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4. 28. 21:50ㆍ차 이야기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마음이 한편 기쁘기도 하고 한편 서글픈 것 같기도 하여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잠시 후 일어나 나가 보니, 달이 남해 바다 물결 위로 떠오르고 있었다. 반은 잠기고 반은 떠오른 달의 광경은 참으로 신기하였다. 닭이 이미 울었다. 이날 약 90여 리를 걸었다.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대유(大有), 호는 가재(稼齋) 또는 노가재(老稼齋). 17세기에 활약한 노론의 정치가이며 유학자인 김수항(金壽恒)의 넷째 아들이다.
생애
어려서부터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등 형들과 함께 학문을 익혔다. 특히 시에 뛰어나 후에 김만중(金萬重)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1681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한양의 동교송계(東郊松溪 : 지금의 성북구 장위동)에 은거하였다. 1689년에 기사사화가 일어나자 포천에 있는 영평산(永平山) 속에 들어가 숨어살다가 1694년 정국이 노론파에 유리하게 되자 다시 송계로 나왔다. 이 때 나라에서 내시교관(內侍敎官)이라는 벼슬자리를 주려고 하였다. 그러나 응하지 않았고 스스로 노가재라 부르며 세상일을 멀리하였다. 그리고 향리에 사창(社倉)을 설치하고 거문고와 시 짓기를 즐기면서 사냥으로 낙을 삼았다.
활동사항
중국 산천을 보지 못한 것을 늘 아쉽게 여기다가 1712년 연행정사(燕行正使)인 김창집(金昌集)을 따라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이 때 보고 들은 것을 모아 『노가재연행록稼齋燕行錄)』을 펴내었다. 이 책은 중국의 산천과 풍속, 문물제도와 이때 만난 중국의 유생, 도류(道流 : 도교를 믿고 그 도를 닦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상세히 기록하여 역대 연행록 중에서 가장 뛰어난 책으로 손꼽힌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주가 있어 젊어서도 그림 그리기를 즐겼으므로 아버지로부터 그림에 마음을 빼앗겨 학업에 방해가 될까 걱정이니 손을 떼라는 충고를 받았다.
현존하는 그의 그림 「추강만박도(秋江晩泊圖)」(간송미술관 소장)나 그가 밑그림을 그린 제천 황강영당 구장의 「우암송선생칠십사세진」같은 작품으로 보아 그림 솜씨가 상당한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그림에 대한 취향은 서자인 김윤겸(金允謙)에게 이어져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 『노가재전집(老稼齋全集)』
- 『노가재연행록(稼齋燕行錄)』
- 『문곡집(文谷集)』
- 『삼연집(三淵集)』
- 『안동김씨문헌록(安東金氏文獻錄)』
노가재 김창업의 추강만박도. 비단에 수묵, 조선 후기, 간송미술관 소장.
960x486 한국학중앙연구원고전원문
> 연행록선집
> 연행일기
> 老稼齋燕行日記卷之九
> [癸巳]三月
>
최종정보
老稼齋燕行日記卷之九
/ [癸巳]三月 ㅡ 김창업(金昌業)
初七日。甲申。
7일(갑신)
우연히 돌아보매 그 뜻이 무궁하구나 / 偶然憑眺意無窮
그윽하고 기이함은 용미(龍尾)가 제일이고 / 幽奇莫怪居龍尾
웅걸스러운 산세는 패풍(沛風)을 일으키리 / 雄傑應敎起沛風
절은 그림 속에서나 보는 뛰어난 경치일레 / 寺在畫圖如□勝
사람이 노닐던 시구는 하늘을 뚫을 듯하도다 / 人遊詩句直凌空
이번 길에 다 함께 임천(林泉) 정취 깨달으리 / 此行共領林泉趣
여능의 노취옹(老醉翁)에 양보할 수 없도다 / 不讓廬陵老醉翁
산음의 천만 봉우리로다 / 山陰有萬千
어찌 생각했으랴 요해 땅에 / 何圖遼海地
따로 푸른 하늘 있으리라는 것을 / 別具蔚藍天
용은 누워 단학에 서려 있고 / 龍臥藏丹壑
봉우리는 높아 개울을 눌렀구나 / 峯高壓淺泉
그윽함을 찾아서 높이 오르니 / 尋幽恣登眺
바라봄에 흥취가 유연하도다 / 跌望興悠然

1 ![]() | 2 ![]() |
