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시와 그림] 12 . 행화소영(杏花小詠) /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 - 抄

2016. 3. 19. 21:58茶詩

원고 자료 초록 .....

  작성중입니다......



[차, 시와 그림] 12.  행화소영(杏花小詠)


       행화소영(杏花小詠)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허백당시집 제4권시(詩)행화에 대한 소영〔杏花小詠성현(成俔)2008 년




허백당시집 제4권원문  원문이미지  새창띄우기
확대 원래대로 축소
 시(詩)
행화에 대한 소영〔杏花小詠

차를 막 넣은 동병은 비가 지나간 듯한데 / 銅甁如雨茗新添
손이 피곤하여 턱 괴고 낮잠을 자다가 / 手倦支頤到黑甛
우는 새 두어 소리에 낮 꿈을 놀라 깨보니 / 啼鳥數聲驚午夢
살구꽃 가지 그림자가 성긴 발에 가득구나 / 杏花枝影滿疎簾


[주D-001]차를 …… 듯한데 : 비가 지나간 듯하다는 것은 차 달이는 솥이 설설 끓어서 마치 빗줄기가 지나간 것처럼 보이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소식의 〈야과서요문희작(夜過舒堯文戲作)〉 시에 “추위 견딘 돌벼루는 얼음이 생기려 하고, 불 지핀 동병은 빗줄기가 지나가는 듯하네.〔耐寒石硯欲生氷 得火銅甁如過雨〕”라고 하였다. 《蘇東坡詩集 卷17》
[주D-002]손이 …… 자다가 : 손이 피곤하다는 것은 흔히 책을 보다가 피곤해서 책을 손에서 놓는 것을 뜻한다. 송나라 채확(蔡確)의 〈수정(水亭)〉 시에 “종이 병풍 아래 돌베개 대나무 침상에 누워, 손이 피곤해 책 놓으니 낮 꿈이 길기만 해라.〔紙屛石枕竹方牀 手倦拋書午夢長〕”라고 하였다. 《千家詩 卷3》


한국고전번역원 ┃ 임정기 (역) ┃ 2008








이명기, '송하독서도'

 

이명기,<송하독서도>, 종이에 연한 색, 103.8×49.5cm, 삼성리움미술관

 




  화제(畵題)  :  ‘독서하기 여러 해. 심어 놓은 소나무들 모두 늙어 용 비늘이 생겼네(讀書多年 種松皆作老龍鱗)


   *** 참고자료  :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미술사적 증언과 화론"




‘독좌(獨坐)

고요한 집에 홀로 앉아있어도 온갖 생각이 이어지니(獨坐幽軒萬慮嬰)
하얗던 귀밑머리가 더욱 더 희었구나(淸霜入鬢剩添莖)
주렴을 걷고 멀건이 거미줄을 쳐다보고(開簾怕見蜘蛛網)
베개에 의지하여 쓸쓸히 귀뚜라미 소리를 듣노라(欹枕愁聞蟋蟀聲)
섬돌에 비치는 달은 소식이 온 듯하고(明月到陛來有信)
길 가득 맑은 구름, 덧없이 가누나(靑雲滿路去無情)
오직 거문고만이 내 마음을 알기에(知心惟有琴三尺)
괘를 짚어 다시 연주하리(就撫瑤徽鼓再行)


   - 『허백당시집(虛白堂詩集)』 권8






[역사 속의 오늘] '악학궤범' 펴낸 음악학자 성현 사망(1504 .1 .19)

입력 : 2009.01.19 09:14


   ‘악학궤범’을 편찬한 조선초기 문관이자 음악학자인 허백당(虛白堂) 성현이 1504년 오늘 사망했다. 그는 조선초기 큰 권세를 누렸던 창녕 ‘성’씨의 후손으로 아버지와 두 형 모두 고위 관직을 지냈다.

1493년 성종의 명을 받아 쓴 악학궤범은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전승을 가능하게 해 준 책으로, 음악 이론과 쓰임새, 악기의 구조와 연주법, 궁중무용의 종류와 절차 등을 그림과 곁들인 종합적인 악서(樂書)이다. 특히 그는 연주법을 기록할 수 있는 ‘합자보’(국악의 옛 악보)를 창안해 현금합자보를 간행하기도 했다. 성현은 사간원 대사간, 성균관 대사성(현재 대학 총장), 사헌부 대사헌 등을 지냈다     - 소년한국일보 기사







왕유의 시, ‘폐문저서’의 이미지

당(唐)나라의 왕유(王維)는 시 짓고 그림 그리는 데 재주가 탁월했던 귀족 문인이다. 호화로운 별장을 장안 근교에 지어 놓고 세월 좋게 살았던 인물이다. 어느 봄날 왕유가 벗을 찾아갔는데 만나지 못했다. 그 벗의 뜰에 소나무가 있었던 모양이다. 왕유는 이때의 정황을 시로 읊었다.



‘폐문저서’를 여러 세월 하노라니,

심어 놓은 소나무에 모두 늙은 용의 비늘이 났구나.

閉門著書數歲月,

種松皆作老龍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