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1번’만 찾던 강남3구 ‘콘크리트 지지층’ 변했나? / 경향신문 기사

2014. 6. 7. 15:15잡주머니






       이슈 2014 6.4 지방선거


[단독]‘1번’만 찾던 강남3구 ‘콘크리트 지지층’ 변했나?

인쇄하기l폰트크기확대축소
    보수 여당의 아성으로 여겨진 서초ㆍ강남ㆍ송파 등 강남3구. 이번 6·4지방선거에서는 이전 선거와는 다른 민심의 흐름이 감지됐다. 박원순 후보가 47.1%를 득표했다.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48.6%)와 불과 1만1713표 차이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오세훈, 2011년 보궐선거에서 나경원,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것과 뚜렷이 대비된다. 이번 선거에서 나타난 강남 표심은 과연 변화의 전조일까? 



‘강남 3대장’, ‘강남 계급투표’, ‘강남 3구 콘크리트 지지층’. 선거 때가 되면 회자되는 말이다. 

   선거에서 예측할 수 없는 돌발변수, 이번 지방선거에서 예를 든다면 세월호 사건과 같은 ‘대참사’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되게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강남 3구-서초, 강남, 송파구-의 기득권적 이해에 충실한 투표행태를 가리키는 표현들이다. 그런데 이런 지적이 나온 것은 극히 최근이다. 언론 보도를 기준으로 검색해봐도 강남 3구의 보수적 투표행태에 대한 지적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참여정부 후반 무렵부터였다. 

   “서초는 세상의 등불이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서초구청장으로 출마한 곽세현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다. “1988년, 민주화 열기 속에서도 야권분열로 정권교체에 실패했다…(중략)…그때 야당 국회의원을 2명 당선시킨 것이 다름 아닌 서초구였다.” 

   1988년 1월 1일자로 강남구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서초구는 그해 4월 26일 치러진 13대 선거에서 무소속의 박찬종, 야당인 통일민주당의 김덕룡을 의원으로 선출한다. 강동구에서 갈라져 나온 송파구도 마찬가지다. 통일민주당의 김우석, 평화민주당의 김종완이 의원으로 당선됐다. 강남구에서도 통일민주당 황병태가 민정당의 이태섭과 함께 당선됐다. 이 경향은 1992년에 치러진 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어진다. 강남·서초구는 여당과 야당의원 1명씩을 배출했고, 송파구는 모두 야당의원이었다. 그랬던 강남 3구가 변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경향신문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자가 4일 저녁 서울 종로5가 캠프 상황실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선물한 운동화를 목에 걸고 부인 강난희 여사와 함께 손을 들어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정지윤기자


1998년 지방선거부터 보수여당으로 쏠려

   <주간경향>은 중앙선관위의 역대 선거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강남 3구와 강동구의 실제 선거데이터를 재구성해봤다. 10% 미만의 지지를 받은 소수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를 제외하고 크게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으로 이어지는 현재 ‘여권’ 후보와 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민주당-열린우리당-통합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으로 이어지는 현 ‘야권’ 후보의 득표수를 비교했다. 

일단 서울시장과 대통령 선거 투표만을 기준으로 삼았다. 

    전체적인 상황과 달리 강남만의 투표행태가 처음 나타난 것은 1998년 치러진 2회 지방선거였다. 새정치국민회의의 고건 후보와 한나라당 최병렬 후보가 맞붙은 선거에서 서울시장으로 당선된 이는 고건이었다. 고건 후보는 최병렬 후보보다 전체 득표율에서 약 9%, 32만4000표를 앞섰다. 하지만 강남 3구의 합계를 내보면 고건 후보는 최병렬 후보보다 2만8144표를 뒤졌다. 

    2002년 6월 치러진 3회 지방선거에서 이 표차는 확대된다. 서울시장으로 출마한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는 강남 3구에서만 김민석 새천년민주당 후보보다 12만8373표를 더 받았다. 이 후보와 김 후보의 전체 표차 32만표의 3분이 1이 강남 3구에서 나왔다. 이 해 말 치러진 대선에서 표차는 줄어들지만 역시 강남 3구는 보수 후보를 택했다. 대통령으로 당선된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가 낙선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보다 8만1405표 뒤졌다. 노무현 후보는 전국적으로 이 후보보다 34만5581표를 더 받았다. 