1 그림 나빙의 자화상인 〈양봉도인 사립도(兩峰道人簑笠圖)〉의 부분.1780년, 종이에 채색, 59.8×56cm, 베이징 고궁박물원 소장. 2 그림 나빙, 〈박제가 초상화〉(1790년 사진).나빙이 이별의 증표로 박제가에게 그려준 초상화로, 원작 그림은 남아 있지 않다. |
物理書。取火于竹。以乾竹破之。布紙灰而竹瓦覆上。竹瓦穿一孔。更以竹刀往來切其孔上。三四回。煙起矣。十餘回。火落孔中。紙灰已紅。石火烈。竹火易取。常用無毒。藏火法。棉花燒黑。將灰收之。香燃一絲。去香則隱。少頃吹之復燃。《潛草》曰。杏仁灰包火。楊梅可佩。外域用火鴉駝雞肫皮。塗卵白。包火。又曰。紙捲香入竹筒。終日不滅。開則燃。合則隱。【竹木銃一發則朽。塗卵白則能三發。故卵可撲火。】《物理所》曰。火發房屋。可投雞鴨卵及大泥團。石碑衙扁。撲之亦止。續火者。杉炭、麻楷、草紙易燃。留火則棗蠟類也。藏火有長生火葫法、滿爐金法。眞水粉一兩。山烰炭二兩共爲末。放爐內。一點火星。卽刻滿爐。香爐灰法。米湯和紙灰曬乾。煅紅硏之。三煅曰滿爐金。或一斗加鑛灰二升煅之。尋常燒柚皮千張灰。足矣。冷爐以草紙茄稭炭埋之。火亦自活。【方中履曰。茶油餠滓入爐常燃。《水經注》。盧水聖子木炭不滅。】燒炭忌?。五?柴燒火無焰。成炭之後。忽然自燒。故炭窰忌之。榕亦無焰。然其枝曝爲點火繩。八月割茅燒之有聲。汴力也。九月割則枯矣。巴菽瀉松脂。則松柴無焰。【方中德曰。椶桄燒之。澀鬱不著。櫟炭以畫墨而燒之。則有墨處著。無墨處不著。凡墨不著者加硝黃。暄曰。燒炭以隱。以沸水沃之。】 雜方。熾炭焰焰。如星不已。用焰投之則止。撒米泔浸炭則止。《和漢三才圖會》。葒草莖。燒爲炭。爲懷爐之炭。佳勝於茄莖之炭。雜方。炭加些礬在滾水內侵一宿。燒則耐久。《增補山林經濟》。難消炭法。細骨炭十斤。鐵屎塊十斤。用生芙蓉葉三斤。合搗爲末。糯米粥和成作團曬乾。每燃一枚。三日不滅。如不用。以灰掩之。又竈中燒柴。帶火取出。罈閉成炭。不拘多小。搗爲末。用塊子石灰化開。取濃灰和炭末。加水調成。以毛竹一筒劈作兩半。合脫成錠。曬乾燒用。終日不消。造香炭以石炭。無則木炭同。生葵葉搗和爲餠。曬乾焚香。雖冷濕地。火亦不滅。神隱方也。雜方。粘起炭火法。以燈心蘸油。再蘸白礬末。粘起炭火。石炭。取石炭作屑。和石灰用酒糊。切成薄片。待乾入罏。數日不消。今燕京以此爲日用火種。炊飯煎茶。
- [주-D001] 取火于竹 :
- 『取火于竹』부터 『常用無毒』까지는 方以智 撰 《物理小識 卷2ㆍ石竹火》에 보인다.
- [주-D002] 石火烈 :
-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3] 棉花燒黑 :
- 『棉花燒黑』부터 『故卵可撲火』까지는 《物理小識 卷1ㆍ藏火》에 보인다.
- [주-D004] 一 :
-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5] 《物理所》曰 :
- 『物理所曰』부터 『撲之亦止』까지는 《物理小識 卷2ㆍ貯火油與滅火法》에 보인다.
- [주-D006] 續火者 :
- 『續火者』부터 『留火則棗蠟類也』까지는 《物理小識 卷2ㆍ續火》에 보인다.
- [주-D007] 香爐灰法 :
- 『香爐灰法』부터 『盧水聖子木炭不滅』까지는 《物理小識 卷8ㆍ香爐法》에 보인다.
- [주-D008] 米湯和紙灰曬乾 :
- 『米湯稻灰曬乾』으로 되어 있는데,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9] 或一斗 :
- 『或或一斗』로 되어 있는데,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或』 1자를 삭제하였다.
- [주-D010] 常 :
-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1] 燒炭忌? :
- 『燒炭忌?』부터 『以沸水沃之』까지는 《物理小識 卷8ㆍ燒炭忌?》에 보인다.
- [주-D012] 方中德曰 :
- 『方中德曰』부터 『以沸水沃之』까지 49자는 『方中德曰。椶桄燒之。澀鬱不著。燒炭以隱。以沸水沃之。方中通曰。櫟木畫木而燒之。則有墨處著。無墨處不著。凡木不著者加硝黃。』으로 되어 있는데,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3] 爲懷爐之炭 :
- 『擁爐火』로 되어 있는데, 寺島良安 撰 《和漢三才圖會 卷94ㆍ葒花》를 참고하여 고쳤다.
- [주-D014] 之炭 :
- 《和漢三才圖會》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5] 細骨炭十斤 :
- 『細骨炭十斤』부터 『以灰掩之』까지는 高濂 撰 《遵生八牋 卷8ㆍ獸炭》에 보인다.
- [주-D016] 又竈中燒柴 :
- 『又竈中燒柴』부터 『終日不消』까지는 《遵生八牋 卷8ㆍ難消法》에 보인다.
- [주-D017] 帶 :
- 《遵生八牋》에는 『下』로 되어 있다.
