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자와 발표제목, 초록 (Presenters, Titles, and Abstracts)

(아래는 수정, 완성중입니다. Under Construction, subject to change.)

Sarah Milledge Nelson (사라 밀레쥐 넬슨): 

1. Silla Queens: Who Wore the Gold Crown in Hwangnam Daejeong? (신라 여왕들: 황남대총의 금관은 누가 썼을까?)

Sarah Milledge Nelson

This talk addresses the queens of the Silla “kingdom” of southeastern Korea from the 4th to 8th centuries. one Silla queen is particularly mysterious, for she is not mentioned in the list of rulers but from an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she was clearly a ruling queen. This queen was buried with the pure gold crown covered with curved jewels that is agreed to be a symbol of royalty and leadership, as well as the gold belt with dangles that also seems to be a prerogative of the ruler.  Later Silla ruling queens are well documented, especially with regard to other polities in East Asia at the time, in both the Japanese islands and in China. Documents and archaeology are considered together in this talk, to tease out the roles of elite women.

Powerpoint presentation

2. Flutes, Wine, and Astronomy (피리, 술, 천문학)

Sarah Milledge Nelson

Shamans were early leaders in northeast Asia, and many of them were women. In this talk I discus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shamans, as well as weaving together evidence from ethnography, history, and archaeology to discuss women as shamans, as leaders, and as catalysts for the beginnings of state level society. Shamans were said to be involved in music, dance, trance, and astronomy.  These are relevant topics for finding women leaders in the past. Shrines and offerings are also important to consider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hamans (mudangs, manshin) in early Korea.

Powerpoint presentation

3. A Novel Way to Write Archaeology (고고학적 저술의 고귀한 방법)

Sarah Milledge Nelson

An informal discussion of the value of thinking about archaeological sites as stories. I explain the rationale behind three of my archaeological novels: Spirit Bird Journey, Jade Dragon,  and Tiger Queen. The first is based on the site of Osanni on the east coast of Korea, the second uses the Hongshan site of Niuheliang (the Goddess Temple site) as its inspiration, and the third is based on artifacts from the tomb of Lady Hao, a queen of the Late Shang period in Anyang, China.

Powerpoint presentation

신동흔 (Shin, Dong-Hun)

건국대 국문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nkuk University, Seoul

한국 민간신화의 여신 바리데기의 자연신 ․ 우주신적 성격

한국 신화에서 바리데기는 무당의 조상신으로 모셔지는 존재이며, 또한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천도하는 존재이다. 바리데기는 버림받은 존재로서 자기를 버린 세상을 구원하는 대샤먼적 존재로 이해되었고, 망자의 죄(罪)와 한(恨)을 씻어내 저승의 안식을 베푸는 영혼의 수호신 내지 생명의 여신으로 이해되었다. 관건은 바리데기가 펼쳐내는 그러한 생명력과 구원의 힘이 어디서 유래하는가 하는 데 대한 신화적 해석이다. 이와 관련해서 새롭게 주목할 사항이 그 삶의 역정에서 볼 수 있는 자연/우주와의 교감과 그를 통한 각성/초월의 과정이다. 바리데기는 태어나자마자 바다 또는 산에 버려진다. 그 바다와 산은 대자연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바리데기는 절대적 고독 속에 광활한 대자연을 홀로 움직이는 가운데 자연의 신령한 목소리와 대화를 나누면서 존재의 근원을 만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동해안 <바리데기> 신화에서 바리데기와 대화를 나누는 산신령은 곧 대자연의 표상이라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다. 이후 바리데기가 부모를 살릴 약수를 찾아 서천서역 저승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 또한 대자연 속에서 우주와 소통하면서 그와 합일해 나가는 초극의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를 통해 바리데기는 죽음을 삶으로 바꾸는 힘(약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자기 안에 갇힌 사람들에게 빛과 생명과 전하는 구원의 신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바리데기의 신화는 우리 인간이 무상한 포말 같은 존재가 아니라 대자연의 일부를 이루는 신령한 우주적 존재임을 일깨워 준다.

Baridegi as the Goddess of Nature and Universe

In Korean mythology, Baridegi (Princess Bari) is worshiped as the ancestral goddess by shamans. She is the being that leads the spirit of the dead to afterlife. Baridegi is understood as the great shaman who rescues the world that has abandoned her. She is also understood as the goddess of life who gives comfort in afterlife. My key concern is in the mythological interpretation as to where the power of salvation that Baridegi engenders comes from. Alongside, a new focus will be on her life’s journey that shows a communication with nature/universe and its process of awakening/transcending. Baridegi is abandoned to the sea or mountain at birth. The sea and the mountain can be viewed as the symbol of the great and vast nature. While moving the great nature by herself amidst an absolute solitude in which she was placed, she converses with the divine voice of Nature and encounters the Origin of Existence. It is our view that, in the Myth of Baridegi from the East Coast, the mountain god who converses with Baridegi represents the great nature. Later on, her journey to the after world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Western Heaven in search of the medicinal water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process of overcoming oneself in communication with the universe amdist the great nature to be united with it. Through such experiences, Baridegi was able to attain the power (medicinal water) to change death to life. She became the goddess of salvation who gives light and life to people confined within themselves. The Myth of Baridegi awakens us to the realization that we humans are not a bubbly evanescent existence  but the divine cosmic being who partakes in the great nature.

김정숙 (Kim, Jeongsuk)

1. 여신과 생태여성주의: 제주, 자연환경, 신화

척박한 화산섬이라는 제주의 불리한 자연환경은 오히려 ‘미개발의 발전’, ‘에코 디마크러시’, ‘에코 페미니즘’이라 할 만한, 근대를 뛰어넘는 물적․정신적 가치들을 오래 유지시켜 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밭농사를 하게 한 척박한 뜬땅, 험한 바다를 헤쳐 나가야 했던 빈약한 생산성, 분산된 소유와 평등하고 개체적인 삶을 만들어 준 조각조각난 토지들. 그런 상황아래서 ‘내’가 살기 위해서는 협업을 꼭 요구했던 농사일들이 부지런하고 용감하며, 개체적이고 동시에 공동체적인 생산체계, 생활력이 강하고 도전적인 여성성, 안팎거리의 가옥구조, 갈중이, 애기구덕, 조냥정신, 할망바당과 같은 제주의 문화를 만들어 낸 것이다.

