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화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2015. 12. 11. 15:52美學 이야기

 

 

 

 

 

       조선후기 화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withoutQ| 2005.12.07 13:23 |조회 599|신고

 

ㅇ 시 대 : 대략 1700-1800[1820] 숙종중엽부터 영·정조를 거쳐 순조 연간 (미술사에서 보는 조선 후기)
ㅇ 주요인물 : 윤두서, 조영석, 김홍도, 신윤복, 정선, 심사정, 이인상, 최북, 강 세황,..

 


ㅇ 특 징 : * 문예부흥기
* 현실속에서 소재를 취한 속화(俗畵)와 관념산수가 아니라 실경에 즉한 진경산수(眞景山水), 화가가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출한 문인화풍(文人畵風)의 유행 등 사실주의의 시대, 리얼리즘의 시대라고 그 성격을 규정지을 수 있다.
* 화론과 비평에서도 종래의 화론들은 감상비평에 머물렀지만, 본격적인 화론을 펼쳐보인다. 전통적인 전신론의 참가치를 지키는 가운데 사실성을 구현하는 전신론적 사실론과 대상의 참 모습을 박진감있게 그려내는 사진론적 사실론으로 나타난다.

ㅇ 전신론 
   조선후기의 전신론은 예전의 천기와 신운을 중요시하던 것이 아니라 사실적 묘사와 형사를 바탕으로 하고있다과. 관념적·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원리를 엄격히 고수하여 내용적으로는 전신론적 사실론이라고도 부를 만한 것이다. 이 점은 조선후기의 회화와 화론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이러한 견해를 표명한 화론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남태응의 청죽화사{廳竹畵史}에서 천기론(天機論)
☆ 윤두서의 기졸{記拙}에서 화도론(畵道論)
☆ 조귀명의 동계집{東谿集}에서 신운론(神韻論)
☆ 권헌의 진명집{震溟集}에서 전신론(傳神論)
☆ 이규상의 일몽고{一夢稿}에서 유법원론법(儒法院法論)
☆ 심재의 송천필담{송泉筆譚}에서 화사구분론(畵寫區分論)
☆ 박지원의 연암집{燕巖集}에서 사의론(寫意論)

이러한 화론가들의 공통점을 찾는다면 벼슬이나 출세로부터 초탈한 고사풍의 은일자로 대개 만록(漫錄)같은 산문에서 이름을 날린 문사이다.

 


ㅇ 사실론
   동시대 문예사상 중 가장 조선 후기다운 독창적인 이론이라 할 수 있는 사실론은 조선후기 화론에서 가장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이 사실론은 전신과 사의를 부정한 것이 아니고 상호보완적인 개념으로 나타난다.이유인즉, 어느 시점에서 폭팔적으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중기적 전통에서 탈바꿈 하듯이 일어났기 때문이다.어떤 문예사조가 대두할 때면 강력하게 자기 주장을 전개하면서 그 논리를 세련시켜 가는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검증받으면서 자기 견해를 피력해 가는 것이었다. 많은 화론가들이 사실론을 개진했는데 그 중 대표적이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이하곤의 두타초{頭陀草}에서 사진론(寫眞論)
☆ 조영석의 관아재고{觀我齎稿}에서 사생론(寫生論)
☆ 이익의 성호사설{星湖說}에서 寫眞論
☆ 강세황의 표암유고{豹菴遺稿}에서 寫實畵法論
☆ 정약용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서 寫生論

 

 

조선 시대 화론연구 [학고재] - 유홍준

-  다음 오픈지식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