- [주-D018] 毛 :
- 《遵生八牋》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9] 用 :
- 《遵生八牋》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20] 造香炭以石炭 :
- 『造香炭以石炭』부터 『神隱方也』까지는 柳重臨 撰 《增補山林經濟 卷16ㆍ雜方》에 보인다. 『造香炭以石炭』의 『造』는 《增補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四時淸趣者。
春。晨起點梅花湯。課奚奴灑掃護階苔。禺中。取薔薇露浣手。薰玉蕤香。讀赤文、綠字書。晌午。採筍蕨。供胡麻。汲泉試新茗。午後。乘款段馬。執剪水鞭。攜斗酒雙柑。往聽黃鸝。日晡。坐柳風前。裂五色箋。集錦囊佳句。薄暮。繞徑灌花種魚。
夏。晨起芰荷爲衣。傍花枝吸露潤肺。禺中。披古圖畫展法帖臨池。晌午。脫巾石壁。據匡牀。談《齊諧》、《山海》。倦則取左宮枕。爛遊華胥國。午後。刳椰子盃。浮瓜沈李。搗蓮花。飮碧芳酒。日晡。浴罷硃砂溫泉矣。棹小舟垂釣于古藤曲水邊。薄暮。籜冠蒲扇。立層岡看火雲變現。
秋。晨起下帷撿牙籤。挹露硏硃點校。禺中。操琴調鶴。玩金石鼎彝。晌午。用蓮房洗硯。理茶具。拭梧竹。午後。戴白接䍦。著隱士衫。望紅樹葉落。得句題其上。日晡。持蟹螯鱸膾。酌海川螺試新釀。醉弄洞簫數聲。薄暮。倚柴扉聽樵歌牧唱。焚伴月香壅菊。
冬。晨起飮醇醪。負暄盥櫛。禺中。置氈褥。市烏薪。會名士作黑金社。晌午。挾筴理舊稿。看晷影移階灌足。午後。攜都統籠向古松懸崖間。敲氷煮建茗。日晡。布衣皮帽。裝嘶風?鐙策蹇驢。問寒梅消息。薄暮。圍爐促膝煨芋魁。說無念生妙偈。談劍術。
十二時淸趣。
辰。夙興整衣襟。坐明窓中調息受天氣。進白湯一甌勿飮茶。櫛髮百餘遍。使疏風淸火明目。去腦中熱。盥漱畢。早飡。宜粥宜淡小飽。徐行百步。以手摩腹。令速下食。天氣者。亥、子以來眞氣也。靜以淸。喧以濁。故天氣。至巳、午而微矣。
巳。讀書。或《楞嚴經》。或《南華經》。或《易》一卦。循序勿汎濫勿妄想勿聚談。了大義知止。勿積疑。倦則閉目嚥津數十口。見賓客。寡言以養氣。
午。坐香一線畢。經行使氣神安頓。始飯用素湯。當飢而食。未飽先止。茶。滌口膩漱去乃飮。行步多少。坐勿傴胸。中悶。則點呵氣二三口。凡飮食之節。減滿受虛。故當飯而節其滿未飽。留其虛。
未。獵史。看古人大局。窮事理。流覽時務。事來須應過。物來須論破。勿晝臥。無事無物。不妨事物之來。涉獵流覽。都是妙明生趣。讀書人。日用不知。
申。朗誦古人得意之文一二篇。引滿數酌。勿多飮令昏志。或吟名人詩數首。弄筆倣古帖。倦卽止吟誦。引白以王眞氣。亦是張旭草書被酒入聖時也。
酉。坐香一線。動靜如意。晩食宜早。課兒子一日程。如法卽止。小飮勿沈醉陶然。熱水濯足降火除濕。暮漱滌一日飮食之毒。
戌。曁夜黙坐。勿多思。勿多閱。多思傷心。多閱傷目。坐勿過二更。須安睡以培元氣。臥必側身。屈上一足。先睡心。後睡眼。睡心是止法。睡眼是觀法。
亥、子。亥末子初。嬰始孩也。一身元氣。於焉發陳。當其機候。起坐擁衾。虛心靜寧。無爲而行。約香一線。固其命門。精神日餘。元氣久盈。醒而行之。難老而長存也。
丑、寅。丑、寅間。精氣發生時也。勿酣睡靜守。令精住其宅。或轉側臥如弓。氣亦周流不漏。如勾萌不折。迎生氣也。
卯。醒見晨光。披衣坐牀。叩齒三百。轉動兩肩。調其筋骨。以和陰陽。振衣下榻。俾勿濫觴。十供。讀義理書。學法帖字。澄心靜坐。益友淸談。小酌半醺。澆花種竹。聽琴玩鶴。焚香煎茶。登城觀山。寓意奕棋。
見此可袪俗累塵愁。又非高遠難行之事爲。特爲飢火物慾所拘制。有沒身不得享其樂。況學聖希仙也哉。
- [주-D001] 春 :
- 『春』부터 『談劍術』까지는 程羽文 撰 《淸閑供ㆍ四時歡》에 보인다.
- [주-D002] 起 :
- 『夜』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3] 日晡 :
- 《淸閑供》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4] 囊 :
- 『苑』으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5] 繞徑灌花種魚 :
- 『而繞徑落花種魚』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6] 據 :
- 『救』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7] 晡 :
- 『燕』으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8] 鼎 :
- 『陽』으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9] 辰 :
- 『辰』부터 『俾勿濫觴』까지는 《淸閑供ㆍ二六課》에 보인다.
- [주-D010] 坐明窓中調息受天氣 :
- 『坐明胸中調息愛受天氣』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1] 盥 :
- 『氣』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2] 滿未飽留其虛 :
- 《淸閑供》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3] 未 :
- 『未』부터 『流覽』까지 13자는 《淸閑供》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4] 除濕 :
- 『除頭濕氣』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5] 暮 :
- 《淸閑供》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6] 機 :
- 『氣』로 되어 있는데, 《淸閑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7] 十供 :
- 『十供』부터 『寓意奕棋』까지는 沈仕 撰 《林下盟ㆍ十供》에 보인다.
