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다도의 문화사] 3. 고려의 다도 - 3) 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 문화 -1

2014. 3. 1. 03:25차 이야기

 

 

 

 

 

      

 

 

 

3) 다시(茶詩)를 통해 본 고려의 다도문화  -1 

 

   이규보 이후로 이제현(李齊賢), 안축(安軸), 이곡(李穀),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등 차를 통해 선비의 도를 추구했던 고려문인들의 주옥같은 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은 충선왕 당시 원나라로 초청되어 중국의 많은 문장 대가들과 친교를 두터이 하였다. 그는 원나라에서 마시던 화전춘차(火煎春茶)를 가져와 손수 달여 마시기도 하고 다인들에게 나누어주기도 하는 등 차와 관련된 기록을 많이 남기고 있다.

 

    대표적인 다시로는 혜감(惠鑑: 1259~1319)스님의 제자인 송광사 승려로부터 새봄의 작설차와 감을 선물 받고 감사의 마음을 편지체로 담아 쓴 장시(長詩)가 전하여, 이를 통해 그의 다경(茶境)을 엿볼 수 있다. 내용 가운데 차의 향이 맑고 청정하여 중국의 차보다 뛰어남을 읊으면서 혜감스님의 다풍(茶風)을 이어받았음을 찬미하고 있다. 또한 혜감스님과 동암(東菴)의 풍류를 ‘유불의 으뜸(冠)’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동암은 이제현의 부친으로서 혜감스님과 그 제자, 이제현 부자는 2대에 걸쳐 유불을 넘나들며 교감을 나누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후일 제현은 혜감스님의 비명(碑銘)을 찬술하면서 혜금을 ‘조계십조(曹溪十祖)’로 표현한 바 있다.

 

 


「송광화상이 차를 보내준 데 대해 붓 가는대로 써 장하에 기정하다」

 

마른 창자 술 끊으니 연기가 나려하고

늙은 눈 책을 보니 안개가 가린 것 같네

뉘라서 이 두 병을 자취 없이 물리쳐줄까만

나는 좋은 약 구할 데가 있다네

동암(동암)은 옛 녹야에 노닐었고

혜감(혜감)은 조계산 주인이 되어 갔네

좋은 차 보내오고 안부를 물어오면

장편 글로 보답하며 깊은 흠모 표하였네

두 듥은이의 풍류는 유불의 으뜸이고

백년의 세월이 조석과 같구나

가을 감 먼저 따서 내게 부쳐주고

봄볕에 만든 작설차 여러 번 보내왔네

대사는 옛 정분 못잊어 그러하나

아무런 공도 없이 받기가 부끄럽네

몇 칸의 낡은 집 뜰엔 풀이 우거지고

유월 궂은 장마로 길은 질퍽한데

문 두드려 나가보니 대바구니 보내와

옥과차보다 좋은 신선한 차를 얻었네

향기 맑으매 한식 전에 딴 잎이 분명하고

고운 빛은 숲속 이슬을 머금은 듯

돌솥에 물 끓는 소리 솔바람 소리와 같고

다완은 아름답게 무늬방울을 토하네

황산곡(황산곡)이 운룡차를 자랑할 수 있겠으며

소동파(소동파)의 월토차보다 월등함을 깨달았네

서로 투합하는 혜감(혜감)의 풍이 있어

사례코자 해도 동암(동암)의 글귀가 부족하구나

필력은 노동(노동)을 따르지 못하는데

하물며 육우(육우)를 모방해 다경(茶經)을 쓰겠는가

완중(완중)의 공안(공안)을 거듭 찾지 말라

내 또한 이제부터 시에나 힘쓰리니

 

 


松廣和尙寄惠新茗順筆亂道寄呈丈下

송광화상기혜신명순필란도기정장하

 

枯腸止酒欲生煙

고장지주욕생연

老眼看書如隔霧

노안간서여격무

誰敎二病去無蹤

수교이병거무종

我得一藥來有素

아득일약래유소

東菴昔爲綠野遊

동암석위록야유

惠鑑去作曹溪主

혜감거작조계주

寄來佳茗致芳訊

기래가명치방신

報以長篇表深慕

보이장편표심모

二老風流冠儒釋

이로풍류관유석

百年存沒猶晨暮

백년존몰유신모

 

霜林虯卵寄曾先

상림규란기증선

春焙雀舌分亦屢

춘배작설분역루

師雖念舊示不忘

사수념구시불망

我自無功愧多取

아자무공괴다취

數間老屋草生庭

수간노옥초생정

六月愁霖泥滿路

육월수림니만로

忽驚剝啄送筠籠

홀경박탁송균롱

又獲芳鮮渝玉胯

우획방선투옥과

香淸曾摘火前春

향청증적화전춘

色嫩尙含林不露

색눈상함림불로

颼飅石조松籟鳴

수류석조송뢰명

眩轉瓷甌乳花吐

현전자구유화토

肯容山谷託雲龍

긍용산곡탁운룡

便覺雪堂羞月兎

편각설당수월토

相投眞有惠鑑風

상투진유혜감풍

慾謝只欠東菴句

욕사지흠동암구

未堪走筆效盧仝

미감주필효노동

況擬著經追陸羽

황의저경추육우

院中公案勿重尋

원중공안물중심

我亦從今詩入務

아역종금시입무


  이제현과 동시대 인물인 안축(안축: 1287~1348)은 옛날 산천을 주유하던 화랑들이 차를 끓이던 자취를 찾아 그 감회를 읊은 바 있는데, 「한송정지(寒松亭誌)」에는 그의 시가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한송정지」

 

옛날 화랑들이 이곳에 모여들어

맹상군(맹상군)댁 방불케 했으련만

이제 그 발자취는 뜬구름에도 없고

창관(창관)의 횟불도 사라졌구나

진리 찾아 사색하는 이

그 옛날 상고하여 황혼에 섰건만

오직 차를 끓이던 샘만이

외로이 돌부리에 누워있구나

 

「寒松亭誌 한송정지」

 

 

 

四仙曾會此  客似孟嘗門

사선증회차  객사맹상문

珠履雲無迹  倉官火不存

주리운무적  창관화부존

尋眞思翠密  懷古立黃昏

심진사취밀  회고립황혼

惟有煎茶井  依然在石根

유유전다정  의연재석근


  이곡( 李穀 : 1298~1351) 역시 『동류기(東遊記)』라는 기행문을 통해 신라 화랑들이 사용했던 다구(茶具)가 동해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음을 기록한 바 있다. 그의 시 간운데 「한송정(寒松亭)」은 이러한 화랑들의 흔적을 더듬은 다시(茶詩)이다.

 

 

「한송정」

 

마음은 오롯이 승경(승경)에 있어

이른 아침 성문을 나섰더니

신선이 가고 없는 한송정에는

차솥만 외로이 남아 있구나

예나 지금이나 인정은 변함없고

삼라만상도 그대로인데

내 여기 오지 않았더라면

어찌 이를 들었겠는가


 

 

「寒松亭 한송정」

 

 

意專尋勝景 早出古城門

의전심승경 조출고성문

仙去松亭在 山藏石竈存

선거송정재 산장석조존

人情有今古 物象自朝昏

인정유금고 물상자조혼

不是會來此 聞言謂不根

불시회래차 문언위불근

 

 

 

 

                               - 다음 카페 <선다향> 泥蓮華 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