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다도의 문화사] 3. 고려의 다도 - 3) 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문화 -2

2014. 3. 1. 03:38차 이야기

 

 

 

3) 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문화 -2

 

      

    이색(李穡 1328~1396)은 이곡(李穀)의 아들로, 산속 깊은 곳에서 자연에 심취하며 차를 달이는 경지를 「산중사(山中辭)」라는 시로써 읊은 바 있다. 또한 차솥에서 물 끓는 소리를 즐겨 들으며 만물의 이치를 관조하기도 하였는데, 이에 대한 경지를 읊은 대표적인 시로는 「문전수성(聞煎水聲)」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산중사」

산이 그윽하고 깊고 깊어

빽빽한 숲에 깊고 넓은 골짜기네

누른 고니도 그 꼭대기를 못 지나가누나

깎아지른 듯 우뚝 솟은 바위들

굽어보니 아찔한 산그늘엔

서리와 이슬이 뽀얗게 젖어있네

이 산속 도서를 분간 못해 기진맥진 하던차에

벼랑에서 쏟아지는 비천(飛泉)이 폐부를 맑히며 절로 단맛이 나네

손에 움켜쥔 차디찬 얼음은 노쇠한 나의 얼굴 비추는 거울이요

쉬면서 그 소리 듣나니 옥 패물을 쨍그랑 울리는 듯 하구나

부싯돌을 쳐 불 피워 차를 달이려 하니

육우(陸羽)가 차맛 알았다는 것도 시들하여라

 

 


「山中辭 산중사」

 

 

山之幽兮深深

산지유혜심심

鬱蕭森兮潭潭

울소삼혜담담

黃鵠尙不得過其顚兮

황곡상불득과기전혜

截然屹立乎嶄巖

절연흘립호참암

邃莫覰兮山之陰

수막처혜산지음

曖霜露兮濡霑

애상로혜유점

 

東西冥迷兮氣奄奄

동서명미혜기엄엄

淙飛泉以瀉于崖兮

종비천이사우애혜

淸肺腑而味甘

청폐부이미감

掬之手中兮冰寒

국지수중혜빙한

照衰顔以是鑑

조쇠안이시감

爰流憩以聽其聲兮

원류게이청기성혜

鏘玉佩之相參

장옥패지상참

將敲火而煎茶兮

장고화이전다혜

鄙陸羽之口饞

비륙우지구참

 

 


「문전수성」

 

물과 불의 공세는 참으로 어려운데

다행히도 쇠와 돌이 사이했구나

기(氣)가 합해 용(用)의 이룸을 알겠거니

이같은 유를 아름답지 않다 말하지 말라

이로부터 생긴 맛이 내 배를 적셔주니

소리는 어디서 생겨나와 날 기쁘게 하느뇨

재상집과 방장마다 차솥이 벌려 있어도

모두가 심신의 한가함 얻은 것은 아니네

 

 

「聞煎水聲 문전수성」

 

水火相攻勢甚艱

수화상공세심간

幸哉金石處共間

행재금석처공간

故知氣合竟成用

고지기합경성용

莫道類殊非是班

막도유수비시반

味自此生充我腹

미자차생충아복

聲從何出破吾顔

성종하출파오안

侯家列鼎雖方丈

후가열정수방장

未必身心摠得閑

미필신심총득한


   고려 말의 충신 정몽주(정몽주: 1337~1392)는 충절의 의기와 더불어 선풍도골(선풍도골)의 대학자적 풍모를 또한 갖추었으며, 특히 차를 즐겨하면서 많은 다시를 남긴 바 있다.

짤막하지만 심오한 뜻을 담고 있는 두 작품을 통해 그의 일편단심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충정보국과, 어쩔 수 없는 역사적 현실 속에 처한 상심이 차를 통해 승화되는 경지를 엿볼 수 있다.

