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정토교학 - 1. 정토교학의 의의 - 3. 청정한 국토의 의의

2013. 9. 24. 22:02경전 이야기

 

1.정토교학의 의의

 

    3. 청정한 국토의 의의(意義)

     

        다음에 「淨土」의 「淨」을 형용사로서 이해한 경우는 청정한 국토 청정한 세계라고 하는 것으로 穢土·穢國에 대하여 사용되는 말이다. 이것은 大乘의 보살이 長年의 수행을 완성하고 드디어 성불하여 만든 청정한 세계를 말한다. 吉藏의 『大乘玄論』第五에서는정토의 필경 제불보살의 所潔의 영역으로 衆生이 돌아갈 바이니,

     

    라고 말하며, 道世의 『諸經要集』第一에는

    세계의 皎潔을 보고 淨이라 하며 그리고 淨의 所居를 이름하여 土라 한다.

     

    라고 설하고 있다. 즉 淨土는 佛과 보살이 머무르는 청정한 세계를 말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세계는 더러움과 迷의 相과 惡行惡想이 없고 일체의 모든 것이 청정으로 더없이 아름답고 깨끗한 境域이기 때문에 그 부처님의 세계를 정토라 한다.

     

    이와 같이 「淨土」라고 하는 단어는 動詞로서 볼 경우와 형용사로서 볼 경우와의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지금 말한 경우의 정토는 第二의 청정한 국토의 것으로 대승보살이 수행하는 波羅密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정토의 존재를 설한 가르침에는 단지 北方으로 전래된 대승불교 가운데에서 싹터 발전되었고 스리랑카, 미얀마 등에 전해진 南方佛敎와「깨달음」에 들어서 心身 모두 함께 空, 無로 돌아가는 회신멸지(灰身滅智)인 것을 설한 소승불교에 있어서는 볼 수가 없다. 대승불교에서는 많은 佛道 수행자(보살)가 있음을 설하며 도 수행(보살도)를 완성하고 깨달음을 연 부처님이 多數 있음을 설할 때부터 많은 淨土의 존재가 설해지고 있다. 『아미타경』에서는 東·西·南·北·上·下의 六方에 각각 많은 부처님이 계시고 제각기 정토를 만들어 계심을 설해 밝히고 있다.

     

    다시금 이 異譯經典에서는 이 六方에 東南·西南·西北·北東의 四隅를 더해 十方에 부처님의 세계가 있음을 설하고 있는 것처럼 대승불교에서는 많은 부처님의 존재를 설할 뿐만 아니라 十方의 무수한 정토가 있음을 설하고 있다. 또 『十住毘婆娑論』第九「易行品」에서는 善德佛 以下百三佛의 존재를 설하며 『三千佛名經』에는 과거 현재 미래의 三世에 각각 千佛이 출현한 것을 설할 경우는 모두 이 예이며 이 經에 의하면 過·現·未의 三世에 三千의 정토가 존재한다고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승불교에서는 十方에 많은 부처님이 계시고 淨土도 또한 무수하게 있지만 인도 중국 일본의 三國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실제로 신앙된 것은 옛날 阿 如來 및 그 정토를 妙喜世界 미륵보살의 兜率天 및 아미타불의 서방정토의 신앙이다. 그 중에 가장 넓고 오래 되었으며 또 현재도 강하게 신앙되고 있는 것은 아미타불 신앙이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淨土敎라고 말할 경우는 아미타불 신앙 이 외의 정토를 설한 모든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지만, 아미타불 신앙만은 정토에 관한 모든 신앙의 中心 主流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 명칭을 독점하고 있다.

     

    上述한 바와 같이 아미타불의 정토신앙 외에 불교경전에서는 여러 가지의 정토 및 부처님의 존재를 설해 밝히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영장정토설(靈場淨土說)·범신론적(汎神論的) 정토설(淨土說)로 분류해 다음에 略述하고져 한다.


    ●좀더 자세한 자료를 원하시면 여래장 출판의 정토교개론(한보광역) 서적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미주현대불교
글쓴이 : 염화미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