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고건축 용어

2017. 11. 18. 18:19집짓기



      

오픈지식


고건축 용어withoutQ| 2005.11.22 15:01 |조회 5230|신고

가구(架構) 공간을 형성하는 목조 건물의 골격 구조. 架構의 법식에 따라 單層, 重層, 通層으로 구분되고, 규모에 따라 三樑架, 五樑架,七樑架,九樑架 등으로 구분된다.
간살이(柱間) 건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둥이 중요한 것이므로, 기둥이 몇 개 섰느냐에 따라 집의 규모를 계산하였다. 기둥과 기둥사이를 하나의 단위로 삼았는데, 그것을 間이라 불렀다. 칸은 들보가 걸리는 방향과 도리가 걸리는 간격에 따라 樑間과 道理間이라 부르는데, 지금은 정면, 측면 및 몇 칸이라 계산한다. 또한, 칸의 위치에 따라 御間,來間, 退間이라 부르고, 안팎의 구조에 따라 外陣, 內陣이라 한다.
갑석(甲石) 돌 위에 다시 포개어 얹는 납작한 돌. "갑돌" 이라고도 한다.
겹처마 처마 끝 서까래가 2단 이상으로 된 처마. 처마 끝에 처마 서까래와 부연을 걸어 꾸미게 된다.
계자각(鷄子脚) 한옥에서, 누마루나 대청의 난간 중간 중간에 풀 무늬를 새겨서 세워진 가늘고 짧은 동자기둥.
고막이 온돌 구조에 있어서 下引枋 또는 토대밑의 벽, 벽돌, 돌등을 모르타르 또는 진흙으로 쌓는 일. 보통 이 부분은 벽면보다 약 1∼3cm 정도 겉으로 나오게 된다.
고복형(敲腹形) 고복(敲腹)은 세상이 안락하고 태평하여 의식이 풍부해서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고복형은 배가 불룩 나온 형을 말한다.
고주(高柱) 平柱보다도 키가 큰 기둥. 흔히 안통에 서 있으므로 內陣柱라 한다. 여러 층으로 된 건물에서는 평주와 通柱, 四天柱와의 사이에 있다. 통주나 사천주는 필요한 높이가 되도록 기둥나무를 접착시켜 만드는 것이지만, 고주는 긴 나무 하나로 세우는 것이 보통이다. 고주는 위치에 따라 坪高柱와 隅高柱로 나누는데, 건물에 따라 우고주는 세우지 않을 수도 있다.
공간포(空間包) 多包집에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짜 놓은 拱包. 한국의 공포 양식에서 多包系에 속하는 한 組立體이다.
공포(拱供包,貢包)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게 하려고 기둥머리 같은 데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 흔히 柱頭·小累, 첨遮 등으로 짜인다.
광창(光窓) 햇볕을 받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창.
교두 살미나 첨차의 하단이 圓孤로 잘라진 모양 또는 그 부분.
교창(交窓) 분합문 위에 가로로 길게 짜서 끼우는 빛받이 창, 창살을 45도 각도로 교차시켜 爻字 모양으로 되었다. 橫窓이라고도 한다.
굴도리 한식 목조 구조체에서 단면이 둥그렇게 된 도리.
굴도리집 단면이 원형인 도리로 꾸며진 집.
굴림 백토(-白土) 백토를 깨트려 왕모래를 추려낸 것. 砂璧치는데 쓰이는 재료이다.
귀마루 지붕의 귀에 있는 마루. 추녀 위에 있는 마루. 추녀 마루.
귀면(鬼面) 내림마루나 귀마루, 또는 사래 마구리에 붙인 동물 모양의 장식. 일본과 중국의 鬼面瓦가 무섭게 성난 얼굴을 하고 있음에 반하여 우리 나라 귀면와는 삼국시대 이래 웃고 있는 모습이다. 神市시대에 桓因을 도와 人間事를 다스리던 참모중에 軍神과 孔神을 맡은 蚩尤는 장수가 있었는데, 귀면와는 그의 銅頭假面을 닮은 것이라고 한다.
귀살미 건축에서 사방 귀퉁이에 있는 살미를 말한다.
귀솟음 건물의 隅柱보다 높게 하는 일.
귀틀(耳機) ① 마루청을 놓기전에 먼저 가로 세로로 짜 놓은 굵은 나무. 가로로 들이는 것을 "동귀틀" 세로로 들이는 것을 "장귀틀"이라 한다. ② 천장의 주변에 있는 천장틀. ③ 천장의 새막이 틀 중에서 길게된 부분.
귓돌 축대 등의 모서리에 세워댄 돌.
그레질 기둥이나 재목 같은 것에다가 그 놓일 자리의 바닥의 높낮이를 그레로써 그리는 것. 요컨대, 기둥을 반듯하게 세우는 기법을 말한다.
기단(基壇) 건물, 비석, 탑 따위의 밑에 한층 높게 만들어진 地壇. 여염집에서는 "죽담" 이라 부른다. 튀는 빗물을 막고 땅의 습기를 피하며 건물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 아랫도리에 돌을 쌓거나 다른 자재를 써서 쌓아 올린 단인데, 기와와 벽돌로 섞어 쌓기도 하고, 돌로만 쌓기도 하며, 돌과 벽돌을 섞어 쌓기도 한다. 法堂 건축에서는 불교가 전래한 龍船을 법당에 비유하여 기단을 용선의 船體인 듯이 상징하여 구성하기도 한다.
기단석(基壇石) 기단에 쓰이는 돌.
기둥(柱) 건축물의 간살을 표준하여 주춧돌 위에 세워서 보, 도리 등을 받치는 나무. 기둥은 흔히 둥근 기둥이나 모기둥이 쓰이는데, 절의 건물에는 대부분 圓柱가 쓰인다. 또한 기둥은 그 위치나 쓰임에 따라 平柱, 隅柱, 內高柱, 隅高柱, 四天柱, 刹柱, 東子柱, 活柱 등으로 나누고, 기둥을 깎는 기법에 따라 통기둥, 흘림기둥, 배흘림기둥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귀솟음, 오금법 등의 법식도 있다.
기둥머리 기둥의 윗부분, 다듬는 기법에 따라 막기둥과 궁글린 건지기둥으로 나눈다.
기둥몸(柱身) 기둥의 몸체 부분, 中枋이 짜이는 부분이며, 토벽선 등과 접합하는 몸체이다.
기둥뿌리(柱脚) 기둥이 주춧돌에 닿는 밑부분.
기와(蓋瓦, 디세) 지붕을 이어 빗물이 흐르게 만든 제품인데, 차진 흙이나 시멘트를 구워 만든다. 한식기와에는 암키와, 수키와가 있고, 그밖에 일식기와인 평기와, 서양에서 쓰이는 양식기와 등의 종류가 있다.
기왓골(蓋瓦谷, 靑瓦) 기와지붕에 빗물이 떨어졌을 때 쉽게 흘러내리도록 암키와를 깐 바닥에 수키와를 덮어 골을 이루어 준다. 이런 기왓골 때문에 "골기와"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닥 기와는 세겹이 겹쳐지도록 하여야 빗물이 골에 넘쳐도 새지 않는다. 기왓골이 용마루나 내림, 귀마루 등에 접합할 때 착고매기, 부고 등을 써서 정리한다.
기지석(基址石) → 기단석(基壇石)
꽃살문(-門) 문살에 꽃무늬를 놓아 만든 문.
끼눈(蟹眼) 박공널이나 추녀 끝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새겨지는 장식 무늬.