愚按茶字之最古者。僅見《神農食經》。《物理小識》。茶。解答載《神農食經》。古荼卽茶。【《漢ㆍ志》。荼陵音茶。詳《通雅》】韓翃《謝茶啓》云。吳主置茗。晉人分茶。晏子三茗。自古以然。惟桑苧以製顯耳。唐竟陵陸羽《茶經》。一曰茶。二曰檟。三曰蔎。四曰茗。五曰荈。有千萬狀。鹵莽而言。如胡人靴者蹙縮然。犎牛臆者廉襜然。浮雲出山者輪菌然。輕颷拂水者涵澹然。於古無見者。《神農食經》。茶茗久服人。有力悅志。周公《爾雅》。檟。苦荼。《晏子春秋》。嬰相齊景公時。食脫粟飯。炙三弋、五卵、茗菜而已。郭璞《爾雅注》云。樹小似梔子。冬生葉。可煮羹飮。《本草ㆍ木部》。茗。苦茶。味甘苦。微寒無毒。主瘻瘡。利小便。去痰渴熱。令人小睡。宋熊蕃《宣和北苑貢茶錄》。陸羽《茶經》裴汶《茶述》者。皆不第建品。說者但謂二子未嘗至建。而不知物之發也固自有時。蓋昔者山川尙閟。靈芽未露。至于唐末。然後北苑出爲之最。是時僞蜀時詞臣毛文錫作《茶譜》。亦第言建。有紫筍而臘面。乃産于福。五代之季。屬建南唐。歲率諸縣民。采茶北苑。初造硏膏。繼造臘面。旣又製其佳者。號曰京鋌。聖祖開寶末下南唐。太平興國初。特置龍鳳模。遣使卽北苑。造團茶以別庶飮。龍鳳茶蓋始于此。蓋龍鳳等茶。皆太宗廟所製。至咸平初。丁晉公始載茶錄。慶曆中。蔡君謨將漕小龍團以進。被旨仍歲貢之。自小團出。而龍鳳遂爲次矣。元豐間。有旨造密雲龍。其品又加于小龍團之上。紹聖間。改爲瑞雲翔龍。至大觀初。今上親製《茶論》二十篇。以白茶者與常茶不同。偶然出。非人力可致。于是白茶爲第一。凡茶芽最上曰小芽。如雀舌鷹爪。次揀芽。乃一芽帶一葉者。號一鎗一旗。次曰中芽。乃一芽帶兩葉。號一鎗兩旗。宣和庚子歲。鄭公可聞始創爲銀線水芽。蓋將已揀熟芽再剔去。秖取其心一縷。號龍團勝雪。茶之妙。至勝雪極矣。然猶在白茶之次者。以上之所好也。宋蔡襄《茶錄》。茶色貴白。而餠茶多以珍膏。油其面。故有靑黃紫黑之異。旣已末之。黃白者受水昏重。靑白者受水詳明。故建安人鬪試。以靑白勝黃白。南越陳鑑虎丘《茶經》注補。陸桑苧翁《茶經》漏虎丘。竊有疑焉。陸嘗隱虎丘者也。井焉品。水焉茶。何漏。曰。非漏也。虎丘茶自在經中。無人拈出耳。《茶經》樹如瓜蘆注。瓜蘆。苦杕也。廣州有之。葉與虎丘茶無異。但瓜蘆苦耳。花如白薔薇注。虎丘茶花開。比白薔薇而小。茶子如小彈。上者生爛石。中生礫壤。野者上。園者次。宜陽崖陰林。紫者上。綠者次。筍者上。芽者次。葉卷上。葉舒次。凡采茶。在二三四月間。茶之筍者。生爛石。長四五寸。若薇蕨始抽。凌露采之。茶之芽。發於叢薄之上。有三枝四枝五枝者。選中枝穎拔佳。泉水上。天雨次。井水下。補。劉伯芻《水記》。陸鴻漸爲李季卿品虎丘劍池石泉水第三。張又新品劍池石泉水第五。《夷門廣牘》謂虎丘石泉舊居第三。漸品第五。以石泉渟泓。皆雨澤之積。滲竇之潢也。況闔閭墓隧。當時石工多閟死。僧衆上棲。不能無穢濁滲入。雖名陸羽泉。非天然水。道家服食。禁屍氣。湯之候。初曰蝦眼。次曰蟹眼。次魚眼。若松風漸至無聲。【蝦、蟹、魚眼。鍑內水沸之狀也。】 聲如松濤漸緩。則火候到矣。此則勿用。
以茶爲書者甚多。今何必强記若鬪茶品水者乎。
- [주-D001] 荼字 :
- 『荼字』부터 『終身之害斯大』까지는 顧炎武 撰 《日知錄 卷7ㆍ荼》에 보인다.
- [주-D002] 謂 :
- 《日知錄》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3] 冬 :
- 『冬冬』으로 되어 있는데, 《日知錄》에 근거하여 『冬』 1자를 삭제하였다.
- [주-D004] 周禮地官 :
- 『禮禮官』으로 되어 있는데, 《日知錄》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5] 之蒤 :
- 《日知錄》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6] 茶 :
- 『茶』부터 『惟桑苧以製顯耳』까지는 方以智 撰 《物理小識 卷6ㆍ茶》에 보인다.
- [주-D007] 韓翃謝茶啓云 :
- 『韓翃謝茶初』로 되어 있는데, 《物理小識》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8] 陸羽《茶經》裴汶《茶述》者 :
- 『陸羽茶經裴汶茶述者』부터 『以上之所好也』까지는 熊蕃 撰 《宣和北苑貢茶錄》에 보인다.
- [주-D009] 不知 :
- 《宣和北苑貢茶錄》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0] 茶色貴白 :
- 『茶色貴白』부터 『以靑白勝黃白』까지는 蔡襄 撰 《茶錄ㆍ色》에 보인다.
