위에

    넓적한 바위가 있고 바위 옆에 키 작은 앵두나무가 어울려 보인다. 어쩌다 가뭄이 겹치면 차례를 기다리거나 멀리까지 걸어가서

    개울물을 길어다 생활용수로 사용했으니, 그 시절 아녀자들의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으리라. 손잡이가 달린 양동이 물지게가

    나오기 전까지는 오직 질그릇으로 만든 둥글고 오목한 동이가 물을 긷는 유일한 도구였으니, 여자로 태어나 자라면서 제일 먼저

    배워야 하는 것이 물동이 이는 것이다. 가느다란 여인들의 목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이 땅에 어머니들을 생각나게 하는

    앵(도)두나무다.


     예부터 앵도나무는 단오날을 전후로 가장 먼저 익는 과일로 여겨 제물과 약제로 소중하게 사용되었으며, 다른 과일이 나오기

    전에 빨갛게 익은 열매는 신록의 시골 풍경을 아름답게 꾸며 준다. 앵두나무의 재배 역사는 오래된 듯하다. 신라 때 최치원은

    당나라 유학시절 사앵도장(謝櫻桃狀)이라는 글을 썼으며, 고려 시대 이색이 지은 시에도 앵두가 등장(하)한다.

    조선왕조실록, 용재총화(傭齋叢話)에도 세종은 앵두를 좋아했다는 기록이 있다. 문종 13권(1452, 5월 14일(병오))

    “유시에 임금이 강녕전에서 훙(薨)하다”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후원(後苑)에 손수 앵두(櫻桃)를 심어 매우 무성하였는데

    익은 철을 기다려 올리니, 세종께서 반드시 이를 맛보고서 기뻐하시기를, 외간(外間)에서 올린 것이 어찌 세자(世子)의 손수

    심은 것과 같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속명 푸르누스(Prunus)’‘자두’를 뜻하는 라틴어 플름(plum)’ ‘자두’의 라틴명이다. 그리고 종소명 토멘토사(tomentosa)’

    ‘가는 솜털이 밀생하다’라는 뜻으로, 앵도나무 잎의 뒷면에 융모가 많음을 말해 준다. 이름은 앵도(櫻桃)에서 유래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앵도, 앵두나무, 매도(梅桃), 우도(牛桃), 함도(含桃), 모앵도(毛櫻桃), 산두자(山豆子), 영도(英桃),

    산사목(山査木), 상체(常棣), 이식을 꺼려하지 않아 이사수(移徙樹)라고도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얼굴을 곱게 하며 폐 기능

    활성화, 가래를 없애는데 뿐만 아니라 이질과 설사병, 복통, 이뇨작용에 사용한다. 옛날 앵도나무가 있는 우물가는 항상 동네

    아녀자들이 모여서 이야기꽃을 피우는 사랑방 역할을 했던 곳이었지만, 지금은 시골에서조차 보기 드문 그리운 추억이 되었다.

     





    1950~60년대 우물가 모습



       

         열매



    수피

     

      

    종자


    목재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  산앵도나무는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에 속하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제주도를 제외한 고산지대의 산지에 분포한다.

    낙엽 관목으로 키 0.5~1.5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달걀형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잔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2년지의 끝에서 연한 홍색 또는 황록색의 꽃이 2~3개씩 모여 달린다. 화관은 종 모양으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8~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속명 백시니엄Vaccinium은 bilberry(월귤나무)에 대한 라틴명이다.

    종소명 이어툼hirtum은 짧은 ‘거친 털이 있다’는 뜻이고, 변종명은 우리나라가 원산지임을 말해준다. 이름은 전남 방언에서

    유래한다. 산앵(山櫻桃), 괭나무, 물앵도나무, 이스라지나무라고도 부른다.


    (필자의 저서 <인문학으로 본 우리 나무 이야기> 중에서)


    cafe.daum.net/algesil/8cZi/110   알게실 문학당






    산앵도나무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이스라지와 차이점

    1. 개요[편집]

       산앵도나무는 한국고유종으로 해발 200~1,800m에서 자라며 큰 나무들에 가려져 햇빛을 많이 보지 않는 반음지성 식물이다.

    5~6월에 꽃을 핀다.

    씨앗은 말려서 달여 먹으면 장염, 당뇨, 천식, 위장병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2. 이스라지와 차이점[편집]

       이스라지와 모양이 비슷하고 둘다 약용 효과가 있어서 시중에서 "산앵두나무(이스라지)" 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어 되고 있는데

    전혀 다른 품종이다. 산앵도나무는 진달래과, 이스라지는 장미과 식물이다.