나비장 재목을 서로 이을 때에 쓰이는 나비모양의 나무 조각. 예로부터 가장 많이 쓰이는 이음새 기법의 하나이다.
낙양 기둥의 위쪽 측면과 昌枋의 밑에 돌려 붙인 波蓮刻으로 된 장식.
난간(欄干, 欄杆) 층계나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가로 세로로 나무나 쇠를 건너 세워 놓은 살.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막고, 또한 장식으로도 삼는다.
날개집(翼舍) 주 건물 좌우에 붙어 뻗어 나온 부속 건물. 주되는 건물이 중앙에 있고, 그 좌우에 부속실 또는 附屬舍가 배치되어 있는 집을 말한다.
납도리(角桁) 한식 나무 구조에서 단면이 사각형인 도리. 통나무의 볼치를 훑어내어 반듯하게 다듬어 사용하는 도리인데, 이를 "민도리"라고도 하며, 주로 격조가 떨어지는 건물에 쓰인다.
납도리집(角桁家) 기둥 위에 사각형 단면으로 된 도리를 얹어 꾸민 집. 小累를 받칠 때도 있다.
내목(內目) 기둥의 안쪽
내목돌기(內目桁) 한식 건물에서 공포를 파고 건물 안으로 출목하여 얹힌 도리.
내출목(內出目) → 출목(出目)
너새 ① 박공 옆에 직각으로 대는 암키와. 너새 기와.
② 지방을 이을 때 쓰이는 얇은 조각의 돌기와.
널문(板門)
① 문의 울거미를 짜고, 그 안에 널을 붙인 문.
② 띠장을 가로 대고 널을 그 한 면에 붙여댄 문. 널대문.
누마루(樓-)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누하루(樓下柱)
다락집 구성에서 마루 밑으로 세우는 기둥. 건물에 따라 木柱나 石柱를 세우기도 하는데, 돌기둥의 遺構로는 경복궁 경회루가 가장 유명하다. 사원 건축의 유구 중에는 石柱로 된 예가 드물다. 木柱일 때, 사주는 樓上柱와 한 몸인 경우와, 각각 따로 세우는 경우의 두 가지 기법이 있는데, 따로 세울 때에는 누상주보다 누하주를 굵은 목재로 세운다.

다포집(多包閣)
供包로 기둥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를 꾸며 놓은 집. 갖은 포집. 조선 시대 이후에 많이 쓰였다. → 포(包)
단귀틀(短-)
장귀틀과 장귀틀 사이를 가로지른 짧은 귀틀.
단연(短緣)
기둥 웃머리 사개통에 돌보나 도리를 받치기 위하여 먼저 얹는 짧은 나무.
닫집(唐家, 寶蓋)
① 法殿 안의 鈺座위에 만들어 다는 집의 모형.
② 法當의 佛座위에 만들어 다는 집의 모형. 龕室. 흔히 기둥, 낙양각, 갖은 포작의 다포, 겹처마, 지붕 등으로 구조되며, 용과 봉, 그리고 飛天像 등이 장식된다.
당골벽(-壁)
桁에 걸린 사까래 사이사이를 막아 바른 벽. 착고벽.
당기와(堂蓋瓦, 唐瓦)
막새기와의 딴 이름. 암막새와 수막새를 통틀어 일컫는 말.
대공(臺工) 대들보 위에 서서 종보와 중도리를 받치거나, 종보 중앙에 서서 종(마루) 도리를 받치는 구조물. 중도리를 받치는 것을 중대공, 종도리를 받치는 것을 마루대공이라 한다. 또한, 대공의 모양에 따라 童子대공, 覆花盤, 仰花盤대공, 波蓮대공, 板대공, 包대공 등이 있다.
대들보(大樑) 기둥 위에 얹힌 들보 중에서 가장 큰 지붕보. 이 대들보는 건물 部材의 모든 짐과 지붕의 무게까지도 받아 지탱한다. 대들보를 거는 법칙과 그것을 깎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대청(大廳) 관아나 사삿집의 주장 되는 집채 가운데에 있는 바닥을 마루널로 꾸민 널찍한 마루. "대청마루" 또는 그냥 廳이라고도 한다.
댓돌(臺石) 地臺의 갓둘레에 쌓은 돌. 흔히 화강석을 가늘고 길게 다듬어 쓴다. 이 댓돌을 1단만 설치하면 외벌대, 2단이면 두벌대, 3단이면 세벌대라 부른다. 一柱門 등에 선 외벌대, 사천왕문이나 寮舍에선 두벌대, 법당에는 세벌대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댓돌로 구성되는 기지나 기단에는 단층인 것과 상, 하중층인 것의 두 가지가 있다.
덤벙주초(-柱礎) 둥글넓적한 자연석을 다듬지 아니하고 놓은 주춧돌.
도리(桁, 梶) 기둥과 기둥 위에 돌려 얹히는 굵은 재목. 그 위에 서까래를 얹게 되는데, 굴도리, 들도리, 툇도리, 빼도리 등의 종류가 있다.
돌란대(廻欄) 난간의 맨 위에 가로 댄 部材, 단면은 원형, 팔각형, 각형 등 여러 가지이다. "난간두겁대"의 옛말.
동귀틀(童耳-) 마루의 장귀틀과 장귀틀 사이에 가로질러 청널의 잇몸을 받는 짧은 귀틀. 장귀틀.
동무 文廟 안에 儒賢들을 배향하는 동쪽의 行閣
동바리 ① 가로재를 받쳐 고일때 수직으로 세우는 아주 짧은 기둥. 동바리기둥.
② 지면에 가까이 있는 마루 밑의 멍에, 장선받이 따위를 받치는 짧은 기둥.
동자(童子) 목재 구조에서 쓰이는 짧은 세로재, 동자기둥, 난간동자, 머름동자 등이 있다.
동자주(童子柱) 한식 집붕틀에서 대들보 위에 세워 중도리와 종부를 받치는 짧은 기둥. 쪼구미, 동자기둥.
두공(頭工) ① 한식 나무 구조에서 공포를 익공으로 쓸 때에 柱頭에 끼우는 도리 방향의 첨차.
② 柱心包系의 주두 위에 짜이는 공포의 총칭.
두리기둥 둥근 기둥. 圓柱
들보(樑) 간과 간 사이의 두 기둥을 가로질러 도리와는 "?"자 모양, 마룻대와는 "+"자 모양을 이루는 나무. 보.
때살문(-門) 細箭으로 된 문의 상·중·하에 띠 모양으로 가로 살을 댄 문.