- [주-D011] 靑 :
- 《茶錄》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2] 《夷門廣牘》謂虎丘石泉舊居第三 :
- 『夷門廣牘謂虎丘石泉舊居第三』부터 『禁屍氣』까지는 陸廷燦 撰 《續茶經 卷下一》에 보인다.
- [주-D013] 余同年李南金云 :
- 『余同年李南金云』부터 『一甌春雪勝醍醐』까지는 羅大經 撰 《鶴林玉露 卷3》에 보인다. 『鶴林玉露』는 『鶴玉露』로 되어 있는데, 《鶴林玉露》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4] 後 :
- 《鶴林玉露》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5] 得 :
- 《鶴林玉露》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6] 煎茶非漫浪 :
- 『煎茶非漫浪』부터 『有雲霞泉石磊磈胸次間者』까지는 吳從先 撰 《小窓淸紀ㆍ淸課》에 보인다.
- [주-D017] 今 :
- 崔致遠 撰 《桂苑筆耕集 卷18ㆍ謝探請料錢狀》을 참고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8] 唐德宗納戶部侍郞趙贊議 :
- 『唐德宗納戶部侍郞趙贊議』부터 『以茶稅皆歸鹽鐵』까지는 唐順之 撰 《稗編 卷111》에 실린 《唐書ㆍ唐榷茶》에 보인다.
- [주-D019] 詔 :
- 《稗編》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20] 估 :
- 《稗編》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21] 之 :
- 《稗編》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22] 加 :
- 《稗編》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23] 何 :
- 『可』로 되어 있는데, 文義에 따라 고쳤다.
- [주-D024] 茶宜箬葉而畏香藥 :
- 『茶宜箬葉而畏香藥』부터 『若火多則茶焦不可食』까지는 《茶錄ㆍ藏茶》에 보인다.
- [주-D025] 茶性惡水 :
- 『茶性惡水』부터 『相離二尺一叢』까지는 《佩文齋廣群芳譜 卷21ㆍ茶四》에 보인다.
- [주-D026] 陰 :
- 『陽』으로 되어 있는데, 《佩文齋廣群芳譜》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27] 上 :
- 『下』로 되어 있는데, 寺島良安 撰 《和漢三才圖會 卷89ㆍ茶湯》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28] 子安 :
- 『試子安』으로 되어 있는데, 陶宗儀 撰 《說郛 卷93ㆍ目錄》에 근거하여 『試』를 삭제하였다.
- [주-D029] 本朝茶法 :
- 『本朝茶品』으로 되어 있는데, 《說郛》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30] 唐庚 :
- 《說郛》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人事篇○服食類
/ 茶煙 ㅡ 이규경(李圭景) , 미상
蜜煎果子。酸者用熱湯化朴硝放冷。浸去酸味。軟嫩者。只煉蜜放冷。澆在果子上。淹一宿。其酸味自去。漉出淘過控乾。竝先煉熟蜜復入。煎五七沸。放出冷。再入舊蜜內煎如琥珀色。去蜜置器中。煎時須用銀錫砂銚爲佳。此《居家必用》法也。《臞仙神隱》曰。以半蜜半水煮十數沸。乘熱控乾。換純蜜入砂石銚內。用文武火再煎。取其色明徹爲度。入新缸盛貯。時復看視。纔覺蜜酸。急以新蜜煉熟易之。煎白梅。先用湯盪白梅肉。候冷却控乾。煉蜜浸之。如前法。此《必用》方也。煎靑梅。靑梅刮去皮。用銅靑極細末。銅器內勻滾令綠色。然後用生蜜浸。但覺有酸氣便換蜜。至三四遍。自然不復酸。可以久留。靑銅不拘多少。但滾勻便可。《必用》、《神隱》俱見。煎杏。杏一百箇。鹽半斤淹三日。出曬半乾。冷水澆過曬乾去核。以熟蜜三斤浸之。曬蜜乾爲度。《神隱》方也。煎桃。桃百箇去皮核。切作片子。先以蜜熬去酸水後。另用蜜煎撈出曬冷收之。上同。煎櫻桃。四月摘櫻桃去核。