 

 

 

「석정전다시1」

돌솥에 처음 차 끓는 소리

풍로엔 불꽃이 붉구나

물과 불이 천지를 움직이니

이 뜻 무궁 현묘하도다

 

「石鼎煎茶詩1

 

 

석정전다시1」

 

石鼎湯初聲

석정탕초성

風爐火發紅

풍로화발홍

水火用天地

수화용천지

卽茶意無窮

즉다의무궁

 

 


「석정전다시2」

 

나라 위해 한 일 없는 늙은 서생이

차 마시기 버릇되어 세상일 잊어버렸네

눈 내리는 밤 고요한 서재에 홀로 누워

돌솥의 솔바람소리 즐겨 듣노라

 

 

「石鼎煎茶詩2

석정전다시2」

 

報國無效老書生

 

보국무효노서생

喫茶成僻無世情

끽다성벽무세정

幽齊獨臥風雪夜

유제독와풍설야

愛聽石鼎松風聲

애청석정송풍성



    李崇仁(이숭인:1349~1392)역시 정몽주와 함께 조선이 건국되던 해에 살해당한 인물이다.

    고려 말의 학자로서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길재(吉再)를 ‘3은(隱)’이라 칭하는데, 길재 대신 도은(陶隱)이숭인을 넣기도 한다. 이숭인의 빼어난 문장에 대해서는 중국에서도 탄복을 한 바 있는데, 그의 다시 「다민망운(茶民望韻)」, 「제야용고인운(除夜用古人韻)」, 「백렴사혜다(白廉使惠茶)」등을 통해 성품이 곧고 청정한 삶을 살아간 선비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다인망운」

 

누가 촌에 사는 것을 궁벽하다 하는가

참으로 나의 뜻에는 맞을 따름이라네

구름이 한가로워 게으른 몸 깨닫고

산이 좋으니 눈은 더 밝아진다

시 원고는 읊어보고 고치게 하며

차 사발은 밥 먹은 뒤에 기울이네

진작 이 재미를 알았더라면

다시 공명을 구하고자 했겠는가

 

 


「茶民望韻   다민망운」

 

誰道村居 僻眞成適

수도촌거 벽진성적

我情雲閒 身覺懶山

아정운한 신각라산

存眼增明 詩樂吟餘

존안증명 시락음여

改茶歐飯 後傾從來

개다구반 후경종래

知此味更 別策功名

지차미갱 별책공명

 

 


「제야용고인운」

제야에 절을 찾아가니

승려가 촛불심지를 자르고 있구나

차를 달이니 병에서는 지렁이 소리

시를 쓰니 먹빛은 까치가 뒤치는 듯

삼경의 북소리 들려

하늘에는 북두성이 기울었네

이른 아침 새해 맞으니

나그네 뜻 가없으라

 

 


「除夜用古人韻  제야용고인운」

 

除夜致山家 留僧剪蜀花

제야치산가 유승전촉화

煮茶甁叫蚓 題句墨翻작

자다병규인 제구묵번작

鼓三更撾盡 天文北斗斜

고삼경과진 천문북두사

明朝歲華改 漂迫意無涯

명조세화개 표박의무애


 

 


「백렴선사의 차를 받고 1」

선생이 나에게 보내온 차는

빛깔과 맛과 향기가 모두 새롭구나

하늘에 가득한 한을 씻어주니

아름다운 차가 아름다운 사람 같음을 알겠도다

 

 


「白廉使惠茶 1  백렴사혜다 1」

 

先生分我火前春 色味和香一一新

선생분아화전춘 색미화향일일신

滌盡天涯流落恨 順知佳茗似佳人

척진천애유락한 순지가명사가인

 

 

 


 

「백렴선사의 차를 받고 2」

피어오르는 불에 맑은 물로 스스로 끓이니

푸른 잔에 향기 올라 오염된 창자를 씻어내누나

마루턱에 오른 백만창생의 운명을

봉래산 여러 신선에게 물어보고 싶구나

 

 


「白廉使惠茶 2  백렴사혜다 2」

 

活火淸泉手自煎 香淨碧椀洗暈전

활화청천수자전 향정벽완세훈전

巓崖百萬蒼生命 疑問蓬山列位仙

전애백만창생명 의문봉산열위선

 

 

 

 

                           - 다음 카페 <선다향> 泥蓮華 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