바로 이 제주문화의 근간이 되고 있는 제주여성들의 부지런함, 자율적인 능력, 독립성, 용감성, 객관성, 공동체의식 등은 척박한 자연 조건 밑에서 형성된 집단적인 특성이고 모델 즉 제주 여성의 원형이다. 제주신화에는 이런 원형을 가지는 많은 여신들이 등장한다.

설문대할망은 제주도를 창조하고 육지까지 다리를 놓으려 한 창조적인 여신이었으며 자청비는 농경생활을 시작하게 한 농경신이다. 전상신 가믄장아기 가난하고 여자인 약자의 운명을 지혜롭게 개척하여 행운과 부를 일구었고, 벽랑국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와 탐라국을 개국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외에도 일반본풀이에는 <천지왕본풀이>의 총맹부인, <이공본풀이>의 원강암이, <삼승할망본풀이>의 삼승할망, 구삼승할망, <차사본풀이>의 과양생이의 처, 강림의 큰부인, <멩감본풀이>의 사만이의 처, <세경본풀이>의 자청비 <문전본풀이>의 여산부인, 노일저대구일의 딸 <칠성본풀이>의 아기씨 등 많은 여신이 있다. 당본풀이에도 일뤠또, 요드레또, 백주또, 서물한집, 객세전부인, 송씨아미 등 많은 여신들이 등장한다.

이 여신들은 타 지역의 여신들이 보여주는, 부차적이고 종속적이며 소극적인 여신들의 모습과는 달리 천지를 창조하고 마을과 바다를 보호하고, 집안을 보호하며, 산육, 운명, 농경과 풍요, 치병, 수복 그리고 자손의 보호와 원혼에 대한 치원의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중요한 일들을 맡고 있다. 이 여신들의 창조정신과 미지에 대한 모험심, 삶의 좌절을 극복하는 도전과 용기와 공동체에 대한 애정들은 바로 제주여성의 원형질이며 오늘을 풍요하고 지혜롭게 살아가는 원동력이다.

Goddesses and Eco-feminism: Jeju, nature environment, myths

The hostile environment of Jeju, an infertile, volcanic island, has served asan opportunity to help maintain material and spiritual values that transcends time, and can be called advancement through non-development, eco-democracy, and eco-feminism.

The infertile land that only allows for dry-field crops, its low agricultural productivity turning people to the rough sea for sustenance, and its divided land suitable for distributed ownership and individualized living – these circumstances required Jeju citizens to work together to survive and resulted in an individual but communal production system, strong and challenging women, unique house structures, and many other cultural assets of Jeju.

At the root of Jeju’s cultural assets are diligence, autonomy, independence, bravery, objectivity, and the communal mind of Jeju women, all traits which can be seen in many goddesses appearing in Jeju myths.

Sulmundae Halmang is the goddess who created the island of Jejuand tried to lay a bridge to the mainland. Jachungbee is the goddess of agriculture. Gameunjang Agi built her own good fortune and wealth 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 of being a poor woman. The three princesses from Byukrang brought five types of grain and some farm animals to the island and founded Tamna. In addition to them, Jeju myths have many other goddesses like Chongmaeng-buin, Wonkang-ami, Samseung Halmang, Gu-samseung Halmang, the wife of Guayang-saengi, the first wife of Kanglim, the wife of Samani, Yeosan-buin, Iluetto, Yodretto, Baekjuto, Seomul-hanjib, Kaeksejeon-buin, and Songsi-ami.

Unlike passive, secondary, subordinate goddesses in the myths from other provinces in Korea, Jeju goddesses played various important roles – they created the world; protected towns, the sea, and families; took care of the birth of children, fate, agriculture, wealth, healing, and fortune; protected children; and even exorcised malicious spirits. Their creative power, their adventurous spirit, their courage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their love for the community ar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oday’s Jeju women and what allow them to live abundant and wise lives.

2. 제주 여신, 자청비

<세경본풀이>의 주인공인 자청비는 사랑의 여신이며, 농사의 풍요를 관장하는 곡모(穀母) ·지모(地母)신이다.

신화에 보면 15세가 되자 아버지는 그녀에게 베틀을 만들어 준다. 해당 기득권 사회에서 여성으로서의 전형적인 일인 실을 곱게 잣고 조신한 여성으로서의 아름다움을 가꾸는 일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런 그녀는 어느 날 빨래를 하여 손이 고와졌다는 하녀의 말을 듣고 손빨래를 하러 나섰다가 문도령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사랑에 빠진 그녀는 많은 여성들이 그렇듯, 그것에 몰두한다. 사랑만큼 그녀의 모든 것에 커다란 동기가 되는 것은 없다.

그러나 그 ‘사랑’은 남성 중심의 불평등한 세계를 적나라하게 인식하게 한다. 그녀는 남성과의 만남 자체도, 남성을 사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남성의 세계로 들어가는 일에서부터 금지하고 있는 세상의 질서에 부딪힌다. 가부장적인 문화는 사랑마저도 이루어낼 수 없게 하는 것이었다. 안과 밖, 사랑채와 안채, 과거를 보러 가는 시험의 길과 베틀을 짜는 수도의 길은 남성과 여성을 만날 수 없게 했다.

이 사물의 질서에 자청비는 과감히 도전한다. 우선 그녀는 여성에게는 허락되지 않았던 글공부를 위해 부모를 설득하고 남장을 하여 문도령의 세계(남성성, 남성적 경험과 성역할)로 들어간다. 남장을 한 자청비는 여성이라는 옷에 의해 제한당했었던 남성적인 영역들에 도전하고 남성인 문도령보다 더 높은 성취를 이루어 냄으로써 가부장적인 차별에 첫 번째로 기여하는 성과 성역할 구분의 위선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자청비는 아름다운 성과 사랑을 한 사람의 여성으로서도, 여성집단의 면에서도, 그리고 사회 전체의 구도에서도 성공적으로 실현시켜 나갔던 여신이었다. 미의 여신, 사랑의 여신이고 그것들이 놓쳐버리기 쉬운 ‘지혜’의 여신이다.

