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봉유설>에 나타난 고려의 언어

2017. 3. 13. 23:09우리 역사 바로알기



       3. 『지봉유설』에 나타난 고려의 언어. |고려 토론방

김용만 | | 조회 71 |추천 0 | 2017.03.13. 13:40 http://cafe.daum.net/alhc/7h/652     



3. 지봉유설에 나타난 고려의 언어.

 

   이수광은 유학자 답게 지봉유설에서 많은 경서(經書)들에 대해 언급하고, 자신의 해석 등을 실기도 했다.

그런데 권 7, 경서부(經書部)<서적(書籍)> 편에 다음 내용을 적고 있다.

 

설부(說郛-명나라의 도종의(陶宗儀)가 여러 설을 모은 총서(叢書에 말하기를, 주나라 세종 때에 수부랑 한언경이 고려에 사신으로 가서 한 서적을 보니 박학기(博學記)라고 하였다. 그 중에 안개를 미천보장(迷天步障-하늘을 가려 걷기에 장애되는 것)이라 하였고, 서리를 위설(威屑-두려운 가루)이라 하였으며, 이슬은 교수(敎水-물이 맺힌 것)이라 했고, 우박은 빙자(氷子-얼음의 아들), 무지개는 기모(공기의 어미-공기의 어머니)라 하였고, 별을 설금(屑金-금가루를 뿌린 것)이라 하였는데 그 말이 매우 신기했다. 그런데 그 소위 박학기라는 것이 어떤 책인지 지금은 알 수 없다.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따르면, 한언경이 고려에 온 것은 서기 958년의 일이 된다. 안정복은 박학기를 예로 들어 우리나라의 옛 서적이 본국(本國)에 전해지지 않는 것이 아마도 많을 것이라고 적었다.

박학기가 어떤 책인지 궁금해 찾아보니, 한치윤의 해동역사에 좀 더 많은 내용이 나온다.

28풍속지<방언(方言)> 편에는 계림유사(鷄林類事)에 나오는 고려 방언을 아래와 같이 기술한 후,

박학기의 내용을 좀 더 소개하고 있다.

 

“《고려박학기(高麗博學記)에 이르기를, “(-우유나 양유를 끓여서 만든 음료)를 대도규(大刀圭)라 이름하고, 제호(醍醐-우유 위에 엉긴 기름덩이 모양의 맛 좋은 액체)를 소도규(小刀圭)라 하고, (-우유나 양유를 끓여서 만든 죽)을 수도규(水刀圭)라 하고, 유부(乳腐-우락의 한 종류, 부유라고도 함.)를 초창도규(草創刀圭)라 한다. 또 이르기를, “미공보장(迷空步障) -안개[]를 가리킨다.-, 위설(威屑) -서리[]를 가리킨다.-, 교수(敎水) -이슬[]을 가리킨다.-, 빙자(冰子) -우박[]을 가리킨다.-, 기모(氣母) -무지개[]를 가리킨다.-, 설금(屑金) -[]을 가리킨다.-, 추명대로(秋明大老) -은하수[天河]를 가리킨다.-”라 하였다. -이상 모두 청이록(淸異錄)

 

한치윤은 43예문지(藝文志)<서목(書目)>에서

고려 박학기에 대해

()나라 세종(世宗) 때 수부랑(水部郞) 한언경(韓彦卿)이 고려에 사신으로 갔다 왔다. 한언경이 박학기라는 책 하나가 있는 것을 보고는 3백여 가지의 일을 베꼈는데, 지금 천부(天部) 가운데에서 7가지 일을 초록(抄錄)하였는바, ‘하늘을 가려 걷기에 장애가 되는 것[迷空步障] -안개[]를 가리킨다.-, 두려운 가루[威屑] -서리[]를 가리킨다.-, 물이 맺힌 것[敎水] -이슬[]을 가리킨다.-, 얼음의 아들[冰子] -우박[]을 가리킨다.-, 공기의 어미[氣母] -무지개[]를 가리킨다.-, 금가루를 뿌린 것[屑金] -[]을 가리킨다.-, 가을 하늘의 큰 노인[秋明大老] -은하수[天河]를 가리킨다.-’이다. - 청이록(淸異錄)

 

이라고 다시금 적고 있다.

박학기라는 책이 지금까지 전해졌다면, 고려시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이 책이 궁금해진다.

