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자(金叔滋) / 위키백과

2019. 7. 3. 22:14경전 이야기



김숙자 (138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김숙자(金叔滋, 1389년 8월 24일1456년 3월 2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렸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1]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다. 야은 길재(冶隱 吉再), 윤상(別洞 尹祥)의 문인이다.


   1414년(태종 14)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였고, 1419년(세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본처와의 이혼 경력으로 요직에 임명될 때마다 거듭 사헌부에서 논계하였다. 사예(司藝), 중훈대부에 이르러 관직을 사직하고 1456년 처가인 밀양으로 내려가 여생을 보냈다. 아들이자 문하생인 김종직을 통해 정몽주의 학통을 전수하였다.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1389년(고려 창왕 1)에 경상도 선산 영봉리(迎鳳里)에서 태어났다. 광위(光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은유(金恩宥)이고, 아버지는 김관(金琯)이며, 어머니는 유인귀(兪仁貴)의 딸, 유씨이다.[1]

김숙자는 12세 때부터 길재(吉再)로부터 『소학』과 경서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역학에 밝은 당시 조선 유학자 별동 윤상(別洞 尹祥)황간현감으로 임명되어 내려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갔다. 걸어가서 배움을 청하자 윤상은 그 열의를 보고 주역의 깊은 뜻을 힘써 가르쳐주었다. 윤상은 다시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생 중 한 사람인 조용(趙庸)1392년(태조 1) 역성혁명을 반대하다가 예천에 유배되어 오자, 조말생(趙末生)·배강(裵杠) 등과 함께 조용을 찾아가 그를 사사하여 문인이 되었다. 김숙자는 길재 외에도 윤상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정몽주의 학통을 이었다. 그밖에 그는 조용, 김말 등과도 교류하였다.

1402년(태종 2) 향교(鄕校)에 가서 글을 배웠다.[2]


   1407년(태종 7) 개성으로 가서 개경사마시(開京司馬試)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였다.[2] 그는 곡한한씨 한변(韓變)의 딸과 결혼했으나 이혼하고 다시 밀양 박홍신(朴弘信)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러나 이는 두고두고 논쟁거리가 되었다.


관료 생활[편집]

   1414년(태종 14) 봄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1417년(태종 17) 봄 중성균시(中成均試)에 일등으로 합격하였으나, 그 해의 회시(會試)에는 낙방하였다.[3] 1419년(세종 1) 안동향시(安東鄕試)에 제2등으로 합격하여 한양으로 상경, 1419년(세종 1) 식년 문과에 병과 1등으로 급제하였다. 장사랑 권지성균관학유에 임명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1421년 봄 학유에 다시 임명되고 이듬해 1월 한양으로 올라가 관직을 시작하였고, 사관(史官)에 임명되었다. 이때 전처인 한씨와 이혼하였다.[2] 전처 한씨의 자매의 남편 김주(金宙)는 의술 재주가 있었는데, 김주는 성주목사 이상선(李相善)에게 그가 과거에 합격한 후 아내를 출처했다고 고하였고, 이는 그대로 예문관에 보고되었다.[2]


   1422년(세종 4) 5월 종사랑으로 승진, 성균관학록이 되었다. 아들 김종직에 의하면 1423년 김주가 한성으로 간 뒤, 장인 한변(韓變)을 불러서 사헌부에 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한다. 사헌부에 소환된 그는 대질심문을 받았으며 낙직(落職)당하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한다.[2] 고령현감을 거쳐, 1423년(세종 5) 7월 성균 직학(成均直學)이 되었을때, 사헌부세종대왕에게 그가 자식이 있는 조강지처를 망령되이 서얼(庶孽)이라 일컬어 아무 까닭도 없이 버려 이별하였으니, 형률에 의거하면 곤장 80대를 치라는 계를 올렸다.[4] 1431년 7월 모친 유씨가 죽어 밀양에서 분상했는데, 8월 아버지도 사망하였다. 그는 할머니 김씨부인 묘소 하에 빈소를 마련하였다. 이후 3년간 복상하였다. 1433년 가을 상복을 벗고 밀양으로 돌아왔다.[2]


   1435년(세종 17) 9월에 한성으로 돌아가 그해 10월 성균관학록에 복직했으며[2], 12월에 학정(學正)으로 승진하고, 또 통사랑(通仕郞)으로 다시 승진,성균관진덕박사 겸 양현고녹사(成均館進德博士兼養賢庫錄事)에 임명되었다. 1436년에 경명행수(經明行修)의 선비 추천에서 첫 번째로 꼽혀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선산의 교수관으로 나갔다가 개령현감이 되었다. 9월 무공랑 성균관박사겸 양현고승이 되었다. 1437년 12월 선무랑에 배사하고 선공감주부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2월 예빈시주부, 6월 내자시주부 등을 역임했다.