       꽃 모양을 자세히 보면 산앵도나무는 분홍, 이스라지는 하얀색으로 개화하는 차이가 있다. 꽃이 떨어지는 가을, 겨울에는

    구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잘 구분하여 구매하자.



    namu.wiki/w/산앵도나무   나무위키







    [꽃산행 꽃글] 설악산 중턱 산앵도나무 그늘에서 - 프레시안

     

    [꽃산행 꽃글] 설악산 중턱 산앵도나무 그늘에서

    이굴기 출판인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13-08-02(금)
     
     설악산 중턱 산앵도나무 그늘에서

       앵두라는 말 한 번 안 들어보고 자랄 수 있겠나. 앵두, 앵두, 앵두. 그렇게 발음하면 예쁘게 폭 파이는 볼우물에 시선이 푹
    꽂히듯
    어쩐지 그 말 속으로 두근거리는 마음이 퐁당 빠져드는 것 같다.

    자두나 복숭아 혹은 포도 아니면 사과 또는 딸기 같은 입술이라고 하면 어쩐지 바람 빠진 풍선 같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니 입술에
    대해서는 꼭 이렇게 말해야 하는 것이다. 앵두 같은 네 입술!

       그 붉은 너의 입술에 냄새나는 내 입술을 포개고 싶어 하면서 누구나 설레는 사춘기를 지난다. 그러니 앵두라는 말에는 이루지
    못한 첫사랑의 헛헛함, 떠나보낸 첫사랑의 아련함이 땡땡하게 뭉쳐있는 것 같구나.

    앵두, 혹은 앵도라고도 하는 것. 앵도나무도 있고 산앵도나무도 있다. 앵도나무는 장미과, 산앵도나무는 진달래과. 앵도나무가
    우물가에 흔히 있다면 산앵도나무는 산중턱에 주로 있다.


       그리하여 설악산 어느 한 구석, 귀때기청봉의 너덜겅을 오르다가 숨이 턱 차오를 때. 미리 그곳에서 기다리던 산앵도나무는
    지친 나를 끌어당겨 주는 것이었다. 말에서 이미 그런 사연을 간직한 산앵도나무는 그 이름만으로도 헐떡이는 내 숨의 절반을
    고르게 하여 주는 것 같았다.

    혹 열매가 달려 있다면, 설령 붉게 익지 않았을지라도 나는 서슴없이 입안으로 넣어 깨물 것이다. 그때 시큼하게 퍼지는 그 즙은
    거덜이 난 나의 나머지 원기를 보충하여 주고도 남으리라. 그런 생각만으로도 산앵도나무는 산앵도나무!

    하지만 오늘 산앵도나무는 열매 대신 작은 꽃을 주렁주렁 달고 있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같은 진달래과의 나무로 정금나무가
    있다. 정금나무의 꽃도 어쩌면 그리 닮았는가. 그 꽃들은 나란히 열을 맞추어 달려 있었다. 소리를 모으기 위하여 하늘 대신 땅을
    겨누면서.

    1-정금나무.jpg
    정금나무. ⓒ박상무



       그 옛날 시골에서 초등학교 다닐 때. 수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는 사이렌이 아니라 종소리였다. 오줌이 마렵거나 얼른
    복도로 나가 뛰놀 생각에 몸이 뒤틀릴 때 소사 아저씨는 그걸 기막히게 알아채시곤 때맞춰 땡, 땡, 땡, 종소리를 울려주었다.

    교무실 창문 아래 화단에 우두커니 서 있던, 산앵도나무 혹은 정금나무 꽃을 빼닮았던 종. 학교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라고 할 때의 그 학교종. 쇠로 만든 불알이 크게 달려 있던 종.

    그 국민학교 졸업한 지 수십 년. 고향에 가도 지나치기만 했는데 재작년 벌초 갔을 때 일부러 잠깐 들렀다. 운동장에는 쑥부쟁이,
    애기똥풀, 뽀리뱅이 등의 야생화가 잔뜩 우거진 채 저희들끼리 놀고 있었다. 우람한 플라타너스는 그대로였지만 어느 가지에
    매달았던 그네는 간 곳이 없었다. 쓸쓸하고 쓸쓸했다.


       설악산 중턱에 앉아 산앵도나무 환한 그늘에 땀에 젖은 얼굴을 적시며 숨을 고르며 산앵도나무 꽃을 보았다. 꽃을 보는 데 문득
    이제는 폐교가 되어버린 시골의 국민학교 생각이 났다. 그 생각 끝에 떠오르는 뿔뿔이 흩어진 동무들. 그 중 한 여학생에게는
    마음이 은근히 갔었겠지?

