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선생문집 (孤雲先生文集) 外

2015. 1. 31. 17:27우리 역사 바로알기

 

 

 

 

 

      

고운집(孤雲集)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孤雲先生文集
판심제  孤雲先生文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926年刊
권책  目錄ㆍ事蹟ㆍ本集 3권 합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19.8×15.7(㎝)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811.96-최치원-고-판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1


 저자

성명  최치원(崔致遠)
생년  857년(통일신라 헌안왕 1)
몰년  ?
 海雲(夫)
 孤雲
본관  慶州
시호  文昌侯
특기사항  文廟에 배향

 가계도

 崔肩逸
 


 崔致遠
 



기사전거 : 新羅國初月山大崇福寺碑銘(崔致遠 撰)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안왕 1 857 정축 大中 11 1 慶州 沙梁部에서 태어나다.
경문왕 8 868 무자 咸通 9 12 당 나라에 건너가 國子監에 유학하다.
경문왕 14 874 갑오 乾符 1 18 9월, 예부시랑 裵瓉이 主試한 賓貢科에 급제하여 進士가 되다.
헌강왕 1 875 을미 乾符 2 19 洛陽을 遊浪하며 지은 賦 5수, 詩 100수, 雜詩賦 30수를 모아 3편으로 편집하다.
헌강왕 2 876 병신 乾符 3 20 宣州 溧水縣尉가 되다. 이때 公私間에 지은 글을 모아 「中山覆簣集」 5권을 만들다.
헌강왕 3 877 정유 乾符 4 21 겨울, 율수현위를 사직하다.
헌강왕 4 878 무술 乾符 5 22 宏詞科에 응시하기 위해 終南山에서 공부하다.
헌강왕 5 879 기축 乾符 6 23 黃巢의 난이 일어나자 諸道行營兵馬都統 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書記의 일을 맡다. 이후 4년간 軍幕에서 表ㆍ狀ㆍ書ㆍ啓ㆍ檄文 등을 도맡다.
헌강왕 6 880 경자 廣明 1 24 7월, 〈討黃巢檄文〉을 지어 文名을 천하에 떨치다.
헌강왕 8 882 임인 中和 2 26 황제로부터 紫金魚袋를 하사받다.
헌강왕 9 883 계묘 中和 3 27 고변의 書記로 있으면서 지은 만여 편의 글 중에 정수만을 뽑아 「桂苑筆耕」 20권을 만들다.
헌강왕 10 884 갑진 中和 4 28 10월, 귀국을 결심하고 〈歸勤啓〉를 올리자 唐 僖宗이 送詒使로 삼아 詔書를 내려 허락하다. 顧雲ㆍ楊贍ㆍ吳巒 등과 석별하며 시를 주고받다. ○ 풍랑 때문에 曲浦에서 체류하다.
헌강왕 11 885 을사 光啓 1 29 3월, 귀국하다. ○ 侍讀 兼翰林學士 守兵部侍郞 知瑞書監事가 되다. ○ 왕명으로 〈大崇福寺碑文〉을 짓다.
헌강왕 12 886 병오 光啓 2 30 1월, 당에서 지은 「계원필경」ㆍ「중산복궤집」 및 詩賦 3권을 헌강왕에게 올리다.
진성여왕 1 887 정미 光啓 3 31 1월, 〈大華嚴宗佛國寺毘盧遮那文殊普賢像讚並序〉를 짓다.
진성여왕 4 890 경술 大順 1 34 시기하는 자들로 인해 외직을 자원하여 太山郡(泰仁) 太守가 되다. ○ 왕명으로 〈朗慧和尙碑文〉을 짓다.
진성여왕 7 893 계축 景福 2 37 富城郡(瑞山) 太守가 되다. 마침 조정에서 賀正使로 삼아 당에 파견하려 했으나 흉년으로 백성이 도탄에 빠지고 사방에서 도적이 일어나 중지되다.
진성여왕 8 894 갑인 乾寧 1 38 2월, 時務十餘條를 올리다. 왕이 가납하여 阿飡에 임명하다. 그러나 시무책은 시행되지 못한다.
진성여왕 9 895 을묘 乾寧 2 39 7월, 〈海印寺妙吉祥塔記〉를 짓다.
진성여왕 10 896 병진 乾寧 3 40 가족을 데리고 伽倻山으로 들어가다.
효공왕 2 898 무오 光化 1 42 1월, 〈新羅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를 짓다.
효공왕 4 900 경신 光化 3 44 12월, 〈海印寺善安住院壁記〉를 짓다.
현종 11 1020 경신 天禧 4 - 內史令에 추증되고 문묘에 從祀되다.
현종 14 1023 계해 天聖 1 - 2월, 文昌侯로 追封되다.
명종 7 1552 임자 嘉靖 31 - 후손에게 군역을 부과하지 말도록 전교하다.
명종 16 1561 신유 嘉靖 40 - 慶州에 서원이 세워지다.(1623년 西岳書院으로 사액)
광해군 7 1615 을묘 嘉靖 43 - 泰仁 武城에 서원이 세워지다.(1696년 武城書院으로 사액)
현종 11 1670 경술 康熙 9 - 咸陽 柏淵에 서원이 세워지다.
영조 31 1755 을해 乾隆 20 - 大丘 解顔縣에 桂林祠를 세워 影幀을 봉안하다.
순조 34 1834 갑오 道光 14 - 「桂苑筆耕集」이 간행되다.(洪奭周ㆍ徐有榘의 序)
- - 1926 병인 - - - 6월, 후손 崔國述이 「孤雲先生文集」을 간행하다.(盧相稷의 序) ○ 겨울, 후손 崔勉植 등이 「孤雲先生文集」을 간행하다.(李商永의 序)

