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 18:41ㆍ詩
https://ananrhdrhd.tistory.com/1133
매월당 시집 제4권 14-3
매월당 시집 제4권 14-3 14 문장文章 3 제전등신화후題剪燈新話後 뒤에다 쓰다 산양군자롱기저山陽君子弄機杼 산양山陽의 君子가 베틀과 북을 놀려 수전등화록기어手剪燈火錄奇語 손수 등불 돋
ananrhdrhd.tistory.com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심경호 1. 란? 는 조선 전기의 천재 문인이자 사상가인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창작한 단편소설집이다. 김시습은 현실 상황을 우울하게 응시하고 인간 존재의
ananrhdrhd.tistory.com
https://blog.naver.com/iiha/223365261500
봉화읍,바래미마을 - 의성김씨, 김성구의 학록서당(鶴麓書堂)
鶴麓書堂(학록서당) 봉화읍 해저리 775 후학들의 학문과 덕을 닦기 위하여 조선 후기의 문신 팔오헌 김성구...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oungsik/223364169227
古文眞寶 後集 第五卷 4. 答韋中立書_柳宗元
20240225 고문진보 읽기. 오늘은 고문진보 후집 제5권 네 번째 글로서 유종원柳宗元(자후子厚)의 ‘답위중...
blog.naver.com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bnCode=jti_3a0401&titleId=C157
동양고전 종합DB
동양고전 종합DB
db.cyberseodang.or.kr
https://blog.naver.com/sambolove/223387940739
패관잡기 4
당(唐) 나라 이허중(李虛中)은 등창이 나서 죽었다. 한퇴지(韓退之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墓誌)를 짓기...
blog.naver.com
https://goforkorea.tistory.com/815
허균 37 - 한정록(閑情錄) 현상(玄賞) 1
「한정록(閑情錄)」은 허균이 중국 서적에 나오는 ‘은거(隱居)’에 대한 글들을 16가지 주제로 나누어 정리한 글이다. 현상(玄賞)은 13번째 주제로 허균은 그 의미를 이렇게 풀이했다. “옛날에
goforkorea.tistory.com
https://atime4me123.tistory.com/1729
윤이ㆍ이초가 연서하여 중국에 글 바쳐서 황자(皇子)를 맞이하기를 청하였으니,
1389년 공양왕이 즉위하자 장손 우성범(禹成範)이 공양왕의 부마인 관계로 단양부원군(丹陽府院君)에 봉해졌다 況尹彛、李初連署衆名, 獻書上國, 請迎皇子! 本國之俗, 役奴婢食土田, 家家有公侯
atime4me123.tistory.com
https://parrhesia.tistory.com/293
[고전산문] 문장을 모르는 자와 문장을 말할 수 없다
문장의 좋고 나쁨은 원래 정해진 바탕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긴 하지만 문장이라는 것이 워낙 정미(精微)하고 변화가 많은 것인 만큼, 반드시 이에 능통한 다음에야 그 문장의 수준을 알아볼 수
parrhesia.tistory.com
https://blog.naver.com/blisskim47/220845639214
제48권 / 이목구심서 1 (耳目口心書一)
이목구심서 1(耳目口心書一) 지난 경진년ㆍ신사년 겨울에 내 작은 초가(草家)가 너무 추워서 입김이 서려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eesobia/221104243363
이첨(李詹) - 한유탄(韓柳嘆)
* 한유와 유종원을 嘆하다 그대 한유를 보지 못하였는가 문장은 가히 팔대의 쇠약한 것을 일으킬 수 있었네...
blog.naver.com
14] 시론 :열수 정약용의 시론
https://blog.naver.com/lavie21c/222395318344
14] 시론 :열수 정약용의 시론
그러나 나의 지극한 즐거움은 경전(經傳)에 있었기에 끝내 퇴고(推敲)에 유념(留念)하지 않아서 문집(文集)...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gas0424/222841365075
於于集: 柳夢寅: 어우집: 유몽인
금강산 삼장암 소사미 자중에게 준 서 贈金剛山三藏菴小沙彌慈仲序 &nb...
blog.naver.com
당송총서[唐宋叢書]~당송팔가[唐宋八家]~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당송팔자백선[唐宋八子百選] -
당소종지사[唐昭宗之事] , 당송총서[唐宋叢書], 당송팔가[唐宋八家],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당송팔자[唐宋八子], 당송팔자백선[唐宋八子百選]
viewtsky.net
https://blog.naver.com/wonpa5/10137451315
許筠 /성수시화(惺수詩話) 3
성수시화(惺수詩話) 3 박사암(朴思庵 사암은 박순(朴淳)의 호)의 시에 은파에 오래 젖어 이 마음 쉴새없이 ...
blog.naver.c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29394
성수시화
조선시대 문신·문인 허균이 우리나라 역대의 시를 시사적(詩史的)인 관점에서 평가한 평론집. 시평집. 작자가 43세 되던 해인 1611년(광해군 3)에 함산(咸山)에서 귀양살이할 때
100.daum.net
https://ilovestudent.tistory.com/39
한국 한시 미학비평 강의(허균의 성수시화)
한국 한시 미학비평 강의 (허균의 성수시화)저자: 신두환 목차序성수시화의 저자 허균은 누구인가?'시화詩話'란 무엇인가?惶?詩話引第이話. 崔致遠詩率桃淺不厚而秋夜雨中一絶最好第
ilovestudent.tistory.com
https://namu.wiki/w/%EC%8B%A0%ED%9D%A0
신흠
조선 중기의 관료 , 외교관 , 군인 , 문장가. 생애 생애 초기 1566년 1월 28일 아버지 신승서(申承
namu.wiki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의 풍경 / 정약용 시 선집 (0) | 2023.08.20 |
---|---|
한림별곡(翰林別曲) (0) | 2023.04.01 |
경기체가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 (0) | 2023.04.01 |
조선 전기 문신인 심의(沈義)가 대취해 쓴 시 (0) | 2023.04.01 |
冬至記故事 동지기고사 尹愭 윤기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