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여러가지 모습(고대~중세국어)

2019. 12. 15. 10:52글씨쓰기



우리말의 여러가지 모습(고대~중세국어) | 언어와 매체

은행골 2019.10.25 14:53




1. 고대~중세국어.hwp


학습 목표 : 시대에 따른 국어 자료의 특성을 이해한다.

 

다음은 1907만세보에 실린 광고이다. 오늘날 국어의 모습과 다른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룡표와표와셰상에뎨일물

이물은빗도곱고

드리기도쉬운상등물감이니

사다드려보시오

 

이물라도지지도안코

벗지도아니참죠흔물이오

이 광고의 표기상의 특징을 쓰시오

 

1. 두음법칙이 적용 안 됨.

2. 어두 자음군이 사용

3. ‘가 사용됨

4.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음

5. 표기가 약간 다름

6. 띄어쓰기가 적용되지 않음

 

 

시대적 특성에 따른 국어 자료

고대 국어( 선사시대 ~ 고려 건국 이전의 국어)

고대 국어의 자료

· 사람의 이름이나 지명 등의 고유 명사를 우리말식으로 표기한 자료

? 임신서기석의 국어식 한자 표기,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行誓之 又別先辛末年 七月卄二日 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밑줄 친 부분을 풀이하시오. [임신년 6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서하여 쓰고, 하늘 앞에 맹서하노라. 지금부터 3년 지나도록 충도(忠道)를 굳게 지키고 과실이 없기를 맹서한다.]

 

? 임신서기석의 국어학적 가치 : 1.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의 어순으로 문장을 표기

2. 이두 표기의 초기 형태가 보인다.

 

삼국사기의 고유 명사 표기

· 한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문장의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한 자료

? 《삼국유사의 향찰 자료

素那(或云金川) 白城郡蛇山人也

소나(혹은금천) 백성군사산인야 -삼국사기권 제47

현대어 풀이

소나(素那)[또는 금천(金川)]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사람이다.

소나(음차) 金川(쇠내)

삼국유사의 고유명사 표기

赫居世王 ?鄕言也 惑作弗矩內王 言光明理世也(혁거세왕 개향언야 혹작불구내왕 언광명이세야 <삼국유사>1

불구()라는 같은 이름을 표기하기 위해 弗矩內로 적고 그 음만 빌려오기도 하고. ‘赫居世 적고 그 의미를 빌려 오기도 했다.

고대 국어의 특징

표기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없어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함.

처음에는 한문을 그대로 활용하다가 국어의 어순에 맞추어 변용하는 과정을 거쳐 한자의 음과 뜻을 활용하여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하는 방식으로 발달함.

음운

예사소리와 거센소리의 두 계열이 존재하였으며, 된소리 계열은 아직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문법

주격 조사 ’, 목적격 조사 ’, 보조사 등이 쓰임.

어휘

고유어가 많이 쓰였으나, 중국 문화와 한자의 영향으로 점차 고유어 지명이 한자어로 바뀜.

 

한자의 음과 뜻을 사용한 차자 표기 방식

이두

한자를 우리말 문장 구조에 따라 배열하고 토를 붙인 표기 방식

주로 공적인 문서에 사용되었으며 하급 관리들의 행정 문서 기록에 이용됨.

구결

구절 사이사이에 조사나 어미를 표기하여 문장의 의미 및 문맥을 밝혀서 읽던 방식

향찰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문장 전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향가와 같은 운문 표기에 이용함.

실질적인 의미는 한자의 뜻을 빌리고, 문법적 기능을 하는 조사와 어미는 한자의 음을 빌림.

) 선화공주님은(善花公主主隱)

 

1 처용가를 보고, 고대 국어의 특징을 알아보자

처용가(處容歌)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肹隱吾下於叱古

二肹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東京 라라

밤 드리 노니다가

드러보곤

가로리 네히러라

른 내해엇고

른 누기핸고

내해다마

 엇디릿고



서울 밝은 달에 밤들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러라.

둘은 내 것인데 둘은 뉘 것인고. 본래 내 것이다마는 빼앗은 것을 어찌하리오.