기사전거 : 孤雲先生事蹟 등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은 「桂苑筆耕集」의 간행으로 당 나라에서 지은 작품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 그러나 귀국후의 대부분의 散文과 在唐時의 약간의 詩는 여러 문헌과 金石文 등에 흩어져 있었다. 이에 후손 崔國述ㆍ崔勉植 등이 樂府ㆍ東文選ㆍ野史ㆍ僧傳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록을 모아 1926년에 두 종의 「孤雲先生文集」을 간행하였다. 하나는 6월에 후손 崔國述이 盧相稷의 序를 받아 간행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겨울에 후손 崔勉植 등이 李商永의 序를 받아 간행한 것이다.
崔國述이 간행한 문집은 「계원필경집」이 수록되어 있지 않고, 「東文選」에 실려 있는 詩ㆍ表ㆍ狀ㆍ啓ㆍ記 등과 四山碑銘이 대부분이다.《崔國述本》 이 본은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811.96-최치원-고-판)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崔勉植 등이 간행한 문집은 「계원필경집」을 포함하여 권1에는 詩 86수, 表 20수, 狀 73수, 권2에는 疏 2수, 啓 8수, 檄 4수, 委曲 20수, 擧牒 50수, 序 18수, 記 2수, 齋詞 15수, 권3에는 別紙 95수, 祭文 5수가 실려 있다.《崔勉植本》 이 본은 현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2491)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26년 6월에 간행된 崔國述本으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이다.

