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 록 > 1. 영남읍지(嶺南邑誌) -유곡도역지(幽谷道驛誌) 시행사례(時行事例) - 집주 문경사

2014. 5. 14. 19:34나의 이야기






       

부 록 > 1. 영남읍지(嶺南邑誌) -유곡도역지(幽谷道驛誌) 시행사례(時行事例)-  집주 문경사 / 개인발간 향토자료 

2012/08/06 14:40

복사http://blog.naver.com/lys0002/70143941494

전용뷰어 보기

목 차삼국사기지리지고려사지리지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부 록

  

 

 

 集註                         

  문     경     사  

 

 

부 록 > 1. 영남읍지(嶺南邑誌)   -유곡도역지(幽谷道驛誌) 시행사례(時行事例)-  

 

차     례

  해 설
  번 역
  선생안(先生案)
  본역(本驛)
  관황(官
)
  시행사례(時行事例)

  요성역(
耳卯 城驛)
  덕통역(德通驛)
  낙원역(洛原驛)
  낙동역(洛東驛)
  낙양역(洛陽驛)
  낙평역(洛平驛)
  장림역(長林驛)
  낙서역(洛西驛)
  안곡역(安谷驛)
  구미역(龜彌驛)
  연향역(延香驛)
  상림역(上林驛)
  대은역(大隱驛)
  지보역(知保驛)
  수산역(守山驛)
  안계역(安溪驛)
  쌍계역(雙溪驛)
  소계역(召溪驛)


  [해 설]

   영남읍지는 1871년경에 편찬된 지리지로 규장각 장서(No12173)이다. 각 고을의 읍지(邑誌), 역지, 진지(鎭誌)를수록한 영남읍지 17책 가운데 12책에 안기역, 장수역, 김천역과 함께 실려 있다. 경상도는 일본과의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선의 역참제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찰방이 설치된 40개 역 가운데 11개 역도가 경상도에 설치되어 역참제도에서 경상도의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9개 간선도로 가운데 경상도에 3개 대로가 통과하였고, 제4대로(영남대로 : 한양-죽산-충주-조령-문경-상주-선산-인동-대구-청도-밀양-양산-동래), 제5대로(문경-상주-개령-성주-현풍-함안-고성-거제)가 유곡역을 통과할 만큼 유곡역의 비중은 컸다. 유곡역지 선생안(先生案)에는 유곡역의 역대 찰방(察訪) 150여명이 수록되어 있으나 재직 연대 없이 성명만 나열하고 있다. 본 역의 현황과 시행사례에 이어 18개 속역의 내용을 같은 체제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 유곡역도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교통사 자료이다.

 

  [번 역]

 

유  곡  도(幽谷道)

  [선생안(先生案)]
   곽영희(郭永禧), 이일장(李日璋), 권성오(權省吾), 박진(朴瑨), 한정국(韓定國), 윤좌벽(尹佐壁), 이점(李점), 정성(鄭晟), 왕보신(王輔臣), 허수(許洙), 신역우(申易于), 김후기(金后夔), 유석(柳碩), 정언황(丁彦璜), 조희인(曹希仁), 오희윤(吳凞胤), 이흥발(李興발), 장응일(張應一), 김선(金선), 송광필(宋光弼), 김인(金寅), 권오(權오), 차전곤(車轉坤), 장여연(張汝衍), 이회보(李回寶), 곽융(郭瀜), 원해익(元海益), 이홍재(李弘載), 이형(李형), 이곡(李穀), 도여항(都汝恒), 김구정(金九鼎), 권극휴(權克休), 김천일(金千鎰), 강세정(姜世禎), 권구(權垢), 우두(禹두), 배영성(裵榮成), 손우(孫愚), 송광정(宋光井), 윤명철(尹明哲), 이익화(李益華), 진명한(陳溟翰), 송상문(宋尙問), 문헌징(文獻徵), 모세무(牟世茂), 오석하(吳碩夏), 정희량(鄭希良), 이몽익(李夢翼), 김세형(金世衡), 남노명(南老明), 강세보(姜世輔), 김명은(金鳴殷), 반윤위(潘尹衛), 최동제(崔東濟), 권순(權諄), 김중겸(金重謙), 김석강(金碩剛), 이희창(李喜昌), 허부(許溥), 김정구(金正龜), 양우전(梁禹甸), 한식(韓識), 이성좌(李聖佐), 백홍규(白鴻逵), 주항도(朱恒道), 송수현(宋秀賢), 이이제(李以濟), 서침(徐琛), 정건주(鄭建周), 김성구(金聖龜), 진두병(陳斗柄), 이춘휘(李春輝), 조중명(趙仲明), 신근(申근), 문덕겸(文德謙), 조윤주(曹潤周), 이한상(李漢相), 최덕구(崔德垢), 박종유(朴宗儒), 권순형(權舜衡), 윤택휴(尹澤休), 임형원(林馨遠), 성해룡(成海龍), 장세문(張世文), 전광옥(田光玉), 이양오(李養吾), 강호부(姜浩溥), 윤태형(尹泰衡), 최창국(崔昌國), 김수함(金守咸), 김창록(金昌祿), 유환덕(柳煥德), 이언오(李彦五), 이진(李璡), 한용희(韓龍禧), 정충언(鄭忠彦), 하범석(河範錫), 김봉현(金鳳顯), 최수옹(崔粹翁), 김광현(金光鉉), 임봉호(林鳳頀), 이석기(李錫祺), 정계충(鄭繼忠), 이민좌(李敏佐), 조석회(趙錫晦), 김중행(金重行), 이영기(李英耆), 이휘(李彙), 최봉해(崔鳳諧), 박정원(朴鼎元), 홍택주(洪宅柱), 김규상(金奎祥), 김용견(金龍見), 백경해(白慶楷), 김치용(金致龍), 김내묵(金乃默), 김문택(金文澤), 조형기(趙亨基), 박재기(朴在冀), 박춘수(朴春秀), 이현상(李顯相), 조덕리(趙德리), 유희(劉희), 문치중(文致中), 신용연(申用淵), 위문철(魏文喆), 라태성(羅台晟), 김세충(金世忠), 탁운한(卓雲翰), 김규섭(金奎燮), 안정순(安正淳), 이진묵(李鎭默), 황인순(黃麟淳), 이형태(李亨泰), 장덕량(張德良), 김태현(金泰顯), 조창교(趙昌敎), 김관효(金觀孝), 김희유(金凞유), 박현해(朴賢楷), 백송전(白宋전), 조경순(趙璟淳), 이창정(李昌廷), 조광진(趙光眞), 박래붕(朴來鵬), 김용익(金龍翼), 김래현(金來顯), 조정조(趙廷祖), 배상규(裵相奎), 고영석(高永錫), 최홍주(崔弘周)