    돌이킬 수 없는 방향들을 가리키는 듯 산앵도나무 꽃들은 저마다 서로 다른 곳을 향하고 있었다. 땡그랑, 땡그랑……. 아득히
    멀어진 그 모든 곳을 향하여 손을 뻗으면 산앵도나무의 종소리가 울려나올 것만 같았다. 앵그랑, 앵그랑…….


    2-산앵도나무.jpg
    ▲ 산앵도나무. ⓒ이굴기


    /이굴기 출판인 필자의 다른 기사


    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ds2hcg&folder=90&l..   조인스 블로그







    국립수목원국가생물종지식...               

    정금나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꽃색 갈색
      학명Vaccinium oldhamii Miq.
      개화기 7월, 6월

                   

      분포지역

      중국; 일본;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충청남도, 황해도에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 ~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3 ~ 8cm × 2 ~ 4cm로, 톱니 끝이 샘털상이며, 어린잎은 붉은빛이 돌며 양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잎자루 길이는 1 ~ 2.5mm로 짧은 털이 있다.

         꽃은 6 ~ 7월에 피고 길이 4 ~ 5mm로 새가지 끝에 10 ~ 18개가 총상으로 달려 처지며 샘털과 잔털이 있고, 포는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예첨두이고 길이는 4 ~ 7mm이며, 꽃부리는 종형으로 길이 4 ~ 5mm로 붉은빛이 도는 연한 황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 ~ 8mm로 검은색 열매지만 흰색으로 덮여있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줄기는 갈색이며 새가지에 회갈색 샘털이 있다.

      생육환경

         양지에서 개화와 결실이 잘되지만 나무그늘 속에서도 생육이 왕성하다.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지만 산성토양을 좋아하고,

      바닷가에서도 잘 자라나 공해가 심한 도심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이끼 위에 파종하여 분무하듯 관수하여 발아시키고 여름에 녹지를 꺾꽂이한다.

      용도

      정원수나 공원수로 이용하면 좋고 과실은 식용하거나 술과 잼으로 이용한다.

      유사종

      • 월귤 : 상록소관목으로 높이 5-30cm 정도로 작게 자라며, 잎은 가죽질이고 연한 홍색으로 5-6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둥글고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 지포나무 : 잎 뒷면에 흰빛이 돈다.

      특징

      꽃과 가을에 붉은 색으로 물드는 단풍, 열매의 아름다움은 관상가치가 높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체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다음백과

      정금나무

      다른 표기 언어 Vaccinium oldhami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두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서식지 산지
      크기 약 2m ~ 3m
      학명Vaccinium oldhamii Miq.
      꽃말
      추상 


      요약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들쭉나무|정금나무

         키는 2~3m이고 어린가지는 회갈색이며 선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는 긴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어린잎은

      붉은빛이 돌며 앞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길이가 4~5㎜ 정도의 종(鍾) 모양인 꽃은 6~7월경 새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모두 아래쪽으로 향하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는 지름이 6~8㎜인 장과로 둥글다.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고, 열매는 식용이며 방광염·신우염·구토·임질·하리·발진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수렴제·이뇨제·건위제로도

      쓰인다.


         같은 산앵두나무속 TYPE="ITALIC">Vaccinium)에 속하는 식물로 전국의 산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전년 가지 끝에 꽃이 피는

      산앵두나무, 키가 30㎝ 미만으로 금강산 이북의 고산에 나는 월귤, 열매가 타원형이며 잎이 둥근 들쭉나무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언덕배기 정금나무가 그립다~~

      산조아 2016.04.09 22:27


      언덕배기 정금나무가 그립다...

       

       

                                                                                                               제20기 숲해설가 전문과정 박 종 학

                                         

       

       

         

       

         한여름 땡볕이 지나고 들녘에 황금빛이 물들어 갈 무렵 야산에는 수많은 식물들이 자신들의 개체를 번식하기 위한 아름다운

      열매들로 장사진을 이루는 시기에 도래 한다. 내 고향마을은 섬 한가운데 산골에 자리 잡고 있어 울창한 숲속에는 으름열매,

      멀꿀(“멍”이라고도 칭함), 잣밤 등이 풍부하고 야산에는 정금(지역표명:새산물)나무 열매가 어린이들의 먹거리로 인기가 좋았다.

