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2. 2. 22:26ㆍ美學 이야기
曲玉은 玉龍이었다 … “‘홍산문화’의 주체가 우리 민족임을 밝혀주는 증거” | ||||||||||||||||||||||||||||||||||||||||||
김대환의 文響 - ⑩ 옥룡(玉龍)과 곱은옥(曲玉) | ||||||||||||||||||||||||||||||||||||||||||
| ||||||||||||||||||||||||||||||||||||||||||
중국의 신석기시대는 황하유역의 ‘仰韶文化’, 양자강유역의 ‘河姆渡文化’를 중심으로 지역에 따라서 기원과 특성이 다른 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이 江들을 중심으로 漢族의 중화문화권이 다양하게 신석기문화권을 형성했다. 그러나 東北工程 이후, 그동안 인류 4대 문명 발상지이며 漢族文化의 중심이라고 주장해오던 華夏族의 황하문명 始原論을 접고 내몽골과 요하주변의 ‘紅山文化’를 中華文化의 始原으로 새롭게 주장하고 있다. 紅山文化는 메소포타미아문명이나 인더스문명보다 1천년이상 빠르고 광범위하며 세계 最古의 문명으로 人類文明의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紅山文化의 중심지는 현재의 중국 領土內에 있지만 7천 년 전에도 그러했을까. 홍산문화의 主體가 과연 지금의 漢族일까. 현재의 영토를 기준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중국 동북공정의 史觀에 입각해 보면,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는 물론이고 선사시대의 홍산문화도 중국의 역사로 뒤바뀌게 된다. 모두다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현재 스페인의 영토 안에 있는 로마시대의 유적이 스페인의 유적이 되고 로마제국도 스페인의 역사라고 주장하는 것과도 같은 이치다. 이렇게 불합리한 중국 동북공정의 史觀은 중국 안에서만 인정될 뿐이다.
홍산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유물은 玉龍(사진②~②-4)과 옥귀걸이(사진⑫, ⑫-1)다. 홍산문화 옥귀걸이와 동일한 옥귀걸이는 강원도 문암리, 충청도 휴암리, 여수 안도패총 등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됐지만 더욱 중요한 玉龍은 출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경기도박물관의 考古室에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최초의 玉龍이 전시돼 있다(사진①). 경기도 파주 주월리 신석기유적지에서 출토된 이 옥룡은 홍산문화의 옥룡(사진②~②-4)들과 일맥상통하며 홍산문화의 주체는 우리 민족이라는 확고한 증거품이다. 무심하게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유물의 의미가 너무도 중요하다. 인류문명 시발점의 主體에 우리 민족이 있는 것이다. 한반도에서는 옥룡과 옥귀걸이 외에도 대롱옥, 사다리꼴 목걸이장식, 첨형의 옥장식 등 홍산문화의 유물과 같은 계통의 신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그동안 曲玉의 의미가 胎兒의 모습을 형상화 시킨 것으로 잘못 해석돼 본래의 의미(龍의 형상화)에 큰 혼란을 주었으나 점진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초음파 기계가 없던 과거에 태아의 모습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 다분히 현대적인 시점에서의 분석이었다. 곡옥이 태아라면 母子曲玉(사진⑥)을 설명하기는 더욱 곤란해진다. 이름대로 어미 태아가 자식 태아를 또 임신한 것일까. 母 子玉은 어미와 새끼의 조합을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아울러 曲玉이 龍을 형상화시킨 증거가 되는 유물도 많이 남아있고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일제강점기 金冠塚에서 출토된 금관 드리개장식 끝부분의 金帽龍頭曲玉(사진⑦)과 금허리띠장식의 金製龍頭曲玉(사진⑧, ⑧-1)이다. 홍산문화의 玉龍처럼 용의 머리를 사실적으로 조각한 龍頭曲玉이다. 곡옥의 머리 부분에 金으로 龍의 머리를 조각해 씌웠다. 신석기시대의 玉龍이 삼국시대까지 수천년을 이어 내려온 증거이며 우리 민족이 홍산문화의 주체임을 각인해 주는 유물이다. 또한, 홍산문화 후기 옥룡의 용머리부분(사진⑨)과 5세기 신라 식리총에서 출토된 청동초두(사진⑩)의 손잡이 끝 용머리부분(사진⑩-1)이나 원주 법천리에서 출토된 청동초두(사진⑪)의 손잡이 끝 용머리부분(사진⑪-1)을 비교 하면, 유물의 제작된 시기가 수천년이나 차이가 나지만 龍의 형상이 거의 같은 것이 확인된다.
중국 연구자들은 홍산문화의 뿌리는 遼河 주변 구석기유적(15만년전)과 연결되고 요양지방 청동기문화의 뿌리는 홍산문화에 있다고 주장한다. 紅山文化 末期 거주지에서 靑銅器鎔范(거푸집)과 靑銅器가 출토됐기 때문이다. 이 論理는 청동기문화의 북방 전래설을 일축하고 자체적으로 청동기문화가 발생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바로 이 청동기문화가 紀元前 2300년의 夏家店下層文化로 古朝鮮의 뿌리다.
한반도 최초의 玉龍(사진①)이 출토된 경기도 파주 주월리 역시 구석기유적지와 신석기유적지가 혼재돼 있지만 두 문화의 관련성을 찾는 연구자는 보지 못했다. 그 동안 각 시대별로 문화를 단절시켜서 우리 문화는 外來文化의 온상인 것처럼 만들었던 植民史觀의 틀을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중국 연구자들이 홍산문화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리 문화의 연속성과 청동기문화의 자체발생설을 밝혀주는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경기도박물관의 考古室에 놓여있는 玉龍은 수천년동안 간직한 韓民族의 무궁무진한 이야기보따리를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유물의 중요도에 비해 너무도 간단한 설명이 못내 아쉽지만(사진⑬) 이 유물속의 수많은 사연을 풀어 놓는 작업은 후손들의 몫이다.
|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육의 그림 스님에 빠지다 1. 작자미상, ‘아난과 가섭’ (0) | 2016.02.02 |
---|---|
김대환의 文響 - (11) 신라목조삼존불감(新羅木彫三尊佛龕) (0) | 2016.02.02 |
김대환의 文響 - 9 백자 은투각 새꽃넝쿨무늬 완(白磁金釦花鳥唐草文茶碗) (0) | 2016.02.02 |
국립춘천박물관 문화대학 "역사를 담은 미술" 9/5일 제7강 (한정희 - 중국의 문인화) (0) | 2016.02.02 |
[수필가 윤혜영의 문화산책] (29) 경주 남산 - 아라키 카레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