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대제 삼태육성 제대신장

2017. 5. 10. 15:54별 이야기



      

오방대제 삼태육성 제대신장

삼태육성 제대신장

삼태육성제대신장


 1. 무속
1.1. 무속의 정의 


   무속은 무당을 중심으로 하여 전승되는 종교적 현상이라 간략하게 정의내릴 수 있다. 무속은 민간사고가 집약되어 무당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종교현상이다. 국내 어느 지역에서나 행하여지는 무속의 기본제의로는 성주굿, 삼신굿, 지신굿, 조왕굿 등 민가의 가신에게 기원하는 제의와, 서낭굿, 당산굿 등 마을의 수호신에게 기원하는 제의 그리고 외계의 신에게 기원하는 제의가 있다. 특히, 굿의 제의순서는 민가의 가신으로부터 마을의 수호신을 거쳐 우주의 천신으로 이어지며, 일반 민간신앙을 집약, 체계화시키면서 무속의 굿은 진행된다. 따라서, 무속은 민간층의 종교의식이 집약된 것으로 한민족의 정신 속에 뿌리깊게 자리잡고 생활을 통하여 생리화한 산 종교현상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한민족의 기층적 종교현상인 무속을 한국의 종교사적 입장에서 보면, 외래종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한민족이 가지고 있었던 조직적 형태의 종교현상을 무속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귀결점에 이른다.


1.2. 무속의 신앙형태
1.2.1. 제신(祭神)과 제의장소
   무속제의에서는 가신(家神), 동신(洞神), 외계신(外界神)의 3부신이 기본적 제신이 되며, 제의의 규모가 커지는 큰 굿일수록 외계신이 다양하게 동원된다. 가신과 동신은 기본적 제신으로 별 변동이 없으나, 규모가 큰 굿일 경우 외계신과 함께 동신이 더 동원되는 경우도 있다. 무속에서는 민간인들의 생활현장인 가정과 마을 밖을 ‘외계’라고 보는데, 이와 같은 외계에 존재하는 신을 외계신이라 불렀다.


   각 지역 무속에서 제를 받는 3부의 가신, 동신, 외계신 중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신들이 있는데, 가신으로는 조왕신, 삼신, 지신, 성주신, 조상신, 대감신, 업신, 정신(井神), 우마신(牛馬神), 문신(門神) 등이 있고, 동신으로는 산신, 서낭신, 부군신, 당신(堂神) 등이 있으며, 외계신으로는 천신, 천왕신, 칠성신, 시준신, 제석신, 용신, 용왕신, 장군신, 군웅신(軍雄神), 신장신(神將神), 손님신, 창부신(倡夫神), 잡귀(雜鬼) 등이 있다. 제의장소는 가제와 동제가 각각 다르다.


   가제는 중부지역의 경우 대청에다 제의장소를 정하는 것이 통례이나 대청이 없는 집은 안방을 제의장소로 사용한다. 호남․영남․제주도 등지에서는 집안 뜰(안마당)에 차일(遮日)을 치고 그 밑에다 굿상을 차리고 제의를 하는 것이 통례이다. 중부지역 도시의 경우 제의장소가 마땅하지 않으면 굿당을 찾아가 제를 올리거나 무당의 집 신단(神壇)에서 제를 하는 예도 있다.
마을 공동제의인 당굿의 경우는 동신을 모신 당 앞에 제의장소를 정하고 제를 올리는 것이 원칙이다. 동제를 올리는 당은 신수(神樹)만 있거나 신수 밑에 석단(石壇)이 있거나 신수와 당집이 있는 세 가지 형태가 통례이다. 이 밖에 암석이나 산정이 제의장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당집 형태의 경우 그 사우(祠宇) 안의 제단에서 제의를 올리고, 사우가 없이 신수나 암석만 있는 경우 그 앞에다 제장을 꾸미고 제의를 한다.