신화의 마지막 부분에 보면, 자청비는 하늘옥황에서 일어난 난을 평정한 댓가로 ‘땅 한 적 물 한 적’을 옥황에게서 하사받지만, 그것을 거절하고 대신 ‘오곡의 종자’를 얻어 땅으로 내려온다. 결국 그녀는 ‘땅 한 적 물 한 적’이 의미하는-수직적이고 표준화된 질서, 일방향적인 성취, 획일적인 인간관계, 지배와 관리라는 남성적인 영역보다는, 오곡의 종자가 의미하는-수평적 생산 질서와 성취의 다양한 방법, 밭을 가는 수고, 인내와 끈기, 기다림이라는 여성적인 선택을 한다. 사랑과 미와 농경의 신이다.

Jachungbee

Jachungbee, the main character in the myth of Sekyung, is the goddess of love and the mother of good harvest and earth.

The myth says that her father made her a loom when she turned 15, indicating that she started to learn to become a typical, obedient woman who would weave fabric and hone her beauty. When her maid told her that doing laundry would make her hands smooth, she went to the river to wash clothes. There she met Moondoryung and fell in love with him. Like many women in love, she dedicated herself to her love, and her love became her strongest motivation.

However, her love made her realize the unfairness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she lived in. She was faced with the society’s order that banned her from meeting her lover or entering into his world because the patriarchal culture separated men and women. Men and women could barely meet because they resided in different parts of the house and their social goals were different, with men having to pass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s and with women weaving and being modest.

Jachungbee dared to challenge theorder of society. She persuaded her parents to let her pursue academic learning which women were not allowed to do. Disguised as a man, she entered into the world of Moondoryung – the world of men. She challenged herself in fields forbidden to women and attained even higher achievementsthan Moondoryung, revealing that the stereotypical definition of gender roles was the main contributor to patriarchal discrimination.

Jachungbee was the goddess who successfully realized the beauty of love as a woman and became a role model for all women and the entire society. She was the goddess of beauty, love, and wisdom.

At the end of the myth, Jachungbee was granted “land and water” by the King of Heaven as a rewardfor having suppressed a revolt in Heaven. But, she asked for “the seeds of five grains” instead and brought them to Earth. This means that she chose the order of horizontal production, various means to achievement, field work, patience, persistence, and waiting – a feminine choice represented by “the seeds of five grains” – over hierarchical, standardized order, unilateral achievement, uniform relationship among humans, control, and management – masculine attributes represented by “land and water.” After all, she was the goddess of love, beauty,and agriculture.

3. 제주 여신, 가믄장아기

전상신 가믄장아기는 제주신화의 이공본풀이에 등장하는 운명의 여신이다.

가난한 집의 여식에다 가장 나이 어린 막내인 가믄장아기는 동네 사람들이 나무바가지에 밥을 해다 키워준 ‘나무바가지 아기’, ‘가난’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결핍된 존재로 태어난다. 그러나 가믄장아기는 자신에게 운명처럼 주어진 ‘가난’과 ‘여성’이라는 굴레, 천부적이고 사회적인 지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경제력과 독립의 성취를 위해 매진한다.

어느날 부모는 딸 셋에게 ‘누구의 덕으로 먹고사느냐’ 묻는다. 첫째와 둘째딸은 ‘하늘과 땅 덕이요, 아버님 어머님 덕’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가믄장아기는 ‘하늘과 땅 덕이요, 아버님 어머님 덕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배꼽 아래 선그믓(陰部) 덕으로 먹고 입고 행동한다’고 대답한다.

이 대답에 대하여 기존의 가부장적 질서에 순응적이었던 언니들에게 자기들 방으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주장한 가믄장아기는 방밖으로 내쫓기는 벌을 받는다.

남성지배 사회에서 여성은 ‘두문불출’해야 하는 존재로 규정되어져 왔다. ‘밖’은 여성들에게 부정적이고 위험한 공간으로 존재하는 곳이었고 밖으로 나가는 것은 불순한 일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그렇게 집안에서 조신하게 앉아 아버지-남편-아들에게 의존하는 삼종지도의 예와 덕을 실천하는 여성들을 최고의 여성으로 꼽는 사회다.

그러나 가믄장은, 오히려 ‘밖’이라는 공중으로 나와 ‘지 까짓 게, 이 정도쯤이야 나도 충분히 할 수 있어’라면서 정면으로 돌파하고 부딪치는 자세를 취한다. 그래서 ‘난 잘 못하겠다’-모른 척 함, 못하는 체함, 약해 보임, 움츠러듦, 소극, 숨김, 양보, 포기, 조신함이 아니라, ‘이 정도쯤이야’-해 보려 함, 덤빔, 드셈, 극복, 도전, 적극, 용감 등의 자세를 선택한다.

우리는 제주도의 많은 여성들에게서 여신 가믄장아기를 만날 수 있다. 여신 가믄장아기가 늠름하듯, 가믄장을 닮은 제주여성들은 늠름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서 귀여운 여인의 역할을 하는 것을 스스로 우스꽝스럽다고 느낀다.

험한 세상사에 대한 적극적 도전과 성공, 현실적인 감각, 실용적인 태도, 자아 지향적인 욕구,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강한 희구 등은 많은 제주의 가믄장아기 여성들이 가진 특징이다.

Gameunjang Agi

Gameunjang Agi is the goddess of fate appearing in the Yigong Myth.

As the youngest daughter of a poor family, she was born withthe disadvantages of being both underprivileged and a girl. However, she defied her destiny and strived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and self control despite her social position.

One day, her parents asked her and her two sisters, “Who do you owe your well-being to?” Her sisters answered, “We owe our well-being to Heaven, earth, and you, father and mother.” However, Gameunjang Agi replied, “I owe my well-being to Heaven, earth, and you, but more importantly, I owe it to my pubic region.”

After the conversation, the sisters, who were obedient to the existing patriarchal order, could return to their rooms, but Gameunjang Agi was expelled from her room for asserting her identity.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women were supposed to stay indoors. Outside was an undesirable and dangerous place for women, and a woman who left the house was regarded as indecent.

At that time, women were praised for staying in the house quietly, dependent on their fathers, husbands, and sons.

However, Gameunjang Agi dared go outside and tackled obstacles head-on. Instead of pretending ignorance and incapability, looking weak, and being thwarted, passive, obedient, reserved, and yielding, she adopted the can-do spirit, tried her best, and was challenging, overcoming, active, and courageous.

Today, the spirit of Gameunjang Agi resides in many Jeju women. They are as brave as Gameunjang Agi and would feel awkward if they were to act cute and weak.

Challenge and success against all odds, a realistic mindset, a practical attitude, self-oriented, and longing for fundamental values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Gameunjang Agi’s in Jeju.