    강남 3구 지역에서 현 여권과 야권의 표 차이가 정점에 달한 것은 2006년 5월 31일 서울시장 선거와 2007년 대통령 선거였다. 당시 여야 후보의 표차는 각각 30만3242표, 36만2623표였다. 하지만 이때는 강남 3구뿐만 아니라 서울시 다른 구에서도 현재의 야권 후보가 패배한 상황이었다. 

    강남 계급투표, 강남 3대장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나온 것은 2010년 6·2 지방선거 때다. 개표 당일, 엎치락 뒤치락을 거듭하던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와 한명숙 민주당 후보의 표차가 역전되어 굳은 것은 강남 3구의 개표 결과가 본격적으로 전체 투표에 반영된 새벽 4시 이후였다. 중앙선관위의 자료를 보면 최종적으로 강남 3구에서만 오세훈 후보가 한명숙 후보보다 12만6930표를 더 받아 ‘오세훈 일병을 구한 강남 3대장’이라는 별명이 탄생했다. 전체 득표에서 두 후보의 차이는 2만6417표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 당선 때 36만표 차로 정점을 찍은 강남에서 현 여권과 야권의 득표차는 크게 하락하는 추세였다. 전폭적 지지처럼 보이는 강남3구의 투표행태는 개표시간차가 빚어낸 일종의 ‘착시효과’였다. 

    강남의 투표행태는 주목을 받았다. 2011년 오세훈 시장이 승부수로 던진 이른바 무상급식 투표에서 서울의 다른 구는 개표에 필요한 33.3%에 미달했지만 강남구(35.4%)와 서초구(36.2%)는 그 비율을 넘겼다. 

경향신문

나눔ㆍ기부 앞세운 박원순식 행보 어필

    18대 대선 당시 강남 3구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당 후보의 표차는 약간 늘어났지만(13만7206표차), 마침내 이번 지방선거에서 그 격차는 큰 폭으로 줄었다. 최종 집계 결과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는 박원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에 비해 1만1337표만 앞섰을 뿐이다. 여기에 서울을 4개 권역으로 나눠 강동구를 포함하면 표차는 오히려 박원순 후보가 1만1502표 앞선 것으로 나타난다. 이 결과는 <주간경향>이 조사한 1998년 이후 이들 지역에서 처음으로 현 여권과 야권의 지지율 표차가 뒤집힌 것이다.(뒷장 표2 참조) 

    강남 3구 내부적으로는 각 구별로 이질적인 경향이 보인다는 지적이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손낙구 새정치연합 최원식 의원 보좌관은 2010년에 펴낸 책 <대한민국 정치지도>에서 서울시의 구를 구성하는 518개 동으로 나눠 선관위 데이터를 재구성했다. 여기에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조사 결과를 결합해 이를 테면 종교 유무, 부동산 보유 유무와 투표율 및 지지정당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냈다. 

   <대한민국 정치지도>는 여러모로 기념비적인 책이다. 1980년대까지 한국 정치를 설명하는 틀은 여촌야도(與村野都)였다. 즉 가난하고 학력이 낮은 사람들이 권위주의적 집권당을 지지하는 데 비해, 상대적으로 부유하고 교육수준이 높은 도시 거주민이 야당을 지지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었다. 이른바 ‘계급배반투표’론의 근거였다. 그런데 실제 데이터를 놓고 보니 수도권에서는 이런 설명이 맞지 않았다. 즉 재산이 많고, 학력이 높고, 종교를 많이 믿는 도시적 특성이 강할수록 투표율도 높아지며 보수적 집권당을 더 많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책 출간 후 ‘계급투표’에 대한 논란은 계속됐다. 

    이번 선거에서 강남 3구의 과거와 다른 이변은 선거 전부터 나타났다. 선거 전 서울시장 사전 여론조사에서 야권의 박원순 후보가 여권의 정몽준 후보를 앞서는 현상은 여러 여론조사기관의 조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됐다. 여론조사의 특성상 기존의 강남 3구에 비해선 다소 야권 지지 성향이 강한 강동구 주민들의 여론까지 포함됐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정 후보가 텃밭에서도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 못한 상황이 선거 직전까지 이어졌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일단 정당 지지율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지지정당을 보여주는 광역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 강남 3구 투표자들의 52.7%는 새누리당에 표를 던진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에 투표한 유권자는 38.3%에 불과했다. 