以蜜半斤銀石器內。慢火煎熬。出水控乾。再入密二斤。慢火煎如琥珀色爲度。放冷以磁器取貯。上同。今我東有櫻桃煎。取爛熟者。篩瀝去子。取其汁和菉末。及蜂蜜?拌。置篩蒸熟於銅鍋內。煉蜜浸櫻。蒸片熬一二沸控出略曬。入缸復灌煉蜜。聽用忌蜜淡。日久味變色醭。煎木瓜。先用蜜三斤或四五斤。於砂銀錫器內慢火熬濾過。次將木瓜去皮瓤核。取淨肉一斤。切作方寸大薄片。入蜜同煎。如滾起泛沫。旋旋掠去。煎至二三時。嘗味如酸入蜜。須要甛酸湯中。用匕挑出放冷器內。候冷再挑起。其蜜稠硬如絲不斷者爲度。若火緊則燋。味又不佳。但慢火爲佳。此《必用》方也。今我東木瓜煎法。取眞木瓜去皮瓤。切作方寸片。置篩上蒸熟。拌蜜入鍋內熬沸。數滾漉出乍曬。入缸中灌蜜。密封聽用。又一方。取木瓜濾片濃蒸爛熟。仍篩濾成汁後。拌和蜂蜜。鍋熬數沸。入缸灌蜜。密封聽用。
煎藕。初秋。取藕新嫩者。沸湯焯過半熟去皮。切作條。或作片。每斤用白梅四兩。以沸湯一大碗浸一時。漉出控乾。用蜜六兩煎去水。另取好蜜十兩。慢火煎如琥珀色。放冷。入罐貯之。此《神隱》方也。熟灌藕。用絶好眞粉入蜜。用射香少許灌藕內。以從大頭灌入。以油紙包札爛煮。切片啖之。此《倪雲林》方也。今我東煎藕。取藕根淨洗後。略蒸取曬之。拌蜜入鍋熬沸一二次。取出入缸灌蜜。密封聽用。煎薑。社前取嫩芽二斤。洗淨控乾。不用鹽淹。以沸湯焯過瀝乾。用白礬一兩半搥碎。湯泡一宿澄淸。浸薑二三宿。漉出再控乾。用蜜二斤煎一滾。放冷。却於磁器內入蜜。薑約十日半月。別換蜜一斤半。若經年換蜜兩次。此《必用》、《神隱》俱見。我東煎薑。去皮薄片乍煮。取出乾水氣。拌蜜鍋熬數時。色如琥珀。取出入鑵灌蜜。密封聽用。煎冬瓜。十月取經霜白瓜去靑皮。近靑邊肉切作片子。沸湯焯過。放冷。以石灰湯浸四宿。去灰水同蜜半盞。於砂鑵內煎熟。下冬瓜片子煎四五沸。去蜜水。別入蜜一大盞同熬。候瓜色微黃爲度。磁器內收貯。候極冷。方可覆蓋。《必用》、《神隱》俱見。今我東煎冬瓜。去皮瓤切方寸片。糝石灰少選。洗去沈水。淨盡灰末。略焯沸湯中。取出拌蜜。鍋熬煉過數時。作醬色後。取入缸中灌蜜。密封聽用。煎竹筍。十一月取筍十斤。和殼煎七分。則熟去殼。隨意切之。用蜜半斤浸一時許。漉乾。却用蜜三斤煎滾。掠淨入筍拌勻。磁器內收貯。久留不壞。《必用》、《神隱》方也。煎桔梗。二月揀均大者。以米泔水浸。去皮及爛者。以井水煎出。以蜜四兩慢火煎。蜜盡爲度。再用蜜半斤浸。日中曬乾蜜爲度。以磁盛再煉蜜添之。此《神隱》方也。今我東煎桔梗。桔梗淨治。略焯沸湯中。取出曬風去水。切作片段。半蜜鍋熬數時。候色如醬。取起貯缸。灌蜜聽用。煎山査。深秋取山中肥大紅爛山査。一一折開蟲蛀及蟲卵。去核置竹篩。略蒸濾汁。好汁色如臙脂。拌蜜入鍋熬數沸。愼不至變色。取出貯缸灌蜜。密封聽用。蜜乾則味渝色變。靑白醭蓋面。不可用。煎豆乙竹(들쭉)。此物或名杜隷。出北關茂山府白頭山下。狀如五味子。色黑乾。來京中甚稀。淨洗曬濕。淘潤如豆後。拌蜜鍋熬一沸。取起入缸。灌蜜聽用。汁如臙脂。煎五味子。煎與豆乙竹同。煎乾葡萄。與煎五味子同。煎山葡萄。卽蘡薁。俗呼麻萎。煎如豆乙竹。煎紅菇娘。以生沈煎果缸中。以出顔色。色如紅寶石珠。煎辛甘草。卽冬春窌養當歸筍。亦生沈煎果缸中。以助香味。此其大略也。或以大黑桑椹煉蜜充煎果者。關東三陟府頭陀山三寸桑椹。爲上品。稱仙藥云。好事者。或以生梨菁根菘莖。作煎果以備祭需。蜜乾乾葡萄法。《農政全書》。極熟者。一一零壓摘取。刀子切去蔕。勿令汁出。蜜兩分和內葡萄中。煮四五沸後出。陰乾便成矣。滋味倍勝。又夏月不敗。
《茶湯》。杞菊茶。《神隱》。用野菊花一兩、枸杞四兩、茶芽五兩、芝麻半斤。同硏爲細末。篩過如喫時用一匕入鹽少許。酥油不拘多少。以一滾沸湯調服。枸杞茶。《必用》、《神隱》。至深秋。摘紅枸杞子。同乾麪和成劑。捍作餠樣。曬乾硏爲細末。每茶一兩。枸杞末二兩和勻。入煉化酥油三兩。香油亦可。旋添湯攪成稠膏子。用鹽少許。入鍋煎熟飮之。甚有益。明目。溫棗湯。《必用》、《神隱》。大棗去核。用水熬汁生薑汁和蜜。同將三味調勻入磁罐內。攪令稀稠得所。入射香少許。每盞和一大匕沸湯點服。香蘇湯。《必用》、《神隱》。乾棗一斗去核劈碎。木瓜五箇去皮瓤搗碎。紫蘇葉半斤。同一處再搗勻。分作五分內。將一分勻攤在竹籮內。燒滾湯潑淋下汁。嘗瓜棗無味則去却。換好者一分。依上潑之。以味盡爲度。將淋下汁。慢火於砂石器內。熬成膏子。冷熱任意。須問湯。《必用》。東坡居士歌括云。半兩生薑一升棗。【竝乾用。去核。】 三兩白鹽 【炒黃】二兩草。【炙去皮】 丁香、木香各半錢。約量陳皮一處搗。【去白】 煎也好點也好。紅白容顔直到老。水芝湯。《必用》。乾蓮實一斤。帶皮炒極燥。搗爲細末。粉甘草。一兩微炒。右爲細末。每二錢入鹽少許。沸湯點服。蓮實搗至黑皮如鐵。