       

         초등학교 시절 우린 이십리(7km)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읍내 학교를 걸어서 다녔는데 400고지가 넘는 마을 뒷산을 넘어가야

      했다. 십리정도 되는 길은 인적조차 없는 험한 산길로 이어져 있어 아침때면 동이트기 전 새벽밥을 먹고 학교 가는 길을

      재촉해야했다. 중학생이 되기까지는 책가방이 없이 모두다 보따리에 책을 둘둘말아 어깨에 메고 그 높은 산길을 날마다 오가야

      했는데 산길을 걷지 않고 뛰어서 다녔으니 체력소모가 얼마나 심했을까? 더구나 하교 길에 비가 오는 날엔 우산이 없어 하늘에서

      쏟아 붓는 천연수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몸 속속들이 흠뻑 젖어야 했으니, 옷을 입고 목욕탕에 뛰어 든 거와 비슷하였다.

       

          우리들은 그때부터 자연 냉수욕을 체험하였는데 요즘의 삼림욕, 온천욕에 비하면 수 십 배의 자연의 원기를 온몸에 차곡차곡

      쌓아오지 안했나 위로해 본다. 무엇이 그리도 바쁘고 흥겨웠는지 배고픔도 잊고 험한 이십리 산길을 신나게 내달렸다. 더구나

      오후 수업이 있는 날에는 점심은 아애 굶는 것이 편하고 참고 견디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겼으니, 1960년대의 우리나라 경제의 한

      면을 알 수 있는 표현이라 여겨진다.

       

          수업이 끝나고 오는 길은 등교시 갔던 길을 다시금 크나큰 언덕을 두어게 넘어오는 외솔길이다. 주변은 잡초와 가시넝쿨로

      이루어져있고 간간히 소나무가 능선을 따라 군데군데 무리지어 자생하고 여기저기 사스레피나무와 떡갈나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한겨울이 지나면 그나마 산의 형태를 보여주던 산 아래와 중턱 부분 나무들이 온돌 뗄감용으로 주민들에 의해

      벌목되어 팔려나가고 베어낸 나무자리는 잡초와 엉성한 바위 구릉지로 변해갔다. 다행히 척박하고 앙상한 야산 양지바른 곳에

      정금나무 숲들이 형성되어 매년 가을에는 흑자색 빛깔에 하얀 가루가 덥힌 감미롭고 신맛이 풍기는 열매군락을 이룬다.

       

          험한 외솔길을 넘어오는 우리는 산양들이 위험스런 절벽 길을 먹잇감 찾아 이동하는 모습과 흡사하였다. 왜냐면 산길 정상과

      길 주변 언덕배기 여기저기에 성냥개비 두어개 합친 것과 비슷한 분량의 진한흑자색 정금나무 열매가 송알송알 매달려 입맛을

      유혹하였고, 우리는 입맛을 찾아 언덕배기를 해매고 다녔기 때문이다.

       

          숨 쉴 겨를도 없이 정금나무 열매알갱이를 한주먹씩 모아서 한입 넣고 새큼한 맛도 마다않고 주린 배 채우기에 급급하였다.

      입술과 혀는 진한 자색 물감을 들인 듯 혐오스러운 형체가 되어 친구들 끼리 귀신 흉내를 내며 한바탕 웃고 떠드는 그런 멋을

      즐기곤 하였다. 다들 수업이 끝나기가 바쁘게 우리들은 즐거움과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그렇게 언덕배기를 향해 줄달음을 쳤나

      싶다.

       

         수업이 없는 날이나 일요일엔 농사일을 돕기 위해 산속 깊숙한 천수답 벼베기 작업과 물길을 잡아주기 위해 형들과 산을

      오른다. 다단계 논과논사이의 논둑에 정금나무들이 매년 가지치기를 당해 세월의 흔적을 품은채 분재처럼 되어있는 나무가

      있는가 하면, 천수답 주변 야산에 널려있는 정금나무에는 봉실봉실한 정금열매들이 입맛을 돋구었다. 설익은 열매는 세콤한

      신맛이 침셈을 자극하여 입안을 침으로 가득 차게 하여 온몸을 자극하지만 세콤달콤한 맛이 한입 가득 먹는 기쁨에 그리 싫지가

      않았었다. 그래서 어느 고장에서는 “신금나무”라고 불리기도 한단다.

       

          몇년전 어린 시절 추억의 통학 길을 걷고 싶어 옛 길을 찾았지만 형체도 없어져 버린 곳이 대다수고 뱀이나 벌들이 많이

      출몰하고 있어 완벽한 복장을 취하지 않고는 자제해 달라는 주민들의 조언이다. 특히 고향마을에 버스통학로가 신설되면서

      산길이 폐쇄 된지가 수 십년이 되었고 야산에는 조림으로 인한 편백숲과 난대림 수종인 후박, 생달, 가시나무 등이 무분별하게

      산을 덮고 있어 정금나무가 생존하기가 힘들어 최근에는 거의 볼 수가 없다고 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천수답이 있던 곳을 찾았지만 휴경으로 논 가운데와 주변이 온통 잡나무와 리키다소나무로 덥혀있다. 