기사전거 : 序(盧相稷ㆍ후손 崔國述ㆍ李商永 撰), 跋(후손 崔在敎 撰)에 의함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3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詩文, 권2~3은 碑銘(四山碑銘)이다.
권수에는 1926년에 쓴 盧相稷의 重刊序, 후손 崔國述이 쓴 編集序, 目錄 및 孤雲先生事蹟이 실려 있다. 目錄에는 저자의 총 저작목록인 卷外書目이 첨부되어 있다. 事蹟은 「三國史記」ㆍ「東國通鑑」ㆍ「東史纂要」 등의 史書類와 家乘, 그 밖에 저자의 遺蹟ㆍ祠院ㆍ致祭文ㆍ祝文ㆍ檀典要義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자료를 抄錄한 것이다.
권1에는 賦 1편, 詩 32題, 表 8편, 狀 6편, 啓 1편, 記 3편이 실려 있으며, 대부분 「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詩는 오언고시 4제, 오언절구 2제, 칠언절구 10제, 오언율시 4제, 칠언율시 6제, 七言詩句 3제, 칠언절구 1제, 칠언율시 1제가 詩體別로 編次되어 있는데, 在唐時ㆍ歸國後의 작품이다. 表와 狀은 귀국후에 지은 新羅王의 代作으로 唐에 보낸 國書이다. 그중 〈百濟遣使朝北魏表〉는 百濟王의 代作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저자의 글이 아님이 분명하다. 記 2편은 불교관계의 글이다.
권2에는 〈無染和尙碑銘(幷序)〉과 〈眞鑑和尙碑銘(幷序)〉이 실려 있다. 전자는 일명 崇嚴山 聖住寺 朗慧和尙 白月葆光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가 忠南 保寧郡 嵋山面 聖住寺址에 남아 있으며 국보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후자는 일명 智異山 雙谿寺 眞鑑禪師 大空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가 慶南 河東郡 花開面 雙溪寺 境內에 남아 있으며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3에는 〈大崇福寺碑銘(幷序)〉과 〈智證和尙碑銘(幷序)〉이 실려 있다. 전자는 일명 初月山 大崇福寺碑銘으로 불리며, 현재 塔碑는 남아 있지 않다. 이 碑銘은 다른 세 비명이 禪僧들의 塔碑인 데 반하여 신라 왕실에서 寺院을 세운 내력을 담고 있다. 후자는 일명 曦陽山 鳳巖寺 智證大師 寂照塔碑銘으로 불리는데, 塔碑는 慶北 聞慶郡 加恩面 鳳巖寺 境內에 남아 있으며 보물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3에는 이 밖에 贊 3편이 실려 있는데 〈順應和尙贊〉ㆍ〈利貞和尙贊〉 2편은 「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권2~3에 실려 있는 4편의 碑銘은 네 곳의 산에 있기 때문에 통털어 ‘四山碑銘’으로 불리는데, 귀국후 왕명을 받들어 지은 것으로 당시에 유행한 四六騈驪文으로 쓰였다. 〈海雲碑銘序〉에 의하면 이 「사산비명」은 萬曆年間(1573~1619)에 鐵面老人(?)이 「孤雲集」 10권 속에서 4편의 비명만을 뽑아 주석을 붙여 한 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로 「사산비명」은 독립된 책으로 읽혔고, 현재 蒙庵이 註解한 〈海雲碑銘註〉 및 純祖 연간의 洪景謨의 註解本 등 몇 종의 주해본이 전하고 있다.
권3에 실려 있는 贊 3편 가운데 〈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幷序〉는 佛國寺古今歷代諸繼創記 중의 〈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讚〉과 〈王妃金氏爲考繡釋迦如來像幡讚〉 두 편을 잘못 抄錄ㆍ混合한 것이라고 한다.
권미에는 1926년에 쓴 후손 崔在敎의 跋이 실려 있고, ‘古齋編刊’이란 刊記가 있다.


필자 : 金圻彬

 

ㅡ <한국고전종합DB> 자료 중에서 전재 .....

 

 



 

홈 > 금석문찾기 > 금석문세부정보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溪寺眞鑑禪師大空塔碑)
 
 
시대
통일신라
연대
887년(진성왕 원년, 당(唐) 희종(僖宗) 광계(光啓)3년)
유형/재질
비문 / 돌
문화재지정
국보 - 47호
크기
총 높이 3.63m, 비석 높이 2.13m, 너비 1.035m
출토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
소재지
(한국)-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최치원(崔致遠) / 최치원(崔致遠) / 환영(奐榮)
( 47) .
887( 2) . () () , () () () . ().
() ( : 774~850) 830 . , . , , () .
() () () () , () ( : () () () ) .
 
(), 2003, 14
(), 2002, 17,
(), 2002, 25
(), 2002, 19,
(), 2002, ,
(), 2001, - -17,
(), 2001, - - ,
(), 2000, -· -16
(), 2000, 15,
(), 2000, 6,
 

 

 

-<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자료 중에서 ......

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No=4&View=searc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