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우리나라 최초 다서 ``부풍향차보`` 발굴

2018. 3. 30. 15:42차 이야기

우리나라 최초 다서 ``부풍향차보`` 발굴

``동다송``보다 50년 앞서…

선운사 약용차 제조법 기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http://www.suncha.co.kr 선차닷컴

작성 : 2008-05-19 오후 9:11:55 / 수정 : 2008-05-19 오후 9:22:59

임용묵(desk@jjan.kr)


차(茶)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저작인 ``부풍향차보(扶風香茶譜·1757년 또는 1758년)``가 발굴됐다.


부풍향차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서(茶書)로 알려진 이덕리의 ``동다기(東茶記·1785년)``나 초의선사의 ``동다송(東茶頌·1837년)``보다 28∼50년 앞선 것이어서 우리나라 차문화사의 편년을 한층 앞당긴 중요한 사료로 부각했다.


정민 한양대 교수(한국 한문학 전공)와 월간 ``차의 세계``에 따르면 부풍향차보는 부안현감으로 있던 이운해(1710∼?)가 고창 선운사 일원의 차를 따서 약효에 따라 7종의 향약을 가미해 만든 약용차의 제조법을 기술한 책이다.


정민 교수는 "부풍향차보는 황윤석의 ``이재난고``의 제1책 172쪽과 173쪽에 실려 있다"면서 "정신문화연구원이 10년 전 공개했지만 아무도 주목하지 않고 있다가 이제야 빛을 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부풍향차보는 모두 2쪽 분량으로 다본(茶本), 다명(茶名), 제법(製法), 다구(茶具) 등 네개 항목에 걸쳐 차의 특징과 성질, 증세에 따른 향차 처방, 향차 제조법, 향차 음다법을 차례대로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이운해는 이 책 서문을 통해 선운사에서 좋은 차가 생산됨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차에 무지, 보통 잡목처럼 여기고 땔감으로 쓰는 상황이 안타깝다며 저술 동기를 적시했다.


특히 부풍향차보는 다서 가운데 최초로 각종 다구(茶具)의 이름과 실물을 그림으로 밝힌 것은 물론 용량까지 적시하고 있어 차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 책에 따르면 차 끓이는데 필요한 다구는 모두 6종류로 다로(茶爐)와 다관(茶罐), 다부(茶缶), 다종(茶鍾), 다잔(茶盞), 다반(茶盤) 등이다.


정 교수는 부풍향차보에 대해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다서이자 △우리나라 최초로 작설차에 처방에 따라 7가지 약재를 조제해서 만든 기능성 향차를 소개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차 산지로 부각된 적이 없는 고창에도 차가 있었음을 알려 우리나라 차 산지와 향유공간을 확장시켰고 △차 그릇의 크기와 명칭을 명확히 규정해 도량적 기준을 제시, 18세기 조선시대 음다풍의 실상을 구체화 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고창 선운사의 작설차는 선운사 명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너른 차밭과 함께 전통방식 그대로 차를 만들고 있는 사찰로 유명하다.


- <전북일보> 2008년 5월 19일자




-----------------------------------------------------------------------------



최고(最古) 차 기록 ``부풍향차보(扶風香茶譜)`` 발견

기사입력 2008-05-20 11:40 |최종수정2008-05-20 11:43


고창 선운산 약용차(茶) 제조법 담아


(고창=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차(茶) 제조법과 다기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발견됐다.


20일 전북 고창의 선운사와 월간 ``차의 세계`` 4월호에 따르면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펴낸 ``이재난고``에서 한양대 정민(국어국문과)교수가 2쪽 분량의 ``부풍향차보(扶風香茶譜)``에 관한 기록을 발견했다.


이재난고는 부풍향차보에 대해 부안현감인 이운해(1710~?)가 1755년 고창 선운사(寺) 일대의 차를 따서 7종의 향약을 넣은 약용차 제조법을 적은 책으로 소개하고 있다. 다만 원본 전체 내용이 아닌 핵심 내용만이 적혀 있다.


기록대로라면 부풍향차보는 최고(最古) 다서로 평가받는 이덕리(1728~?)의 ``동다기(東茶記.1785년)``보다 30년 앞선다.


부풍향차보는 서문과 다본(茶本), 다명(茶名), 제법(製法), 다구(茶具) 등으로 나눠 차의 특징과 성질, 증세에 따른 향차 처방, 향차 제조법, 향차 음다법을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이운해는 서문에서 "선운사에서 좋은 차가 생산됨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차에 무지, 잡목으로 여기고 땔감으로 써 안타깝다"고 저술 동기를 밝히고 있다.


다본.다명 편에는 작설차와 각종 약초 이름을 적고 있으며, 제법에서는 ``약초와 차를 섞고 불을 쬐어 말린 뒤 끊인 물에 진하게 우려내 뜨겁게 마신다``고 소개하고 있다.


부풍향차보는 특히 다로(茶爐)와 다관(茶罐), 다부(茶缶), 다종(茶鍾), 다잔(茶盞), 다반(茶盤) 등 6종류의 다구의 이름 및 실물을 그림으로 표현해 차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정민 교수는 부풍향차보에 대해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다서로, 최초로 작설차에 7가지 약재를 넣어 만드는 기능성 향차를 소개하고 있다"며 "고창을 차 산지로 표현했고 차 그릇의 크기와 명칭을 명확히 규정한 도량적 기준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고창 선운사 일대에서는 야생차 10만㎡를 비롯해 총 44만여㎡에서 차가 재배되고 있다.


kan@yna.co.kr

<연합뉴스> 2008년 5월 20일자


본 사이트의 모든 저작권은 불교춘추사에 있습니다.

Copyright ⓒ 2003-2007 불교춘추, All rights reserved. 

 

출처 : 고송산방
글쓴이 : 청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