   그는 관료생활 외에도 소학부터 경학 등 학문을 가르쳤고, 아들 김종직 외에도 탁중(卓中), 이재인, 손조서(孫肇瑞) 등의 문인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김숙자의 문인 중에서 우수한 제자 9명은 세칭 아홉 현인이라 불리기도 했다.


   1438년(세종 20) 10월 내자 주부(內資主簿)로 재직 중 서연 정자(書筵正字) 직에 겸임되었다. 이때 사간원 좌정언 이예장(李禮長)으로부터 전에 조강지처(糟糠之妻)를 버리고 죄를 얻어 침체되었다가, 이제 죄를 용서 받고 다시 벼슬길이 열렸사오나 잘못을 뉘우치는 행적을 듣지 못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5] 이후 집현전 주부(注簿)로 있다가 1439년(세종 21) 4월 이조에서 그를 동부 교수관(東部敎授官)으로 발령하였다. 그러나 사헌부에서 탄핵 상주를 올려, 왕명으로 사유록(師儒錄)에서 삭제당하였다.[6]


   1440년(세종 22) 선교랑, 1441년(세종 23) 1월 김해교수관 노호(盧浩)와 보직상환 변경되어 김해로 내려갔다. 이듬해 2월 남부령(南部令)이 되었다가 특별히 동반직을 받아 승의교위(承義校尉)에 제수되고,중군섭부사직 겸 성균관주부(中軍攝副司直兼成均注簿),남학교수관(南學校授官)이 되었다가 그해 11월 승훈랑(承訓郞)이 되어 고령현감(高靈縣監)으로 나갔다. 1445년 2월 승의랑이 되었다가, 지방의 수령들의 직급을 1계급씩 강하한다는 명에 따라 강임되었다. 1447년(세종 29) 10월 다시 승의랑으로 환급되고, 11월에 성균관주부 겸 남학교수관, 1448년 7월 교서관교리가 되었다가 한달만에 전제경차관(田制敬差官)에 임명되어 전라도 남원, 옥과, 장흥, 순천, 장흥 등을 순시하고 그해 10월에 봉훈랑으로 승진한 뒤, 12월에 도성으로 되돌아왔다.[2] 1450년(문종 즉위) 8월 13일 지풍기군사(知豊基郡事)로 발령, 부임하였다.


생애 후반[편집]

   1453년(단종 원년) 12월 사재감부정, 54년 2월 성균관사예(司藝)를 거쳐 8월 봉렬대부로 승진하여 성주교수관이 되어 내려왔다. 그해 12월 봉정대부(奉正大夫)로 승진, 중훈대부(中訓大夫)로 승진되었으나, 1455년 12월 사직하고 1456년 처가가 있는 밀양으로 내려가서 그 해 3월 2일밀양군 대동리 정침에서 죽었다. 1455년(세조 1년) 12월 12일 세조반정에 참여하거나 기여한 관료들을 좌익원종공신으로 포상할 때 좌익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그는 세조에 의해 좌익원종공신에 책록되었지만 관직을 사퇴하였다. 그는 세조 밑에서는 벼슬하지 않겠다고 낙향을 택했다.[7]


   16세기에 사림에 의해 확립된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길재의 학문을 아들 김종직(金宗直)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고 성리학의 계보 중, 정주학(程朱學)을 발전시켰다. 그는 효성이 지극해 『소학』의 법도를 따라서 어버이를 모셨다. 그리고 남을 가르치기를 권태롭게 여기지 않아, 친상(親喪) 중에 여막 곁에 서재를 만들어 조석을 올린 뒤에 가르치기까지 해, 학업을 받는 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가르칠 때에는 처음에 『동몽수지(童蒙須知)』 유학자설정속편(幼學子說正俗篇)을 모두 암송시킨 다음 『소학』에 들어가고, 그 다음에 효경』·『사서오경』·『자치통감제자백가의 순을 밟았다.『소학』을 앞세우면서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 자세는 고려의 유학자 길재에게서 물려받았으며,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아들 김종직이 쓴 선공기년 제2편에 의하면 집안이 빈한하여 부득이 3월장으로 치뤘고, 그해 12월에 자신의 외조모 민씨의 묘소 서쪽에 장례를 치뤘다 한다.