1.2.2. 무속의 우주관
   무속에서 보는 우주는 천상, 지상, 지하로 삼분된다. 이들 3계의 우주층에는 각각 해와 달과 별이 있으며, 천상이나 지하에도 지상과 똑같은 세계가 있다고 믿는다. 천상에는 천신을 비롯한 일신, 월신, 성신과 그 시종들이 살면서 우주의 삼라만상을 지배하며, 지상에는 인간과 새, 짐승, 그리고 산신을 비롯한 일반 자연신이 살고, 지하에는 인간의 사령(死靈)과 그 사령을 지배하는 명부신들이 산다고 믿는다. 천상계는 인간이 늘 동경하는 낙원으로 먹을 것과 입을 것의 걱정이 없고 병과 죽음이 없으며, 춥지도 덥지도 않은 채 늘 꽃이 피고 새가 우는 선계(仙界)로 믿고 있다. 지하계는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인데, 생전의 선악과 공과(功過)에 따라 지옥과 낙원으로 구분된다. 지옥은 지하에 있는 암흑계로서 춥고 배가 고프며 형벌이 영원히 계속되는 형장이다. 낙원은 살기 좋은 영생의 세계인데, 낙원이 우주 3계 중의 어느 곳이라고 확실하게 지적되지 않은 채 그저 극락이나 저승으로 생각한다. 지옥은 지하계의 형장으로 그 공간위치가 확실하나 저승은 막연하게 지상에서 수평으로 가는 먼 곳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이승과 저승의 구분은 ‘모랭이(모퉁이)를 돌아간다’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천상계는 지상의 수직상에 있는 세계로 그 공간위치가 확실하면서 천상계는 지상에서 수직으로 왕래하는 것이라 믿고 있다.


1.2.3. 무속의 신관
   무속의 신관은 다신적 자연신관(自然神觀)이며, 신의 실재를 믿어 신이 만물 존재 운행의 전능자라 믿는다. 무속에서 신앙하는 신은 자연신계통과 인신(人神)계통인데 전국적으로 조사, 집계된 무신은 273종이다. 이를 계통적으로 분류하면 자연신계통의 무신은 천신계통, 일신계통, 월신계통, 성신계통, 지신계통, 산신계통, 노신(路神)계통, 수신계통, 용신계통, 화신(火神)계통, 풍신(風神)계통, 수신(樹神)계통, 석신(石神)계통, 사귀(邪鬼)계통, 명부신(冥府神)계통, 역신(疫神)계통, 동물신계통, 농신(農神)계통, 산신(産神)계통 등이며, 인신계통의 무신으로는 왕신(王神)계통, 왕녀(王女)계통, 왕비계통, 장군신계통, 장군부인계통, 대감신계통, 도교신계통, 일반일신(一般一神)계통 등이 있다. 이들 신은 주로 지신계통, 산신계통, 수신계통, 장군신계통 순으로 많다. 무속의 신관형태를 보면 무신은 대체로 인격적으로 현현되지만 자연신의 경우 간혹 자연 그대로의 정령(精靈)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들 무신에게 분담된 직능에 있어서는 무한한 능력자로 나타난다. 그러나 무신은 인간에게 어떠한 이성적인 계시를 통하여 그 능력을 행사하기보다는 무서운 고통을 주는 벌로써 신의 의사를 전달시키기 때문에, 비록 인간을 수호해 주는 선신(善神)일지라도 늘 공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이 때의 공포는 신성(神聖)의 극치이기도 하다.
무신과 인간의 관계를 보면, 무속에서는 인간의 생사, 흥망, 화복, 질병 등의 운명 일체가 신의 의사에 달려 있는 것이라 믿는다. 그리고 무신 상호간의 관계를 보면, 최고신으로 천신이 있고, 그 밑에 상층신으로 일월성신, 제석신, 칠성신 등이 있으며, 중층신으로 지상의 산신, 용신, 지신, 하층신으로 걸립신, 하졸(下卒), 잡귀들이 있다. 이와 같이, 무신의 서열은 최고신, 상층신, 중층신, 하층신의 네 계층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들 무신에게는 각기 인간을 위한 분담된 직무가 있는데, 무신들이 서로 합심이 되지 않을 때 인간은 신들의 알력 여파로 인해 화를 입게 된다고 믿는다.