4. 제주도는 마을마다 당이 있다 – 제주 신당의 의미

제주도는 마을마다 당이 있다. 마을이 시작되면서 시작되는 제주도의 신당은 제주도의 기층민에게 가장 중요한 신앙의 장소다. 신당은 마을의 구심점으로, 정신적 고향으로, 기원과 위로, 감사의 장소로 현재에도 엄연한 마을의 성소, 중심점으로 인식되고 유지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마을이 생길 때 마을과 주민의 안녕을 위한 신앙의 장소를 만들어서 마을의 안녕과 주민의 생명과, 재산, 행복을 빌었다 .그 위치나 제물의 종류, 제단과 궤의 숫자 등을 눈여겨보면. 당이 지닌 성격과 기능을 거의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규칙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신당의 위치가 전답 혹은 인가 가까이 있는지, 중산간에 있는지, 해안가에 있는지 등을 보면 어떤 성격을 지닌 당인지 거의 파악이 가능하다. 좌정한 신이 산신인지, 농경신인지, 아이를 점지해주는 신이지, 치병신인지, 신의 직능에 따라 마을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또 마을의 신당에 고운 물색이 많이 걸려 있으면 여성신에 대한 제의가 성한 것이고, 실타래가 많이 걸려 있다면 아이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당, 산육신을 모신 당이라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신당은 제주의 마을과 인간의 삶의 모습, 생산형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아직도 신앙의 원형적인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는 제주의 신당은 신화연구뿐만 아니라, 제주 사람들의 정치 경제 생활과 문화를 연구하는 데 역사 이상의 역사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Each town in Jeju has a shrine called “Dang.” – Meanings of Jeju Shrines

Each town in Jeju has a shrine called “Dang.” The history of Jeju’s shrines began when towns started to form in Jeju. A shrine is the most important place for Jeju people’s folk religion. Even today, Jeju shrines are the center of a town, people’s psychological home, and a place for wishes, condolences, and to give thanks.

In Jeju, when a town formed, a shrine was built so that the townspeople could make wishes about safety, health, wealth, and happiness. Mostly, a shrine’s location and its interior decoration were determined by the nature and functions of the god or goddess rever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 shrine – close to a field or a residential area, in a mountain, or near the seashore – the characteristicsof the shrine can b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functions of the god or goddess – governing a mountain or harvest, granting babies, or healing disease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wn can be explained. If a shrine was decorated with many beautiful colors, it was mainly used to pray to a goddess. If there are many, long threads, the shrine was for people to wish to become pregnant and for their children to live long lives. Jeju shrine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style and livelihood of the Jeju people, have been for the most part largely preserved, serving as valuable assets in the studies of myths and of the Jeju people’s political and economic cultures.

이인희 (In Hui Lee, Ph.D.)

만 가지 슬픔을 넘어서: 해원 진혼굿, “일본군 위안부” 를 위한 굿”

동아시아의 위대한 여신 마고가 신화, 현실, 그리고 만 가지 이름으로 살아 숨 쉬는 땅에서 무당들은 마고의 직계 자손이다. 제사장, 치유자, 그리고 모든 예술의 연행자로서 최고의 무당은 한 때 국무라는 칭호를 가졌다. 무속 억압의 긴 세월 뒤, 이제 다시 무당들은 이 칭호를 되찾기 시작했다. “일본군 위안부”와 같은 국가의 중대사를 다루면서이다. 한국의 무속 우주 철학에 따르면 세상을 떠난 “일본군 위안부”들은 이승과 저승 사이에 끼어 있다. 영적 세계의 도사인 무당들은 깊은 보살핌과 사랑으로 굿을 올려 이 혼들을 저승으로 건너게 도와준다. “해원 진혼굿”은 마고의 가치관, 즉 모두를 위한 보살핌, 나눔, 치유, 정의를 잘 반영하고 있다.

Crossing Over Ten Thousand Sorrows: the Haewon Jinhonkut, A Korean Shamanic Ritual for “Comfort Women”

In the land where Mago, the Great Goddess of East Asia, lives on in her ten thousand names, myth and lived realities, shaman women are the direct descendants of Mago. As a high priestess, healer, performer of all forms of arts, the most gifted shaman woman was once given a title of Kukmu, the Shaman of the State. Today, after a long period of suppression of shamanism in Korea, shaman women are rising up to restore their role as Kukmu by addressing issues of national importance such as “comfort women” who are victims and survivor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during WWII. This presentation is about a ritual offered by shamans in the Association of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 Shaman Rituals of Hwanghae Province (황해도 굿 보존전수회) to the “comfort women” who are deceased. In the Korean shamanic cosmology, the spirits of “comfort women” are believed to have been stuck in limbo between this world and the final destination for the dead. Shaman women are the masters of the spiritual world and they help the spirits of “comfort women” who passed away cross over the passage, with deepest care and love. The ritual, “the Haewon Jinhon Kut,” reflects the very values of Mago that are caring, sharing, healing, and justice for all.

김반아 (Vana Kim)
Film: SACRED MISSION

This film is an outcome of my life long psycho-spiritual self-awakening work that I undertook, first, in myself and then in my relationship with my mother Ilsun.  Together we shifted our relationship paradigm from that of Confucian hierarchical parent-child to that of co-creative, spiritual equals who, foremostly, honor the God-being in each other.  This psycho-spiritual paradigm shift is the foundation of  all my co-creation work, known as “Sacred Mission.”   I believe that this is a key to world peace: stepping out of the old paradigm composed of conflictu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nations, and stepping into a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and co-creation for a dance of the Divine, to make room for Spirit’s guidance.

I traveled to Pyongyang in April 27, 2007, accompanying mother Ilsun. The purpose of the trip was two-fold: (1) to fulfill mother Ilsun’s wish to pay her last tribute to her father who is buried in the Patriots Cemetery.  (They had a tearful reunion in Pyongyang in 1975, after thirty years of separation since the country was divided.)  (2) to film the trip in order to make this documentary.

The theme of my trip to North Korea was “heart connection,”  that was first established in my relationship with my mother by way of deep emotional healing work that we did for over ten years. During our trip to North Korea, I was deeply moved when my mother Ilsun tearfully embraced her father Lee Jong Man’s tombstone at the North Korean Patriots Cemetery, saying: “Father, I lived my life following your words.”  At that moment I realized the psycho-spiritual meaning of my mother Ilsun’s mantra, “Permanently Neutral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nd awakened to my own life’s mission.  The trip came to a climax when a North Korean soldier serving in Panmunjom area related to us how he longs for the reunification of our divided country so that he could one day go fishing on Jeju Island.