  [본역(本驛)]
   동헌(東軒) 6칸
   내동헌(內東軒) 4칸
   천교정(遷喬亭) 6칸[금년 중건]
   전명청(傳命廳) 8칸[금년 중수]
   내삼문(內三門) 6칸
   문루(門樓) 6칸
   사환고(社還庫) 4칸
   진휼창(賑恤倉) 20칸
   수직간(守直間) 4칸
   작청(作廳) 10칸
   형리청(刑吏廳) 6칸
   통인청(通引廳) 4칸
   관노청(官奴廳) 8칸
   사령청(使令廳) 6칸
   마단(馬壇) 5칸
   시임리(時任吏;현임 서리) 20인
   도장(都掌) 1인
   부장(副掌) 1명
   방호(防戶) 40명
   급주(急走) 7명
   상등마(上等馬) 2필(匹), 중등마(中等馬) 5필(匹), 하등마(下等馬) 5필(匹), 복호(復戶) 182결(結) 6속(束)
   위전답(位田畓) 722두락(斗落)내, 33두락 진(陳;묵은 것), 173두락 복사(覆沙;모래에 덮인 것), 시경(時耕;실제 경작지) 516두락
   호조(戶曹)에서 별도 비치한 쌀[別備米] 215섬
   원회(元會) 각곡(各穀) 2,037섬 13말 9되 6홉 3작

  [관황(官)]
   쌀 26섬 7말 7되 7홉 5작, 콩 20섬 5말 4되 7홉 4작, 매달 닭 30마리 대금 6냥, 대구(大口) 30마리 대금 6냥

  [시행사례(時行事例)]
  1. 서울에서 별성(別晟) 행차 길이 조령을 경유하는데 즉 조령참을 만나 우도(右道)의 개령까지 190리, 참을 바꾸어 좌도(左道)로 예천까지 130리, 의성까지 220리, 신령까지 280리, 참을 바꾸어 중도(中道)로 인동까지 240리가 역참길이다.
  1. 서울에서 별성(別晟)행차 길이 보은군을 경유하는데 즉 상주 땅 화령참에서 만나 참을 바꾸어 가는 길은 위와 같다.
  1. 각 읍에 사는 역민처(驛民處) 신공전(身貢錢;나라에서 成丁에게 부과하던 공물 대신에 바치던 돈) 1년 사람마다 2냥씩 받아들여 240냥 4푼은 입거(入居;조선 초기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지방에 이주하여 사는 사람) 무명을 상납하고 남은 돈은 가역예(가驛隸) 등의 의자(衣資;옷감, 옷값), 요포(料布;급료로 주던 무명이나 베) 및 각항 공역(公役;국가에서 부과하던 부역 등의 의무)에 쓴다.
  1. 본 역과 각 역의 3등말의 점고(點考;수효를 조사함)는 봄에는 1월, 가을에는 7월에 할 일이다.
  1. 본 역과 각 역에서 받은 복호(復戶) 역민 가운데 뛰어난 사람을 가려 뽑아 말을 기르도록 하고 말이 못쓰게 되거나 죽으면 말을 구입토록 했다.
  1. 역리(驛吏) 10,231명, 노비(奴婢) 2,273구(口), 일수(日守;천한 일을 맡아서 하는 지방관청의 아전) 160구

