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 록 > 2. 영남역지(嶺南驛誌) -유곡도(幽谷道) 역지(驛誌) 및 사례(事例) - 집주 문경사

2014. 5. 14. 19:35나의 이야기






       

부 록 > 2. 영남역지(嶺南驛誌) -유곡도(幽谷道) 역지(驛誌) 및 사례(事例)-  집주 문경사 / 개인발간 향토자료 

2012/08/06 11:53

복사http://blog.naver.com/lys0002/70143930186

전용뷰어 보기

목 차삼국사기지리지고려사지리지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부 록

  

 

 

 集註                         

  문     경     사  

 

 

부 록 > 2. 영남역지(嶺南驛誌)   -유곡도(幽谷道) 역지(驛誌) 및 사례(事例)-  

차      례

  해 설
  번 역
  역지(驛誌)

  요성역
(
耳卯 驛)
  덕통역(德通驛)
  낙원역(洛原驛)
  낙동역(洛東驛)
  낙양역(洛陽驛)
  낙서역(洛西驛)
  장림역(長林驛)
  낙평역(洛平驛)
  안곡역(安谷驛)
  구미역(龜彌驛)
  연향역(延香驛)
  상림역(上林驛)
  소계역(召溪驛)
  쌍계역(雙溪驛)
  안계역(安溪驛)
  수산역(守山驛)
  지보역(知保驛)
  대은역(大隱驛)
  사례(事例)


  [해 설]

   1894년(고종 20년) 11월부터 1895년 1월에 걸쳐 경상도내 각 역도(驛道)의 찰방이 작성한 역지를 의정부에서 모아 편찬한 사례 위주의지지(地誌)로 필사본 2책이 규장각(No 12185)에 보존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11개 역도와 2개 목장지(牧場誌)로 제2책에 유곡도(幽谷道)가 실려 있다. 각 역도는 본 역 및 속역별로 내용이 기재되었는데 전반적으로지지보다는 사례 위주로 기록되었으며 송라도(松羅道) 역지 외는 매우 간략한 내용이고 소촌도(召村道) 역지는 사례를 상세하게 기록하여 역로(驛路)의 실정을 파악할 수 있다.

  유곡도에 본역 외에 요성역 등 18개 속역(屬驛)을수록하고 이어서 사례를 기록하고 있다. 유곡역은 조령을 넘어서면서 좌도(左道)와 우도(右道), 중도(中道) 등 3개의 길로 갈라지는 중요한 역이다. 1895년 조선조 우역제도가 폐지되기 직전에 작성된 역지 및 사례이기 때문에 조선 후기 역참제도의 구조, 위치, 재정, 관원, 건물 등 사항을 종합적으로 알 수 있고 영남읍지의 유곡역지와 비교하면 20여년 동안에 변화된 지방 교통사의 한 부분을 알 수 있다.

 

  [번 역]

 

개국(開國) 503년 11월  일
  유곡도 역지 및 사례 등보책(謄報冊)

 

  [역지(驛誌)]
  1. 종6품(벼슬 품계의 하나로 동반의 선교량, 선무랑, 서반의 여절교위 병절교위가 해당된다.) 통훈대부(通訓大夫 ; 문관 정3품 당하관의 품계) 겸 찰방(察訪)은 법에 어긋나는 일을 살펴 임금에게 직접 아뢰도록 함.
  1. 명령을 전할 때는 말을 급히 몰아 서쪽으로 떨어진 문경 구화(仇火) 40리다. 
  아사(衙舍) 8칸, 공고(工庫) 3칸, 천교정(遷喬亭) 6칸, 삼문루(三門樓) 6칸, 이청(吏廳) 6칸, 관노청(官奴廳) 4칸, 사령청(使令廳) 4칸, 포청(砲廳) 6칸, 원역리(原役吏) 10인, 통인(通引) 4명, 포군(砲軍) 15명, 관노(官奴) 3명, 비자(婢子) 2구(口), 사령 5명, 역장(驛掌) 1명, 주졸(走卒) 7명, 마단(馬壇) 3칸, 상등마(上等馬) 2필(匹), 중등마(中等馬) 5필
  복호(復戶) 182결(結) 19부(負) 6속(束)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708두락(斗落:마지기)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 경작할 수 없어 오래 버려 둔 땅) 228두락
  시경(時耕 : 실제 경작지) 480두락

  [1. 문경 구화(仇火) 요성역(耳卯 城驛)] : 서쪽으로 4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2필, 중등마 4필, 하등마 4필
  복호(復戶) 41결 6부 3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14결 86부 5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900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460두락, 시경(時耕) 440두락

  [1. 함창 구화(仇火) 덕통역(德通驛)] : 동쪽으로 2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53결 50부 7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3결 16부 6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1,044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519두 5도락(刀落 : 되지기-논밭의 넓이를 헤아리는 단위의 하나. 볍씨 한 되로 모를 부어 낼 수 있는 논의 넓이. 10되지기가 1마지기임), 시경(時耕) 524두 5도락

