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2. 10. 09:58ㆍ율려 이야기
이 달의 불자
하늘의 소리를 복원하는 생황연주가 - 손범주
김홍도의 그림 중 ≪전당시(全唐詩)≫ 가운데 나업의 생황시를 화제(畵題)로 그린 그림이 있는데, 젊은 남자가 파초 위에 앉아 생황을 부는 월하취생도(月下吹笙圖)라는 작품이다. 적당하게 풀어 헤친 옷자락과 맨다리를 세워 양팔을 받쳐들고 파초잎을 깔고 앉아 생황을 부는 그림…. 방안 가득 달빛이 비치듯 말간 종이 위로 떠오른 그 그림의 한귀퉁이에 단원의 글씨로 앞서 말한 나업의 생황시 '월당처절승용음(月堂悽絶勝龍吟)'이라는 글귀가 있다. 달빛이 비쳐드는 방 안에서 생황 소리는 용의 울음보다 더 처절하다는 내용….
이 그림 속의 남자가 부는 생황(笙簧)은 신라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역사가 오래된 악기이지만 긴 세월을 거치며 점차 사장(死藏)의 길을 걸어왔다.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김홍도의 월하취생도,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 신윤복의 연당의 여인과 수많은 민화들의 소재로 자주 등장할 만큼 일상에서 많이 연주된 악기였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통일신라 시대에 주조된 '에밀레종'이나 상원사 동종에도 생황이 등장할 만큼 그 역사가 장구함에도 불구하고….
생황은 우리 역사를 통틀어 두 번 부흥되고 있다. 그 한번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박연을 통해서 악기를 새로 복원 작업하여 생황을 많이 부흥시켰으며, 또 한번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악공도 없어지고 악기도 사라져 해마다 중국으로 가는 연행(燕行) 길에 악공들도 함께 유학을 보내 악기 제조법이나 연주기법 등을 배워오게 하였는데 모두 실패하고 수룡음이라는 생소병주곡(笙簫竝奏曲)이 겨우 한 작품 남아 있다. 이러한 상황에, 오늘날 이 시점, 생황 소리를 활발한 음악 활동과 함께 복원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손범주 씨이다.
얼마 전, 그가 동·서양의 악기를 가지고 화합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월드음악 실내악단 '오리엔탈리카' 공연에 갈 기회가 있었다. 우연찮게 읽어내려간 신문에서 한번도 그 소리를 들어보지 못한 '생황'이라는 단어를 보고 기회를 일부러 만들었다. 그것은 옛그림 속의 생황처럼 그림으로만 정지되어 있던 것을 '살아 호흡하는 소리'로 들을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만난 작은 인연의 시작이었다. 공연 당일, 퇴근하자마자 부리나케 국립국악원으로 향했다. 국악원에 도착하여 설레는 마음으로 자리에 앉았으나, 다른 악기 소리에 파묻혀 도대체 어느 소리가 생황인지 구별이 되지 않았다. 당황스러운 순간…. 그래도 소득은 있었다. 외국 작곡가의 '5개의 타악기를 위한 음악'을 승가의 전통적인 법구인 목탁으로 표현한 음악, 그리고 손범주 씨가 작·편곡한 음악들 곳곳에 불교적인 내음이 물씬 풍겼다. 그리고 며칠 후, 신문에 난 기사를 의지삼아 사라져가는 생황 소리를 복원 작업하고 있는 '손범주 씨'를 만날 수 있었다.
손범주 씨는 그의 피리 은사이신 한국예술종합학교 정재국 교수님께 처음 생황으로 수룡음을 배웠다. 그후 중국으로 유학, 본격적으로 생황을 전공하였다. 그가 생황에 특별히 매력을 느낀 것은 천상의 악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란다. "비천상(飛天像)에도 나타나 있는데, 항상 천녀들이 안고 부는 악기라고 해서 하늘의 소리라고 많이들 표현해요. 믿거나 말거나 봉황의 울음소리라고도 비유를 하고…."
악기가 서역에서 중국을 통해 건너와 중국에서 많이 활성화되었지만 우리 나라에서도 역사가 깊은 악기이기 때문에 쉽게 간과할 수 없는 악기라 더욱 매력을 느낀단다.
그는 실생활에서 본인이 겪은 것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많은 사람들을 접하고 많은 곳을 여행하며 메모를 하여 나름대로 생각을 담아 창작을 한다고 한다. 원래 불자 집안으로, 한때 타종교에도 나갔었지만 지금은 불교가 더 편안하다는 그. 예전에도 불교 음악을 만들려고 많이 뛰어다녔으며, 계속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인다.
모든 전통악기들은 악보가 있지만 생황은 현재 그 악보가 전해지는 것이 단소와 함께 연주되는 수룡음 하나 뿐이다. 때문에 그는 모든 작업에 있어 악보도 직접 만들어야 한다. 현재 3년 이상 전통음악에 관계된 곡부터 악보 준비를 하고 있지만 아직 가곡이나 종묘제례악 부분은 너무 광범위해서 손도 못 대었단다.
우선 일차적으로 영산회상과 많이 쓰이는 음악들의 악보집을 내고, 생황의 종류, 역사 부분을 자세하게 서술하여 작곡가나 초보자도 그것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양의 악보 형식과 전통악보 두 가지 모두 싣고 싶다고 말하는 그는 나름대로의 많은 작품활동을 해 오고 있었다. 그 첫번째 작품이 비천(飛天)이었다. 이 음반은 인도악기 시타르(sitar)와 항아리, 특수악기, 서양악기와 함께 생황 소리를 녹음하였다.
현재 그는 두번째 작품으로 천음(天音)을 준비하고 있다. 왜 천(天)이라는 글자를 음반마다 타이틀로 사용하느냐고 묻자 '천'이라는 글자 만큼 생황의 소리를 잘 표현하는 글자가 없기 때문이라고 웃으며 화답하는 손범주 씨. 빠르면 올해 나오고, 늦으면 내년 봄쯤 나온다는 그의 다음 작품을 이른봄 돋아나는 파릇한 새싹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성급하게 기대해 본다.
취재 / 신위현
月刊 佛陀 | 월간 붓다 |
Monthly Magazine Buddha |
허무(虛無) - 손범주의 생황연주 ♪· · · · · 국 악·퓨전음악
|
'율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FESTA 2010 대학로 소극장 축제 - 전통예술단 아우름 - (0) | 2016.02.18 |
---|---|
8음(八音)의 소리를 담은 해금 (0) | 2015.12.15 |
태평가 (0) | 2015.12.09 |
수룡음 (0) | 2015.12.09 |
별곡 - 정상지곡(呈祥之曲) (0) | 2015.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