It is hoped that this documentary will inspire the viewers to recognize and embrace the potential for psycho-spiritual healing to resolve conflicts on the individual, familial, and global level.

다큐 : 님의 소원

나는 어머니 일선님과의 관계개선 작업의 연장으로 이 다큐를 만들게 되었다. 우리 모녀는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 영혼이 배제되어 있는 고질적인 구 패러다임을 깨고 나오는 영적 공동창작 작업을 해낸 것이다. 십 여 년이 걸리며 해온 극적인 모녀 관계 패러다임의 변화에 뒤따라 일어난 놀라운 창조적인 결과를 볼 때, 이것이야말로 인류가 갈구하는 진정한 평화 건설의 기본틀이라는 신념이 생기게 되었다.  이 다큐를 만들어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보게 되는 이 시점까지의 과정은, 나 개인의 내면의 평화와 우리 모녀의 관계개선이 철저한 상호 존중과 동등한 입장에서 함께창조라는 구체적인 단계를 밟아 오면서, 그 여운이 세계 평화 차원에 까지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내 보여주었다.

나는 어머니 일선님과 2007 년 4월에 북한 방문을 하였고, 방문 목적은 애국열사능에 묻혀 계시는 외할아버지에게 마지막 경의를 표하기를 바라는 86세 노모의 소원을 이루어 드리고 동시에 그러한 우리의 영혼의 여정을 영상물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나의 북한 방문의 주제는 <가슴의 연결과 마음의 통일>.  이것은 우리 모녀가 10년 이상 해 온 감성 치유의 핵심 주제이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국전선 초대의장이었던 외조부 리종만 선생의 묘비를 눈물로 포옹하며 “아버지, 나는 아버지 말씀대로 내 인생을 살았습니다” 라고 보고하는 일선님의 모습을 보면서 그 소리를 들으면서 나는  ”남북의 영세 중립 평화 통일”을 위해 매일 기도해 오신 일선님의 심리적 의미를, 그리고 내게 흐릿했던 내인생의 사명감에 대해 영적 의미를 섬찟하게 처음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애국열사능에서 보게 된 일선님의 애끓는 장면은 나의 가슴을 북녁의 그 무엇과 연결해 주었고,  판문점 지역에서 복무하는 북한 장교가 남북의 통일을 갈망하며 한숨 쉬며 내뱉은 한마디, “빨리 통일이 되어서 제주도에서 낚시를 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와 연결되면서, 그리고 천진난만하게 해외동포 친척이 오셨다고 평양의 손자조카 아이들이 불러준 노래 “김정일 장군님의 군대가 빨리 되고파”를 경악하면서 듣던 나 자신의 모습을 재삼 상기하게 되면서…

내 뇌리 속에는 하늘과 남북을 연결하는 구름다리 – “하늘 통로” – 가 놓이게 되었다.  이 세상 모두와 “가슴의 연결 마음의 통일”이 내 영혼 안에서 확고히 서게 되었다.

이제는 같은 뜻을 가지고 이 세상에 생명의 빛을 드러내러 온 동지들과 힘을 합해서 험준한 현실의 미개척지 속에 “하늘 통로”를 차근차근 지어 나가는 일만 남아있다.

Lydia Ruyle

1. World Icons of Mothers & Grandmothers (어머니와 할머니들의 세계적 형상들)

Mothers and Grandmothers are represented in the art of many world cultures. Mothers teach and pass on behaviors, attitudes and stories about women and men to future generations. Mothers can be both loving and protective as well as mean and fierce. Lydia Ruyle will show and tell Herstories of her Mother and Grandmother Goddess Icon Spirit Banners which she has created since 1995. Some of their names are: Grandmother Spider Woman of the Hopis, Acheulian Ancient Mother of the Golan Heights, Old Woman Who Never Dies of the Mississippi Mound cultures, Ixchel of Mexico, Tauret of Egypt, Ana Tanrica Catalhoyuk, Turkey, Baba Yaga of Russia, Xiwangmu of China, D’Zonoqua of Canada, Palden Lhamo of Tibet, St. Anne of France, Triple Matronae of Germany, Cirencester Mothers of England, Hecate of Greece, Mago of Korea. Ruyle is the mother of three children (two daughters), grandmother of six (five granddaughters) and family matriarch of thirty-seven all of whom she is teaching Herstory.

2. Images and Herstories of Mago and the Goddesses of Korea and Asia (한국과 아시아의 마고와 여신들의 형상과 역사)

Lydia Ruyle

Korea is the cradle of Magoism. A visual talk will focus on the images and herstories of the divine feminine, also known as the Goddess, in Korea and the various cultures of Asia. Images are archetypal for all humans.

Goddesses and their myths celebrate the creative forces of nature as earth, cave, volcano, landscape, plants, animals, birds. The images are complex and encoded with many symbols which connect to Goddess symbols around the globe: water, serpents, birds, shells, eyes, weaving, moon, felines, flowers, tree of life. Images are created using the material of mother earth: rock, clay, wood, metal, plant fibers. The images are an important record of the cycles of birth / death / regeneration of sacred feminine wisdom. As an artist scholar, Lydia Ruyle created six Goddess Icon Spirit Banners of Korea to join nearly 300 images circling the globe.

  

3. Goddesses of the Globe (지구상의 여신들)

Lydia Ruyle

All people and cultures create icons or sacred images to honor the divine feminine Goddess. There are many myths and stories of images that heal, comfort, perform miracles or bring good fortune. As an artist scholar, Lydia Ruyle finds images and creates Goddess Icon Spirit Banners of them. The banners transform space and time. They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one on one with the divine feminine in her infinite manifestations. Hanging in the Celsus Library, they re-membered the Goddess, stirring the energies and sending them out into the world. The banners also absorb the energies from each sacred place they visit and share that energy as they travel. After the Celsus exhibition in 1995, some of the banners went to the UN Conference on Women in China and they have been circling the globe ever since at exhibitions, festivals, temples, universities, libraries, a musical, kindergartens, funerals, and a woman’s prison. The original 18 Goddess Banners now number nearly 300.