不可搗則去之。世人用蓮實。去黑皮及澁皮竝心。大爲不便。黑皮堅氣。而澁皮住精。世人多不知也。此湯。夜坐過飢氣乏。不欲取食。則飮一二盞。大能補虛助氣。茴香湯。《必用》、《神隱》。炒茴香細末一兩。檀香薑末少許。只看滋味如何。隨意加減。沸湯點服。杏酪湯。《必用》。杏仁三兩半。浸百沸湯。蓋定候冷。如是五度。掐去皮尖入砂盆內細硏。次用好蜜一斤。煉至二三沸。看涌掇退候半冷。旋傾入杏泥。又硏和勻。鳳膸湯。《必用》。松子。【卽柏子】 胡桃肉。湯浸去皮。各一兩硏爛。次入好蜜半兩和勻。每用沸湯點服。柏湯。【卽側柏】 採取嫩葉。線垂掛大甕中。紙糊其口。經月視之。如未乾。更閉之。至乾取出爲末。如不用甕。置密室中亦可。而但不及甕中者靑翠。此湯可以代茶。夜話飮之。尤醒睡。味大苦則少加山芋尤妙。《必用》、《神隱》方也。紫蘇湯。夏月先作百沸湯。取紫蘇不拘多少。用紙隔焙。不得飜動。候香以百沸湯入甁。仍將蘇葉投入。密封甁口。則香倍。只宜熱用。冷則傷人。木瓜漿。《必用》、《神隱》。木瓜一箇切下蓋去瓤。盛蜜却蓋了用簽。簽定入甑蒸軟去蜜。不用削去其皮。別入熟蜜半盞薑汁少許。擣硏如泥。以熟水三大碗攪均濾去滓。盛甁內。井底沈之。五味湯。《必用》。五味子滾湯浸一宿。取汁同煎。下濃豆汁。對當的顔色恰好。同煉熟密對入。酸甛得中。慢火同熬一時許。涼熱任意用。淸泉白石茶。用桃核、松子肉和眞粉。成小塊如石狀。置茶中。《倪雲林》方。梅花茶。《新方》。臘月後。用竹刀取半開梅花蕊。上下半蘸。以蠟投蜜缶中。夏天以熱湯就盞泡之。花卽綻。淸香可愛。菊花茶。甘菊花半開時摘下。括去靑蔕之皮。用甘泉烹過。和蜜飮之佳。菊花已開者去蔕皮。以蜜拌濕之。轉去菉末中。投沸湯。暫焯過取。又投蜜水中。散柏子仁飮之。乃《新方》也。葡萄茶。《新方》。葡萄及煉蜜。同擂碎取汁。少入生薑自然汁白蜜。和百沸湯候冷。傾入三汁。調勻飮之絶美。山葡萄、生梨、爛梨亦倣此爲之。浮柏子仁飮之。山裏紅。中原法也。爛熟山査。擂爛成汁。和其核調蜂蜜飮之。頗淸爽。薑橘茶。橘仁三錢。生薑五片。雀舌一錢。同煎如茶法。和蜜飮之。善開食積。出《新方》。當歸茶。立春時。取窖中所養當歸莖。以刀切三分許。投微溫蜜水中。浮柏子飮之。出《新方》。菉豆茶。菉豆暫烹。取水和蜜飮之。《新方》。浮小麥茶。取小麥。淘時浮小麥乾貯。暑月和水微烹。去滓取水飮辟暑。《新方》。紅麴茶。取紅麴半勺。和水烹飮。四時最宜。取滓更乾。復烹用。《新方》。五味子茶。取五味子十餘粒。尾蔘少許。暑月同煎飮勻。以淸暑滌煩。《新方》。其他茶茗散見諸書。不復辨。煎茶法。在《茶辨》。《和漢圖會》。以湯滿者。謂之中投。先湯後茶。謂之上投。春秋中投。夏上投。冬下投。
生蟹醬和蜜食。腸腑生火而死。食狗肉飮冷水。生寸白蟲。食罌粟菜與罌粟米。忌醋醬。南蠻椒與雞同食。生大風瘡。南瓜與羊肉同食。發水腫。芥菜有毛者殺人。食甘藷。忌醋同食。河豚湯落天煤。誤食殺人。生鮮羹。野薔薇飛入殺人。葡萄蟲屎尿落酒中殺人。多食鹿肉。損牙齒。但食後吃生米則不損。鱉肉與莧。腹生鱉蠱。食蠻椒。辣麻脣舌而噎。得火則愈甚。急吃沙糖。或吃濃末醬汁解之。松茸與米同藏於匱。翌日煮食。擧家皆死。然松茸漬泔水。特爲佳。米與泔不遠。蓋如吃砂糖。卽飮酒甚苦。而先酒後糖則不苦之理歟。松茸被毒者。吃蓼穗解之。茄子亦可。孕婦食桑椹。復食鴨蛋。子橫生。食薑。子六指。食狗肉。子瘖。孕婦食蟹爪脚。落胎。多食麥蘗及蕎麥。消胎。凡多食蕎麥。動風髮脫。簷落水下所生菜。食之殺人。芥菜有毛者。能殺人。玄雞白頭。食之病人。雞有六指四距。有五色者。皆殺人。蟹腹下有毛。殺人。六畜有死肉。食之殺人。落花生與黃苽。竝食殺人。凡果苽非時結熟者。雙蔕者。殺人。果木開花六出者。結果雙仁。殺人。花甁揷花水。食之殺人。黃精、萎㽔與梅實。同食殺人。商陵菜與犬肉。同食殺人。馬肝。食之殺人。白馬鞍下肉。食之殺人。凡菌中內無摺文。尤毒殺人。凡菌與薑同煮。薑片色黑或變色。有大毒殺人。秋葵菜食之。令人病瘟疫耳塞。入酒殺人。羊心有竅。食之害人。蛇化爲鱉。化鱉未入水。腹下尙有蛇紋者。食之殺人。六七月未經霜蟹。腹有物如芒。誤食中毒。故十分審愼。八月前勿食爲可。嘗於湖西。五六月蟹脫舊殼生新甲。軟脆如紙。人多捉食無恙。京中則六七月蟹多登市。賣蟹小賈。滿城喚售。人爲日用恒餐。亦無病死者。異於昔時。然宜愼之。値毒。紫蘇或生藕、乾蒜、冬瓜可解。天門冬與鯉。同食中毒。浮萍解之。食蜜。忌蔥及萵苣韭。食牛酪。勿食酸物生魚。黃顙魚與荊芥。同食殺人。黃顙魚似是小葛伊魚也。不然則似爲石首魚也。多食豆腐。腹脹欲死。揩子久用者。濯水飮之解。若飮酒卽死。《酉陽雜俎》。苽兩鼻兩蔕者。殺人。簷下滴菜。有毒。堇黃花及赤芥。殺人。大醉臥黍穰上。汗出眉髮落。婦人有娠食薑。令胎內消。十月食生霜菜。令人面無光。獸岐尾。鹿斑如豹。羊心有竅。悉害人。白馬鞍下肉。食之傷人五藏。鳥自死目不閉。鴨目白。鳥四距。卵有八字。竝殺人。