      정금나무가 살기 좋은 양지바른 옛날의 모습은 사라지고 그늘이 울창한 숲으로 덮여 표고재배 장소로 활용되고 있어 여기 또한

      정금나무 서식지로는 여건이 어려웠다. 묘지 주변에 한 두 그루 있지만 묘지 벌초때 웃자람을 베워버려 열매가 열리지 못하고

      생존에 힘겨워하는 모습이다.

       

         왜 ? 이렇게 주변생태계의 변화가 바뀌고 있을까? 한번쯤은 생각해 봐야 되지 않을까! 나름대로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금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고 한다. 최근 학회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5개의 군집으로 자연발생 집단이

      형성되고 있는데, 그룹으로 금오산, 무등산, 안면도, 대둔산, 두륜산으로 나눈다. 낙엽활엽관목으로 나무 높이가 1~4m범위로

      사람들이 열매를 따먹기 수월한 나무다. 꽃은 빨갛고 예쁜데 모양은 은방울꽃을 닮았다. 열매는 처음에는 푸른색이었다가

      9~10월경에 익으며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열매 표면에 흰 가루가 덥혀 있고, 비타민과 칼슘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의 블루베리라 칭하기도 하지만, 흡사한 건 모새나무가 이에 속하며, 모새나무의 꽃은 오크통 모양에 가까운 흰색 꽃이 핀다.

       

          오늘도 우리는 산림녹화를 부르짖고 조림사업에 힘쓰고 있다. 분명 우리나라의 여건상 아직도 산림녹화에는 변함없는

      노력을 해야 되리라 믿는다. 하지만 생태계의 순환을 역행하거나 막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언제가 지천으로 널려있던

      정금나무는 오늘날 자랄 곳이 없어지고, 그나마 남아있는 나무는 분재용으로 뿌리까지 뽑혀 팔려가는 수난을 겪고 있다. 따뜻한

      산마루 언덕에서 친구들과 주변의 정금나무 열매를 따먹으며 정담과 우정을 쌓아갔던 지난날의 추억처럼 그런 날이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 그 시절 언덕배기 정금나무가 그립다.~~~ 끝.

       

       

      01

      02

      03

      04

      정금열매 

      정금나무 

      블루베리 

       블루베리












      2016.04.09 | 블로그 > Daum블로그  blog.daum.net/pjh9559 






      정금나무는 진달래과이고 지포나무와 열매모양이 비슷하고 꽃은 은방울꽃과도 닮았어요.

       

      정금나무

      도담언덕에는 야생두릅에서부터 고욤나무, 개옻나무, 오동나무, 노린재나무, 덜꿩나무들이 많습...

      2015.05.28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ya2004/PZjI




      정금나무/ 진달래과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Miq. 한국원산 낙엽활엽관목으로 황해도와 충...

      2014.07.02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aktkr/G4xT






      [스크랩] 정금나무,,,| 건강한 민간요법

      angelSUSU | 조회 0 |추천 0 | 2013.09.06. 13:26


      정금나무- 방광염·신우염·구토·임질·하리·발진 등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정금나무(Vaccinnium oldhami)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제주도에서는 전갈리나무라고 부른다

       


      키는 2~3m이고 어린가지는 회갈색이며 선모(腺毛)가 있다.  잎은 어긋나는 긴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어린잎은 붉은빛이 돌며 앞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종(鍾) 모양인 꽃은 6~7월경 새 가지 끝에 총상(總狀)꽃차례로 달리는데 모두 아래쪽으로 향하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며

       

       홍백색으로 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을에 까맣게 익는 열매는 지름이 6~8㎜인 장과(漿果)로 둥글다.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고, 열매는 신맛이 나는데 식용이며

      방광염·신우염·구토·임질·하리·발진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수렴제·이뇨제·건위제로도 쓰인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은 산앵두나무속(─屬 Vaccinium)에 속하는 식물로 전국의 산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전년 가지 끝에 꽃이 피는

       

      산앵두나무(V. koreanum), 키가 30㎝ 미만으로 금강산 이북의 고산에 나는 월귤(V. vitisidaea), 열매가 타원형이며 잎이

       

      둥근 들쭉나무(V. uliginosum) 등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나무를 아는 사람들은 열매로 술을 담구어서 사이다와 함께 칵테일해서 먹으면 색깔도 좋고 맛도 뛰어나며 피로회복 및 정력에도 아주 좋다고한다. 복분자는 남자에게만 좋아 요강을 깬다지만 정금주는 부부금실이 좋아진다고


       


