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2. 9. 18:55ㆍ율려 이야기
수룡음
다른 표기 언어 水龍吟
시대 | 조선 |
---|---|
성격 | 기악곡명 |
유형 | 작품 |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요약 가곡 중 계면조 평롱·계락·편수대엽까지의 반주선율을 기악곡으로 변주하거나 한곡씩 독립하여 독주·병주 혹은 관악합주로 연주한 곡명.
[내용]
본래 가곡의 반주에는 거문고·가야금·세피리·대금·해금·장구 등이 따르나, 이를 기악곡화하였을 때는 거문고·가야금이 빠지고 세피리 대신 향피리를 사용하며 아쟁·좌고가 편성된다.
편수대엽은 본래의 것과 대여음의 선율만을 달리한 편수대엽이 첨가되는 등 실제 연주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화가 따른다. 궁중의 연회에 주로 사용되었던 까닭에 1945년까지만 해도 거상악(擧床樂)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이 곡은 단소와 생황의 2중주인 생소병주(笙簫竝奏)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단소와 양금 등의 병주 또는 중주로도 널리 애호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 『조선음악소고(朝鮮音樂小考)』(함화진, 일본ビワタ축음기주식회사, 1943)
제공처
게시일: 2015. 7. 26. 02.
수룡음 4중주 : 전통 가곡의 반주음악을 노래 없이 기악곡으로 연주하는 형태를 자진한잎이라 부른다. 자진한잎은 기악독주나 병주, 중주, 관악합주 등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며, 악기 편성에 따라 음악의 질감이 사뭇 달라진다. 원래 수룡음이라는 음악은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수입되어 조선시대까지 궁중음악으로 사용된 당악곡의 명칭이며, 지금은 전승이 단절된 음악이다. 오늘날은 가곡의 여러 곡목 중에서 평롱, 계락, 편수대엽을 기악으로 연주할 때 이를 수룡음이라 부른다.
02. Suryongeum Quartet “Jajinhanip” is the accompaniment to traditional Gagok without the voice. Jajinhanip is performed in various forms like solo, duet, and other forms of ensembles, and they all have different textures. Suryongeum originally referred to a piece of Dangak, which was imported from Sung China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was used as court music in the Joseon period, but is no longer in existence. Nowadays, it refers to the instrumental arrangements of Pyeongnong, Gyerak, and Pyeonsudaeyeop, which are Gagok songs.
○ 생황 : 이종무, 단소 : 이종범, 양금 : 조유회, 아쟁 : 김인애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 목요풍류: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풍류 Ⅰ
[2015.07.23.]
01. 생소병주와 아쟁 '수룡음(Suryongeum)'
'율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의 소리를 복원하는 생황연주가 - 손범주 (0) | 2015.12.10 |
---|---|
태평가 (0) | 2015.12.09 |
별곡 - 정상지곡(呈祥之曲) (0) | 2015.12.05 |
종묘의궤 제1책 > 종묘의 등가와 헌가 악기 도설 《오례의》 (0) | 2015.11.28 |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 人事篇 / 器用類 > 樂器 - 簫辨證說 (0) | 2015.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