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 제365首

2014. 7. 10. 11:35







       



       line_rangers-13





         청구영언 제365首   


                        無  氏  名



     이화 梨花에 월백 月白ㅎ.고 은한 銀漢이 삼경 三更인제


     일지춘심 一枝春心을 자규 子規ㅡ야 아라마ㄴ.ㄴ


     다정 多情도 병 病이냥ㅎ.여 ㅈ.ㅁ 못드러 ㅎ.노라.




  

 불암사의 봄날 - 흰수수꽃다리(흰라일락)       20140419. 토요일 , 맑음









불암산 입구에서









불암산과 성요셉수도원 배밭에서









배꽃가든 식당에서.....







***** 註 :   명월 明月과 이화 梨花는 그 빛깔이 같음으로서 항상 시문 詩文에 인용되고 있다.


                      < 동문선 東文選 22 , 신숙주 申叔舟 , 기중서제군 奇中書諸君 >

                          두만춘강요한산      豆滿春江繞寒山

                          객래귀몽오운간      客來歸夢五雲間

                          중서취후응무사      中書醉後應無事

                          명월이화불백한      明月梨花不伯寒


                       < 해역48 海譯四八 , 본국시 本國詩 , 임제 林悌의 규원 閨怨 >

                           십오월계녀   十五越溪女          수인무어별   羞人無語別

                           귀래엄중문   貴來俺重門          읍향이화월   泣向梨花月


                       < 이백시 李白詩 >        이화백설향   梨花白雪香


                       < 소식시 蘇軾詩 >        이화담백유심청    梨花淡白柳沈靑



            교주자평 校註者評 :   이 시조를 하나의 즉흥시로 보아도 수많은 시조 중에서 가장 높된 

                      상 想과 가락을 이루고 있다 할 것이다.  작자가 여말 麗末의 이조년 李兆年이라면 


                      단순한 것 같은 이 즉흥시는  그 이면에는 반드시 무엇을 두고 은유하고 있는 것 같다.


                         <고려사>에 의하면 " 이조년 李兆年은 경산부 京山府 사람으로 충렬왕 20년에 

                      등제 登第하였고 32년에는 원나라에 사신갔다가 , 돌아왔으며 이어 참소 讒訴를 만나 

                  

                      관계를 떠나 12년이나 고향에 머물러 있었다. 충숙왕시 다시 원나라에 나아가 

                      국사 國事를 바로잡고, 또 충혜왕을 따라 여러번 연경 燕京으로 가서 간규 諫規하는 

                      바 많았다.


                          임금은 정당문학 政堂文學, 예문관 대제학 藝文館 大提學의 관 官을 주고 또 

                       성산군 星山君을 봉했다. 뒤에 임금에 간 諫하였으나, 듣지 않음에 관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와 충혜왕 4년 75세에 죽으니 문열공 文烈公이라 하였다."한다.


                           즉 충혜왕은 국사를 돌보지 아니하고 황음방사 荒淫放肆한 행동이 많아 

                        주위가 모두 이에 아유 阿諛할 때 홀로 이조년 만이, 그 비 非를 직간 直諫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얻어 죽을 뻔 하였으나,  선친의 공로로 이는 모면되고 치사 致仕 

                        고향에 돌아와 나라와 임금의 일을 홀로 근심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니 이 시조도 임금의 무도 無道와 이를 근심하는 마음을 흔히 

                     쓰이는 이성간의 연모의 마음으로 은유 隱喩했다고도 볼 수 있다.



a_bosss_life-17



      -  < 진본 청구영언 珍本 靑丘永言>     정주동 鄭주東,유창균 兪昌均 校註 . 

                                     명문당, 1957년 5월 刊 중에서 발췌........



  ***** 한글 고어체인 아래아 한글의 자형이 깨어져 <ㄴ.ㄴ>식으로

         표기하였음을 헤량바랍니다.


  ****** 이장경(李長庚, ? ~ ?)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이백년이천년이만년이억년

   이조년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이승경의 할아버지였다. 이인임의 증조부,이숭인의 고조부였다. 

   아들 5형제의 출세로 거듭 증직되고 광산부원군(廣山府院君)에 추봉되었다가 손자 이승경의 출세로 

   원나라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되었다. 


       본관은 성주이며 성주 이씨의 중시조로 본다. 경상북도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