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닥나무 / 우리 나무의 세계1

2019. 1. 6. 06:00야생화, 식물 & 버섯 이야기



우리 나무의 세계 1 

삼지닥나무

다른 표기 언어 Paper Bush , 三椏木 , ミツマタ三椏


요약 테이블
분류 팥꽃나무과
학명 Edgeworthia papyrifera


   멀리 남녘땅에서부터 봄을 알리는 꽃들이 겨울을 털고 기지개를 켠다. 근래 외국에서 들어온 풍년화영춘화가 2월 초나 중순이면 제일 먼저 봄소식을 전하고, 정원의 매화도 이에 뒤질세라 곧바로 꽃망울을 터뜨린다. 삼지닥나무는 이들보다 조금 늦게, 대체로 3월 초에 진한 노란색 꽃으로 봄 향기를 전하는 선두주자다.

   삼지닥나무는 잎이 나오기 전, 회갈색빛이 강한 껍질을 가진 나뭇가지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꽃받침 통은 가늘고 작디작은 긴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겉은 연한 잿빛 털로 덮인 꽃이 수십 개씩 둥글게 모여서 아래로 처진다. 거의 손가락 마디 길이만 한 꽃은 끝이 넷으로 갈라져 꽃잎처럼 되며, 포동포동 살이 찐 느낌이 들고 안쪽이 샛노랗다. 노랑꽃과 연한 잿빛의 털북숭이 꽃받침 통은 다른 어떤 꽃보다 어울림이 좋다. 이런 꽃들은 아기의 고사리 같은 손 주먹만 한 묶음을 만들어 가지 끝마다 나무 크기에 따라 수십 수백 개씩 매달린다. 꽃 모양을 실제로 접하지 못한 독자일지라도 앙증맞고 예쁠 것이라는 짐작에 어려움이 없을 터다.

   키가 1~2미터 남짓할 정도로 자그마한 삼지닥나무중국 남부가 고향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에서 직접 들여왔다는 자료는 없으며, 근세에 일본에서 가져와 남해안에 심은 것이 아닌가 짐작할 뿐이다. 현재 삼지닥나무를 가끔 만날 수 있는 곳은 양산 통도사, 경남 하동의 쌍계사, 전남 고흥의 금탑사를 비롯한 주로 남부지방의 사찰에서다.

   나무 이름은 가지가 셋으로 갈라지는 삼지(三枝) 모양에 닥나무처럼 쓰인다고 하여 삼지닥나무다. 실제로 가지는 셋씩 거의 같은 간격으로 갈라지며, 가지 뻗음은 수직축에 대하여 40~50도로 벌어진다. 이 벌림 각은 가지가 자라면서 차츰차츰 커져 나중에는 거의 수평상태가 되거나 수평보다 아래로 더 처지기도 한다. 따라서 전체 모양은 나뭇가지가 땅에 거의 닿으면서 자연적으로 밑변이 넓고 둥그스름한 형태가 된다. 잎은 진한 초록빛이며 약간 두껍고, 뒷면은 짧은 흰 털 때문에 하얗게 보인다. 잎 모양은 피뢰침처럼 생겼는데, 손가락 하나 길이에서 두 배 길이쯤 된다. 열매는 팥알 크기만 한 타원형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익는다.





  오늘날 삼지닥나무는 독특한 가지 뻗음과 봄을 알리는 샛노란 꽃을 감상하는 정원수로 우리에게 친숙하다. 그러나 원래 쓰임은 사람들의 문화생활을 지탱할 막중한 업무가 부과된 자원식물이다. 종이를 만드는 원자재로서 널리 알려진 닥나무보다 더 고급 종이를 만드는 데 쓰이는 귀한 나무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옛 문헌에서 딱히 삼지닥나무를 이용했다고 짐작할 수 있는 종이 만들기 기록은 없지만, 일본에서는 에도시대(1603~1867)부터 삼지닥나무로 종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자기네들의 옛 고급 일본종이[和紙]를 만들 때 닥나무와 함께 쓰이다가, 현대식 지폐를 만들 때 삼지닥나무의 껍질로 만든 펄프를 반드시 섞어 사용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이야 지폐를 만들 수 있는 질 좋은 다른 펄프들이 많으므로 그 쓰임이 차츰 줄어들고 있지만, 한때는 일본조폐공사에서 계약재배를 할 만큼 귀중한 원료였다. 삼지닥나무 껍질 속에는 단단하고 질긴 인피섬유가 사관(篩管)이라는 양분 이동 통로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 인피섬유는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으면서 질김은 닥나무를 능가하므로 고급 종이의 원료가 되었다.



종명 papyrifera에는 종이란 뜻이 들어 있어서 종이 만들기에 쓰이는 나무임을 나타내고 있다. 꽃봉오리는 몽화(夢花)라고 하여 눈병에 쓰이고, 뿌리는 몽화근(夢花根)이라고 하여 조루 등의 치료에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박상진 집필자 소개

   평생 나무를 연구한 학자,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무령왕릉 나무 관 등 나무로 만든 문화재의 재질을 분석하는 일을 했다. 그동 '궁궐의 우리 나무',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우리 문화재 나무답사기' 등 책을 여러 권 썼다.접기

출처

우리 나무의 세계 1
우리 나무의 세계 1 | 저자박상진 | cp명김영사 도서 소개

나무의 생태학적인 접근을 넘어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재조명한다. 우리 민족의 삶이 담긴 역사서 속에서 나무 문화재 대한 향기로운 이야기와 비밀을 알아본다.

전체목
꽃이 아름다운 나무   개나리     계요등     국수나무     꽃사과나무     노린재나무     누리장나무     능소화     동백나무     덜꿩나무     등나무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매화나무     명자나무(명자꽃)     모감주나무     모란     목련     무궁화     박쥐나무     박태기나무     배롱나무               백당나무     병꽃나무     산딸나무     산사나무     생강나무     서향     수국     수수꽃다리     실거리나무     아왜나무     야광나무     영산홍             철쭉     자귀나무       장미       조팝나무      족제비싸리      진달래     찔레꽃     팥배나무     풍년화     해당화    협죽도      황매화 

과일이 열리는 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감나무     고욤나무     개암나무      귤나무     까마귀밥나무     능금나무     다래나무     키위       대추나무     돌배나무     머루     포도나무     멀꿀     으름덩굴      모과나무     무화과나무     천선과나무      밤나무     보리장나무     복사나무       비파나무     살구나무     석류나무     앵두나무     자두나무

약으로 쓰이는 나무     개오동나무     겨우살이     골담초     구기자나무     꾸지뽕나무     딱총나무     마가목     머귀나무     무환자나무     복분자딸기     붉나무     산수유     소태나무     순비기나무     오갈피나무     오미자      음나무      인동덩굴     주엽나무     헛개나무

생활에 쓰이는 나무     갈매나무     갯버들     노각나무     노간주나무     닥나무     대나무 무리     대나무(왕대)     이대     조릿대    대팻집나무두릅나무      뽕나무      사위질빵     삼지닥나무     소사나무     쉬나무     싸리나무     예덕나무     오리나무     옻나무      차나무     참죽나무           청미래덩굴     초피나무     치자나무         탱자나무     팽나무      푸조나무     향나무     황벽나무     황칠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