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코헬렛은 허무에 대해 탄식한다. 모든 것은 허무이다.
인간의 모든 노고도 허무로 돌아가고,
자연의 움직임도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다.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으며,
기억할 만한 특별한 의미를 지닌 것도 없다(제1독서).
헤로데는 예수님의 소문을 전해 듣고 몹시 놀라며 당황한다.
그는 예수님을 만나 보려고 한다(복음).
| |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란 없다.>
▥ 코헬렛의 말씀입니다. 1,2-11
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
태양 아래에서 애쓰는 모든 노고가 사람에게 무슨 보람이 있으랴?
한 세대가 가고 또 한 세대가 오지만, 땅은 영원히 그대로다.
태양은 뜨고 지지만, 떠올랐던 그곳으로 서둘러 간다.
남쪽으로 불다 북쪽으로 도는 바람은 돌고 돌며 가지만,
제자리로 되돌아온다.
강물이 모두 바다로 흘러드는데, 바다는 가득 차지 않는다.
강물은 흘러드는 그곳으로 계속 흘러든다.
온갖 말로 애써 말하지만, 아무도 다 말하지 못한다.
눈은 보아도 만족하지 못하고, 귀는 들어도 가득 차지 못한다.
있던 것은 다시 있을 것이고, 이루어진 것은 다시 이루어질 것이니,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란 없다.
“이걸 보아라, 새로운 것이다.”
사람들이 이렇게 말하는 것이 있더라도,
그것은 우리 이전, 옛 시대에 이미 있던 것이다.
아무도 옛날 일을 기억하지 않듯, 장차 일어날 일도 마찬가지.
그 일도 기억하지 않으리니, 그 후에 일어나는 일도 매한가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 |
<요한은 내가 목을 베었는데, 소문에 들리는 이 사람은 누구인가?>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7-9
그때에 헤로데 영주는 예수님께서 하신 모든 일을
전해 듣고 몹시 당황하였다.
더러는 “요한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났다.” 하고,
더러는 “엘리야가 나타났다.” 하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은 “옛 예언자 한 분이 다시 살아났다.” 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헤로데는 이렇게 말하였다.
“요한은 내가 목을 베었는데, 소문에 들리는 이 사람은 누구인가?”
그러면서 그는 예수님을 만나 보려고 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
성경의 인물 가운데 「코헬렛」의 저자가
가장 철학자와 같은 인물이라고 평할 수 있습니다.
자연의 순리와 인간사의 흐름을 관찰한 뒤 모든 것은
‘허무’라고 결론짓는 그의 모습에는 우주의 원리와
인생사의 의미를 캐묻는 고대 철학자의 풍모가 엿보입니다.
그러나 「코헬렛」의 저자가 경험하고 확인하는 허무는
경험을 초월하는 차원이 아니라 ‘실존적 차원’의 허무이기에
학문적 관찰의 대상이 아니라 끌어안고 살아가며
넘어서야 할 삶의 과제입니다.
「코헬렛」의 저자는 추상적인 사유를 목적으로 하는
유형의 철학자가 아니라, 인생을 제대로 살아가고자 하는
구도자이자 실천가로서의 철학자라 하겠습니다.
그가 직면한 허무는 인간의 수고와 삶 전체가 무의미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는 마음속 깊은 곳의 불안과도 같은 것이라 하겠습니다.
「코헬렛」을 읽다 보면, 참으로 염세적이고
회의적인 세계관으로 일관하는 ‘허무의 철학’에
도달한 것 같은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주석가들의 견해처럼,
철저한 현상 인식은 사람들이 순진하게 의지하는
피상적인 낙천주의를 벗겨 내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그 저자는 진정으로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열정을 지니고 있었을 것입니다.
인간적 업적과 소유, 지식, 쾌락 따위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은 삶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낳는 것을 알기에
먼저 그 환상을 깨야 했을 것입니다.
「코헬렛」 1장과 2장에서 말하듯,
‘세상의 임금 노릇’을 하는 것이 얼마나 허무한 것임을
아는 사람만이 참된 행복을 알아볼 눈을 뜨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이 허무요 바람을 잡는 일”(코헬 2,17)이라는
인식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삶의 덧없음’을
넘어설 수 있는 진정한 ‘행복의 철학’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답은 ‘하느님의 손에서 오는 즐거움’(코헬 2,24 참조)에
눈을 뜰 때 주어질 것입니다
|
-출처 매일 미사-
♬ 내려놓게 하소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