2. 불교의 신장
2.1. 신장의 개념

  

   불교에는 부처, 보살 이외에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을 비롯하여 사천왕, 8부중 등 수많은 호법신(護法神)들이 있어, 부처님이 설법하실 때 여러 성중과 함께 불법을 찬양하며 불법의 외호(外護)를 맹세하는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을 일컬어 신중(神衆)이라고 한다. 특히 무장형의 여러 존상(尊像) 을 '외호신중'(外護神衆)또는 '신장'이라고 부른다. 신장이란 수많은 호법선신(護法善神) 가운데 무력으로 적을 항복시키며, 불법(佛法)을 옹호하고 불경(佛經)을 수지독송(受持讀誦)하는 사람들을 외호하는 신들을 말한다. 신장들은 부처나 보살들보다 한 단 계 낮은 지위에 있는 신들이다. 그러나 그들의 역할이 불법을 수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교 안에서 이들에 대한 신앙이 널리 퍼졌으며, 더불어 활발한 조상(造像)활동이 이루어져 왔다.


2.1.1 우리나라 신장신앙
   삼국시대의 신라에서는 진평왕(579 ~ 632년)때 제석천을 호국, 호법의 선신으로 신앙하여 제석궁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종류의 신장에 대한 신앙과 조상(造像)활동이 활발했고 본격화된 것은 문무왕(661~681)때 사천왕사가 건립된 사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백제에서는 무왕(600~641)때 제석사룰 건립했다는 기록, 의자왕 21년(660) 풍우로 천왕사(天王寺)와 도양사(道讓寺)의 탑이 진동했다고 하는 기록이 있어, 제석, 사천왕 등 신장에 대한 신앙이 백제에서도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에도 신장신앙이 있었으리라고 생각되지만 현재 기록으로는 확인할 만한 것이 없는 실정이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감은사 사리기(682)의 사천왕상, 8부 중상을 비롯하여 석탑과 부도 등에 인왕, 사천왕, 8부중, 12지 등이 부조된 예가 많이 남아 있으며, 석굴암 내부에 여러 신 장상들이 조각되어 있다.


   고려시대에 불교가 국가와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신앙으로 수용됨 에 따라, 법회와 도량 등이 크게 유행하였고 사찰안에도 많은 신장 탱화와 상이 모셔져 예배되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신장상의 예는 그리 많지 않다.
조선시대에 신장은 단지 가람수호 또는 호법이라고 하는 신장본래의 기능에 의한 신앙의 대상으로서만 믿어졌다. 그래서 천왕문이나 명부전 등에 인왕상, 사천왕상 등의 탱화가 많이 조성되었다. 즉, 조선후기에는 신장이 갖고 있던 외호적 기능이 불전 안의 불보살 수호라고 하는 내호적 신앙으로 탈바꿈하면서 신중탱화가 크게 유행하였던 것이다.
결국 신장신앙은 시대적인 성격에 따라 호국호법(護國護法)이라는 외호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고, 때로는 개인의 신앙을 위한 기능을 하면서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2.2. 신장상의 종류
2.2.1. 제석천(帝釋天, Indra)
   제석천은 도리천(도利天)의 주인으로서 수미산 꼭대기의 선견성(善見城)에 살며 범천과 함께 불법 수호의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도리천중과 사천왕을 권속으로 삼고 있다. 그림이나 조각으로 표현될 때는 금강저를 들거나 합장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반 신장들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조성되어 예배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범천이나 다른 신장들과 함께 표현되곤 한다.
2.2.2. 범천(梵天, Brahman)
범천은 제석천과 함께 천부(天賦)가운데 주요존으로서 불법 수호의 역할을 맡고 있다. 불상 가운데 가장 빨리 조성되기 시작하였고 보통 조각이나 그림으로 나타낼 때는 정병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제석천과 함께 쌍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아 구별하기 힘든데 정병을 들고있는 것이 범천이다.
2.2.3. 인왕(仁王, Vajradhara)
인왕은 절에 들어가는 문이나 전각(殿閣)의 입구 좌우에 서서 불법 을 수호하는 상을 일컫는 말이다. "금강저를 손에 든 자"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는 무장하고 손에 금강저를 든 상을 가리키지만 한편으로는 나체상으로 바위 위에 서서 맨 주먹으로 무엇인가를 내리 치려는 분노의 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2.4. 사천왕(四天王)
인도신화 시대부터 있었던 호법신으로 고대 인도의 바르후트 탑에 증장천이 묘사된 것으로 보아 서기전 2세기경부터 불교에 유입된 듯 하다. 간다라 미술에서는 석가 성도의 장면에 마왕의 군대가 방해하여 전투를 할 때 지국, 증장, 광목, 다문 등 사천왕이 활약하는 불전도가 전해지고 있다.
2.2.5. 팔부중(八部衆)
불법을 수호하는 8종의 신으로서 천(天), 용(龍), 야차(夜叉), 아수라(阿修羅), 간달바(乾達婆), 긴나라(緊那羅), 가루라(迦樓羅), 마후라가(摩候羅伽)등을 말하며, 10대 제자와 함께 부처의 설법을 호위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2.2.6. 12신장(十二神將)
12야차대장(十二夜叉大將), 12신 왕(十二神王) 등으로도 불리우며 , 약사불(藥師佛)의 12대원(十 二大願)에 의하여 그를 수호하고 실 현시키고자 하는 신장이다.