    정당 지지와 박원순 후보 지지 사이에는 분명한 괴리가 존재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이 ‘박원순’이라는 인물변수의 독특한 성격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하는 배경이다. 

    이번 선거에서 선거운동 방식부터 박 후보는 과거 전통적인 야권후보와 차별적인 행보를 보였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대변인과 주요 조직에 참여했지만, 박 시장의 선거운동은 박 시장 개인이 시민을 만나는 콘셉트로 진행됐다. 강남 3구로 제한한다면 서울시장이 되기 이전부터 박 시장은 강남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다. 시민운동가 출신인 박 후보는 지난 2011년 재·보궐선거에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기 전까지 서초구 방배동의 아파트에서 살았다.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를 경영하는 부인 강난희씨 회사의 주무대도 강남이다. 참여연대 사무처장을 역임한 박 시장의 다음 행보는 아름다운가게와 재단이었는데, 가진 사람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는 나눔·기부활동으로 강남 3구 주민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그러다보니 박 시장 개인에게 가해진 네거티브도 그것에 맞춰진 것이었다. 부인 강난희씨에 대한 성형 의혹이나 아들 박주신씨의 병역기피 의혹 등 가족을 겨냥한 네거티브는 “박 시장은 위장서민”이라는 공격을 바닥에 깔고 있었다. 

    손낙구 보좌관은 세월호 변수와 함께 그가 지난 2년 6개월간 시정을 통해 보여줬던 모습도 종전의 진보와 상당히 다른 ‘신뢰’를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민주정부 10년 이후 야당에 대한 이미지는 시끄럽기만 하지 무능하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박원순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했지만, 막상 되고 보니 꽤 잘해낸 것이다. 참여연대나 희망제작소 등에서 수많은 외국 사례를 연구하면서 미세하고 다양한 실생활 문제를 천착하며 쌓은 실력이다. 그 지식과 경험을 시정에 적용한 것이 박 시장에 대한 신뢰의 원천이지 않나 싶다.” 

    이재환 모노리서치 책임연구원은 “한국 사회에서 대대로 부자는 강남이 아니라 평창동에 사는 경우가 많았고, 강남은 198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된 중산층 지역이라는 역사적 형성과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강남 사람들은 자신들을 산업화의 수혜자로 생각해 자신들의 사회적 신분을 위협할 수 있는 과격한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갖지만, 가진 사람의 도덕적 책임을 강조해온 박원순 식의 시민운동에 대해서는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특히 2005년 이후 강남에서는 교육열을 바탕으로 서비스업이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학원강사로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가슴속에 진보적 의제를 담고 있는 사람들로 박원순이라는 인물에 대해 부담없이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조건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중요한 변수는 세대다. 유창오 <진보세대가 지배한다> 저자는 “세대구도에서 박원순 후보가 아주 강한 모습을 보였는데, 방송3사 1차 여론조사의 경우 30대의 78%가 박원순 후보를 지지한 반면, 정몽준 후보는 9%를 받는 데 그쳤다”고 말했다. 유씨에 따르면 세대변수는 계급과 지역을 넘어서 작동하는 변수였다. 대구나 부산 등지에서 야권이 약진한 것도 20~30대의 절대적인 지지가 컸다는 것이다. 유씨는 이렇게 덧붙였다. “사실 우리나라의 보수를 둘로 나눠본다면 박정희적인 것과 신자유주의적인 것이 있다. 박정희 시대의 특징이 여촌야도였기 때문에 강남에서 1980년대까지는 야당이었던 신한민주당이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금 박근혜 정부의 모습을 보면 오히려 과거 박정희 시대를 연상시키는 국가주의로 회귀하는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강남권의 20~40대가 그런 흐름에 대해 거부감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강남 3구의 젊은 세대는 진보에 대한 지지라기보다 박근혜 정부가 보이는 특성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 유씨의 분석이다. 

경향신문

2030 야당 선호 아닌 박근혜리더십 거부

   김명신 서울시 의원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강남구청장에 도전했다. 하지만 역부족이었다. 35.38%를 받았다. 강남구에서 박 시장이 45.04%를 받은 것에 비하면 9.66% 정도 차이가 난다. 그는 “확실히 유세현장에 가면 우호적인 분위기로 바뀐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기점은 세월호 사건이었다. 특히 20대 초·중반의 지지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것이 표로 연결되기까지는 아직도 신뢰를 더 쌓을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덧붙였다. “박 시장 표가 늘어난 요인이 10가지가 있다면 나는 개인적으로 그 중 5가지는 세월호에 대한 정권심판론이었고, 3은 박 시장 개인에 대한 평가, 그리고 2 정도가 같이 움직인 사람들의 영향일 것으로 본다.” 

