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30. 04:01ㆍ美學 이야기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3A7TiIz3uf4b0JNIRE9Eoik5G3ztKYl20Lm0XlPO-1447989457.jpg)
(뉴스투데이=윤혜영 선임기자)
天生我材必有用(천생아재필유용)
하늘이 나를 낳게 한 것은 반드시 쓰임이 있어서 일 것이다.
이백선생의 장진주에 있는 구절이다.
36년을 붓을 잡고 살고 있다. 회사를 다녀 본적도 없고 딴 일을 해 보지도 않았다.
철이 없을 때에는 그저 붓들고 글씨쓰는 게 좋아서 밤 새우기도 일쑤였고
한해 두해 세월 묻혀 살다보니 어느덧 머리가 희끗한 장년이 되었다.
뭐하나 제대로 한 것 없이 시간만 보낸 듯 아쉬움이 남는다. 서예술은 역사가 오래된 만큼 공부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서양 미술의 화려함에 밀려 요즈음은 크게 대접을 받지 못하는게 사실이다.
서예술의 고졸한 맛과 멋스런 필선의 맛을 이해한다면 그림에 못지않는 깊이와 창의적인 표현이 맛을 더할 것이다.
우리 전통 예술을 조금 더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서예술을 하는 작가들도 신명나서 더욱더 좋은 작품들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백선생의 말처럼 사람은 누구나 하늘로부터 재주를 받았으나 그것을 쓰는 사람은 분명 쓰지 않는 사람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지방에서 실시하는 공모전은 노력으로 마쳤지만 우리나라 최고의 공모전인 국전은 올해 마쳤는데 자그마치 26년이 걸렸다.
쉬운 일이 아니었다. 조금 더 쉬운 길을 갈 수도 있었지만 그래서 낙선의 쓴잔을 수없이 마셨다. 고뇌와 갈등 포기의 마음도 없지는 않았지만 버티고 작업하고 쓰고 또 쓰고 해서 관문을 통과 했다.
공부의 시작이 지금부터요 새로운 출발이다.
보다 깊은 내용과 대중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할 수 있을지 요즈음 들어 생각하고 또 생각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서예술을 사랑하는데 일조하고 우리나라 서단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작가로 살고 싶다.
- 중암 김오종 재배 -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FFmaQCSLKlxrb902uO6QxSzlRaSXfrL6MhUax4Mq-1447989015.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6pTvb0K5W05DvLEB7mHQI4BPB648a34n03J6DF17-1447989034.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xyZQasK75sjIS5diYj70SNlDlSB2MvhvnTy07bUc-1447989066.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SbuUH2tZ3U20XpciO3EZ9Vl8i5Zwza4bkfjJ8L7k-1447989093.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3bt458HGyzLb2aWm64WAoAUO3SKSpvz7VJ57myOG-1447989117.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5wJLoLx3N5TPCXuZgFrSoQq3pV0XE80ePK9tzG5L-1447989140.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CrT8UlyAhDTq75Q0m5G8SQbZ5pZTRXMrcCx68Uq8-1447989168.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xWwzPpFW74oL5S37kF3J7YQyvpFny1tM7229qC00-1447989195.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hQuOGl8mIC319r4CZvccC31l1rBWJebNau2G5bw3-1447989213.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HBdkXyr1WYmd1X3858EY24nVuTQzoBt8OTF2iQh7-1447989231.jpg)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XpamF228hXl4hrdFRWaQan0Y31NL5JY6vNtMtFUj-1447989269.jpg)
중암 김오종
·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부문 초대작가
· 경상북도 서예 문인화대전 초대작가
· 매일서예대전 초대작가
· 대힌민국 서예술대전 초대작가
· 대한민국 정수 서예문인화대전 이사
<글 : 수필가 윤혜영 geo0511@hanmail.net>
![](http://www.news2day.co.kr/n_news/peg/news/20151120/EVhLRNB4ZCKBIMpj8bQPEd16rldMUCley85uo3oe-1447989353.jpg)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남 통영 출생
계간 ‘문학나무(발행인 황충상 소설가)’겨울호를 통해 신인문학상 중 수필 부문 수상자로 등단. 주요 저서로 ‘우리는 거제도로 갔다’. ‘화가들이 만난 앙코르와트’ 외 항공사와 증권사, 신문사 및 문화예술지 등 다수에 문화칼럼 연재.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6) ‘사랑’ 과 ‘결혼’ 사이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5) 최경수 - 막사발을 그리는 화가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4) 남학호 - 격조의 예술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3) 천년고도 ‘경주 교촌마을’ 여행기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2) 문선미 - 슬픈 뚱보들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1) 어느 무명화가의 쓸쓸한 ‘죽음’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0) 가을 소묘 - 경주 우양미술관 나들이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9) 송해용 - 꽃을 주세요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8) 한창현 - 소년은 늙지 않는다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7) 한재용 - 한남자의 인생을 바꾼 ‘매혹(魅惑)’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6) 맛과 멋이 있는 부산 ‘가을 여행기’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5) 홍경표의 그림일기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4) 근대화 골목 - 대구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3) 완전한 사랑 - 곽정우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2) 가을여행을 떠나다 - 통영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1) 행복한 여자들 - 이철진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10) 돌아갈 수 없는 날들의 풍경 ‘전영남 화백’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8) 유라시아 문화특급 실크로드 경주 2015展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7) 경남 통영 - 청마 유치환을 찾아서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9) 경상북도 김천시 최경수 화백의 ‘항소재’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화의 최고봉을 이룩한 중국 당송시대 회화 작품들 (0) | 2016.01.30 |
---|---|
[서평] 『중국 산수화사』 1. 2. (0) | 2016.01.30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6) ‘사랑’ 과 ‘결혼’ 사이 (0) | 2016.01.30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5) 최경수 - 막사발을 그리는 화가 (0) | 2016.01.30 |
[그림의 형태 2] 족자 그림 '축軸' (0) | 2016.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