3. 무속의 신장
3.1. 무속에서의 개념


   무속에서의 신장의 개념은 불교에서의 신장 개념과 약간 다르다. 물론 무속에서 섬기는 신장들 중 상당수는 불교에서 연원한 것이지만 특히 조선 후기에 많이 형성된 무속의 신장상은 그 개념과 성격이 불교의 신장 개념, 성격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무속에서 신장은 신을 호위하며 신의 명령에 따라 행동하는 신의 장수들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후기에 크게 유행하여 무속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친 위서(僞書) 도교경전인 『옥추경(玉樞經)』에는 교주(敎主), 천사(天師), 천군(天君), 원군(元君), 조사(祖師), 진군(眞君), 진인(眞人), 진선(眞仙), 원군(元君), 원수(元帥), 부수(副帥) 등 48신장이 언급되어 있다. 그 외 신장을 소개하고 있는 다른 「신장편(神將篇)」에는 하늘에는 구천신장(九天神將), 지상에는 동서남북과 중앙을 지키는 오방신장(五方神將), 일년을 지키는 간지신장(干支神將), 바다를 지키는 사해신장 (四海神將), 다섯 산을 지키는 오악신장(五岳神將) 등 하늘과 땅, 지하에 수많은 신장을 열거하고 있다. 이처럼 무속에서 신장은 실로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의 기능은 잡귀나 악령을 쫓는 기능으로 집약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신장들의 개별적 능력은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지역마다 중요하게 섬겨지는 신장도 매우 다른 편이다.