이수광이 알 수 없었던 책이라면, 조선 초기에 사라진 책일까? 설부, 청이록등을 통해 이 책의 내용을 좀 더 찾아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 아래 -

대상어한자표기민국본영문표기한글표기비고
漢捺ha-nr하ㆍ
hiㆍ姮은 契의 오(誤)
tr:契는 姮의 오
契는 黑隘切
屈林ku-rumㆍ구롬, 구룸
孛纜p-rm
nun;눈
霏微piㆍ비
雪下嫩耻nun-ti:눈디
ti
天動t’jn-tog텬동
pak
미상한자어
霜露s-ri서리
미상
陸橋한자어
幾心幾沁kui-sin:귀ㆍ신
神通神道한자어
ㆍ불
仙人僊人한자어
河屯h-tn나ㅎ, 
途孛tur(h):둘ㅎ, 두불
si(h):세ㅎ洒는 廝乃切
ni(h):네ㅎ
打戍打戌ta-ss다ㆍ
逸戍逸戌’j-sis여ㆍ슷
一急nir-kup닐ㆍ굽
逸荅逸答’j-tirp여ㆍ?
鴉好’a-hop아ㆍ홉
’jar(h)ㆍ열ㅎ
二十戍沒si-mir(h)ㆍ스ㆍ믈(ㅎ)
三十實漢戌漢sjr-hin셜ㆍ흔
四十麻兩麻刃ma-zn마ㆍ
五十suin:쉰
六十逸舜’j-siuin여:
七十一短逸短nir-hin닐ㆍ흔一訓의 誤
八十逸頓’j-tin여ㆍ든
九十鴉順鴉訓’a-hn아ㆍ
’onㆍ온
c‘jnㆍ쳔한자어
man:만한자어
阿慘阿摻’a-c‘m아ㆍ
稔宰捻宰na-ci나민국본을 취함
占捺cj-mir져ㆍ믈ㆍ(다)
古沒
記載訖載ki-ci그제
昨日訖載그제상항과 중복
今日烏捺’o-nr오ㆍ
明日轄載hu-ci후제
後日母魯毋魯mo-roiㆍ모ㆍ뢰
約明日至轄烏受勢轄載烏受勢hu-ci’o-sjo-sj-오쇼ㆍ셔
約日至受勢쇼ㆍ셔
年春夏秋冬한자어
tjgㆍ뎡(ㆍ바기)
미상한자어
東西南北한자어
轄希轄希hrk
한자어
pirㆍ블
moi(h):뫼ㅎ
tor(h):돌ㅎ
mirㆍ믈
한자어
한자어
한자어
丁蓋미상
한자어
烏沒’u-mir우ㆍ믈
sup(p‘)
koc(s)
南記nam-k(i)남ㄱ
taiㆍ대
pam:밤監은 銷檻切
枝棘미상
鮓子南cas-nam:잣남ㄱ
胡桃渴來渴未k-raiㆍㆍ래
kam:감
pi:
林檎悶子訃悶子計mun-z-pi
黃漆hwag-c‘ir황ㆍ칠
質姑미상
鶻試su(h)ㆍ수ㅎ미상
am(h)ㆍ암ㅎ
trk喙의 음은 達
漢賽han-sai한:새
雉賽skwg-sai새
鴿弼陀里pi-tu-ri비두ㆍ리
渴則寄則寄ka-c‘i가치
hakㆍ학한자어
打馬鬼ta-ma-kui가마괴
哭利弓幾ki-rj-ki그려ㆍ기
雀譚雀譯미상
sai:새賽는 斯乃反
pm:범監은 蒲南反
sjoㆍ쇼燒는 去聲
한자어
tot‘
家稀家狶ka-hi가ㆍ히
鬼尼鬼尼ko-ni고니
cui
한자어
mr
乘馬轄打hr-t‘a타, 걸터打는 平聲
渴翅kac‘(i)갗, 갓
한자어
한자어
미상
水脫미상脫은 剔恙切
미상
ki:게
미상
蓋慨ki-k‘i게케
한자어
한자어
한자어