마룻대 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上樑. 상량도리.
마룻대공(宗臺工) 宗樑 위에 마루를 받쳐 세운 동자 기둥.
마룻도리 → 마룻대
마룻보(宗樑) ① 두 겹으로 얹는 보에 있어서 마룻대가 되는 보.
② 마룻대의 밑까지 높이 쌓아 올린 보.
막새(莫斯) ① 처마 끝을 잇는 수키와. 한 끝에 둥그런 혀가 달려있고, 篆字, 物形의 무늬가 있다. 막새기와. 花頭瓦, 猫頭瓦.
② 보통 기와로서 처마 끝에 나온 암키와나 수키와. 막새기와 막새(莫斯)
망새 ① 큰 기와집의 대마루 양끝에 세운 장식. 매 대가리처럼 쑥 불거지고 모가 난 두 뺨에 눈알과 깃 모양의 선과 점이 새겨져 있다. 보통 집에서 내림새가 쓰인다. 鷲頭, 鷲瓦, 치문이라고도 한다.
② 망새 같은 집의 합각 머리나 너새 끝에 얹는 용머리처럼 생긴 장식. 龍頭
망와(望瓦) 지붕의 마루 끝에 세우는 우뚝한 암막새
맞배지붕 건물의 측면에서도 지붕면이 용마루까지 올라가게 되어, 측면에 삼각형의 벽이 생기는 지붕. 해방 후 고건축에 쓰인 용어, 네모난 큰 생철을 130도로 막 꺽어서 씌워 놓은 것 같은 지붕. 뱃집지붕. 박공지붕.
맞배집 지붕이 맞배지붕으로 된 집. 박공집.
맞보 屋心柱에 두개의 보가 마주끼어 걸린 들보.
머름(遠音) 창 밑의 하인방과 머름방 사이에 머름동자를 세우고 그 사이에 머름착고를 기운 구조부.
머름동자(-童子) 머름중방 사이에 세워 댄 짧은 동자기둥.
머름중방(-中枋) 두 기둥 사이의 머름에 가로 건너 낀 주방에 대는 널조각.
머름착고(-着固) 하인방. 머름중방 및 머름동자 사이에 끼어 대는 널. 머름착고널. 마름청판.
머름청판(-廳板) → 머름착고(-着固)
머리초(頭草) 보, 도리, 서까래, 기둥 등의 部材 끝 부분에 그려진 丹靑의 무늬.
멍에 동바리 돌 또는 동바리 기둥 위에 얹히어 장선을 받치는 부재.
모기둥 모가 나게 만들어진 기둥. 네모기둥(사각기둥), 팔모기둥(팔각기둥), 육모기둥(육각기둥) 등이 있다.
모끼연(木只椽) 지붕의 좌우 마구리에 다는 婦椽의 서까래. 모끼.
목어(木魚) 불교의 경전을 읽을 때 두드리는 諸具. 길이 1m 가량되게 나무로 잉어처럼 만든 것인데, 속은 비어 있고, 겉에는 비늘이 새겨져 있다.
목지연(木只椽) → 모끼연
문얼굴(門-) 문짝의 상하·중간·좌웨 짜맞춘 뼈대가 되는 部材.
문인방(門人枋) 문얼굴의 위아래 또는 중간에 가로 건너지름 部材.
문중방(門中枋) ① 문을 들이는 가로 낀 引枋의 총칭. 문틀이 되는 인방.② 문틀이 되는 벽 중간에 있는 중방(중인방). 문지방(門地枋) 문설주 사이의 문밑에 가로 놓인 나무.
문지방돌(門地枋石) 출입문 밑에 문지방으로 댄 돌. 下引枋石.
문짝(門-) 끼워서 여닫게 된 문의 한 짝. 門扉·門扇·門戶라고도 한다. 널문짝이 외짝이면 板扉, 두짝이면 板扇이라고 하며, 鐵甲을 씌우거나 力士像등을 그리기도 한다.
문틀(門-) → 문얼굴(門-)
문판(門板) 반닫이의 앞면 위쪽에 붙어 있는 젖히어 열게 된 문짝의 널.
민도리 → 납도리
민도리집 한식 나무 구조에서 도리와 장혀로만 꾸며진 집.
민흘림 기둥 등의 상부 직경이 가장 작고, 중간의 단면 직경이 이보다 크며, 하부 직경이 가장 크게 깎아 다듬는 기법의 한가지.
민흘림 기둥 민흘림 기법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커지게 다듬어진 원기둥.