3.2. 삼태육성제대신장
3.2.1. 삼태성의 개념
조선초기의 천문학자였던 이순지(李純之)는 그의 저서 『천문유초(天文類抄)』에서 삼태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삼태(三台)는 삼공(三公)의 지위이다. 주로 덕(德)을 베풀고 부(符, 즉 임금의 명령)를 널리 편다. 서쪽으로 문창(文昌)에 가까운 이성(二星)을 상태(上太)라 하니 사명(司命)이고 수(壽)를 주관한다. 다음 두 별을 중태(中台)라 하니 사중(司中)이고 종실(宗室)을 주관한다. 동쪽에 있는 두 별을 하태(下台)라 하니 사록(司祿)이고 병(兵)을 주관한다. 이들 별은 덕을 비추고 어그러짐을 막는 것이다. 일설에는 태계(泰階)라고 하니 상계(上階)의 윗별은 천자(天子)이고 아랫별은 여주(女主)이다. 중계(中階)의 윗별은 제후(諸侯)와 三公이 되고 아랫별은 경대부(卿大夫)이다. 하계(下階)의 윗 별은 선비(士)이고 아랫별은 서인(庶人)이다. 이들 별은 음양(陰陽)을 조화롭게 하고 만물(萬物)을 다스린다. 만약 각 별에 변화가 있으면 각각 주관하는 바로서 그것을 점친다.
3.2.2. 점성술에서 중요한 삼태성
삼태성은 점성술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그 변화로써 세상의 변화를 예측했다.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금이 전쟁을 좋아하면 상계의 윗별이 멀어지고 색깔이 붉어진다. 임금이 방탕하게 놀기를 좋아하면 상계의 두 별이 붙어 버리고, 임금이 연약하면 어두워진다. 중계의 윗별이 붉어지면 公과 제후가 반란을 일으켜 자기 나라 병사를 이끌고 쳐들어 올 조짐이다. 외적이 침략해 들어와 국경이 소란스러워지면 중계의 아랫별이 성기고 가로놓이게 되며 별빛이 희게 변한다. 경과 대부가 정의를 저버리고 사악함을 좇으면 중계의 아랫별이 성기고 색깔이 붉게 변한다. 백성이 법령을 따르지 않고 범죄를 저지르면 상계의 아랫별이 어두워진다. 백성이 사치를 일삼으면 하계의 윗별이 벌어지고 색깔이 희게 된다.
3.2.3. 삼태육성제대신장
무속에서 삼태육성제대신장에 대한 내용은 좀처럼 쉽게 발견되지 않으나 삼태성에 구체적으로 허정(虛靜), 곡생(曲生), 육순(六淳)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중요한 신장으로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지 추측할 수 있는 것은 삼태육성(흔히 삼태성이라 하는데 그것은 크게는 세 개의 별만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각 별은 두 개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삼태성은 삼태육성이라 불리기도 한다.)이 위 장에서 자세히 설명했듯이 우리나라 천문에서 매우 중요한 별자리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에서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곧 삼태육성제대신장은 삼탱육성을 포함한 하늘의 수많은 별자리들을 의인화하여 외계의 수많은 마(魔)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해주기를 갈망하는 욕구에서 만들어진 신장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및 도판
참고 문헌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연세대학교출판부, 1975)
조흥윤, 『한국의 巫』(정음사, 1983)
최길성, 『한국무속지』 1․2 (아세아문화사, 1992)
赤松智城/秋葉 隆 공저, 심우성 옮김, 『조선무속의 연구』上, 下(동문선, 1991)
赤松智城/秋葉 隆 공저, 심우성 옮김, 『조선무속의 연구』上, 下(동문선, 1991)
김태곤, 『한국의 무속』(대원사, 1991)
윤열수, 『한국의 무신도』(이가책, 1994)
『민족문화대백과사전』


                          

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   문화콘텐츠닷컴





군신(한국 신화)

최근 수정 시각: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군신들.
악한 신들과 악귀들로 부터 인간과 좋은 신들을 지키는 일을 하고 있다.

  • 백마신장
    백색 용마를 타고 다니는 군신.

  • 둔갑신장
    둔갑에 능수능란한 군신. 다른 군신에 비해 약간 장난스럽다.

  • 검무신장
    칼과 갑옷으로 무장한 군신.

  • 작두신장
    무당의 영험을 관장하는 신장. 주로 작두를 탄다고하는 무당은 주로 작두신장이나 장군신을 모시고 있다.

  • 글문신장
    하늘의 글을 가르쳐주는 신장.

  • 육갑신장
    천지조화를 부리는 신. 일년 365일을 다스린다.

  • 곽곽선생
    인간의 길흉을 점치는 신. 글재주가 뛰어나고 도(道)를 통달했기 때문에 육갑으로도 인간의 길흉을 알아낼수있다. 인간의 길흉을 꼭꼭 알아 맞추어내기 때문에 곽곽선생이라고 한다.

  • 약사신장
    병을 고치는 명약을 가지고있는 신. 모든 병을 고칠 수 있다고 한다.

  • 거북신장
    인간의 장수를 관장하는 신.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을 들고있다.

  • 삼태육성제대신장
    삼태성을 비롯한 하늘의 별들을 지키는 신.

  • 팔만사천제대신장
    칠성신을 지키는 신. 팔만사천이라는 이름처럼 복수(여러 명)이 있는 신이다.

  • 산신군웅신장
    산신령을 지키는 신장.대개 호랑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 벼락신장
    벼락과 우레로 악한 사람을 처벌하는 신. 뇌신과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을 사망시키기도 하는 힘을 빌려 불,비,벼락,눈을 다스리기에 기우제를 지낼땐 특별히 모셔지는 신이다.