niㆍ니
批勒批動pj-rok벼ㆍ록
側根㫉蟣施미상
虼鋪墓鋪미상
한자어
한자어
孫命son-nim손님孫吟의 오
員理’wn
sjn-pi션ㆍ進은 士儘反
主事한자어
行身미상
工匠把指pa-ci바지
宰把指미상
한자어
福田한자어
阿尼’a-ni아니한자어
遊子浮浪人한자어
丐剝ks-βas것
水作su-ca(h)수자ㅎ, 수?
婆兒案兒pa-z버, 바
倡人之子故作ko-cia고ㆍ쟈
樂工故作
稱我naiㆍ나, 내能은 奴台切
問你汝誰何爾餧nu-koㆍ누고, 누구
漢了秘han-’a-piㆍ한아ㆍ비了는 丫의 오
子了秘了秘’a-pi아ㆍ비了는 丫의 오
了秘了彌-mi’어ㆍ미了는 丫의 오
伯叔了査秘’a-ca-pi아자ㆍ비了는 丫의 오
伯叔母了子彌’a-c-mi아ㆍㆍ미了는 丫의 오
長官미상
長漢吟長官吟미상
姊妹미상
男子吵喃沙喃s-na-hi나히음은 
了兒’a-z아了는 丫의 오
了慈’a-z아了는 丫의 오
女子漢吟ha-nim하님
自稱其夫沙會sa-hoi사ㆍ회
漢吟ha-nim하님
自稱其妻細婢미상
陟臂미상妾의 寫音
男兒了姐了妲’a-tr아ㆍ了는 丫의 오
同婆記sas-ki삿기婆는 娑의 오
女兒寶姐寶妲ptr, 
召育曹兒召盲曹兒미상
父呼其子了加’a-kaㆍ아ㆍ가了는 丫의 오
了村了姐’a-c‘n-’a-tr아ㆍ아ㆍ了는 丫의 오
漢了祕han-’a-piㆍ한아ㆍ비了는 丫의 오
漢了彌han-’-miㆍ한ㆍ아ㆍ미了는 丫의 오
了村’a-c‘n아ㆍ了는 丫의 오
母子兄訓欝미상
母子弟次欝미상
姨妗了子彌’a-c-mi아ㆍㆍ미了는 丫의 오
麻帝ma-ti마디
麻帝核試ma-ti마디-
捺翅ns(c‘), , ㅊ
疎步踈步nun-sp눈섭嫩涉의 오
nunㆍ눈
kuiㆍ귀
’ipㆍ입
niㆍ니
hjㆍ혀
面美捺翅朝勳n-c‘i-tjo-hn치됴
面醜捺翅沒朝勳n-c‘i-mot-tjo-hn치:?됴
한자어 음은 심(尋)
momㆍ몸
ka-sm가ㆍ軻 뒤에 1자 결
腿馬末미상
piㆍ
sonㆍ손
parㆍ발
骨鹽眞鹽骨眞’jm-kir-(cin)염ㆍ글(진)鹽骨眞의 오
鹽骨易成’jm-kir-’i-sj염ㆍ글이셔成은 戌의 오
安里鹽骨眞’a-ni-’jm-kir-(cin)아ㆍ니염ㆍ글(진)
洗手遜時蛇son-si-sㆍ손시서
洗濯時蛇si-s시서
白米漢菩薩nin-psrㆍ
田菩薩co(p)-psr좁ㆍ, 조ㆍ
密頭目祕頭目mirhㆍ밀ㅎ頭目은 미상
大穀麻帝骨田麻帝骨ma-ti-kok마디곡
酥孛su-pur수불
生根sin-ks?것
密祖祕祖mj-cu며ㆍ주원본에는 蜜祖
蘇甘so-kom소곰
畿林ki-rim기ㆍ름畿는 入聲
魚肉姑記ko-ki고ㆍ기
朴擧papㆍ밥
謨做미상
c‘a차, 다한자어
飮酒酥李麻蛇酥孛麻蛇su-pur-ma-sj수불마셔李는 孛의 오
麻蛇ma-si마셔
煖酒蘇孛打里su-pur-ta-ri수불ㆍ다ㆍ리(다)
安排打里ta-riㆍ다ㆍ리(다)
勸客飮盡食打麻此ta-m-c‘:다
蘇孛速su-pur수불-速은 미상
不善飮本道安理麻蛇pon-ti-’a-ni-ma-sj본아ㆍ니마셔
熟水泥根沒ni-kin-mir니근ㆍ물
冷水時根沒si-kin-mir시근ㆍ물
擺咱pi-c‘ㆍㆍ咱는 七加反
擺咱安理pi-c‘-a-niㆍㆍ아니
那論義郍論義nu-rn-soi누런쇠義는 歲의 오
區戌ku-sir구ㆍ슬
漢歲hin-soiㆍㆍ쇠
tog한자어
soiㆍ쇠
s한자어
samㆍ삼
미상
kim:금한자어
菩薩미상
kip:깁
poiㆍ뵈
毛施mo-si모시
苧布毛施背mo-si-poi모시ㆍ뵈
幞頭幞頭pok-to복도
帽子mo:모한자어
頭巾土捲上捲tu-kn두건
p‘o한자어
腰帶’jo-ti요
謁子帶미상
皀衫軻門珂門k-min거믄