- [주-D001] 蜜煎果子 :
- 『蜜煎果子』부터 『以磁盛再煉蜜添之』까지는 洪萬選 撰 《山林經濟 卷2ㆍ蜜煎果子法》에 보인다.
- [주-D002] 半 :
-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3] 放冷以磁器取貯 :
- 『放冷以磁器石取貯』로 되어 있는데,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石』을 삭제하였다.
- [주-D004] 十兩 :
-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5] 極熟者 :
- 『取大棗極熟者』로 되어 있는데, 徐光啓 撰 《農政全書 卷30》에 근거하여 『取大棗』 를 삭제하였다.
- [주-D006] 杞菊茶 :
- 『杞菊茶』부터 『置茶中』까지는 《山林經濟 卷2ㆍ茶湯》에 보인다.
- [주-D007] 酥油不拘多少 :
- 『滴少酥油不拘多』로 되어 있는데,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08] 二兩草 :
- 『二兩甘草』로 되어 있는데,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甘』을 삭제하였다.
- [주-D009] 水芝湯 :
- 高濂 撰 《遵生八牋 卷11ㆍ水芝湯》을 참고하여 고쳤다.
- [주-D010] 二 :
-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1] 候 :
-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2] 又硏和勻 :
- 『又硏和勻用』으로 되어 있는데,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用』을 삭제하였다.
- [주-D013] 柏湯 :
- 『柏湯』위에 『醍醐湯見』이 더 보이는데, 文義에 따라 삭제하였다.
- [주-D014] 用 :
-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15] 取 :
- 『炒』로 되어 있는데, 《山林經濟》에 근거하여 고쳤다.
- [주-D016] 苽兩鼻兩蔕者 :
- 『苽兩鼻兩蔕者』부터 『令人面無光』까지는 段成式 撰 《酉陽雜俎 卷11ㆍ廣知》에 보인다. 단, 『苽兩鼻兩蔕者』은『苽霓兩蔕者』로 되어 있는데, 《酉陽雜俎》에 근거하여 고쳤다.
[1164]倒垂梅辨證說
- [주-D001] 花宜稱 :
- 『花宜稱』부터 『生猥巷穢溝邊』까지는 周密 撰 《齊東野語 卷15ㆍ玉照堂梅品》에 보인다.
- [주-D002] 梅有四德四貴 :
- 『梅有四德四貴』부터 『貴含不貴開』까지는 宮夢仁 撰 《讀書紀數略 卷54ㆍ梅四德四貴》에 보인다.
- [주-D003] 貴 :
- 《讀書紀數略》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 [주-D004] 梅樹有倒心之名 :
- 『梅樹有倒心之名』부터 『疑卽指此』까지는 李瀷 撰 《星湖僿說 卷4ㆍ倒心梅》에 보인다.
- [주-D005] 一花纔背尙堪猜 :
- 『一花纔背尙堪猜』부터 『昂頭一一見心來』까지는 李滉 撰 《退溪先生文集 卷4ㆍ再訪陶山梅十絶》에 보인다. 단, 『一花纔背尙堪猜』의 『猜』는 『現』으로 되어 있는데, 《退溪先生文集》에 근거하여 고쳤다.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다(煎茶)에 대한 고전문헌 자료 ㅡ 23 (0) | 2018.04.29 |
---|---|
宋代:叶清臣《述煮茶小品》 (0) | 2018.04.29 |
韓-中-日 三國의 茶文化 歷史 (0) | 2018.04.27 |
차품평 및 도자 용어(茶品評 . 陶磁 用語) (0) | 2018.04.27 |
유명 차인 (有名 茶人) (0) | 201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