바라지 바람벽의 위쪽에 낸 작은 창. 쌍바라지. 약곗바라지 등이 있다.
바라지창(望窓) 누각 등의 벽위에 바라보기 좋게 뚫어 놓은 창. 바라지.
바래기(望瓦) → 망새
박공(朴工) 마루머리 합각머리에 "?" 字 형상으로 맞붙인 두꺼운 널. 박풍 또는 박공널이라고도 한다. 두 널빤지가 합쳐짐에 따라 맞이어지는 부분이 생기는데, 여기에 지네철이라 懸魚로 장식하기도 한다. 이 박공널 위로 木只椽을 걸고 너새판을 얹어 기와를 받게 한다.
박공각 박공널 끝에 새김질하여 장식한 것.
박공널 맞배지붕(박공지붕)의 측면에 "?" 字 형으로 맞붙인 널. 까치박공널, 처마도리, 중도리, 마룻대 등에 못박아 대고, 평고대는 장부로 꿰뚫어 넣기도 한다.
박공마루 박공에 평행으로 지붕마루에서 처마까지 내려오는 지붕마루. 박공내림마루.
박공벽 박공지붕 밑에 이루어지는 삼각형 모양의 벽
박공지붕 → 맞배지붕.
박공집 → 맞배집
박공판 → 박공널
반자 방이나 마루의 천장을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시설. 거기에 사용하는 자료와 모양에 따라 목반자, 빗반자, 소란반자, 장반자, 우물반자, 지반자, 철반자, 토반자, 평반자 등 여러 종류로 구별된다.
반자틀 반자를 드리느라고 가늘고 긴 나무로 가로 세로로 짜서 만든 틀. 반자대, 반자대받이, 달대, 달대받이 등을 총칭한다.
방풍널 → 방풍판(防風板)
방풍판(防風板) 맞배지붕의 좌우 마구리에 박공널 아래로 비바람을 막기 위하여 박공벽에 붙여 댄 널빤지. 널빤지를 帶木에 위지하여 붙이고, 판자와 판자 사이에 졸대를 덧대어 붙인다. 배흘림 기둥의 중간이 가장 굵게 되고, 상하로 가면서 점차 가늘어지게 하는 기법. 기둥 높이의 3분의 1 되는 부분이 가장 고, 위는 밑동보다도 더 가늘어지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같은 기법은 기둥의 구조상의 안전성과 시각상의 착오를 시정하고자 하는 착상에서 나온 것이다. 이를 "엔터시스"라고도 한다.
법수(法首) 난간의 귀퉁이나 또는 중간에 세워 놓은 어미기둥의 상부에 쇠시리를 하여 장식적으로 만들어진 부분.
벽석(壁石) 넓고 얇은 널빤지처럼 다듬어 갈아서 벽을 꾸미는 장식용 돌.
벽선(壁線) 기둥의 좌우에 세우는 角材. 벽 속에 있어서는 안방과 중방을 버티게 되고, 門戶에 있어서는 門線이 된다. 一柱門이나 一角門에서는 荷重을 지탱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나, 보통은 기둥을 부식에서 보호하고 軸部의 구성을 위하여 설치한다.
보개천장(寶蓋天障) 궁전이나 불전 등에서 중앙부를 높게 하여 보개를 장치한 천장.
보머리 → 보뺄목
보뺄목(樑頭) 기둥을 뚫고 나온 보의 끝머리
보아지(樑奉) 기둥머리 또는 주두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部材. 화반이나 동자주에 짜여 종보를 받거나, 기둥이나 頭工 또는 공포에 짜여 대들보를 받거나 하는데, 공포에 자일 때는 살미가 발달하여 보아지가 되는 수도 있다.
복화반(覆花盤) 화반의 모양이 아래쪽이고 위쪽이 좁게 만들어진 것 → 화반.
봉두(鳳頭) → 봉두고임.
봉두고임 殿閣의 기둥머리에 대는 봉황의 머리 모양을 한 꾸밈새, 쇠서받침 위의 대들보 머리에 끼운다. 봉머리, 奉頭刻, 봉두.
부고 지붕마루의 착고막이 뒤에 옆세워 대는 수키와.
부고마루 착고 위에 수키와를 옆세워 쌓은 지붕마루. 부고를 써서 지붕마루를 튼 것.
부연(附椽, 婦椽, 浮椽)
처마서까래 끝 위에 덧얹는 네모진 짧은 서까래 끝 위에 덧얹는 네모진 짧은 서까래 처마를 위로 돌리게 하여 날아갈 듯한 곡선을 이루게 하는 구실을 한다. 부연초리는 처마 서까래의 4분의 1이나 3분의 1 정도이다. 부연이 있는 집은 삼국시대 이래로 고급에 속했으며, 사원건축의 대부분은 부연이 있는 겹첨마이다. 며느리 서까래.師椽.
부연개판(附椽蓋板) 부연 위에 덮어서 까는 널조각.
부연뱃바닥(浮椽腹面) 부연의 밑면. 여기에 단청을 할 때는 먹긋기, 색긋기 등을 한다.
부연착고(附椽着固) 부연과 부의 사이를 막는 널.
분합문(分閤門) 대청 앞에 드리는 네 쪽으로 된 긴 창살문. 겉창과 같이 되고, 아래쪽에 통널조각을 댄다.
불발기 장지의 한가운데에 가는 살을 짜 대고, 창호지를 붙여 채광이 되게 하는데, 위아래 부분은 안팎을 종이로 두껍게 싸바르는 문. 불발기문.
빗반자 바닥이 한쪽으로 경사지게 만든 반자.
빗살문(-門) 세살문의 한가지인데, 가는 살을 엇비슷하게 어긋매겨 촘촘하게 짜서 만든 문.
빗살완자창 살을 엇비슷한 "卍"자 모양으로 짜서 만든 문.
빗천장(-天障) 삿갓 모양으로 경사진 천장.
방목(枋頭) 部材의 머리가 다른 부재의 구멍이나 흠을 뚫고 내민 부분. 보통 그 부재의 크기보다 가늘게 만들어진다. 맞배집에서는 도리와 장혀가 길쭉하게 빠진 긴 뺄목이 되고, 다포집에서는 네 귀퉁이에서 昌枋, 平枋의 뺄목이 +자형으로 짜인다.

