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 2. 11:39ㆍ우리 역사 바로알기
흘승골성의 위치 - 자료
<삼국사기 지리지> 보술수(普述水)를 건너 흘승골성(紇升骨城)에 이르러 머물렀다. 국호를 구려(句麗)라 하고, 고(高)를 성씨로 삼았다.』라고 하였고,
고기(古記)에 『주몽이 부여(扶餘)에서 난을 피해 도망하여 졸본(卒本)에 이르렀다.』고 하였으니, 흘승골성과 졸본은 한 곳인 듯하다.
한서지(漢書志)에 『요동군(遼東郡)은 낙양(洛陽)에서 3,600리 떨어져 있고, 속현(屬縣)에 무려(無慮)가 있었다.』고 하였으니, 곧 주례(周禮)의 북진(北鎭)인 의무려산(醫巫閭山)이다. 요나라[大遼]가 그 아래에 의주(醫州)를 설치하였다.
[또] 『현도군(玄菟郡)은 낙양에서 동북쪽으로 4,000리 떨어져 있고, 소속된 현(縣)이 셋이었는데, 고구려(高句麗)가 그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른바 ‘주몽이 도읍한 흘승골성·졸본’이라는 것은 대개 한나라 현도군의 경계이고, 요나라[大遼國] 동경(東京)의 서쪽이니, 한지(漢志)의 이른바 ‘현도속현(玄菟屬縣) 고구려(高句麗)’는 이것이 아닌가 한다. 비류수는 몽골의 부이르 호수라고 했습니다. 박창범 교수의 고구려 일식 관측지 위치와 동일한 학설입니다. 백두산과 함께 만주 땅의 3대 명산 중 하나입니다. |
일부 소장파 재야사학자들은 " 왕검성과 졸본성은 한민족 상고사의 양대 산맥과 같은 곳이다. 왕검성은 현 중국 하북성 보정시 만성현 일대에 위치하였으며, 신라인들이 떠나온 고향인 낙랑 땅이었다. 졸본성은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 일대에 위치하였으며, 백제인들이 떠나온 고향이자 고구려가 건국한 터전인 졸본부여 지역이었다. 하루빨리 고구려 초기 수도인 졸본성의 위치를 바로잡아야 한다." 라고 주장하고 있어서, 그 내용을 아래에 인용한다. 한편 <한민족사중앙연구회>의 김진경은 그의 논문 <해모수 흘승골성의 위치에 관한 연구>에서 "천제(天帝) 해모수(解慕漱)가 내려온 흘승골성(訖升骨城)은 현재의 산서성 좌권(左權)현 주변 인근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졸본성(흘승골성)의 위치
졸본성의 위치 비교
현 강단사학계의 통설에서는 졸본성의 위치를 현 중국 요령성 본계시 환인현에 위치한 오녀산성 일대로 비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견해는 통설의 원조격인 이병도가 『삼국사기』를 주해하면서 ‘졸본천’을 다음과 같이 해설한 까닭이다.
“호태왕(광개토왕)비에는 비류곡홀본서성산沸流谷忽本西城山이라 하고, 졸본의 주에는 위서를 이끌어 [지흘승골성]이라 했으니, 졸본은 바로 졸홀·승흘골의 이칭으로 볼 것이며, 고구려 최초의 수도인 만큼 저명한 곳이니, 지금 환인에 비정한다. 그러면 졸본천은 환인을 흐르는 혼강을 별칭한 것이라고 본다.” 『삼국사기』‘고구려본기 1 주(15)’
통설에서 졸본성을 환인 일대로 비정한 사유가 고 이병도 박사의 “고구려 최초의 수도인 만큼 저명한 곳이니, 지금의 환인에 비정한다.”는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납득할 만한 어떠한 고고학적, 문헌학적 사료도 없다. 오늘날 통설은 이병도의 이런 주장에서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참으로 허무하기 짝이 없는 주장이 해방 이후 70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통설의 행세를 하고 있는 것이다. 3. 마무리 글
지금까지 고구려의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와 『한서』‧『수경주』및 『삼국사기』와 『광개토태왕비문』등의 사료들을 토대로 졸본성의 위치를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졸본성의 위치에 대한 통설의 문제점도 살펴보았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의하면 졸본성은 위도 39〬에서 40〬 사이에 위치하였다. 그 리고 『한서』「지리지」및『수경주』에 나타난 현토군 고구려현의 기록을 참조하면 졸본부여는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와 당산시 및 진황도시 일대였다. 또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졸본성은 바닷가에 위치하였으며, 고구려의 요동성 지역이며 한나라 시절에는 요동군 양평성 지역에 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광개토태왕비문』에 따르면 졸본성은 성산城山 위에 위치하였는데, 중국 고지도인 『당토명승도회』에는 성산城山의 위치가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 일대로 나타나고 있다.
위의 4가지 사료들을 종합해보면 고구려 초기 수도인 졸본성은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 일대였다. 천진시 계현 일대는 위도 40〬 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닷가에 위치하였으며, 한나라 요동군 양평현에 해당하며, 성산城山이라는 지명이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 일대는 위의 사료들에 나타난 졸본성 관련기록들을 완벽하게 충족하는 곳이다. ㅡ 중략 ㅡ 왕검성과 졸본성은 한민족 상고사의 양대 산맥과 같은 곳이다. 왕검성은 현 중국 하북성 보정시 만성현 일대에 위치하였으며, 신라인들이 떠나온 고향인 낙랑 땅이었다. 졸본성은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 일대에 위치하였으며, 백제인들이 떠나온 고향이자 고구려가 건국한 터전인 졸본부여 지역이었다. 하루빨리 고구려 초기 수도인 졸본성의 위치를 바로잡아야 한다. - 다음 카페 <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 사람이 하늘이다 님의 글 중에서 발췌 .....
'우리 역사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전(通典) 변방 전의 신라(新羅) (0) | 2015.05.02 |
---|---|
[통전通典]과 [삼국유사]에 나오는 '말갈' (0) | 2015.05.02 |
대왕의 꿈-태종 무열왕(김춘추)의 가계도 (0) | 2015.04.28 |
고구려.백제(일본).신라 개국 시조들의 뿌리와 혈통을 추적한다. (0) | 2015.04.28 |
신라 김씨왕조= 변한 훈(흉노)족 김일제와 진한 선비족 김알지 연합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