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3. 10. 22:06ㆍ율려 이야기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송정
다른 표기 언어 寒松亭
시대 | 고려 |
---|---|
성격 | 가요 |
유형 | 작품 |
저작자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고려 전기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요약 고려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구성 및 형식]
950년(광종 1) 이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오언절구의 한문으로 된 해시(解詩)와 함께 그 내력이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도 옮겨져 있다.
이에 따르면 이 노래는 거문고 밑바닥에 적혀 중국의 강남(江南)에까지 떠내려갔는데, 그 곳 사람들이 그 뜻을 알지 못하여 궁금해하던 중, 광종 때 사신 장진공(張晋公)이 그것을 한시로 풀이하여 주었다고 한다.
[내용]
한역시는 “달빛 밝은 한송의 밤/물결 가라앉은 경포의 가을/슬프게 울며 오락가락하는/소식 지닌 한마리의 갈매기(月白寒松夜 波安鏡浦秋 哀鳴來又去 有信一沙鷗).”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한송정 근 밤에 경포대에 물결잔제/유신 백구는 오락가락 건마는/엇디타 우리 왕손은 가고 아니 오고.”라는 시조의 초장·중장과 내용에 있어 완전히 일치한다.
[의의와 평가]
이 노래의 가사를 중국인이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향찰식 표기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후대에 시조로 변형되어 불렸다는 사실에서 이 노래가 향가 계통의 노래였다는 것과 향가의 삼구육명(三句六名) 형식이 시조에 영향을 주어 시조가 생성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주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한국가요(韓國歌謠)의 연구(硏究)」(김동욱, 을유문화사, 1961)
제공처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송정
다른 표기 언어 寒松亭성격 | 정자 |
---|---|
유형 | 유적 |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에 있었던 정자.
[내용]
이름처럼 바로 눈앞에 동해바다가 펼쳐지는 소나무가 울창한 곳에 바람소리를 연상할 수 있다. 조선 말기에는 때로 송정(松亭)·녹정(彔亭)·두정(荳亭)·녹두정(綠荳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 정자가 언제 세워졌는지, 또 언제 없어지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정자와 인접한 곳에 한송사(寒松寺)가 자리하고 있는데, 조선 후기 지도들은 이곳을 한송사 때로는 한송정으로 표기하고 있어 혼동할 여지가 없지 않으나 정자와 사찰의 개체는 분명 다른 것이다.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한송정이 있던 자리 곁에 차우물[茶泉 또는 茶井]·돌아궁이[石竈]·돌절구[石臼] 등이 있었는데 이를 화랑의 다도유적(茶道遺蹟)이라 하였고, 또 이 유적지를 가리켜 술랑선인(述郎仙人), 즉 화랑도들이 노닐던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한송정을 두고 읊은 고려 고종 때 장진산(張晉山)의 〈한송정곡 寒松亭曲〉이 《악부 樂府》에 전하고 있는 것을 비롯하여 안축(安軸)·이인로(李仁老)·김극기(金克己)·권한공(權漢功)·이무방(李茂芳)·유계문(柳季聞) 등의 시를 소개하고 있다.
조선시대 지리지(地理志)들은 한송정이 관동팔경(關東八景)에 들지는 못하지만, 관동팔경의 하나인 경포대(鏡浦臺)와 함께 강릉을 대표하는 명구(名區)로 이 정자를 꼽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을 상고해 보면, 한송정이 생겨난 시원을 신라의 화랑도가 생성되는 시기(진흥왕 37년, 576)인 6세기 후반으로 본다면, 그 생성 상한을 짐작할 수 있으며, 또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하던 시기(조선 초기)에는 폐허가 되어 있음을 상상하게 해 준다.
그러나 한송정은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고지도(古地圖)와 강릉지역 고로(古老)들의 문집(文集) 등을 살펴보면 19세기 말까지도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과거의 지리지를 비롯한 기록들이 술랑(述郎)과 4선인(四仙人 : 永郎·述郎·南郎·安祥) 등 화랑도들이 노닐었던 곳으로 설명한 것은 명승지에 대한 부회(附會)라고 할 것이지만, 오늘날은 물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동해안을 지키는 작은 군사기지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화랑도가 노닐던 곳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송정의 유물로 전해지는 차샘·돌아궁이·돌절구 등은 지금까지도 잘 보존되어 있으며, 돌샘에서는 맑은 물이 솟고 있다.
돌절구에는 강릉부사 윤종의(尹宗儀)가 가장자리에 ‘新羅仙人永郎鍊丹石臼(신라선인영랑연단석구)’ 라는 글귀를 새겨 놓았는데 돌절구라는 이 석구는 형태나 형식으로 보아 절구가 아니라 비석을 꽂아 세우기 위한 밑받침돌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강릉읍지(江陵邑誌)』
- 『동호여람(東湖輿覽)』
- 『임영지(臨瀛誌)』
'율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지상의 고민(鄭知常 苦悶)- 이인로(李仁老) 破閑集에서 (0) | 2016.04.11 |
---|---|
120년 만의 귀환, 우리 국악기 (0) | 2016.04.10 |
반도네온(bandoneon) (0) | 2016.03.01 |
D.FESTA 2010 대학로 소극장 축제 - 전통예술단 아우름 - (0) | 2016.02.18 |
8음(八音)의 소리를 담은 해금 (0) | 201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