사래(蛇羅) 추녀 끝에 설치하여 겹처마를 이루게 하는 굵은 部材. 부연의 선자서까래가 사래 좌우에 배설된다. 사래는 추녀 끝에 있으면서 끝이 노출되어 썩을 염려가 있으므로 吐首 등을 씌우거나 鬼面瓦를 박아 방지시켜 준다. 추녀와 사래를 설치할 때 그 曲率을 얼마나 잡아 주느냐에 따라 처마의 仰曲과 안허리가 잡히는 것이므로 그 제작 기법은 까다롭다.
사모지붕(四-) 네모 반듯한 정방형의 평면인 건물에서 형성되는 지붕이다. 작은 碑閣,鐘閣에서 亭子나 측간에서, 또는 塔婆와 같은 건축물의 지붕이다. 사면의 기왓골이 지붕의 정상부에 모이는 구조인데, 작은집에서 절병통으로 그 부근을 정리하고, 탑파에서는 相輪을 설치하여 마감한다. 평면에 따라 육모,팔모의 지붕이 형성될 수 있는데, 현존하는 사원 건축에서는 보기 드무나 上代에는 八角木塔 등의 구조가 있었다.
사모집(四-) 지붕이 네모난 집.
사벽(沙壁) 모래와 흙을 섞어서 만든 벽.
사천왕문(四天王門) 절을 지키는 의미에서 동서남북의 사천왕을 만들어 좌우에 세운 문.
살대(支木, 箭木)
① 기둥이나 벽을 넘어지려 하는 것을 바로잡기 위하여 버티어 대는 나무. 살잡이대. 支柱.
② 반자널 밑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댄 나무 오리.
살미 궁궐이나 성문 등의 기둥 위 도리 사이에 장식하는 촛가지를 짜서 만든 물건. 첨차에 直交되며, 외부는 쇠서형으로 조각하고 내부는 翹頭形이나 또는 草葉, 연화 등을 새긴다.
살미살창(-窓) 촛가지를 짜서 살을 박아 만든 창문.
살창(-窓) 울거미 없이 引枋 또는 문틀에 살대를 나란히 세워댄 창.
삼량가(三樑架) 도리가 3개 있는 지붕. 架構
삼량집(三樑-) 전후 처마도리와 용마루도리로 구성된 지붕틀로 꾸며진 집. 곧 도리 3개로 짜인 집. 세마루 집.
삼문(三門) 대궐이나 공해앞에 있는 문. 正門, 東夾門, 西夾門의 셋이 있다.
삼제공(三諸貢) 2제공 위에 짜인 3단째의 제공. → 제공(諸貢)
삼화토(三華土) 再砂壁을 하는데 쓰이는 고급의 泥匠 재료. 모래, 흙, 강회를 1:1:1의 비율로 섞어 이겨서 사용하는 것. 굳으면 매우 단단하여 떨어내기조차 힘이 든다.
상인방(上引枋) 창이나 문짝의 상부에 가로지르는 인방, 윗중방, 上枋.
서까래 지붕 경사에 따라 도리에서부터 처마 끝까지 건너지른 나무. 그 위에 散子를 얹게 된다. 둥근 통나무를 그냥 쓴 서까래를 椽. 다듬어 角材를 만들어 쓰면 각이라 한다. 서까래는 지붕을 구조하는 일에서 갈비뼈에 해당한다고 할만큼 중요한 부재이다. 지붕의 물매를 잡아주기 위하여 野椽, 통서까래, 短椽 등을 쓰고, 우진각이나 팔작지붕에서 네귀를 들어주기 위하여 선자서까래나 엇선자, 말굽서까래 등을 만들어 설치하고, 덧서까래도 쓴다.
서무 文廟 안에서 儒賢들을 배향하는 서쪽의 行閣. 곧, 大成殿의 서쪽 아래채.
선자(扇子) "선자추녀"의 준말. 서까래를 부채살 모양으로 댄 추녀.
선자서까래(扇子-) 기와지붕을 구성하는 가장 고급스러운 법식을 완성하기 위하여 처마 모퉁이 추녀 옆에 나란히 부챗살 모양으로 배치한 서까래.
선자연(扇子椽) → 선자서까래.
소란(小欄) 무니방이나 소반 같은 데에 나무를 가늘게 오려서 돌려 붙이거나 제 바탕을 파서 턱이지게 만든 물건.
소란대(小欄-) 귀, 모서리, 테두리 등에 오려대는 작은 나무. 소란으로 쓰이는 목재. 小蘭木.
소란반자(小蘭-) 반자의 한가지. 반자를 "井"자 여럿을 모은 것처럼 소란을 맞추어 짜고, 그 구멍마다 네모진 널조각의 蓋板을 얹어 만든다. 우물반자, 花반자, 목반자, 天花板,조정.
소로(小累) 두공·첨차·제공·장여·화반 등의 사이에 틈틈이 끼우는 네모난 四角材. 작은두공, 접시받침, 小累.
소로굽(小累-) 빗깎거나 동글게 굴려 도려낸 소로의 아랫부분.
소로아귀(小累口) 소로에 첨차나 살미를 끼우기 위해 깎아낸 부분.
솟을각(-閣) → 합각머리
솟을꽃살창(-窓) 창문의 살을 쇠시리하여 무늬를 조각하고, 수직과 60도 각도로 교차되게 짜서 만들어진 창.
솟을대공(-臺工) 人字形으로 두 部材를 맞버티게 짜고, 그 위에 거는 대공.
솟을대문(-大門) 지붕보다 좌우간 또는 행랑채의 지붕보다 높이 솟게 만든 대문. 高柱大門, 高設大門.
솟음
① 보에 荷重이 작용할 때 보가 휘어서 일직선으로 되게 하기 위하여 제작 당시에 미리 위로 휘게 하는 일.
② 한식 건물에서 隅柱, 회첨주를 平柱보다 조금 높게 한 것. 귀솟음.
쇠살문(鐵箭門)
① 성곽의 木口등에 사용되는 쇠로 만든 철문.
② 쇠창살을 댄 대문.
쇠서(牛舌)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部材, 仰舌, 垂舌 등이 있다. 쇠서받침.
쇠시리 나무의 모나 면을 衣아 밀어서 두드러지게 또는 오목하게하여 모양지게 하는 일.
수서(垂舌) 한식 목구조 건축의 供包에서 쇠서 끝이 아래로 삐죽하게 처진 모형으로 된 것.
수연(水煙) 불탑에서 相輪 위의 寶蓋와 寶柱사이에 있는 불꽃 모양으로 된 장식 부분.
수장(修粧) 주요 구조재가 아닌 중방, 벽선, 반자 등 내부 치장이 되는 것.
수장기둥(修粧-) 처음부터 주춧돌 위에 세우지 아니하고, 수장하기 위하여 임시로 세우는 기둥. 修粧柱. 수키와 두 암키와 사이에 엎어놓는 기와. 속이 빈 원기둥을 세로 반으로 쪼갠 것과 같이 생겼는데, 지름이 작고 曲率이 강한 기와인데, 남근 같다고 하여 陽瓦라고도 한다. 수키와는 암키와가 이룩한 排水形 바닥이나 바닥기와 사이의 잇잠을 막기 위하여 덮는데 쓰이며, 防水를 마무리 짓고 落水溝를 확실하게 하여 기왓골을 형성한다.
신방(信枋) 一角門 등의 기둥 밑 좌우 쪽에 받친 짧은 토대.
신방석(信枋石) 一角門의 址臺 위에 기둥 및 龍枝板을 받친 돌.
심제공(心諸貢) 귀제공에 있어서 기둥의 수직상에 짜여진 제공.
심주(心柱) 다층 건물의 중심에 세우는 기둥. 屋心柱.