류정희 (Meera Ryu)

브라마쿠마리스 명상센터

라자요가 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도의 여신들의 상징성

나브라트리 축제의 영적인 의미와 가치

이 주제 발표는 힌두교 전통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나브라트리 축제에 행해지는 의식들(rituals)이 갖는 영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종교와 사회의 차이를 넘어 현대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점들을 라자요가 철학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나브라트리(Nine Nights Festival, 아홉 밤의 축제)에는 9일 간에 걸쳐서 매일 밤 여신을 숭배하는 뿌자가 진행되는데, 지방에 따라 또는 각 개인이 애호하는 신인에 따라 각기 다른 여신들이 숭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르가 여신이 가장 널리 숭배되는데, 그 밖에 사라스와티나 칼리 등의 여신들도 숭배된다. 9일 동안 여신들을 불러들이는 숭배가 끝나면 악의 상징인 라반이 불태워지는 다쉐라 축제를 하고, 그런 다음에는 세상에 어둠(악)이 모두 없어지고 빛이 가득 채워지는 것을 상징하는 디발리(빛의 축제)가 있고, 디발리 다음 날부터 새로운 해가 시작된다.

나브라트리에 기억되고 숭배되는 여신들은 샥티(Shakti)라 불리는데, 그들은 신(God)에게서 영적인 힘을 받아 세상의 악과 각 개인의 내면의 악덕을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적인 힘은 비폭력적인 힘으로 조용히 내면에서 작용하는 힘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여성적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인간 내면의 악덕들을 파괴할 수 있는 힘으로서 긍정적인 것(빛)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부정적인 것(어둠)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이다. 그러나 영적인 힘은 성을 초월한 힘이다. 모든 인간이 각자 내면에 남성성과 여성성을 갖고 있지만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면의 조화를 잃어버렸기 본래의 균형을 되찾기 위해서는 남녀를 막론하고 내면에 여성적인 힘이 키워질 필요가 있고, 그런 점에서 샥티들이 여신들의 모습을 띠고 있지만 사실은 여성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실제로 여신들이 들고 있는 무기들을 보면 삼지창, 칼, 원반 등 물리적인 무기 못지 않은 강력한 힘을 상징하며, 칼리, 두르가 등은 남성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

세상의 만물들이 창조, 성장, 성숙, 노화, 재창조의 순환과정을 거친다는 맥락에서 볼 때 우리가 갖가지 이름과 모습으로 숭배하고 기억하는 신들은 완전한 세계에 존재했던 완전한 인간(신인, deity)들을 말한다. 라자요가 명상에서는 내면의 부덕함(악덕들)을 극복하고 본래의 완전함으로 돌아가기 위해 8가지 내면의 힘들을 적극적으로 키우는데, 이 내면의 힘들이 바로 샥티들이 상징하는 영적인 힘들이다. 샥티들이 가진 8가지 영적인 힘들이 설명된다.

김선자 (Kim, Seonja)

동아시아의 ‘여신 벨트Goddess Belt’를 주목하라

중국 윈난성雲南省Yunnan Province, 구이저우성貴州省Guizhou Province에서부터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로 이어지는 지역의 여신 신화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지중해 지역에서 사라진 여신들이 고스란히 살아 움직이며 온화하고 강인한 창세여신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그러한 여신들의 전통은 제주도(Jeju Island)와 만주(Manchuria)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아시아의 ‘여신 벨트’, 이제는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윈난성에 거주하는 저강氐羌Di-Qiang 계통 민족의 신화에 여신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모두 서북쪽에서부터 이주해왔다는 민족 집단의 기억을 갖고 있다. 이족彝族Yi Tribe 신화에 등장하는 아헤시니모Ahexinimo는 터키 에베소Ephesus의 아데미Arthmi여신과 매우 흡사하다. 가슴에 스물여덟개의 젖을 가진 이 여신은 자신의 몸에서 모든 생물을 탄생시킨다. 지중해지역에서 많은 숭배를 받았던 아데미는 사도 바울Paul이 에베소에 들어온 이후 사라진다. 아데미가 서쪽으로 가서 아르테미스Arthemis가 되었다면, 동쪽으로 가서 아헤시니모가 되지 않았을까 추측해볼 수 있다. 같은 저강 계통에 속하며 윈난성 중부에 거주하는 하니족哈尼族Hani Tribe신화에서도 최초의 천신 어마俄媽Ema는 태초의 바다에서 탄생한 거대한 황금빛 물고기의 몸에서 태어난다. 천신 어마의 딸들이 어마의 뒤를 이어 천신 역할을 한다. 역시 같은 계통에 속하며 윈난성 남부에 사는 지눠족基諾族Jino Tribe 신화에서는 아모야오보Amoyaobo가 인간의 운명을 주관하는 창세여신이다.

한편 윈난성 동부 구이저우성(Guizhou Province)과 광시좡족자치구(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에 거주하는 백월百越Hundred Yue 계통 민족의 신화에도 여신들이 가득하다. 둥족侗族Dong Tribe 창세여신 싸텐바Satenba는 태양의 여신이며 동시에 거미여신이기도 하다. 좡족壯族Zhuang Tribe 신화 속의 창세여신 무류자Muliujia는 거인여신이며 태초의 꽃에서 탄생한다. 무류자여신은 나중에 꽃의 여신의 역할을 한다. 꽃의 여신이 천상의 꽃밭에서 꽃을 길러 인간 세상에 가져다주면 아이가 탄생하는 것이다. 수이족水族Shui Tribe의 야우牙俣Yawu와 야오족瑤族Yao Tribe의 미뤄퉈Miluotuo 역시 여신이다..

