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선생문집 (孤雲先生文集) 外
2015. 1. 31. 17:27ㆍ우리 역사 바로알기
고운집(孤雲集) |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
| ||||||||||||||||||||||||||||||||||||||||||||||||||||||||||||||||||||||||||||||||||||||||||||||||||||||||||||||||||||||||||||||||||||||||||||||||||||||||||||||||||||||||||||||||||||||||||||||||||||||||||||||||||||||||||||||||||||||||||||||||||||||||||||||||
| ||||||||||||||||||||||||||||||||||||||||||||||||||||||||||||||||||||||||||||||||||||||||||||||||||||||||||||||||||||||||||||||||||||||||||||||||||||||||||||||||||||||||||||||||||||||||||||||||||||||||||||||||||||||||||||||||||||||||||||||||||||||||||||||||
기사전거 : 新羅國初月山大崇福寺碑銘(崔致遠 撰)에 의함 | ||||||||||||||||||||||||||||||||||||||||||||||||||||||||||||||||||||||||||||||||||||||||||||||||||||||||||||||||||||||||||||||||||||||||||||||||||||||||||||||||||||||||||||||||||||||||||||||||||||||||||||||||||||||||||||||||||||||||||||||||||||||||||||||||
기사전거 : 孤雲先生事蹟 등에 의함 | ||||||||||||||||||||||||||||||||||||||||||||||||||||||||||||||||||||||||||||||||||||||||||||||||||||||||||||||||||||||||||||||||||||||||||||||||||||||||||||||||||||||||||||||||||||||||||||||||||||||||||||||||||||||||||||||||||||||||||||||||||||||||||||||||
저자의 시문은 「桂苑筆耕集」의 간행으로 당 나라에서 지은 작품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 그러나 귀국후의 대부분의 散文과 在唐時의 약간의 詩는 여러 문헌과 金石文 등에 흩어져 있었다. 이에 후손 崔國述ㆍ崔勉植 등이 樂府ㆍ東文選ㆍ野史ㆍ僧傳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록을 모아 1926년에 두 종의 「孤雲先生文集」을 간행하였다. 하나는 6월에 후손 崔國述이 盧相稷의 序를 받아 간행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겨울에 후손 崔勉植 등이 李商永의 序를 받아 간행한 것이다. 崔國述이 간행한 문집은 「계원필경집」이 수록되어 있지 않고, 「東文選」에 실려 있는 詩ㆍ表ㆍ狀ㆍ啓ㆍ記 등과 四山碑銘이 대부분이다.《崔國述本》 이 본은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811.96-최치원-고-판)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崔勉植 등이 간행한 문집은 「계원필경집」을 포함하여 권1에는 詩 86수, 表 20수, 狀 73수, 권2에는 疏 2수, 啓 8수, 檄 4수, 委曲 20수, 擧牒 50수, 序 18수, 記 2수, 齋詞 15수, 권3에는 別紙 95수, 祭文 5수가 실려 있다.《崔勉植本》 이 본은 현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2491)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26년 6월에 간행된 崔國述本으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이다. 기사전거 : 序(盧相稷ㆍ후손 崔國述ㆍ李商永 撰), 跋(후손 崔在敎 撰)에 의함 | ||||||||||||||||||||||||||||||||||||||||||||||||||||||||||||||||||||||||||||||||||||||||||||||||||||||||||||||||||||||||||||||||||||||||||||||||||||||||||||||||||||||||||||||||||||||||||||||||||||||||||||||||||||||||||||||||||||||||||||||||||||||||||||||||