안초공(按草工) 기둥머리의 내외에 끼여 기둥상부의 공포를 받치는 部材.
암막새(女莫斯) 처마 끝의 암키와 막새, 내림새, 삼국 시대에는 잘 사용되지 않다가 통일신라시대부터 성행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암키와 끝을 조금 두껍게 하여 무늬를 놓았고, 다음에는 차츰 발달하여 내림새가 따로 만들어져 무늬판이 되었으며, 신라때 것은 그 무늬가 섬세 정교하고 구도가 활달하다.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무늬가 대범해지고, 조선시대에는 내림새가 아주 커지게 되었다.
암키와(女瓦) 지붕의 고랑이 지게 젖혀 놓는 기와. 평면이 장방형이고 단면이 圓孤로 되어 있는데 수키와 밑에 깐다.
앙서(仰舌) 끝이 위로 삐죽하게 올라간 쇠서 받침. 앙설, 앙혀.
앙혀 → 앙서
어새 비스듬히 깎아 지붕귀, 회첨 등에 쓰이는 암키와.
어이동자(-童子) 머름의 간막이에 있어서 기둥에 붙여 세운 동자기둥.
엔타시스(Entasis) → 배흘림.
연등천장(澈上明造) 삿갓천장의 연골벽을 仰土하여 치장한 천장. 반자 있는 천장과 달리, 서까래까지의 架構 전모가 하나도 숨겨지지 않고 다 드러나 보이도록 꾸며진 천장. 多包系 법식에서 반드시 반자를 꾸미는 것과 달리 古來의 柱心包系의 법식에서는 반자하는 것을 채택하지 않았다. 다 드러나 보이므로 하나하나를 다듬고 가꾸는 일에 성심성의를 다 기울여야 하였다.
연목(椽木) → 서까래.
연목초(椽木草) 椽木과 네모진 각의 장엄을 위하여 단청할 때 베풀어야 할 무늬의 원본을 정한 형태. 草像의 한 유형인데, 서까래 끝에만 무늬를 놓는 법과 서까래 끝에만 무늬를 놓는 법과 서까래 몸채 전부에 무늬를 놓는 법 두가지가 있으며, 그 밖에 무늬 없이 선으로만 긋기를 하는 방식도 있다. 서까래 끝 마구리에는 椽端草라 하여 별도의 무늬가 구성된다.
연함(椽檻) 서까래 끝의 평교대 위에 기왓골을 받기 위하여 암키와가 놓일 만하게 반달 모양으로 총총하게 엔 나무.
옹성(甕城) 성문 밖에 빙 둘러 있는, 성문을 방어하는 작은 성. 원형 또는 方形으로 만들어진다. 月城, 曲城, 곱은성.
왕지 추녀 또는 박공 솟을각에 암키와를 삼각형으로깎아 맞춘 것.
왕지기와 박공 솟을각 끝에난 추녀 끝에 쓰이는 암키와.
왕지도리 모서리 기둥 밖으로 내민 도리.
외목(外目) 기둥의 바깥쪽.
외목도리(外目)
① 包作 바깥에 서까래를 얹기 위하여 가로 얹는 도리.
② 기둥의 중심선 바깥쪽에 나가 걸리는 도리.
외삼출목(外三出目) → 출목
용두(龍頭) 지붕 장식의 한 가지. 용머리 → 망새
용마루(樑城) 기와지붕에서 가장 높은 마룻대. 마룻대는 기와만으로 쌓거나 三華土로 싸바르거나 한다. 종마루.
용지판(龍枝板) 一柱門, 一角門의 기둥 앞뒤로 담이 무너지지않게 붙여 세우는 재목. 板材를 세우면 용지판이라 하고 角材를 세우면 벽원이 된다. 용지판에는 唐草를 草刻하거나 丹靑으로 용을 그리기도 한다.
용화석(龍華石) 댓돌에 올라서 기위하여 꾸며진 층층계 좌우 소맷돌에 용의 머리와 몸뚱이, 그리고 여러가지 무늬가 베풀어진 화려한 구조물.
우동(隅棟) 탑 屋蓋石의 귀마루 부분. 귀마루, 내림마루.
우물마루 짧은 널을 세로 놓고 긴 널을 가로놓아 井자 모양으로 짜인 마루.
우물반자(藻井) 다포계 법식을 대표하는 구성중의 한 가지. 주심포계에서는 천장을 구조하지 않는 대신에 다포계에서는 거의 다 반자를 설치한다. 반자는 구조 방식에 따라 빗반자, 층급(층단)반자, 우물반자, 소란반자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중에서 소란반자가 화려한데, 우물반자의 기본구성에 소란 하나를 첨가한 것이다. 우물반자는 반자틀로 井자 형으로 울거미를 만들고 정방형 청판을 덮은 구조이다.
우물천장(-天障) 소란반자로 된 천장. 곧, 바둑판처럼 井자 형으로 된 천장.
우미량(牛眉樑) 주도리와 중도리, 중도리와 중종도리 사이를 건너 지르는 角材인데, 각각의 도리는 위치에 따라 落差가 있어서 강하게 휘어 굽은 나무라야 양쪽 도리에 結構될 수 있다. 크게 휘어 만들고 보니, 그 형상이 뛰어오르는 새우 모양 같기도 하고, 파리 쫓는 황소의 꼬리가 휘어오른 듯한 모습 같기도 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미량은 柱心包집에서만 사용된다.
우주(隅柱) 건물의 귀퉁이에 세워진 기둥. 귀기둥.
우진각 지붕 지붕의 측면 구성에서 팔자지붕과 같은 합각을 두지않고 용마루로부터 바로 기왓골이 시작되는 유형의 지붕이다. 현존하는 법당 건물에서는 보기 드무나, 금강산 등지의 사원에서 찾아볼 수있고, 해인사 藏經板庫 등에서 볼 수 있다. 宮室 건축에서는 서울 남대문을 비롯하여 창덕궁의 敦化門, 창경궁의 弘化門, 덕수궁의 大漢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正殿이나 法殿에서 잘 쓰이지 않는 지붕이다.
운공(雲工) 二翼工에 있어서 花盤상부에 얹혀 장여와 도리를 가로 받친 물건.
윤장(輪藏) 법당 복판에 軸을 세우고 여덟 개의 면을 가진 經架를 만들어 여기에 一切經을 넣어 자유로이 돌아가게 만든 장치. 轉輪藏.
음각(陰刻) 조각 모양이 움푹 들어가게 파는 기법. 凹彫.
이수
① 용 모양을 새긴 비석의 머리돌.
② 궁전의 섬돌이나 도장 또는 鐘鼎 등의 뿔 없는 용을 새긴 돌.
이익공(二翼工) 기둥 위에 덧붙이는 쇠. 촛가지가 둘로 된 익공. 도리 및 장여를 花盤, 기둥 위에는 두공으로 받치고 창방과 두공 또는 보아지가 쇠서 모양으로 바깥에 내민 部材, 또는 그렇게 꾸미는 일.
이익공 주삼포집(二翼工柱三包-) 주심포가 삼포로 되어 촛갖가 두 개로 된 집.
이제공(二諸工) 柱三包집 기둥에 덧붙이는 쇠서받침. 五包와 七包집에는 각각 3제공, 4제공이라 한다.
익공(翼工) 익공집에서, 첨차 위에 얹히어 있는 짧게 아로새긴 나무. 草防 끝이 쇠서로 되어 내부는 草刻되어 있다. 임진왜란 후에 급격히 보급된 것인데, 柱三包의 약식인 것처럼 보이는 구조이다. 初翼工, 2익공, 3익공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
익공집(翼工-) 기둥 위에 익공을 얹어 지은 집.
익실(翼室) 본채의 좌우 편에 딸려 있는 방.
인방(引枋) 기둥과 기둥, 또는 문설주에 가로질러 벽체의 뼈대 및 문틀이 되는 가로재. 상인방, 중인방, 하인방이 있다.
일각대문(一角大門) 좌우에 기둥을 하나씩 세우고 지붕을 인 대문.
일각문(一角門) 기둥 두 개로만 끼워진 문.
일주문(一柱門) 절의 입구에 기둥을 일렬로 세워 만든 문.

