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테이블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참새목(Passeriformes) > 동고비과(Sittidae)
|
학명 |
Sitta europaea Linnaeus, 1758
|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울창한 산림지대에서 번식하는 비교적 흔한 텃새이다. 북부지역에 비해 남부지역의 서식밀도가 높다.
|
해외분포 |
유라시아대륙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
특징 |
텃새
|
동고비
2006. 09. 전라남도 구례군
ⓒ 국립중앙과학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형태
크기: 약 13~14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암컷과 수컷 모두 머리꼭대기에서 위꼬리덮깃까지 청색을 띤 잿빛이다. 좁은 눈썹 선은 어두운 흰색이며 눈앞에서 목 옆에 이르는 눈 선은 검은색이다. 뺨, 귀 깃, 턱밑, 턱 아래 부위, 가슴은 흰색이며, 배는 황갈색이다. 배 옆에는 갈색 및 밤색의 얼룩점이 있으며, 아래꼬리덮깃은 밤색으로 각 깃털의 끝은 검은색이다. 긴 부리는 시멘트색을 띤 검은색이며, 다리는 올리브색을 띤 잿빛이다.
주요 형질: 머리와 등이 같은색이며, 눈에 검은 눈섭선이 있다. 꼬리깃 아랫면은 수컷은 밤색, 암컷은 엹은 갈색이다.
생태
서식지: 울창한 산림지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곤충류, 거미류, 나무 열매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단독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 후에는 다른 종과 함께 무리를 형성한다. 나무 위의 생활이 주가 되며, 나무줄기나 가지를 교묘하게 올라가고 내려오면서 먹이를 찾는다. 둥지로는 썩은 큰 나무에 있는 딱따구리류의 옛 둥지나 인공 새집을 이용한다. 알을 낳는 시기는 4~6월이다. 알은 흰색바탕에 엷은 자주색과 붉은 갈색의 얼룩점이 있으며, 7개 정도 낳는다.
동고비의 얼굴과 배
2007. 02. 경기도 고양시
ⓒ 국립중앙과학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집필진 : 최성훈, 백인환, 유재평, 백운기
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박종길. 2014.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자연과생태
이우신, 구태희, 박진영. 2014.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개정증 보판). LG상록재단
출처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쇠동고비
다른 표기 언어 Chinese Nuthatch
요약 테이블분류 | 동고비과(Sittidae) |
---|
서식지 | 중국 중부와 중북부에서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북한(백두산일대)에서 서식하는 텃새다. |
---|
크기 | L11.5cm |
---|
학명 | Sitta villosa Chinese Nuthatch |
---|
서식
중국 중부와 중북부에서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북한(백두산일대)에서 서식하는 텃새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나눈다. 남한에서는 매우 희귀한 겨울철새이며, 경기와 강원 일대에서 관찰기록이 많다. 10월 중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해에 따라 도래하는 집단의 크기가 크게 다르다. 불규칙하게 많은 수가 찾아오기도 하지만 관찰되지 않는 해가 더 많다.
행동
주로 평지의 소나무 밀생지역, 가문비나무, 낙엽송 등 침엽수림에 서식한다. 겨울에는 박새과 조류의 무리에 섞여 움직이거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키 큰 나무의 가는 줄기 또는 소나무 잎에서 먹이를 찾는다. 먹이는 솔방울 씨를 꺼내 먹거나 가는 나무줄기에서 작은 곤충, 거미 등을 먹는다.
특징
동고비보다 작다. 수컷의 머리는 검은색이며, 암컷의 머리는 등보다 색이 약간 진하다. 암수 모두 흰 눈썹선이 뚜렷하다. 멱과 가슴은 때 묻은 듯한 흰색이며 가슴옆, 옆구리는 갈색이다. 중앙꼬리깃은 청회색이며 외측깃은 검은색으로 날아갈 때 꼬리에 흰 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희미하게 보인다.
수컷
머리가 검은색이며 몸윗면이 전체적으로 청회색이다.
암컷
머리는 진한 회색으로 등보다 약간 진한 정도다. 눈선과 눈썹선이 수컷보다 좁다. 광선에 따라 머리 색이 진하게 보이기도 해 암수 구별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쇠동고비 수컷(2006.3.4. 서울 경복궁)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쇠동고비 암컷(2012.10.7. 인천 서구 국립생물자원관) ⓒ 진경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쇠동고비 수컷. 솔방울 씨앗 섭취(2012.10.7. 인천 서구) ⓒ 진경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쇠동고비 암컷(2012.10.5. 인천 서구 국립생물자원관) ⓒ 백정석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박종길 집필자 소개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있다. 접기
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 출처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 저자박종길 | cp명자연과생태 전체항목도서 소개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을 거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새들의 분류체계와 형태를 명쾌하게 해설했다.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