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박홍관의 차(茶) 기행]동방미인

2015. 6. 3. 02:02차 이야기

 

 

 

      

뉴스 > 문화 > 문화 일반 > 주말섹션 O2 > Life > 박홍관의 차(茶) 기행

[O2/박홍관의 차(茶) 기행]동방미인

동아일보

 
 

입력 2011-05-21 03:00:00 수정 2011-05-21 11:07:56

 

 

벌레먹은 찻잎에 영국여왕이 반했다

 
동방미인은 대만을 대표하는 차다.

 

원래 이름은 바이하오우룽(白毫烏龍·백호오룡).

 

찻잎에 흰털(白毫)이 많아 그런 이름이 붙었다.

 

마시면 장수한다고 해 푸서우차(福壽茶)라고도 한다.

 


   동방미인이란 이름은 영국 왕실에서 붙였다는 설이 있다. 빅토리아 여왕의 재위시절(1837∼1901년) 영국 왕실에서는 백호오룡을 즐겨 마셨다. 그런데 찻잔 속 찻잎의 하늘거리는 모습이 아름다운 동양 미인(oriental beauty)의 춤추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 ‘동방미인’이란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앞서 이야기한 여러 별칭 가운데 ‘동방미인’이 유독 대중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게 됐고 지금은 거의 고유명사로 굳어졌다. 필자는 지난해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의 대만차 전문점 점원이 백호오룡은 모르고 동방미인만 알고 있어 놀란 적이 있었다.


○ 벌레 먹은 차가 더 맛있다

   동방미인 맛의 비밀은 샤오뤼예찬(小綠葉蟬·소록엽선)이란 벌레에 있다. 소록엽선은 한국에서 초록애매미라고 부르는 벌레다. 이 벌레가 찻잎의 진액을 빨아먹는데, 그 자리에서 차의 독특한 화학반응이 일어나 동방미인의 고유한 향(상큼하고 향긋한 과일향)이 된다. 즉 동방미인은 벌레가 먹어 제대로 자라지 못한 찻잎으로만 만들어야 제 맛이 난다.

banner

   동방미인은 대만의 4대 차나무 품종 중 하나인 칭신다우(靑心大有) 찻잎으로 만든다. 벌레가 찻잎을 먹어야 차 맛이 제대로 나기 때문에 동방미인용 차밭에는 농약을 치지 않는다. 또 벌레가 충분히 생겨야 하므로, 다른 종류의 차보다 좀 늦은 6월 10∼20일에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고급에 속한다. 벌레 먹은 찻잎에서 더 큰 부가가치가 나오니 어찌 보면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 녹차보다 떫은 맛 적어

 

   오룡차는 찻잎을 실내외에서 위조(僞凋·찻잎을 시들게 하는 것)한 후, 찻잎끼리의 마찰을 통해 발효를 고르게 하는 낭청(浪靑), 찻잎을 솥에 넣어 150℃에서 10분 전후로 덖어내는 살청(殺靑·찻잎의 산화와 발효를 멈춤), 찻잎을 천으로 덮어 또 한번의 발효가 일어나게 하는 민숙정치, 유념(柔捻·찻잎 비비기), 건조를 거치는 특별한 공정으로 완성된다. 오룡차에는 떫은맛을 내는 성분인 카테킨이 녹차의 절반 이하로 들어 있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대만산 차는 그 등급과 품질이 중국에 비해 투명하고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대만차가 중국 대륙에서도 호평을 받아 등급이 높은 차는 품귀 현상을 보일 정도다.

동양차도구연구소 소장 www.seoku.com

 

   ㅡ 동아일보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