좡족의 여신처럼 제주도에도 ‘서천꽃밭Seocheon Ggotbat(머나먼 서쪽에 있는 꽃밭)’에서 꽃을 길러 인간 세상에 가져다주어 아이를 탄생시키는 삼승할망Samseung Halmang(생육신)이 등장한다. 삼승할망이 되기 위해 두 명의 여신이 ‘꽃피우기 내기’를 하는데 그것은 북방지역 신화에서 최초의 창세신들이 하는 내기이기도 한다. 삼승할망 신화의 원형 역시 창세여신들이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특히 좡족자치구에서부터 제주도까지 분포되어있는 꽃의 여신에 관한 신화들은 이 지역에 널리 퍼져있는 ‘띠 a baby-carrying band(belt)’ 문화와 관련지어 생각해볼만 하다. 아기를 업는 ‘띠’는 탯줄umbilical cord을 통해 영원히 이어지는 생명을 상징한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주신화는 거의 여신들의 세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창세서사시에서는 빛의 천신이자 버들여신인 아부카허허Abukahehe가 세상을 어둠과 추위로 뒤덮으려는 신 예루리Yeluli와 싸우는데, 거의 300여 명의 여신들이 등장한다. 빛과 어둠의 대립구도는 유라시아 초원지역을 관통하는 중요한 모티프이지만 이곳에서는 빛의 천신이 남신이 아닌 여신으로 등장한다.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漢族Han Tribe이 거주하는 중국의 중원Central Plain지역에서는 유교 이데올로기Confucianism로 인하여 창세여신의 신격이 많이 하락했다. 한반도의 육지 지역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기독교나 불교 등 거대 종교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대 샤머니즘적 세계관을 지닌 채 살아왔던 중국의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 특히 여신 전통이 강한 인도와 가까운 중국 남부지역에는 여전히 수많은 창세여신들이 남아있다. 그 전통은 제주와 만주로까지 이어진다.

동아시아 지역의 신화에서 여신은 그저 대지모大地母의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천신의 역할을 하면서 위대한 창세여신으로 등장한다. 생명을 탄생시키는 온화함을 갖고 있으면서도 규칙을 지키지 않는 자들을 단호하게 응징하고, 때론 세상을 어둠과 악으로 뒤덮으려는 신과 목숨을 건 싸움을 하기도 한다.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창세여신들 본래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곳, 동아시아의 ‘여신 벨트’를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Calling for Attention to “the Goddess Belt” in East Asia

I plan to introduce the goddess myths from Yunnan Province(云南省) and Guizhou Provinc(贵州省) to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广西壮族自治区) in China. The goddesses, once disappeared in the Mediterranean region, perform the role of kind and strong creator goddesses. Such tradition also extends to Jeju Island and Machuria(满洲). It is timely to focus on ‘Goddess Belt’ in East Asia.

Goddesses appear in the myth of Di-Qiang(氐羌) people from Yunnan province. They all have ethnic memories, which came from the northwest. Ahexinimo who appears in the myth of Yi Tribe(彝族) is quite similar to Arthmi of Ephesus, Turkey. This goddess with twenty-eight breasts produces all life from her body. Arthmi worshipped in the Mediterranean region is said to have disappeared after the apostle Paul entered Ephesus. If Arthmi went to the west and became Arthemis, it is possible to assess that she became Ahexinimo in the East. The first god of heaven, Ema in the myth of Hani Tribe(哈尼族) residing in the central region of Yunnan and belongs to Di-Qiang people is said to have been born from an enormous body of the golden fish in the primal sea. It is known that the daughters of Ema performed a role as the god of heaven following Ema. In the myth of Jino Tribe(基诺族) from the south of Yunnan belonging to Di-Qiang people, Amoyaobo is the creator goddess who controls the fate of human.

Meanwhile, there are many goddesses in the myth of Hundred Yue(百越) from the eastern Guizhou Province and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Satenba, the creator goddess of Dong Tribe(侗族), is the goddess of the sun and the goddess of spider at once. Muliujia, who is the creator goddess of Zhuang Tribe(壮族), is the giant goddess known to have been born in the primordial flower. Later, it is known that Muliujia played a role of the goddess of flower. I means that when the goddess of flower raised flowers at a flower garden in heaven and brought them to the human world, a baby was born into the world. Yawu of Shui Tribe(水族) and Miluotuo of Yao Tribe(瑶族) are also the creator goddesses.

In Jeju Island, Samseung Halmang (‘the goddess of birth’) who gave birth and brought babies to the world by raising flowers in ‘Seocheon Ggotbat’(‘flower garden in the West’) also resembles the goddess of Zhuang Tribe. That the two goddesses made a bet of blooming flowers to become Samseung Halmang is similar to the bet, which the first gods did in the myth of the northern region. Therefore, it can be drawn that the origin of Samseung Halmang myth also intimates the creator goddess. Especially, the myth about the goddess of flowers, distributed from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to Jeju Island,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a baby-carrying band (belt)’ culture, which has spread widely in these regions. In other words, ‘the belt’ symbolizes an eternal life through the umbilical cord.

The myth of Manchu Tribe(满族) is rife with goddesses. In their creation epic, Abukahehe, the goddess of light and the willow, fights with Yeluli who tries to cover the world with the darkness and the cold. In that fight, almost 300 goddesses appear. While the opposing composition between light and darkness is an important motif penetrating the grassland areas in Eurasia, the god of light appears as a goddess, not a god.

In the Central Plain region where Han Tribe(汉族), comprising the majority of China’s population, the divinity of the creator goddess has decreased in value because of Confucianism, likewise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creator goddesses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where ‘a minority race’ lives close to India in which a strong tradition of goddess exists. People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have the ancient shamanistic view of the world remaining unaffected by the great religions such as Christianity and Buddhism. Such tradition is extended to Jeju Island and Manchuria.

In the myth of the East Asian region, the goddess not only plays the role of earth mother but also the role of heavenly goddess. She appears as the great creator goddess. She has good nature through which babies are born. She sometimes adamantly punishes one who does not follow the rules. She also struggles against the god who tries to cover the world with the darkness and wickedness at the risk of her life. It is timely to focus on ‘the Goddess Belt’ in the East Asia, which still has the original image of the creator goddesses, kind and strong.

김신명숙

크레타 여신순례: 양가적 경험

연구자는 2009년 10월 서구 여신영성운동의 현장을 경험하기 위해 대표적인 여신학자인 캐롤 크리스트가 이끄는 크레타 여신순례에 참가했다. 2주간의 순례는 연구자에게 소중한 경험으로 남았고 여신운동/여신학이 페미니즘의 중요한 뿌리가 될 수 있다는 확신을 남겼다. 그러나 이 순례는 연구자에게 여성자아의 긍정과 모계의 회복을 통한 치유의 경험, 사람들과 자연과의 연결감 등 긍정적인 체험을 주기도 했으나 젠더 이분법과 여성/여성됨에 대한 본질주의적 인식 등에서 한계를 느끼게 하기도 했다.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이 현재 여신운동/여신학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라는 생각이다.