泥不尼不ni-pir니ㆍ블
珂背k-poi뵈
安海珂背an-hai-k-poiㆍ안해뵈
kun한자어
sin신, (훠)?
背戍背成po-sjn보션,ㆍ뵈?
女子蓋頭子母蓋미상
板捺斜捺pa-nr바ㆍ
夾袋南子木蓋男子木蓋미상
女子勒帛實帶sir-stii실
綿sir:실
sjr한자어
hin
那論nu-rn누런
c‘jg?한자어
質背tit-poi딛뵈
hik한자어
cjkㆍ?한자어
眞紅cin-hog진홍한자어
pi한자어
沒涕里mir-ti-riㆍ믈ㆍ드ㆍ리(ㆍ다)
雌字雌孛c-pur저불字는 孛의 오
ca(h)ㆍ자(ㅎ)
toiㆍ되刀의 음은 佳
marㆍ말
’inㆍ인한자어
c‘ja한자어
piㆍ
tig-(mi)등䔲의 음은 登
席薦質薦ci-cir(k)지ㆍ?席薦은 薦의 오
椅子馳馬to-ma도ㆍ마馳는 駞의 오
卓子食床sig-sagㆍ식상한자어
한자어
火炬hwa-k:화ㆍ거한자어
par:발
活黃미상
簾箔미상
미상
枯孛ko-por고볼
聚笠sju-rup슈ㆍ룹
孛采pu-c‘ai부ㆍ채
katㆍ갇蓋의 음은 渴
pis苾의 음은 必
頻希頻希pin-hj빈혀참빗
齒刷養支’jag-ciㆍ양지
合子hapㆍ합한자어
盤子pan한자어
pjg한자어
銀甁蘇乳미상
酒注甁砣甁碗미상
盞盤臺盤臺盞미상
미상吃은 楛咜反
雅數耶鴉救耶미상
sot?
巳顯巳題미상
楪至tjp-si?ㆍ시
大耶tai-’ja대야
surㆍ술戍는 戌의 오
茶匙茶戍c‘a-sur차ㆍ술戍는 戌의 오
c, cjㆍ저, 져折은 七吉反
沙羅戌羅so-raㆍ소ㆍ라
敖耶미상
皮盧pj-ro벼ㆍ로
皮盧미상誤記인 듯함
죠ㆍ
mkㆍ먹
刀子karㆍ갈
剪刀割子蓋kz-kai개
骰子미상
p‘jn한자어
未鞍mr-’an안(쟝)
轡頭pi한자어
pup‘
kii
kwar
sarㆍ살
한자어
長刀한자어
火刀割刀미상
烏子蓋’o-ci-kai오지개
蘇成蘇戍sus(k)숫ㄱ
孛南木pir-na-moㆍ불나모
미상
no
pa
索縛那沒香郍木香no-mus-k노뭇거
活索活李hwar-so활ㆍ
讀書乞鋪赴鋪kir-po글ㆍ보-
寫字乞核薩kir-ki-zir글그
乞林ki-rimㆍ그림
柏子미상
作之ca-ciㆍ자지
你之ni-ci니지
阿則家囉’an-c-k-ra안거ㆍ라
미상
乞寢吃寢미상
欺臨k-rim거ㆍ름
連音打速行打njn-ta년다
烏囉’o-raㆍ오라
匿家入囉ni-k-(ci-ra)ㆍ니거(지라)
胡臨미상
胡住미상
客至孫烏囉son-’o-ra손오라
有客孫集移室延son-cip-’i-sir손집이실孫集移室의 오
客入屋裏坐少時’o-ra-cu-sjo-sj오주쇼셔延客入의 오
語話替理受勢替黑受勢ti-ra-sjo-sj드러쇼셔
擊考屋打理繫室打里미상
決罪滅知衣底미상
借物皮離受勢pi-ri-sjo-sj비리쇼ㆍ셔
問此何物設審mi-sim므ㆍ슴說은 沒의 오
乞物念受勢-sjo-sj-쇼ㆍ셔念은 미상
問物多少密翅易成mj-c‘i-’i-sj며치이셔
呼取物都囉to-raㆍ도라
相別羅戱少時’j-hii-sjo-sj여ㆍ희쇼셔
事之畢ta:다
勞問雅蓋미상‘아개’인 듯함
sig한자어
s한자어
刀斤nir-kin늙은刀는 力의 오
亞退’a-c‘n아ㆍ
薩囉sa-ra사라
朱幾cu-k주거
移實’i-sir이실
不鳥實p-sir업슬烏不實의 오
黑根미상
胡根hjo-kin효근, 호
覺合及釁何支hin-h-ti흔디民本을 따름
阿捺미상원본에는 阿捺
那奔no-p‘n노
捺則n-ck원본에는 捺則
及欣ki-p‘in기픈
眼底泥底nj-t‘i녀티


 

     


  - 다음 카페 < 우리역사연구모임> 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