  • 화덕벼락장군
    화덕장군이라고도 한다. 위의 벼락신장과 유사한 신으로, 불을 다루며 죄인에게 벌을 내리는 신인 동시에
    대장장이, 옹기장이 등 불을 다루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 오방신장
    동, 서, 남, 북, 중앙 총 5방위를 지키는 신들.

  • 왕장군
    강남 천자국의 군용신. 군용신은 군대의 승패를 정하는 신을 말한다.

  • 본당장군
    마을과 인간을 수호하는 신. 원래 각 마을에는 무당이 굿을 할 수 있는 본당이 있었고 그곳에는 장군이 살고있는데
    바로 그 장군이 본당장군이라고 한다.

  • 산도당 부군
    인간 남녀의 성생활을 관장하는 신. 부군신이라고 하고 부근신이라고도 한다.[1]
    예전에는 마을 인근 산에 여러명의 인간 무리를 위해 정성을 드리는 굿당(堂)이 있는데 이것을
    부군당이라고 한며 그곳에 산도당 부군이 산다고 한다.

  • 풍우신장
    비와 바람을 관장하는 신. 또한 천둥, 번개와 함께 전반적으로 기상에 관한걸 관장하고 보호하는 신이다.

  • 일월신장
    일월성신이라고도 한다. 해, 달, 별의 신으로써 밤과 낮을 관장하는 신.

  • 일월도신장
    일상생활을 순리적으로 꾸려 나가게 하는 행운의 신. 일월도신장은 여럿 있으며, 모두 용맹한 남자이다.
    개인이 아닌 여러사람에게 신의 도움을 준다고 한다.

  • 금이신장
    황건역사금이신장, 황금역사금이신장, 그미신장이라고도 한다. 황금으로 만든 칼을 들고 다닌다.
    무당닷컴에서의 설명에서는 철을 다스렸던 시대의 신이라고 하지만, 어느 쪽이든 금속 칼의 힘으로 악귀를 쫒아버리고
    무당에게 영험을 주는 신이다.

  • 지리천문신장
    인간의 집터,일터,그리고 죽은후의 무덤터를 정해주는 신.
    지리천문신장은 터를 잡을 때 산(山),수(水),방위(方位),사람 4가지를
    풍수지리설에 성립시키고 하늘과 하늘의 별자리 위치를 천문학으로 풀이한다.
    오른손에는 지팡이를,왼손에는 터를 잡을때 방위를 설정해주는 나침반을 들고있다.

  • 천문신장
    천문학의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 있는 신.
    천문학으로 풀이하여 인간의 여러 가지 길흉에 관한 택일을 한다.

  • 유목신장
    잡귀를 쫓고 인간의 건강을 담당하는 신.
    유목신장은 잡귀를 쫓을때 사용하는 버드나무로 머리관을 만들어쓰고
    병환을 퇴치시키는 신장칼을 들고있다고 한다.

  • 이순신
    여수 영당굿에서 바다를 지켜주는 신이자 풍어신으로 섬겨진다.*

  • 최영
    최영장군,최일장군이라고도 한다. 인간을 수로하고 무당의 영험을 관장하는 신이다.
    고려의 명장으로써 청렴결백한 장군으로 풍채가 괴걸하고 힘이 뛰어 났었다. 그러나 이성계에 패하고
    억울하게 죽은 원혼이 무당들에 의해 신으로 봉안되었다고 한다. 오른손에 장군칼과 등에 활과 화살을 꼽고서
    말을 타고 다닌다.

  • 임경업
    무당을 보호하고 인간의 병을 물리치며 마을을 수호하고 풍어를 담당하는 신. 임경업장군이라고 부른다.
    죽은후에 신격화 되어서 현재 서해안 풍어제를 할때 모셔진다고 한다.


* 치우천왕

애초에 한국 신화의 존재가 아니다. 항목 참고.


[1] 부군신은 주로 민간에서 모시던신으로 인간의 성생활을 관장하고 부근신은 남성의 생식기를 상징하는 신이기는 한데... 딱히 구분은 하지않고 동일시하기도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거나, 편향적,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w/군신(한국 신화)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