 

(1) 다음 구절은 한자의 음과 뜻 중에서 어느 부분을 활용했는지 구분하여 표시해 보자.

타원입니다. 타원입니다. 타원입니다. 타원입니다. 타원입니다. 타원입니다.

표기

타원입니다.

(=)

(=같을)

옳을

 

(2) 향찰은 한자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에 조상들이 고안해 낸 우리말 표기 방식이다. 향찰 표기의 의의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향찰은 우리말 어순에 맞게 글자를 배열하되, 실질적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 문법적 요소는 한자의 을 빌려서 표기하였다는 점,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이 특징이다. 향찰 표기법은 한자를 빌려 쓸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우리 조상들이 고안해 낸 종합적인 표기 체계 방식이었다.

중세 국어(고려 건국 ~ 16세기 말)

 

중세 국어의 자료

· 불교나 유교 경전의 언해 ? 《월인석보, 소학언해

· 외국어 학습서와 외국 문학의 언해 ? 《두시언해, 노걸대언해

·휘기·픈남··매아·:·:·코여···

-용비어천가2, 세종 29(1447

현대어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직이므로,

꽃 좋고 열며 많아지니]


1. 띄어쓰기 하지 않음

2. 방점을 찍음

3. 소리나는 대로 적음

4. 구개음화 적용하지 않음

5. 현대에는 쓰이지 않는 단어 많음.

 

훈민정음 기본자

명칭

발음위치

기본자

가획자

이체

 

기본자

, ,

아음(어금니소리)

연구개

설음(혓소리)

설단

,

 

초출

,,,

순음(입술소리)

양순음

,

 

치음(잇소리)

경구개음

,

 

재출

,,,

후음(목구멍소리)

후두음

,

 

반설음(반혓소리)

유음

 

 

 

 

반치음(반잇소리)

치조, 마찰음

 

 

자음(발음기관 상형) 17자 모음(11)

 

 

중세 국어의 특징

표기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훈민정음으로 우리말을 표기하였으며,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경향이 강했음.

받침으로 , , , , , , , 8개 자음을 적음. ? :(못할)

음운

현대 국어에 없는 자음 ’, ‘’, ‘과 모음 가 존재함. ? (고와서), (아우), 便(편안하다) 은 훈민정음 창제 직후 소멸

(, , , )(, )의 어두 자음군이 존재함. ? ··

모음 조화가 현대 국어보다 잘 지켜짐. ? [이유 : ‘이 존재함.]

성조(평성, 거성, 상성)가 있었고 그것이 방점으로 표기됨. ? ··:·

문법

주격 조사 ’(‘’, Ø)가 사용됨. ? +사ᄅᆞ미, 부텨 +부톄

주체 높임이 선어말 어미 ‘--’‘--’에 의해 실현됨. ? 가시더라, 가샤

객체 높임이 선어말 어미 ‘-ᄉᆞᆸ-/-ᄌᆞᆸ-/-ᅀᆞᆸ-’에 의해 실현됨. ? 거늘, ,

주어가 1인칭일 때는 선어말 어미 ‘--’가 나타남. ? 닐고라

어휘

중국 문물의 영향으로 한자어가 대거 유입되어, 한자어와 고유어의 경쟁이 계속됨.

? -(), 슈룹-우산(雨傘)

한자어 외에 몽골어 등에서 어휘가 차용되기도 함. ? 보라매, 수라

 

어말 말음 조건

형태

용례

 

, , , 일 때

-ᄉᆞᆸ-

돕ᄉᆞᆸ고

 

, , 일 때

-ᄌᆞᆸ-

묻ᄌᆞᆸ고

 

모음, ‘, , 일 때

--’

보ᅟᆞᆸ고

 

보충 자료 객체존대선어말어미의 용례

 

어두 자음군(세 계열)

ㅂ계(, , , ) ㅄ계(, ), ㅅ계(, , )

 

중세 국어의 성조

개념

글자의 왼쪽에 방점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한 것,

평성(安而和) : 낮고 짧은 소리. 점이 없음

거성(擧而壯) : 높고 짧은 소리. 점이 하나

상성(和而擧) : 낮은 소리에서 높은 소리로 변함. 점 두 개(현대국어에서 긴소리로 남아 있음.)