      관련

      2013.09.06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angelsusu







      정금나무 (토종 블루베리)| 기타 소과수 및 특용작물

      청안 | 조회 82 |추천 0 | 2010.09.14. 13:48

      정금나무 꽃


      패밀리 : 진달래과
      학명.외국명 : Vaccinium oldham Miq.
      (영) Oldham Blue Berry, Cran Berry (이명) 조가리나무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원산이며 키 2∼3m정도 자란다.
      가지는 무성하며 짙은 갈색이고 어린 가지는 회갈색으로 선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긴 타원형으로 양면 잎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에도 털이 있으며 길이 3-8cm, 폭 2-4cm이며 어린 잎은 붉은빛이 돌며
      양면 맥 위에 털이 있고 표면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2.5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새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려 처지며 털이 있다.


      정금나무 열매

         화관은 종 모양으로 길이 4-5mm이며
      홍백색으로 꽃은 털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8mm 정도이며 9월에 흑자색으로 익고
      하얀 가루로 덮이며 감미롭고 신맛이 있다. 서양의 블루베리와 같은 과,
      같은 속으로 우리나라 블루베리 나무이며 품종개량하여 보급할 가치 있는 나무이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이용하면 좋고 열매는 식용하거나 술과 잼으로 이용한다.

      [유사종]
      월귤(V. vitis-idaea)
      : 상록소관목으로 키 5~30cm 정도로 작게 자라며, 잎은 혁질이고
      연한 홍색으로 5-6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둥글고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지포나무(var.glaucum Honda) : 잎 뒷면에 흰빛이 돈다.

      [생육환경]
      양지에서 개화와 결실이 잘 되지만
      나무그늘 속에서도 생육이 왕성하다.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고 산성토양을 좋아하며
      바닷가에서도 잘 자라나 공해가 심한 도심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번식]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이끼 위에 파종하여
      분무하듯 관수하여 발아시키고 여름에 녹지를 꺾꽂이한다.



      정금나무 열매익어가는 모습


      트랙백 주소 : http://mytreelove.com/board/bbs/tb.php/Vaccinium003/13


      2010.09.14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greenwellbeing








































































































      출처 국립수목원국가생물종지식...
        

      모새나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꽃색 붉은색, 백색
      학명Vaccinium bracteatum Thunb.
      개화기 6월

      분포지역

         전남 흑산도 이남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의 표고 600m이하의 산록 양지에서 주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크기

      높이는 3m정도 된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2.5-6.0cm, 폭 1.0-2.5cm인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끝이 점첨두이며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서

      예저(銳底)로 된다. 양쪽에 선점(腺點)이 1개씩 있고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의 길이는 2-6㎜이다.

         꽃은 밑으로 처지는 길이 2-5cm의 총상꽃차례에 10개 정도 달리며 잔털이 있고 각 꽃마다 숙존성 피침상의 포가 있다. 꽃부리는

      통상 달걀모양으로 길이 5-7mm이고 홍백색이며 겉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끝이

      2개로 갈라져서 길게 된다. 6월에 개화한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mm이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고 어릴 때에는 점모양의 잔털이 있다.

      생육환경

         동백나무,보리장나무,사스레피나무 등과 혼생하며 내한성이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다. 내건성과 내조성이

      좋다.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이끼 위에 파종, 양묘하여야 하며 우수한 품종은 1년생 가지로 꺾꽂이한다.

      용도

      •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 열매는 과실로서 식용하거나 잼,파이를 만든다.
      • 과실은 南燭子(남촉자), 根(근)은 南燭根(남촉근), 葉(엽)은 南燭葉(남촉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南燭子(남촉자)
      ①8-9월에 과실이 익으면 따서 햇볕에 말려서 건조한 곳에 둔다.
      ②성분 : 건조과실은 당분 약 20%, 遊離酸(유리산) 7.02%(주로 사과산, 구연산과 주석산 소량)를 함유한다.
      ③약효 : 益腎(익신), 固精(고정), 强筋(강근),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長期(장기)에 걸친 설사, 夢精(몽정), 久痢久瀉(구리구사),

      赤白(적백)의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丸劑(환제)로 해서 복용한다. 


      ⑵南燭根(남촉근) -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⑶南燭葉(남촉엽)
      ①8-9월에 일년생가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건조한 장소에 저장한다.
      ②성분 : Hentriacontane, friedelin, epifriedelanol(epifriedelinol, friedelan-3β-ol), quercetin(quercetol), isoorientin(homoorientin),

      p-hydroxycinnamic acid, myoinositol(meso-lnosit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益精氣(익정기), 强筋骨(강근골), 明目(명목), 止下痢(지하리)의 효능이 있다.
      ④용법/용량 : 6-9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특징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는 수종이 많다. 모새나무

      외에 차나무, 참식나무, 생달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참가시나무, 자금우, 광나무, 붉가시나무등이 있다.
      • 꽃은 은방울모양으로 특이하며 상록성의 초록색 잎과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맹아력이 좋고 수세가 강건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체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새나무

      모새나무

      모새나무 (참정금나무) 학명: Vaccinium bracteatum Thunb. 이명:참 ...