  [1. 상주 구화(仇火) 낙원역(洛原驛)] : 동쪽으로 5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13결 69부 3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823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305두락, 시경(時耕) 518두락

  [1. 상주 구화(仇火) 낙동역(洛東驛)] : 동쪽으로 9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115결 91부 3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1,500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1,030두락, 시경(時耕) 470두락

  [1. 상주 구화(仇火) 낙양역(洛陽驛)] : 남쪽으로 6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진영수번(鎭營守番)], 중등마 3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31결 41부 8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6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1,003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420두락, 시경(時耕) 583두락

  [1. 상주 구화(仇火) 낙서역(洛西驛)] : 남쪽으로 9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중등마 하등마 4필
  복호(復戶) 18결 99부 1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362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131두락, 시경(時耕) 231두락

  [1. 상주 구화(仇火) 장림역(長林驛)] : 남쪽으로 11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중등마 2필, 하등마 4필
  복호(復戶) 11결 8부 2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630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300두락, 시경(時耕) 330두락

  [1. 상주 구화(仇火) 낙평역(洛平驛)] : 남쪽으로 8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14결 84부 2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244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100두락, 시경(時耕) 144두락

  [1. 선산 구화(仇火) 안곡역(安谷驛)] : 남쪽으로 10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객관 3칸,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26결 99부 8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879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440두락, 시경(時耕) 439두락

  [1. 선산 구화(仇火) 구미역(龜彌驛)] : 남쪽으로 13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26결 34부는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1,383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1,102두락, 시경(時耕) 281두락

  [1. 선산 구화(仇火) 연향역(延香驛)] : 동쪽으로 13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71결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2부 5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995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510두락, 시경(時耕) 485두락

  [1. 선산 구화(仇火) 상림역(上林驛)] : 동쪽으로 16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60결 79부 6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4결 63부 9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342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152두락, 시경(時耕) 190두락

  [1. 군위 구화(仇火) 소계역(召溪驛)] : 동쪽으로 18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55결 5부 2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10부는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500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230두락, 시경(時耕) 290두락(위 전답 전체 합계에서 역산 추정하면 270두락의 잘못된 기록임)

  [1. 비안 구화(仇火) 쌍계역(雙溪驛)] : 동쪽으로 12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105결 3부 6속은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6부 5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966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515두락, 시경(時耕) 451두락

  [1. 비안 구화(仇火) 안계역(安溪驛)] : 동쪽으로 9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16결 16부는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13부 9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817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395두락, 시경(時耕) 422두락

  [1. 예천 구화(仇火) 수산역(守山驛)] : 동쪽으로 5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31결 15부는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60부 8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818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409두 5도락, 시경(時耕) 408두 5도락

  [1. 용궁 구화(仇火) 지보역(知保驛)] : 동쪽으로 7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46결 25부는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5결 68부 6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611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300두락, 시경(時耕) 311두락

  [1. 용궁 구화(仇火) 대은역(大隱驛)] : 동북쪽으로 40리
  역장 1명, 주졸 7명, 마단 2칸, 상등마 1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복호(復戶) 7결 69부는 역마를 세우는데 쓴다.
  공수위(公需位) 95부 3속은 역의 관리 봉급이다.
  위전답(位田畓) 400두락은 작업을 시키는데 쓴다.
  영기(永棄) 210두락, 시경(時耕) 190두락
  이상 본역과 외역에 역장 19명, 주졸 133명, 상등마 18필, 중등마 44필, 하등마 42필, 복호(復戶) 929결 17부 7속, 전답 14,925두락, 영기 7,757두락, 시경 7,168두락