Goddess Pilgrimage to Crete: An Ambivalent Experience

I participated in the Goddess Pilgrimage to Crete in October, 2009, led by Carol P. Christ, a leading thealogian, to experience an aspect of the western goddess spirituality movement. It turned out that the pilgrimage became an experience for lifetime. Now I am convinced goddess movement/thealogy could and should be the powerbase of all feminist movements. Throughout the pilgrimage, I experienced a female self as something to be proud of, healing, reclaiming the maternal line, and feeling of connectedness with nature and all peopl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surely was a sense of limitedness in that the pilgrimage was organized and undertaken in the basis of gender-binary system and essentialist perception of women and womanhood. Thus, I think that is a serious challenge goddess movement/thealogy to be confronted and reflected upon.

Mary Ann Ghaffurian (메리 앤 가퍼리언)

Initiation in Primordial Connection: Ignition to Return Home (원초적 결합의 시작: 환향의 불꽃 피우기)

Was there a fertilisation of ancient Goddess-Mother-Primogeneatrix that travelled by ancient land or sea routes across Asia, or was the form ubiquitous globally, and how is its symbolic meaning carrying revelatory power for us now?

My search for the alchemic mystery at the core of experience led me to many landings on the unfolding rhizome of greater consciousness, rebuilding the modes and structures of consciousness that lead back to Origin stage-by-stage as the inner stadium was complete. Searching ancient knowledge exoterically is essential in rediscovering historic fragments, and doubly rich is reconnecting fractured threads of a broken intrinsic knowledge, paramount to healing.

The Search and the Revelation meets the ancient ever-present, ever-young, ever-old Great Goddess, known by many names finally, at some turning-point in the longed-for Great Return from the bewildering deserts of patriarchal entropy or shattered psychic life.

The Indo-Aryan Para Adi Shakti goes by many names and is also a Parthenogenetic one, emerging like Mago, Primordially.
One without second. She is the only victor and the manifestation of victory itself. She has 1000 names as Lalita: She who is like the axe that fells the tree of death. She who is the micro power deep within. She who is the easily approachable Mother. She who is complete.

A familiar cross-connection between Mago and the Adi Shakti is the triple powers. In Mago signified by the Great Goddess and her two daughters; in the Indo-Aryan expression‍ by the triple goddess. The feminine tri-power is rediscovered in ancient figures from Eastern Europe, Anatolia and Mesopotamia, from 12000 years ago, or more. By putting some of the correct pieces together, ancient Primordial Intelligence awakes.

Helen Hye-Sook Hwang (황혜숙)

 

1. Re-Turn to the Origin! Mago and the Mago Consciousness (기원으로 돌아가자! 마고와 마고인식)

The Great Goddess is known by many names around the world. “Mago” is one known by East Asians from time immemorial. As such, the term “Mago” is a common noun referring to the Great Goddess rather than the name of a particular goddess. According to my assessment of a large volume of primary sources that I have documented, Mago’s divine nature is characterized as the progenitor, creator, and ultimate sovereign. Being the Creatrix, She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She is the Origin of humankind. She will be with us insofar as humanity continues to exist on its cosmic journey. She is the Great Ancestor of all humans as well as goddesses and gods. Furthermore, She is “the Cosmic Great Mother” from whom everything is derived. “Mago” is eponymous of human civilization.

Talk of Mago invokes the Great Goddess consciousness, primordial unity/oneness. A “new” mode of knowing is re-birthed once and time and time again. Individuals are placed in unity with the whole. Each shares with the subject position, WE. After all, everyone is progeny of the Great Goddess! We are re-stored within the scheme of old knowing that the whole (universality) comprises parts (particularities) and that they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2. Multivalent and Transnational Icons of Mago (다양하고 초국가적인 마고의 형상들)

 

3.

  • Magoist Creation stories and Topographies in Korea (한국의 마고문화의 창조설화와 지형들)
  •  

    4.

  • Stone culture and Magoism: Dolmens, Menhirs, Boulders, Crags, and Stonewalls (돌문화와 마고문화: 고인돌, 선돌, 바위, 절벽, 석성)
  •  

    5.

  • Magoist Cosmogony and the Mytho-history of Magoism (마고문화의 창조신화와 신화적 역사)
  •  

    6. M

  • agoism and East Asian Religions including Animism and Shamanism (마고문화와 정령숭배, 무교를 포함한 동아시아 종교들)
  • 일정 중심의 목록

    대륙간 여신 학술회 (6월 10일, 9-6시, 서울 서울대학교 수의대 스코필드 홀)

    주제: 환향, 마고에게로 돌아오다 (가제)

    주최: 마고아카데미,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오랜미래 신화연구소, 프라이모디얼 인텔리전스(Primordial Intelligence)

    전체사회: 신동흔, 황혜숙, 김반아

    환영사: 조은수

    주제강연: 김반아, 리디아 류일

    창조와 통찰: 김봉준, 류정희, 제미란, 김신명숙 (서선자 좌장)

    여신배너와 함께 서울대 교정순례: 양현아

    연구와 각성: 신동흔, 김선자, 조승미, 김정숙 (김신명숙 좌장)

    마고의 여러 모습들 영상상영: 황혜숙

    기조강연: 황혜숙, 메리엔 가퍼리언

    종합토론 (발표자 전원)

    해원진혼굿 연구발표와 다함께 하는 굿: 이인희, 감상순, 박광례

    심포지엄 (6월 17일, 6-9시, 제주도 각북카페)

    주제: “소중한 만남, 제주여성과 세계의 여신들”

    마고 아카데미, 제주전통문화 연구소 공동주최

    사회: 김정숙, 김반아

    문봉순, 김신명숙, 사라 넬슨, 리디아 류일, 메리 앤 가퍼리언, 황혜숙

    집담회 (6월 18일, 6-9시, 제주도 각북카페)

    제주전통문화연구소, 마고 아카데미 공동 주최

    사회: 미정

    주제: “동북 아시아의 여신문화와 고고학”

    우실하, 사라 넬슨

    토론자 미정

    포럼 (6월 9일, 오전 2시간 정도, 원주 오랜미래 신화미술관)

    주제: “깊은 연대, 마을 공동체와 여신신화”

    오래미래 신화연구소, 마고 아카데미 공동주최

    사회: 김봉준, 황혜숙

    발표자: 김봉준, 김정숙, 리디아 류일, 메리 앤 가퍼리언, 황혜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