      2014.07.23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0889/OVv7/28



      한국서식 산앵도나무속 (Vaccinium)의 종(種)

      산앵도나무속 Vaccinium 분류 :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합판화아강 < 진달래

      2013.02.01 | 카페 > Daum카페  cafe.daum.net/dirchfmfckwdktj






      모새나무 (Vaccinium bracteatum) | 나무/분재

      사오정 2007.03.21 10:49

      모새나무 (Vaccinium bracteatum)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
       
      학명  Vaccinium bracteatum
      분류  진달래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서식장소  해변의 산지


         해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가 1∼3m이다. 작은가지는 회갈색에서 회색이고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꺼운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 밑에 작은 선점(腺點)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홍백색이 돌며 밑으로 처지는 총상꽃차례[總狀花序]에 종처럼 생긴 꽃이 10여 개씩 달리고 포(苞)가 남아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흰가루로 덮이며 지름 6mm 정도로 10월에 익으며 먹을 수 있다. 열매는 생식 또는 양주용으로 이용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영) Oriental Blueberry

         상록활엽수 키 작은 나무로 3m정도 자라며 난대성 수종으로 주로 제주도에 분포한다. 많은 줄기가 올라와 포기처럼 자라며

      어릴 때는 잔털이 있다가 차츰 없어지며 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며 두껍고 긴 타원형으로 손가락 두 마디

      정도의 길이로서 잎끝과 밑이 모두 차츰 뾰족해 지는 형태이다. 가장자리에는 뚜렷하지 않은 잔 거치가 있으며, 표면의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원뿔모양 꽃차례에 10여 개 남짓한 꽃이 달리고 밑으로 처진다. 6월에 은방울 모양의 흰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굵은 콩알크기 정도도 10월에 검게 익는데, 흰 가루로 덮여있다. 열매는 과실로서 생식하거나 쨈, 파이를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블루베리와 흡사합니다

       

       

      세계 최대추정 모새나무 진도서 발견

       

       

         세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는 모새나무가 전남 진도군 접도에서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진도군은 "최근 의신면 접도 등산로 개설 과정에서 높이 5m, 지름 15㎝의 모새나무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흰가루로 덮이며 지름 6mm 정도로 10월에 익으며 먹을 수 있다. 열매는 생식 또는 양주용으로 이용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남해안에 자생하는 모새나무 열매들입니다. 식용도 가능하다고 하며, 잼을 만들어도 되고, 완도 수목원에서 2006도

      번식사업과 각종식용가공품도 개발중 이라고 한다

       

      사진출처:엠파스 유달산 다람쥐님 http://blog.empas.com/squirrel1226/12019962 


       


       

       

       

       

       

       

       

       

       

       

       

       

       

       

       

       

       

       

       

       

       

       

       

       

       

       

       



      blog.daum.net/sa55jung/11278416    사오정의 쉼터 






      모새나무 | 천리포수목원

      대효 2011.12.27 21:05



      학명: Vaccinium bracteatum Thunb.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학명 풀이:

      Vaccinium: bilberry(월귤)

      bracteatum: 포가 있는

      일어명: シャシャンボ

       

       

       


       


       


       


       


       


       

       

      동속식물:

      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L.

      굵은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for. depressum Nakai ex Uyeki

      긴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for. ellipticum Nakai ex Uyeki

      산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

       

      모새나무 Vaccinium bracteatum Thunb.

      산매자나무 Vaccinium japonicum Miq.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넌출월귤 Vaccinium oxycoccus L.

      애기월귤 Vaccinium oxycoccus subsp. microcarpus (Turcz.) Kitam.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Miq.

      지포나무 Vaccinium oldhamii for. glaucinum (Nakai) Kitam.

       


      <국생정> 설명:


         잎은 어긋나며 길이 2.5-6.0cm, 폭 1.0-2.5cm인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끝이 점첨두이며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서

      예저(銳底)로 된다. 양쪽에 선점(腺點)이 1개씩 있고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의 길이는 2-6㎜이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mm이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꽃은 밑으로 처지는 길이 2-5cm의 총상꽃차례에 10개 정도 달리며 잔털이 있고 각 꽃마다 숙존성 피침상의 포가 있다. 꽃부리는

      통상 달걀모양으로 길이 5-7mm이고 홍백색이며 겉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끝이

      2개로 갈라져서 길게 된다. 6월에 개화한다.


