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의 아름다운 문양 ㅡ 양주 천보산 회암사지에서

2013. 5. 22. 12:16우리 역사 바로알기

 

 

          고려말 우리나라의 선종을 중흥시키신 인도스님 지공대사(指空大師)의

 

     발차취를 찾아서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회암사지(檜巖寺址)를 다녀 왔다.

 

 

         회암사지는 1997년 부터 문화재청과 경기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연차적으로

     

     현재까지 10차례 발굴이 이루어졌고, 현재에도 2011~2014년 까지

 

     발굴작업이 진행 중이다. 회암사지는 국가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선조 초기에 왕실의 지원을 받아 사세(寺勢)가 으뜸이었던 절이다.

 

 

 

         회암사는 창건시기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동국여지승람>에

 

      고려 명종 4년(1174년)에 金나라 사신이 회암사를 방문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창건된 것은 분명하다.

 

 

          회암사는 고려말(1328년) 인도 마가다국 출신 승려인 지공대사의

 

      뜻에 따라, 그의 제자 보제존자 나옹(懶翁)선사가 중창하였으며,

 

      나옹의 제자이자 태조 이성계의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주석하며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하에 사세가 확장되었다.

 

 

          태조 이성계는 재임시에 회암사를 네차례 공식방문하였으며,

 

       물러나 상왕(上王)이 된 후에 회암사에 거처를 두기도 하였다.

 

 

           사찰의 배치도 일반의 다른 절과는 달리,  제일 뒷편에 정청(政廳)을

 

        별도로 두어 군사조련시 등에는 왕의 집무를 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절의 특성상 다른 사찰에서는 설치를 금하고 있는 지붕 위의

 

        잡상(雜像) 등이 발굴되었고,  용무늬와 봉황무늬의 암숫막새, 연화문 암숫막새,

 

        청기와 등 여러 유물들이 발굴되었거나 지금도 발굴 중이다.

 

 

            발굴된 유물들은 사지 앞에다 회암사지박물관을 지어서 전시되고 있다.

 

         용봉무늬 기와가 함께 발굴되는 것은 여타 사찰에서는 보기 드문 경우로서

 

         그 만큼 회암사가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고 있었음을 의미하며,

 

         한편 별궁(別宮) ㅡ 행궁으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봉황 무늬 숫막새   ㅡ   순천장경(順天長庚)이라는 한자가 새겨져 있슴.

               順天長庚  :  하늘을 따르면 나라가 오래 번성하리라.

               경(庚) : 일곱째 천간 경으로 天文에서 28수(宿) 동방칠사 중

                       일곱번째 별인 기(箕)가 우리 조선을 뜻함.

 

 

 

    천계 무늬의 숫막새

      구름 위를 날고 있는 천계(天鷄 :長尾鷄)  :  봉황과 같은 의미의 문양임.

 

 

 

 

    봉황문 숫막새

 

 

 

 

    용무늬(龍紋) 암막새

 

 

 

 

    용문 암막새

 

 

 

 

     연화문 암막새

 

 

 

 

    연화문 숫막새

  

     ***  기와의 실제 색깔은 흑회색이나 박물관 유리 진열장 안에 있는 것을

       사진으로 찍고 무보정하였기 때문에 만주지방 고구려나 발해유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황토색으로 나온 것이니 혜량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회암사(檜巖寺)를 상징하는 전나무 그래픽

         회암사 주변에 전나무를 많이 심었고, 불경 목판 발간은 이 전나무를 이용함.

 

 

 

 

     천보산(天寶山) 만경대에서 바라본 회암사지

          새로 지은 회암사에서 11시 방향에 있는 연한 녹색의 공터가 회암사지임.

 

 

 

 

    회암사 복원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