장선(長線) 마루 밑에 한 자 가웃 가량의 사이로 가로 대어서 마루청을 받치게 한 나무. 長山.
장여 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모진 나무. 보통 두께 세 치, 높이 다섯 치이다. 長舌.
장혀(長舌) → 장여.
제공(諸工, 諸貢) 供包에 있어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으로 짜여진 것.
졸대 얇고 좁게 오려 벽이나 천장 등에 박아 대는 나무오리. 나무외.
종량(宗樑) 지붕틀 위에 있어서 대들보위에 동자기둥을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건너대어 대공을 받는 가로재. 大樑만 있을 때에는 三樑의 架構法이 쓰이지만, 종보가 더 있으면 5, 7樑架가 되고, 중종보가 더 있으면 9, 11樑架가 된다. 종보가 대들보 길이와 어떤 비례를 지녔느냐에 따라 三分變作, 四分變作法이라고 하는데, 이 법식에 따르면 서까래의 각도와 처마의 깊이도 함께 意匠된다. 천장 구성에 따라 종보는 노출되기도 하고 천장 위에 숨겨지기도 한다.
주두(柱頭, 柱料) 기둥머리 위에 놓여 包作을 받아 공포를 구성하는 대접처럼 넓적하게 네모난 나무. 상부의 荷重을 균등하게 기둥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의 축소형을 小累라 부른다. 多包에서는 주두가 기둥머리를 떠나 평방 위에도 놓이는데, 이것을 특히 坐頭라고 한다. 대접 받침.
주심포(柱心包, 拱牙, 花斗牙) 기둥머리 바로 위에서 받침 貢包, 多包의 구성이 고려말, 조선조에 성행되었다면, 주심포는 모든 시대에 걸쳐 구조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조선조 초기 이전의 시대에 주심포만이 있었을 뿐이지만, 그 유형은 여러 가지이다.
주의(柱衣) 기둥머리를 장식하기 위하여 그린 丹靑. 기둥머리에 비단을 감아 늘인다는 옛 기법에 따라 단청할 때에도 그와 같도록 무늬로 장식한 것인데, 아름다운 비단 자락이 표현되므로 머리초 중에서는 화려한 종류에 속한다.
주초석(柱礎石, 礎石) 기둥을 받치는 여러 가지 모습의 돌. 주춧돌. 山石을 떠나가 자연석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말끔히 다듬어 여러가지 형상으로 만들어 설치하기도 하는데, 시대에 따라 지역적인 특색이 있다. 신라의 주춧돌은 柱座를 隆起시키는 유형임에 반하여 백제에서는 方形의 板石을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다. 어느 건물보다도 사원 건물의 주춧돌이 가장 아름답고 장식적이다.
주춧돌(柱-) → 주초석.
중귀틀(中-) 棟귀틀 사이를 막아 낀 귀틀.
중대석(中臺石) 石燈의 火舍石을 받친 臺石.
중도리
① 서까래 중간을 받치는 수평으로 된 도리.
② 종도리와 주심도리 사이에 놓인 중간도리.
중방(中枋) → 중인방.
중연(中椽) 중도리와 중도리에 거는 서까래.
중인방(中引枋) 벽 한가운데에 가로지르는 引枋. 중방.
중종보(中宗樑) 대들보와 마루보 사이에 있는 보.
지대석(地臺石) 지대를 쌓은 돌. 지대의 갓 둘레에 쌓은 돌. 지대돌, 섬돌, 댓돌.
지붕(屋蓋) 가옥의 꼭대기 부분을 덮는 덮개. 비나 눈이나 햇빛, 이슬 등을 막는 구실을 한다. 이 지붕을 완벽하게 만들기 위하여 건축술이 발달해 왔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지붕은 가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삼국시대 초기에 기와 굽는 일이 시작되면서 기와 지붕 구조법이 발달하다가 불교 건축이 활발해지면서부터는 瓦塼士를 두어 전담시킬 만큼의 수준으로 발전하였고, 그 기술을 외국에까지 전해 주었을 정도였다. 지붕은 구조하는 형태에 따라 집의 격조와 시대적인 특성을 지닌다.
지붕널(蓋板) 지붕이나 서까래 위를 덮는 널.

착고(着固)
① 적새밑의 기왓골을 막는 수키와, 착고 기와 차꼬.
② 높이가 낮고 너비가 짧은 빈 곳에 끼어 댄 널, 또는 그 자리. 부연착고,마름착고 등
착고막이(着固-) 기와집 용마루의 양쪽으로 끼우는 수키왓장. 차꼬막이.
착고판(着固板, 浮椽間板) 부연 뒷목의 사이사이를 막아 낀 널쪽. 부연착고, 당골판.
찰주(擦柱, 刹柱, 心柱) 탑의 중심기둥. 상륜의 心柱. 여러 층으로된 木造塔婆의 중심에 있는 높은 기둥인데, 舍利를 장치한 心礎石에 세워져 상륜부를 구조하는 鐵盤까지 이르게 한다. 아무리 높은 탑이라도 이 기둥은 목재를 이어 가면서 받쳐 올라간다. 皇龍寺 9층석탑과 같은 多層의 心柱는 그 지름도 대단히 크고 자체의 무게 또한 대단하여서 그 기둥을 받쳤던 塔址에 남아 있을 심초는 그 무게가 200톤이 넘을 정도로 대규모이다.
창(窓) 공기나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벽에 만들어 놓은 작은 문. 창은 그 모양에 따라 花窓, 月窓, 死窓, 들창, 交窓, 光窓, 살창 등으로 나누는데, 대개 여닫이 형이다.
창방(昌枋) 대청 위의 장여 밑에 다는 넓적한 도리. 五樑집에 모양을 내느라고 단다.
창방소로(昌枋小累) 익공집에서 창방 위에 놓인 소로.
창살(窓一)
① 창틀 안에 구획하거나 장식하여 댄 가는 살. 장살과 동살로 구분된다.
② 비각, 종각, 斜籠 등의 벽 같은 데에 세로로 죽죽 내리지른 나무 오리.
처마 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이것은 지붕을 구성하기 위하여 베푼 기반 구조인데, 서까래만으로 구조되면 홀처마, 부연까지 구조되면 겹처마라 한다. 처마 구성은 얼마나 뻗었느냐에 따라 처마 깊이라 하여 기둥 높이와 비견되는데, 처마 깊이는 중국이 한국보다 얕고, 한국은 일본보다 얕은 경향을 지녔다. 이는 강우량과 태양의 南中高度 때문이다.
처마도리 변두리 벽 위에 걸어 서까래를 받는 도리.
처마돌림 서까래 마구리가 보이지 않도록 대눈 부재.
처마추리 처마가 건물 바깥으로 내민 부분, 또는 그 내민 길이. 처마 내밀기. 처마길이.
첨차 한식나무 구조 건물의 柱頭 또는 소로 위에 도리와 평행 방향으로 얹힌 짤막한 공포 부재의 한가지. 초제공, 이제공들의 가운데에 어긋 매겨 짠다.
청판(廳板)
① 마룻바닥에 까는 널. 청판.
② 구조물에 쓰이는 널의 총칭.
초익공(初翼工) 한식 나무 구조 건축의 가장 간단한 공포 구조에서 익공이 한 개인 것. 기둥 위에 끼어 보의 밑을 받치는 보아지 외부 끝머리는 쇠서형으로 하거나 초엽이 말린것처럼 한다.
초제공(初諸貢) 제공 중 제일 밑에 자여진 첨차와 살미의 한 층.
추녀 처마 네 귀의 기둥 위에 끝이 번쩍 들린 크고 긴 서까래. 그 부분의 처마. 굵은 長在를 서서 저 깊은 곳에서부터 뒷몸을 걸어 처마의 무게를 떠받게 만드는 특수한 것. 曲率의 유지를 위하여 알추녀를 만들어 쓰기로 한다. 추녀는 겹처마일때 사래를 받아 주고, 좌우로 선자 서까래를 배설한다.
출목(出目) 공포에 있어서 첨차가 柱心으로부터 돌출되어 도리나 장여를 받친 것. 柱三包에서 주심도리 밖으로 外目을 한 가닥 내거는 일과, 다포 구성에서 주심을 기준으로 하여 건물 바깥쪽으로 내미는 外出目, 건물 안쪽의 內出目 등을 일컫는다. 내외출목에선 외출목이 내출목보다 적은 것이 보통이나, 집에 따라서는 내외가 같을 수도 있다. 출목의 수는 包作을 말하는데 2출목은 5포작, 3출목은 7포작, 4출목은 9포작으로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충량(衝樑) 집채의 좌우 쪽에서 상량과 동렬로 짜이는 短樑. 바깥머리는 大樑 모양으로 기둥위에 짜이고 안 머리는 대량 허리 위에 걸친다.
충방(衝枋) 9량이나 11량집 架構에서 종중도리와 종도리 사이의 뜬노리에 걸치는 直材, 花盤에 지탱되는 수가 많다.
취두(鷲頭) 용마루 좌우 끝에 설치하는 장식 기와. 치미와 방불한 의미를 지녔으나 취두는 독수리 모양의 머리를 가진 큰 새로서 모든 잡귀와 화마를 제어하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상징된다. 고려 중기 이후에 성행하기 시작하는데, 금박을 입히고 祭를 드리기도 하였다. 오늘날 전해지는 취두 중에는 서울 남대문의 것이 장엄하다.
치마널(裳板) 난간 밑 테두리에 돌려 붙인 넓고 얇은 널.
치미 용마루 좌우 끝에 장식하던 상상의 날짐승 꼬리 모양의 고대 장식 기와. 이것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중기까지 성행되다가 취두가 도입되면서부터 점차 쇠퇴하여 조선시대의 지붕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皇龍寺址에서 수습된 치미는 그 키가 2m가 넘는 대규모의 것이고, 祇林寺에는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치미가 보존되어 있다.