본 문집은 3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詩文, 권2~3은 碑銘(四山碑銘)이다. 권수에는 1926년에 쓴 盧相稷의 重刊序, 후손 崔國述이 쓴 編集序, 目錄 및 孤雲先生事蹟이 실려 있다. 目錄에는 저자의 총 저작목록인 卷外書目이 첨부되어 있다. 事蹟은 「三國史記」ㆍ「東國通鑑」ㆍ「東史纂要」 등의 史書類와 家乘, 그 밖에 저자의 遺蹟ㆍ祠院ㆍ致祭文ㆍ祝文ㆍ檀典要義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자료를 抄錄한 것이다. 권1에는 賦 1편, 詩 32題, 表 8편, 狀 6편, 啓 1편, 記 3편이 실려 있으며, 대부분 「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詩는 오언고시 4제, 오언절구 2제, 칠언절구 10제, 오언율시 4제, 칠언율시 6제, 七言詩句 3제, 칠언절구 1제, 칠언율시 1제가 詩體別로 編次되어 있는데, 在唐時ㆍ歸國後의 작품이다. 表와 狀은 귀국후에 지은 新羅王의 代作으로 唐에 보낸 國書이다. 그중 〈百濟遣使朝北魏表〉는 百濟王의 代作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저자의 글이 아님이 분명하다. 記 2편은 불교관계의 글이다. 권2에는 〈無染和尙碑銘(幷序)〉과 〈眞鑑和尙碑銘(幷序)〉이 실려 있다. 전자는 일명 崇嚴山 聖住寺 朗慧和尙 白月葆光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가 忠南 保寧郡 嵋山面 聖住寺址에 남아 있으며 국보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후자는 일명 智異山 雙谿寺 眞鑑禪師 大空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가 慶南 河東郡 花開面 雙溪寺 境內에 남아 있으며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3에는 〈大崇福寺碑銘(幷序)〉과 〈智證和尙碑銘(幷序)〉이 실려 있다. 전자는 일명 初月山 大崇福寺碑銘으로 불리며, 현재 塔碑는 남아 있지 않다. 이 碑銘은 다른 세 비명이 禪僧들의 塔碑인 데 반하여 신라 왕실에서 寺院을 세운 내력을 담고 있다. 후자는 일명 曦陽山 鳳巖寺 智證大師 寂照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는 慶北 聞慶郡 加恩面 鳳巖寺 境內에 남아 있으며 보물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3에는 이 밖에 贊 3편이 실려 있는데 〈順應和尙贊〉ㆍ〈利貞和尙贊〉 2편은 「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권2~3에 실려 있는 4편의 碑銘은 네 곳의 산에 있기 때문에 통털어 ‘四山碑銘’으로 불리는데, 귀국후 왕명을 받들어 지은 것으로 당시에 유행한 四六騈驪文으로 쓰였다. 〈海雲碑銘序〉에 의하면 이 「사산비명」은 萬曆年間(1573~1619)에 鐵面老人(?)이 「孤雲集」 10권 속에서 4편의 비명만을 뽑아 주석을 붙여 한 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로 「사산비명」은 독립된 책으로 읽혔고, 현재 蒙庵이 註解한 〈海雲碑銘註〉 및 純祖 연간의 洪景謨의 註解本 등 몇 종의 주해본이 전하고 있다. 권3에 실려 있는 贊 3편 가운데 〈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幷序〉는 佛國寺古今歷代諸繼創記 중의 〈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讚〉과 〈王妃金氏爲考繡釋迦如來像幡讚〉 두 편을 잘못 抄錄ㆍ混合한 것이라고 한다. 권미에는 1926년에 쓴 후손 崔在敎의 跋이 실려 있고, ‘古齋編刊’이란 刊記가 있다. | ||||||||||||||||||||||||||||||||||||||||||||||||||||||||||||||||||||||||||||||||||||||||||||||||||||||||||||||||||||||||||||||||||||||||||||||||||||||||||||||||||||||||||||||||||||||||||||||||||||||||||||||||||||||||||||||||||||||||||||||||||||||||||||||||
ㅡ <한국고전종합DB> 자료 중에서 전재 .....
|
'우리 역사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방민족이 중국대륙에 건설한 마지막 나라, 여진족의 '大淸제국' (0) | 2015.02.09 |
---|---|
만주에서 3·1, 2·8 선언보다 앞선 ‘무오독립선언’ 있었다 (0) | 2015.02.09 |
양도(良圖)의 지략 (0) | 2015.01.31 |
% 잊혀진 역사 (0) | 2015.01.30 |
술잔을 나누고 음식을 먹는 동뢰(同牢) (0) | 201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