   사후[편집]

   1457년(세조 3) 10월 원종공신이었으므로 법전에 따라 1계급 특진 추증되어, 중직대부(中直大夫) 예문관직제학춘추관기주관(藝文館直提學兼春秋館記注官)에 추증되었다.[2]


   1646년(인조 24)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고, 1786년(정조 10) 김광형(金光泂)을 소두로 하는 경상, 충청, 원춘(原春), 경기도 등 4도 유생의 사액 하사 건의로 이듬해 사액이 내려졌다. 1905년(광무 8) 설립된 거창 남상의 일원정 (一源亭)에는 아들 김종직 및 스승 길재, 정몽주, 기타 김굉필, 정여창 등과 같이 배향되었다.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되었다가, 1845년(헌종 11) 의정부영의정 권돈인의 추증 및 시호 하사 건의로 이조판서 겸 좨주(吏曹判書兼祭酒)에 가증되었지만 시호는 내려지지 않았다. 1871년(고종 8) 3월 16일 왕명으로 문강공(文康公)의 시호(諡號)가 추증되었다.


영남사림의 발흥[편집]

김숙자는 스승 길재의 가르침에 확신했고, 그걸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김종직은 아버지 김숙자의 이 가르침을 평생을 두고 지켰다. 어릴 때부터 책 목록을 정해 놓고, 그 순서대로 읽는 습관을 따랐다고 한다. ‘소학’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실천 강조 학풍은 김숙자-김종직을 거쳐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될 정도로 큰 설득력을 발휘했다. 뒤에 영남사림파의 큰 학자로 드러난 김굉필은 스스로 ‘소학동자’라고 지칭하면서 30세까지 ‘소학’에만 천착했을 정도였다. 길재에서 김숙자를 거쳐 김종직에 이르는 정주학(程朱學)의 학통이 이렇게 시작되었다.

길재는 많은 제자를 길러 냈는데, 가장 먼저 입지를 세운 이가 김숙자였다. 이후 그의 제자들이 속속 중앙정계에 진출했다. 특히 세조 때부터 김숙자와 김종직 부자 등 여러 신진 사류가 과거 급제 등을 통해 중앙정치 무대로 진출하게 되었는데 이로써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른바 ‘영남사림파 ’의 등장이었다. 이후에 이중환택리지를 통해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서 나왔고, 영남 인재의 반은 선산에서 나왔다”고 한 것은 김숙자 이후에 ‘영남사림파 ’의 발흥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8]

가족 관계[편집]

  • 증조부 : 김광위(金光偉)
    • 할아버지 : 김은유(金恩宥)
      • 아버지 : 김관(金琯)
      • 어머니 : 仁同兪氏 유인귀 딸
        • 동생 : 김숙치(金叔淄)
        • 전처 : 한변(韓變)의 딸(2남1녀)
          • 장남 : 김종보(金宗輔)(만산현감)
          • 이자(二子) : 김종익(金宗翼)
          • 자부 : 배우의 딸
          • 딸 : 일선김씨
          • 사위 : 강이(康惕), 창신교위 역임
        • 후처 : 박홍신의 딸 (3남 3녀)
          • 삼남 : 김종석(金宗碩)
          • 사남(四男):김종유(金宗裕)
          • 오남(五男): 김종직(金宗直)점필재
          • 자부 : 조계문의 딸
          • 자부 : 문극정의 딸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김숙자(金叔滋),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동: 佔畢齋集彝尊錄 佔畢齋集彝尊錄 (上) 子通訓大夫前善山都護府使宗直撰, 先公紀年第二
  3. 佔畢齋集彝尊錄 佔畢齋集彝尊錄 (上) 子通訓大夫前善山都護府使宗直撰, 先公紀年第二
  4. 세종실록 21권, 1423년(세종 5년, 명 영락 21년) 7월 4일 임오 3번째기사, "성균 직학 김숙자를 처벌하다"
  5. 세종실록 83권, 1438년(세종 20년, 명 정통 3년) 10월 26일 정축 2번째기사, "음사는 본궁의 은밀한 곳에서 행하도록 하다"
  6. 세종실록 85권, 1439년(세종 21년, 명 정통 4년) 4월 14일 신묘 8번째기사, "김숙자를 사유록에서 삭제하다"
  7. 이이화, 《그대는 적인가 동지인가》 (김영사, 2009) 49페이지
  8. 영남사림의 기반을 구축한 김숙자(金叔滋) 영남일보(2013.06.28) 기사 참조

참고 자료[편집]

  • 「한국의 명문 종가」, 사림의 학맥형성과 그 특성, 이순형 저, 서울대학교출판부(2000년, 17~33p)
  • 「한국사 테마전」,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김경수 저, 돋을새김(2009년, 128~15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