탁의(卓衣) 법당에서 탁자를 배설할 때 그 장엄을 위하여 덮거나 늘이는 직물. 보통 織繡로 아름답게 장식한다.
토수(吐首) 기와의 한 가지.전각 네 귀의 추녀 끝에 끼우는 龍頭形이나 鬼頭形의 장식. 사래의 나무 끝이 허공을 향하여 들려 있어서 비바람에 부식될 여려가 크므로 그것을 덧싸기 위하여 瓦質로 구워 만들기도 하고 銅版을 오려서 씌우기도 한다. 팔뚝에 끼는 토수 같은 형상이어서 이런 이름이 생겼으나 본뜬 모양은 이무기를 닮았다. 銅版으로는 鬼面이나 花卉을 장식하기도 한다.
통기둥(通柱) 2층 이상의 집에서 內陣에 위치하면서 가장 높은 층까지 뻗어 올라가 大樑을 받치는 기둥. 건물 안에서 가장 긴 기둥. 한옥은 바깥이 2, 3층이나 내부는 通層이므로 이렇게 긴 내진의 高柱가 소용된다.
통머름 여러 조각으로 짜지 아니하고 긴 널을 통째로 가로 대어 막은 머름, 合中枋.
퇴간(退間) 집채의 원간살 밖에 딴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간살. 退.
퇴량(退樑)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힌 짧은 보. 툇보.

파련대공(波蓮臺工) 한식 나무 구조에서 板臺工에 波蓮刻을 한 대공.
팔작지붕(八作屋蓋) 기와지붕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구성미를 지닌 지붕. 좌우 측면에 合閣이 있는 4면 구성의 지붕이다. 합각이 있으므로 마루도 용마루,내림마루(합각마루),추녀마루(귀마루) 등이 형성되고 각각 마루에 장식 기와들을 장치햐여 意匠과 華嚴도 화려하며 합각에도 懸魚·지네철·회면벽 등의 치장이 있어 더욱 장중하다. 현존하는 중요 법당의 대부분은 팔작기와 지붕의 구조로 되어 있다.
팔작집(八作-) 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아서 지은 집. 八作家.
평고대(平高臺) 치마, 서까래, 부연 등의 끝에 거쳐 대는 가로재. 처마 서까래 위에 대는 것을 처마 서까래 평고대(초막이), 부연 위에 대는 것을 부연 평고대(2막이)라고 한다. 상대에는 평고대와 부연 사이의 착고막을 한 나무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후대에 오면 따로 만든다.
평방(平枋) 공포 등을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初枋을 짜고, 그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은 넓적한 나무. 평방은 多包집에서는 반드시 설치되는 部材인데, 보통 두껍고 굵은 角材를 쓴다.
평주(平柱) 건물 외곽에 세운 기둥. 外陣柱, 邊柱라고도 한다. 키는 귀기둥, 高柱보다 짧은 것이 보통이다.
포(包) 동양식 목조건축에 있어서 처마를 길게 내밀기 위햐여 기둥위 처마도리 밑에 짧은 부재를 써서 장식적으로 받게 한 部材의 총칭.
포대공(包臺工) 대들보나 마루 보위에 包作 형식으로 세운 기둥.
포작(包作) → 공포.
포벽(包壁) 공포와 공포 사이에 있는 平枋 위의 벽.
풍경(風磬, 風鐸) 추녀 끝에 달아 바람에 흔들리는 날개를 달아둔 작은 종. 보통 구리나 놋쇠로 만들어 추녀 끝이나 사래 끝에 단다.
풍판(風板) 비바람을 막기 위하여 박공벽이나 합각벽을 가린 널빤지. 띠장, 널, 틈막이대로 구성된다. 방풍판의 준말. 차양의 한 가지.

하방-下引枋의 준말.
하엽(荷葉) 연잎.
하엽동자(荷葉童子) 난간 두겁 돌을 받치는 꽃 모양으로 조각된 장식물을 쓴 동자기둥.
한대(限大) 팔작집 모퉁이의 촛가지에 모로 나온 나무토막.
합각(合閣) 지붕 위쪽의 옆에 박공으로 "?"자 모양을 이룬 각.
합각마루(合閣-) 박공위에 있는 마루. 합각 내림마루.
합각머리(合閣-) 합각 지붕의 삼각형으로 된 윗 부분. 이 부분에는 가지의 장식으로 꾸민다.
합각벽(合閣壁) 박공 머리의 삼각형으로 된 벽.
합각지붕(合閣屋蓋) 지붕 위에 가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팔작지붕. 처마끝은 모임 지붕처럼 되고 용마루 부분에 삼각형의 벽을 만든 지붕. 팔모지붕.
행공(行工) 한식나무 구조 건축의 공포에 있어서 外出目道里와 長舌을 받친 첨차.
협간(夾間) 正門의 좌우 양측에 있는柱門.
협시(脇侍) 좌우에서 가까이 모시는 사람. 脇士.
홍살(紅箭)
① 솟을대문 등의 문 바로 위에 청사 모양으로 공간을 막아 세워 댄 화살.
② 홍살문 위에 댄 살. 대개 빨간 단청을 한다.
홍살문(紅箭門) 陵, 園, 廟, 궁전, 관아 등의 정면 입로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문. 둥근 기둥 두개를 세우고 지붕에 붉은 살을 죽 박았다. 紅門.
홍예문(虹霓門) 문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 같이 반원형이 되게 만든 문. 아치. 홍예.
홍예보 아치형으로 굽은 보.
홑처마 처마 서까래만으로 된 처마. 부연을 달지 아니한 처마.
화반(花盤) 초방 위에 장여를 받치기 위하여 화분, 연꽃, 사자 등을 그려 끼우는 널조각.
활주(活柱) 추녀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 활주에는 단면이 원형인 것과 팔각형인 것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