장단음의 음절 구별은 경상도에서 잘 이루어짐.

입성(促而急, 促而塞) : ‘, , , 로 끝나는 음절. '' 받침을 가진 한자의 음절은 입성임

종류

점이 없을 때: 평성(낮은 소리) ? - 손님[]

점이 하나일 때: 거성(높은 소리) ? ·- 신체의 일부인 손[]

점이 둘일 때: 상성(낮았다 높아지는 소리) ? :- 주렴[]

변화

양상

16세기 말에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중세 국어의 상성은 대체로 현대 국어의 긴소리(장음)로 바뀜. ? :몯ᄒᆞ다 못하다[ː타다]

 

2 세종어제훈민정음을 보고, 중세 국어의 특징을 알아보자.

·····

·:···에달····로서르·디아···이런

··로어····이니르····배이···:내제··들시·러펴·

:··미하········:어엿·비너·····믈여···ᄅᆞᆯ

··::·:·:······便···

·미니·-월인석보권 제1, 세조 5(1459)


<세종어제훈민정음>의 특징

한글창제 당시의 자음과 모음이 모두 사용됨.

8종성법으로 표기

모음조화가 엄격함

명사형 어미 ‘-/-’이 규칙적으로 쓰임

이어적기가 사용됨

방점이 있음

각자 병서와 합용 병서가 쓰임

현대어 풀이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위하여 가엾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1) 다음 어휘를 현대 국어로 바꾸어 보고, 음운상의 변화를 파악해 보자.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음운상의 변화

니르··

 

이르고자(말하고자)

 

계열 모음 앞의 이 탈락함(두음법칙)

··

뜻을

어두자음군 표기가 된소리로 바뀜

·

 

펴지

 

계열 앞에 오는 으로 바뀜(구개음화)

:·

 

쉬이(쉽게)

 

순경음 표기가 사라짐

 

(2) 빈칸에 알맞은 조사를 써 보고, 문법상의 변화를 말해 보자.

중세 국어

 

현대 국어

 

문법상의 변화

··에달·

중국( ) 달라

비교나 기준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에 대신에 가 사용

니르···

·배이··

말하고자 하는

( ) 있어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오는 주격조사 대신에 가 사용

 

3) 다음은 의미가 변화한 어휘들이다.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의미를 정리해 보자.

어휘

 

중세 국어의 의미

 

현대 국어의 의미

말ᄊᆞᆷ

 

말씀

어리다

 

어리석다

나이가 적다

 

사람

사람을 낮잡아 부르는 말

어엿브다

 

불쌍하다

어여쁘다

 

어휘의 의미 변화

의미의 축소 : 단어의 의미 영역이 좁아지는 현상 예) 짐승(생물 전체 동물만으로)

의미의 확대 : 단어의 의미 영역이 넓어지는 현상 예) 바가지(박으로 만든 것플라스틱 까지

의미의 이동 : 언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현상 예) 씩씩하다(엄숙하다 굳세고 위엄스럽다

 

 

(4) 다음은 16세기의 자료인 소학언해에서 가져온 구절이다. 이 구절을 통해 알 수 있는 중세 국어의 특징을 적어 보자.

:당ᄒᆞ··ᄒᆞ·ᄂᆞᆫ이

[현대어 풀이] 아첨하기를 잘하는 이

<소학언해>의 특징

명사형 어미 가 사용되었다.

이 사용되지 않음

끊어적기가 나타남

모음조화가 혼란하 기 시작

··ᄋᆡ··소미·:·것한·

효도의 시작이고 들은 것이 많은 이

모음조화가 파괴되었다

 

·:····

:····이니·

:·ᄉᆞᆷ····ᄅᆞᆯ:벋ᄒᆞ····온이·


부모한테서 받은 것이라

효도의 끝이니라

말만 익은 이를 벗하면 해로우니라

이어적기와 끊어적기가 혼용되었다.

 


 

첨부파일 1


                                                우리말의 여러가지 모습(고대~중세국어)

2019.10.25


blog.daum.net/ki3696/38624   은행골의 아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