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4. 19. 19:04ㆍ美學 이야기
[스크랩] 이명욱 /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좋은 자료 주고 받기
이명욱, 어초문답도, 17세기, 173.0 cm ×94.0 cm, 간송미술관 소장 ‘어부와 나무꾼은 서로에게 무얼 물을까?’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는 어부와 초부가 묻고 답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입니다. 어부는 고기잡이이고, 초부는 나무꾼이지요. 그림 속에서 누가 고기잡이일까요? 당연히 낚싯대와 고기 꾸러미를 들고 있는 사람이지요. 고기잡이는 커다란 머리에 테만 있는 갓을 썼습니다. 머리털과 수염은 깎지 않고 내버려 두어 삐죽삐죽 뻗어나 있고, 허리춤에 그러모은 바지 아래로는 맨발이 드러나 있습니다.
고기잡이는 갈대가 무성한 강변 길에서 나무꾼을 만났습니다. “어디 오늘은 재미 좀 보았나?” 나무꾼은 고기잡이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허허, 재미는 무슨? 그저 바람이나 쐴 뿐이라네.” 고기잡이는 너털웃음을 지으며 손에 쥔 붕어 두 마리를 들어 보였습니다.
“예끼 이 사람아, 저기 강변에서 하루 종일 앉아 겨우 이뿐이란 말인가!” 나무꾼은 고기잡이가 낚시하던 쪽을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고기잡이는 대답 대신 웃기만 하였습니다. “그 놈들 참 실하기도 하네. 오늘은 자네가 안주거리를 구했으니 술은 내가 내겠네.” 고기잡이와 나무꾼은 사이좋게 주막이 있는 마을로 향했습니다. 바람이 불자 나무꾼의 치렁한 옷자락이 펄럭였습니다. 허리춤에 찬 손도끼와 어깨에 멘 막대가 흔들렸습니다. 군데군데 꿰맨 옷자락은 남루했지만 표정은 무척 밝았습니다.
신라 효성왕이 왕으로 등극하기 직전의 일입니다. 하루는 어진 선비 신충(信忠)과 궁중의 뜰에서 바둑을 두고 있었습니다. “나중에 내가 왕이 되면 그대를 잊지 않겠노라.” 왕자는 뜰의 잣나무를 보며 이렇게 맹세하였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왕위에 오른 효성왕은 신충에게 아무런 벼슬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신충은 왕이 원망스러웠습니다. 예전에 왕과 바둑을 두었던 잣나무 그늘로 갔습니다. 잣나무는 그 약속을 아는지 모르는지 여전히 푸르기만 하였습니다. 신충은 그 자리에서 ‘원망하는 노래’를 지었습니다.
잣나무 푸른 잎은 가을에도 지지 않은 법인데 너를 어찌 잊겠느냐 하신 말씀 우러러 믿고 있었더니 이제 그 마음 변해 버렸구나. 연못에 비친 달 그림자가 물결이 일면 사라져 버리듯 작은 일에도 마음 흔들리니 이 세상이 모두 그렇단 말인가.
신충은 시를 종이에 써서 잣나무에 붙여 두었습니다. 놀랍게도 잣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시들어 버렸습니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바로 신충에게 벼슬을 내리니 비로소 잣나무는 다시 살아났습니다. 신충은 다음 임금인 경덕왕 때 벼슬을 버리고 지리산에 들어갔습니다. 임금이 두 번이나 사람을 보냈지만 더 이상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산골에서 나무꾼처럼 욕심 없이 사는 게 벼슬살이보다 더 행복하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漁樵問答圖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화제 가운데 하나. 어부와 나무꾼이 대화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어초도·어초한화도(漁樵閒話圖)라고도 한다. 어부와 나무꾼은 장소는 같지 않지만 양자 모두 자연 속에서 생활을 영위하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과의 친화관계를 나타내는 소재로 많이 그려졌다. 그리고 어부와 나무꾼의 대담형식을 빌려 자신의 사상을 피력한 북송(北宋) 소동파(蘇東坡)의 〈어초한화〉는 이 화제의 중요한 화인(畵因)이 되었다. 조선 중기에는 낚싯대와 그물 및 고기바구니를 든 어부와 도끼를 든 나무꾼이 길에서 상봉하는 모습을 주로 그렸으나, 후기부터는 서로 마주앉아 한담(閑談)하는 장면이 대종을 이루었다. 이명욱(李明郁)·홍득구(洪得龜)·정선(鄭敾)의 〈어초문답도〉가 대표적이다.
|
'美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송미술 36 / 김영안의 독서 노트 (0) | 2016.04.19 |
---|---|
"청록산수, 낙원을 지향하다” (0) | 2016.04.19 |
어초문답도 (0) | 2016.04.19 |
인정과 풍류가 흐르는 그림…조선 대가들의 색다른 상상력 外 (0) | 2016.04.19 |
김대환의 文響 - 28 백제 옥석제 삼존판불상(百濟玉石製三尊板佛像) (0) | 2016.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