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4. 15:41ㆍ경전 이야기
|
*聖學輯要/修己/窮理(성학집요/수기/궁리)/기질의 성
☞기질의 성에 대하여
形而後(형이후) : 형체가 있은 후에
有氣質之性(유기질지성) : 기질(氣質)의 성(性)이 있는데,
善反之(선반지) : 이를 잘 돌이켜야
則天地之性存焉(즉천지지성존언) : 거기에 천지의 성이 존재한다.
故氣質之性(고기질지성) : 그러므로 기질의 성을
君子有弗性者焉(군자유불성자언) : 군자는 성이 아니라고 했다.
張子正蒙(장자정몽) : 《장자전서(張子全書)》 〈정몽(正蒙)〉
朱子曰(주자왈) : 주자가 말하기를,
天地之性(천지지성) : “천지의 성은
專指理而言(전지리이언) : 오로지 이를 가리켜 말한 것이요,
氣質之性(기질지성) : 기질의 성은
則以理雜氣而言(즉이리잡기이언) : 이(理)에 기가 섞인 것을 말한다.
只是此性本然之性在氣質之中(지시차성본연지성재기질지중) : 다만 이 성(性) 본연의 성이다. 이 기질 가운데 있기 때문에,
故隨氣質而自爲一性(고수기질이자위일성) : 기질을 따라서 스스로 하나의 성(性)이 된다.
氣質之性(기질지성) : 기질의 성이다.
性譬之水(성비지수) : 성은 물[水]에 비유하면
本皆淸也(본개청야) : 본래는 다 맑은 것이므로
以淨器盛之則淸(이정기성지즉청) : 맑은 그릇에 담으면 맑고 .
以汚器盛之則濁(이오기성지즉탁) : 더러운 그릇에 담으면 혼탁해진다.
澄治之(징치지) : 맑게 다스리면
則本然之淸(즉본연지청) : 본연의 맑은 것이
未嘗不在(미상불재) : 있지 않음이 없다.” 하였다.
葉氏曰(섭씨왈) : 섭씨(葉氏)가 말하기를,
氣聚成形(기취성형) : “기(氣)가 모여서 형체를 이루나
性爲氣質所拘(성위기질소구) : 성(性)이 기질에 구애되어
有純駁偏正之異(유순박편정지이) : 순박(純駁)ㆍ편정(偏正)한 차이가 있으니,
所謂氣質之性也(소위기질지성야) : 이른바 기질의 성이다.
人能以善道自反(인능이선도자반) : 사람이 능히 선한 도리로 스스로 반성하면
則天地之性復全矣(즉천지지성부전의) : 곧 천지의 성이 다시 완전해질 것이다.
故氣質之性(고기질지성) : 그러므로 기질의 성을
君子不以爲性(군자불이위성) : 군자는 성이라고 하지 않는다
蓋不徇乎氣質之偏(개불순호기질지편) : 대개 기질의 치우침을 따르지 않고
必欲復其本然之善(필욕부기본연지선) : 반드시 그 본연의 선(善)을 회복하려는 것이다.” 하였다.
程子曰(정자왈) : 정자가 말하기를,
性出於天(성출어천) : “성(性)은 하늘에서 나오고,
才出於氣(재출어기) : 재주는 기질에서 나오니,
氣淸則才淸(기청즉재청) : 기질이 맑으면 재주도 맑고,
氣濁則才濁(기탁즉재탁) : 기질이 흐리면 재주도 흐려진다.
才則有善有不善(재즉유선유불선) : 재주에는 선(善)도 있고 불선(不善)도 있지만,
性則無不善(성즉무불선) : 성에는 불선이 없다.” 하였다.
又曰(우왈) : 또 말하기를,
論性不論氣(론성불론기) : “성을 논하고 기를 논하지 않으면
不備(불비) : 구비되지 않고,
論氣不論性(론기불론성) : 기를 논하고 성을 논하지 않으면
不明(불명) : 밝지 않으니,
二之則不是(이지즉불시) : 둘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하였다.
葉氏曰(섭씨왈) : 섭씨(葉氏)가 말하기를,
論性之善(론성지선) : “성의 선(善)한 것만 논하고
而不推其氣稟之不同(이불추기기품지불동) : 그 기품(氣稟)이 같지 않은 것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則何以有智愚(즉하이유지우) : 어찌하여 지혜롭고 어리석음을 둘 수 있겠는가.
故曰不備(고왈불비) : 그러므로 구비되지 않았다고 한 것이다.
論氣稟之異(론기품지이) : 기품의 다른 것만 논하고
而不原其性之皆善(이불원기성지개선) : 그 성(性)이 다 선(善)하다는 것을 찾아 들어가지 않는다면,
則是不達其本(즉시불달기본) : 이것은 그 근본에 이르지 못한다.
故曰不明(고왈불명) : 그러므로 밝지 않다고 한 것이다.
性者(성자) : 성이란
氣之理(기지리) : 기(氣)의 이이고,
氣者(기자) : 기란
性之質(성지질) : 성의 질(質)이므로
元不相離(원불상리) : 원래 서로 떠나지 못하는 것인데,
判而二之則亦非矣(판이이지즉역비의) : 갈라서 둘로 하면 역시 잘못이다.” 하였다.
右論氣質之性(우론기질지성) : 이상은 기질의 성을 논하였습니다.
臣按(신안) : 신이 생각건대,
本然之性(본연지성) : 본연의 성과
氣質之性(기질지성) : 기질의 성은
非二性也(비이성야) : 두 가지 성(性)이 아닙니다.
就氣質上(취기질상) : 기질의 위에
單指其理曰本然之性(단지기리왈본연지성) : 나아가 단순히 그 이(理)만을 가리켜 본연의 성이라 하고,
合理與氣質而命之曰氣質之性(합리여기질이명지왈기질지성) : 이와 기질을 합하여 기질의 성이라고 명명(命名)한 것입니다.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리천 / 위키백과 (0) | 2015.07.16 |
---|---|
聖學輯要/修己/窮理(성학집요/수기//궁리)/심ㆍ성ㆍ정 (0) | 2015.07.04 |
*聖學輯要/修己/窮理(성학집요/수기/궁리)/천지(天地)ㆍ인물(人物)의 이(理) (0) | 2015.07.04 |
聖學輯要/修己/窮理(성학집요/수기/궁리)/왕도(王道)와 패도(霸道) (0) | 2015.07.04 |
聖學輯要/修己/窮理(성학집요/수기/궁리)/본연의 성 (0) | 201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