  [문경 구화(仇火) 요성역(耳卯 城驛)] : 본 역으로부터 북쪽으로 40리
   마단 2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9명, 발졸(撥卒) 12명, 급주 10명,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6필, 복호 41결 16부 3속, 위전답(位田畓) 900두락 내, 200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50두락 복사(覆沙), 시경(時耕) 65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함창 구화(仇火) 덕통역(德通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2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13명, 발졸(撥卒) 12명, 급주 6명,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53결 50부 7속, 위전답(位田畓) 1,044두락 내 182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112두락 복사(覆沙), 시경(時耕) 75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상주 구화(仇火) 낙원역(洛原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5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9명, 발졸(撥卒) 12명, 급주 6명, 중등마 2필, 하등마 6필, 복호 13결 69부 3속, 위전답(位田畓) 823두락 내 168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시경(時耕) 655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상주 구화(仇火) 낙동역(洛東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9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28명, 발졸(撥卒) 12명, 급주 6명,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115결 91부 3속, 위전답(位田畓) 1,500두락 내 795두락 성강(成江;강이 됨), 시경(時耕) 705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상주 구화(仇火) 낙양역(洛陽驛)] : 본 역으로부터 남쪽으로 6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10명, 급주 7명,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31결 42부 8속, 위전답(位田畓) 1,003두락 내 257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시경(時耕) 746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상주 구화(仇火) 낙평역(洛平驛)] : 본 역으로부터 남쪽으로 8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6명, 발졸(撥卒) 3명, 급주 3명,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14결 84부 2속, 위전답(位田畓) 472두락 내 202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시경(時耕) 75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상주 구화(仇火) 낙서역(洛西驛)] : 본 역으로부터 남쪽으로 9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7명, 발졸(撥卒) 4명, 급주 6명, 중등마 2필, 하등마 3필, 복호 18결 99부 1속, 위전답(位田畓) 362두락 내 67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시경(時耕) 295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선산 구화(仇火) 안곡역(安谷驛)] : 본 역으로부터 남쪽으로 10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5명, 발졸(撥卒) 3명, 급주 5명,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26결 99부 8속, 위전답(位田畓) 879두락 내 70두락 성천(成川;하천이 됨), 시경(時耕) 809두락, 객관(客館) 3칸

  [선산 구화(仇火) 구미역(龜彌驛)] : 본 역으로부터 남쪽으로 13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8명, 발졸(撥卒) 5명, 급주 4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26결 34부, 위전답(位田畓) 1,383두락 내 1,253두락 성강(成江), 시경(時耕) 13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선산 구화(仇火) 연향역(延香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13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22명, 발졸(撥卒) 12명, 급주 11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71결, 위전답(位田畓) 995두락 내 412두락 성강(成江), 시경(時耕) 585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선산 구화(仇火) 상림역(上林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16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24명, 발졸(撥卒) 16명, 급주 6명,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60결 79부 6속, 위전답(位田畓) 342두락 내 140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202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용궁 구화(仇火) 대은역(大隱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4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8명, 발졸(撥卒) 2명, 급주 6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7결 69부, 위전답(位田畓) 400두락 내 220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18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용궁 구화(仇火) 지보역(知保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7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25명, 발졸(撥卒) 3명, 급주 10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46결 25부, 위전답(位田畓) 611두락 내 268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342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예천 구화(仇火) 수산역(守山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5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6명, 발졸(撥卒) 2명, 급주 6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31결 15부 2속, 위전답(位田畓) 816두락(成川, 時耕을 합하면 位田畓이 되어야 하나 1두락 착오가 있음) 내 230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585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비안 구화(仇火) 안계역(安溪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9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8명, 발졸(撥卒) 2명, 급주 6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60결 16부, 위전답(位田畓) 817두락 내 233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584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비안 구화(仇火) 쌍계역(雙溪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13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48명, 발졸(撥卒) 5명, 급주 6명,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150결 3부 3속, 위전답(位田畓) 966두락 내 133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833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군위 구화(仇火) 소계역(召溪驛)] : 본 역으로부터 동쪽으로 180리
   마단 1칸, 도장 1인, 부장 1명, 방호 15명, 발졸(撥卒) 11명, 급주 6명,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 50결 5부 2속, 위전답(位田畓) 500두락 내 150두락 성천(成川), 시경(時耕) 350두락, 객관(客館)은 없다.

 

목 차삼국사기지리지고려사지리지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