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은 병신년(丙申年), 붉은 원숭이(申)의 해다.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닮은 동물로, 흔히 꾀가 많고 장난치기 좋아하는 짐승으로 알려져 있다.
붉은 원숭이는 곧 불 원숭이를 뜻한다. 넘치는 양(陽)의 기운과 열정을 안고 있어 병신년에 태어난 인물은 관심 분야가 넓고 창조성이 넘친다고 한다.
한국에는 야생 원숭이가 없었다. 조선 중종 때 서얼 출신 문신 어숙권은 ‘패관잡기’에 “동국(東國ㆍ조선)에는 원숭이가 없으므로 고금의 시인들이 원숭이 울음소리를 표현한 것이 모두 틀렸다”고 했다. 다만 평양 상원군 검은모루 동굴, 충북 청원군 두루봉과 제천시 점말동굴 등지에서 원숭이 뼈가 화석으로 발견된 예가 있어 선사시대에는 원숭이가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신라에 불교를 전파한 승려 이차돈이 순교한 뒤 “곧은 나무가 부러지고 원숭이가 떼지어 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문에 전통 문화에서 원숭이는 주로 종교적 도상과 중국의 문헌을 인용한 내용으로 나타난다. 원숭이 조각과 그림은 통일신라 시대부터 무덤 장식에 등장하는데, 이는 불교의 영향이다. 인도에서 원숭이가 영웅적인 존재로 간주된 것과 연관이 깊다. 힌두교 경전 ‘라마야나’에는 하누만이라는 신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불교에 영향을 미쳐 지혜로운 원숭이 상징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한국의 불교 미술에도 원숭이 불화가 있다.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이 소장한 대한제국 시기의 원숭이 불화가 대표적이다.
동양 신화의 원숭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명나라 때 소설이자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서유기(西遊記)’에 등장하는 손오공이다. 원숭이의 왕이 되고 도술을 익힌 손오공은 신계와 지상을 오가며 날뛰다가 석가여래의 손에 잡혀 500년 동안 오행산 아래 갇히게 된다. 이후 반성한 손오공은 불경을 받으러 서역(인도)로 가는 삼장법사를 수행하며 온갖 잡귀를 퇴치하고 깨달음을 얻어 투전승불(鬪戰勝佛ㆍ싸워서 이긴 부처)이 됐다. 손오공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창작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됐다.
손오공의 궤적이야말로 한국에서 원숭이가 상징하는 바를 모두 보여준다. 손오공은 처음에는 경박하고 자기 멋대로이나 뛰어난 도술을 지녔기에 누구도 그를 어쩌지 못한다. 원숭이는 흔히 진중하지 못하고 덜렁대는 존재로 묘사된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굴러떨어질 때가 있다’는 한국 속담에 등장하는 원숭이는 자신의 잔꾀와 재주만을 믿고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 존재다. 원숭이는 재수가 없다는 편견이 있어, 이름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잔나비’라고 부르기도 했다.
반면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이후의 원숭이는 그 꾀를 지혜롭게 사용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조선 후기 화가 장승업이 그린 ‘송하고승도’ 역시 서유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원숭이가 불교 경전을 스님에게 바치는 모습을 그렸다. 토우 원숭이는 잡귀를 쫓아내는 효력이 있어 부적이나 부장품으로 자주 사용됐다. 천도복숭아와 함께 그려진 원숭이는 장수의 의미를 지니며, 출세를 뜻하기도 해 과거를 앞둔 선비의 장원급제를 기원하는 그림에 등장하곤 했다.
원숭이의 울음소리가 구슬프기 때문에 시가에서는 처량함과 고독함을 상징하기도 한다. 조선 전기 시문의 대가 정철은 ‘장진주사(將進酒辭)’의 마지막 구절에 ‘하물며 무덤 위에 원숭이 휘파람 불 때 뉘우친들 어떻게 하겠는가?’란 문구를 적어 죽음 뒤의 허망함과 쓸쓸함을 표현했다. 고려 문신 이규보는 ‘기상서댁의 성난 원숭이’라는 한시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원숭이가 소리지르는 모습에 감정을 이입해 자연 속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자조했다.
원숭이의 주요 속성 중에는 모성애(母性愛)도 꼽힌다. 흔히 자식을 잃는 슬픔을 ‘단장(斷腸)의 슬픔’ 혹은 ‘애끊는 슬픔’이라 부르는데 그 기원에 등장하는 동물이 원숭이다. 위ㆍ진ㆍ남북조 시대 인물들의 일화를 모은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이야기로는, 동진(東晉)의 정치가 환온(桓溫)이 촉(蜀)을 정벌하러 배를 타고 장강을 거슬러 가던 중 그의 병사 중 하나가 새끼 원숭이를 잡아왔다. 이 때 어미 원숭이가 소리지르고 울며 배를 쫓아 강둑을 따라 백여 리 달려 오다 배에 뛰어드는 순간 지쳐 쓰러져 죽었다. 원숭이의 배를 가르자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원숭이는 꾀가 많고 단정치 못한 성질 때문에 불운한 동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불교미술과 ‘서유기’의 영향으로 지혜로움과 잡귀를 쫓는 벽사(僻邪) 속성이 강조되기도 했다. 선조들은 원숭이의 비애로운 울음소리에서 고독과 모성애를 읽어내기도 했다. 병신년의 열정 넘치는 원숭이가 제 꾀에 넘어갈지, 문제를 지혜로이 풀어갈지는 그 해를 살아내는 사람들의 손에 달려있다.
인현우기자 inhyw@hankookilbo.com
한국일보 다음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