      줄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고 어릴 때에는 점모양의 잔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남 흑산도 이남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의 표고 600m이하의 산록 양지에서 주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높이는 3m정도 된다.


      생육환경

      이용

      ▶열매는 과실로 식용하거나 잼이나 파이를 만든다.

      ▶과실은 南燭子, 뿌리는 南燭根, 잎은 南燭葉이라 하며, 약용한다.

       

      국내의 참조 웹사이트

      http://blog.daum.net/kys333/17940335

      http://blog.naver.com/jkjung0498/130104747187

       

      일본 웹사이트

      전체모습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sympetalae/ericaceae/syasyanbo/syasyanbo.htm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sympetalae/ericaceae/syasyanbo/syasyanbo2.htm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sympetalae/ericaceae/syasyanbo/syasyanbo4.htm

       

      화서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sympetalae/ericaceae/syasyanbo/syasyanbo5.htm

       

      열매 수피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sympetalae/ericaceae/syasyanbo/syasyanbo4.htm


       

        blog.daum.net/daehyo/7808931    wildblumenspeicher 

                                           





      모새나무 씨앗파종 발아 모습 | 씨앗파종

      청소골 2013.03.04 21:30




         1mm눈금에 비교해 보면 모새나무 씨앗의 크기는 1.5mm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둥그스럼한 럭비공처럼 생긴게 모새나무 씨앗이고 각이 진 것은 모래입니다.

       

       



       



       



       

       


         모래와 섞어서 보관중이던 씨앗을 뒤적거려 봤더니

      몇개의 씨앗에서 벌써 뿌리가 나오고 있군요.

      내일이라도 제대로 파종상 준비해서 뿌려야겠어요.

       

         2006년부터 토종 블루베리인 모새나무를 씨앗파종하여 대량생산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씨앗파종 묘목을 길러서 비로소 작년에 처음으로 많은 량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씨앗 채집하려고 장거리 운전을 하지 않아도 되고

      시기를 맞추지 못해 헛걸음하는 일도 없게 되었습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인 실생묘 만단위 이상의 생산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blog.daum.net/csogol/17399319    청소골야생화 







      모새나무 ( Vaccinium bracteatum) | 목본식물

      구름나라 영 2014.02.22 19:12

        



          다육

       

       

       모새나무 () Vaccinium bracteatum   

      모새나무는 정금나무와 함께 우리나라 자생종 블루베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른이름                수종 [과]   상록활엽  식물진달래과    
       유사  정금나무,블루베리            구 문   
       자생지  한국(남부 섬), 일본, 타이완, 중국   남쪽 해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잎)

         잎은 어긋나고 두껍고 타원형. 길이 2.5~6㎝, 너비1~2.5㎝.이다.

         양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잎의 밑 양쪽에 선체가 있다. 

           (쥴기)   높이는 2~5미터이며 가지 많다   

          ()     

         6~7 월에 병 모양의 흰 꽃이 은방울 모양으로 핀다

        총상화서. 화서의 길이 2~5㎝, 10여 송이씩 아래로 처져 달린다.   

        포는 피침형, 오래 붙어 있고 화관은 통 모양. 흰색, 길이 5~7㎝.이다.       

          (매)    장과로 둥글고 흰가루로 덮이며 지름 6mm 정도로 10월에 익으며 먹을 수 있다.
          비 고  실생, 삽목 

       

       식 용  열매를 식용한다      

       

       

       















       



       



       



       



       



       

       



      blog.daum.net/rnfmaskfkdud/3489    구름이 머무는 곳 





      모새나무(분홍)

      새벽바다 2012.07.05 17:50



       


       


       


       


       


       


       


       


      2012,07,04 목포



      모새나무한반도 남쪽 섬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 3m이고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타원형이고 길이 2.5~6cm,

      폭 1~2.5cm이다. 양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잎 밑 양쪽에 선체가 있다.

      꽃은 은방울 모양, 총상꽃차례이며 길이 2~5cm, 10여 송이씩 밑으로 처져 달린다. 포는 피침형, 화관은 흰색에 통 모양이며 길이

      5~7㎜이다. 열매는 장과, 검은 자주색으로 익고, 흰 가루로 덮이며, 둥근 모양이다. 개화기는 6~7월이며 열매는 식용한다.

      붉은색은 보기 힘들어는데 요즘에는 여기저기 자주 보인다.




      blog.daum.net/photobyhappy/1335    사진속 행복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