    2014년 6월 지방선거까지 강남 3구의 표차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콘크리트 지지’는 착시현상에 불과했다. 비록 보수 집권이라는 선거 결과를 바꿀 임계점까지 도달한 것은 아니지만, 그 절정부는 이미 2006년과 2007년을 거치면서 넘어섰다. 2012년과 2014년을 거치며 보수 집권층 지지라는 강남 3구 콘크리트의 붕괴가 목격되고 있다. 그 붕괴는 젊은 세대들의 이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정치, 새로운 인물, 새로운 리더에 대한 갈망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수가 ‘멍청하다’고 탓하기 전에…

  “미국 유권자의 절반이 공화당을 찍은 이유가 그들이 ‘멍청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 도덕적 매트릭스에 갇혀 있는 셈이다.” 

   뉴욕대학 스턴경영대학원 교수인 조너선 하이트의 말이지만, 한국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이번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끝난 뒤에도 야권 지지성향의 누리꾼들을 중심으로 보수 후보와 정당에 투표한 유권자들을 탓하는 게시물들은 어김없이 올라왔다. 영남권과 50대 이상의 고령 유권자층이 집중적 비판을 받았다. 이 비판은 정당할까, 그리고 진보진영에 도움이 될까. 

    지난 4월 한국어로 출간돼 큰 관심을 끌고 있는 하이트 교수의 <바른 마음>이란 책에 따르면 진보와 보수의 시각차가 생기는 이유를 상대의 ‘멍청함’에서 찾아선 안 된다. 게다가 그런 입장은 득표를 위해서도, 사회적 갈등을 조정하는 데 있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좌우를 가르는 정치적 입장차의 근본적인 이유는 ‘바른 마음’, 즉 정의감이 무엇인지에 대한 도덕적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진보성향일수록 대체로 도덕을 약자에 대한 배려와 공정성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집단에 대한 충성, 권위에 대한 복종, 순수한 것에 대한 숭상과 같은 덕목은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반대로 보수성향이 강할수록 이런 덕목들은 필수적인 도덕률이 된다. 그들의 눈에는 진보성향의 시민들은 무례하고 비도덕적인 집단으로 보인다. 도덕의 차이는 상대방과의 차이를 부각시키고 결국 내부 집단의 결속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때문에 보수진영은 ‘잘난 척’하는 진보진영에 맞서 더욱 결집하고, 때론 극단적으로 되기도 한다. 

   강남 3구에서 정몽준·박원순 두 후보를 향한 지지율이 예전과 달리 엇갈린 것도 ‘도덕’과 ‘정의감’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보수가 중시하는 순수성을 기준으로 볼 때 박 후보가 진도 팽목항을 방문하면서 기자들을 대동하지 않고 실종자 가족들을 찾은 모습은 보좌진과 기자들에 둘러싸인 정 후보의 모습과 비교됐다. ‘농약급식’ 논란과 박 후보 부인에 대한 네거티브 전략을 둘러싼 양측의 설전에서도 정 후보는 오히려 상대 흠집내기에 나서며 보수적 덕목과는 거리가 있는 행보를 보였다. 그 결과 보수의 전통적 지지 지역인 강남 3구에서까지 박 후보가 상당한 지지율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트 교수는 진보진영이 소홀히 해온 세 가지 보수적 덕목들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진보를 향한 조언의 비중이 더 커 보이는 것은 진보진영이 보수진영에 비해 상대방의 도덕적 태도를 낮춰보는 경향이 비교적 크다는 연구 결과에 기인한다. 진보에게는 일종의 도덕적 ‘판단중지’가 필요하다는 것, 보수의 ‘정의감’을 파악하고 공감하기 위해 진보는 잘난 체를 그만두고 겸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그의 조언이다. 

<정용인·김태훈 기자 inqbus@kyunghyang.com>


'잡주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십자평 - 20140616 월요일  (0) 2014.06.18
오늘의 십자평 - 20140618 수요일  (0) 2014.06.18
어떤 댓글  (0) 2014.05.30
옻이 올랐을때 치료법  (0) 2014.05.20
서하지통(西河之痛)  (0) 201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