  [사례(事例)]
  1. 기영(畿營 : 경기도 감영)에 상납하는 입거(入居) 무명 대금 240냥 4푼과 가입조(加入條) 7냥, 윤년의 윤달조 8냥은 매년 8월에 납부하는데 가을에 차비관(差備官 : 특별한 사무를 맡기려고 임시로 임명하던 벼슬)이 봉물 가운데서 수송을 한다.
  1. 봄에는 차비관이 돈으로 1,020냥, 가을에는 차비관이 봉록으로 돈 1,020냥 내에서 기영에 입거 무명 대금으로 240냥 4푼씩 매년 수송하고 7곳에 흩어사는 역민에게 봄 가을 1냥씩 정한 기준에 따라 받는다.
  1. 봄에 관수(官需 : 관아에서 사용)로 쌀 26섬 11말 7되 2홉, 콩 20섬 2말 9되 9홉 4작, 고운 베 12필
  1. 여름에 둔맥(屯麥 : 둔전에서 거둔 보리) 6섬
  1. 가을에 햅쌀[新米] 2섬 7말
  1. 겨울에 둔조(屯租 : 둔전에서 거둔 벼) 52섬
  1. 매달 반찬값 12냥 4전씩
  이상은 모두 관아의 녹봉으로 각 역에서 담당하여 납부
  1. 공해(公해 : 관가 소유 건물) 각방의 땔나무 값[柴炭價] 300냥
     서울 출역가는 노자(路資) 15냥
     경주인(京主人 : 지방과 중앙관청의 연락을 맡아보게 하기 위해 지방에서 파견한 향리) 역가(役價 : 일한 품삯) 250냥
          지공채(支貢債 : 음식 값) 15냥
     순영(巡營) 주인 역가 179냥 2전
          지공채(支貢債) 10냥
  이상은 보역전(補役錢) 이식 가운데 매년 11월  일 예하(例下 : 상급자가 물품을 예에 따라 내려보냄)는 보역전의 나누어 준 본전에서 늘어난 이자다.
  1. 공용으로서 예하전(例下錢) 이청(吏廳) 83냥, 연봉청(延逢廳 : 수령의 존귀한 사람을 나가 맞는 일을 하는 관청) 15냥, 통인청(通引廳) 20냥, 관노청9官奴廳) 5냥, 사령청(使令廳) 20냥. 이상 흩어져 사는 역민으로부터 받은 공전을 예하에 보낸다.
  1. 3년마다[每式年] 형지 않(形止案 : 사실의 전말을 기록한 안건)을 마감하는데 드는 돈 병조(兵曹)에 50냥, 순영 35냥, 우병영(右兵營) 17냥, 좌병영(左兵營) 13냥. 이상은 베를 받아 색예(色例)가 납부한다.
  1. 매년 순영에 세말(歲末) 마감전 20냥, 둔답(屯畓 : 관청의 경비에 충당하도록 지급된 논) 마감전 3냥, 연종(年終 : 연말) 마감전 2냥
  1. 매년 통영에 세말(歲末) 마감전 7냥, 청도(淸道) 4계절에 매달 곡부(穀簿 : 양곡 장부) 마감전 4냥 8전. 이상은 당해 색예(色例)가 담당한다.
  1. 통영 군량미 모작(耗作) 매년 140냥 4전은 양곡 장부에서 해당 담당자가 에에 따라 매년 짐을 차려 떠나 보낸다.
  1. 포군(砲軍) 옷값 120냥은 대포를 설치할 때 본전의 이식으로 봄, 가을 예하 한 사람마다 8냥씩 나누어 준다.
  1. 찰방 해유채(解由債 : 벼슬아치가 해임된 때에 후임자에게 사무를 인계하고 퇴임자가 호조에 보고하는데 든 돈)가 경영(京營)의 수보시(修報時) 마감전 합계 22냥 당해 서리가 예에 따라 납부한다.
  1. 해마다 예하 노비[例下婢] 공전(貢錢) 75냥 6전은 순영으로부터 일을 나누어 시킨 노비에게 예에 따라 내려준다.
  1. 조령 아래 첫 참(站)은 본 역의 요성으로부터 시작되고 좌,우,중도의 3도 각 참으로 갈라져 갈 때 순영(巡營)으로 통하는 참은 덕통, 낙원, 낙동, 연향, 상림이 속하는 중도참이며, 통영의 우병영(右兵營)으로 통하는 참은 낙양, 낙서, 장림, 낙평, 안곡, 구미가 속하는 우도참이며, 좌병영과 수영, 동래영으로 통하는 참은 대은, 수산, 지보, 안계, 쌍계, 소계가 속한 좌도참이다.
  1. 공무로 서울에 갈 때 말을 보내면 말먹이는 병방(兵房)이 차지하여 거행한다.

 

 ◇ 종6품 : 벼슬 품계의 하나로 동반의 선교랑, 선무랑 서반의 여절교위, 병절교위가 해당된

    다.

 ◇ 통훈대부 : 문관 정3품 당하관의 품계

 ◇ 도락(되지기) : 논밭의 넓이를 헤아리는 단위의 하나. 볍씨 한 되로 모를 부어 낼 수 있는

    논의 넓이. 10되지기가 1마지기임.

 ◇ 290두락 : 위전답 전체 합계에서 역산 추정하면 270두락의 잘못된 기록임

 ◇ 차비관 : 특별한 사무를 맡기려고 임시로 임명하던 벼슬

 ◇ 경주인 : 지방과 중앙관청의 연락을 맡아보게 하기 위해 지방에서 파견한 향리

 ◇ 예하 : 상급자가 물품을 예에 따라 내려보냄

 ◇ 연봉청 : 수령이 존귀한 사람을 나가 맞는 일을 하는 관청

 ◇ 형지안 : 사실의 전말을 기록한 안건

 ◇ 둔답 : 관청의 경비에 충당하도록 지급된 논

 ◇ 해유채 : 벼슬아치가 해임된 때에 후임자에게 사무를 인계하고 퇴임자가 호조에 보고하는

    데 든 돈  

 

 

 

목 차삼국사기지리지고려사지리지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