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기행(83)-삼괴란 의미를 담은 삼괴정(三愧亭)

2015. 12. 21. 03:46

 

 

 

 

 

      

2012년04월30일 08시15분

       990691
           
정자기행(83)-삼괴란 의미를 담은 삼괴정(三愧亭)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산 가는 길에 충장사에서 광주호 가는 길에 금곡동이 나온다. 500여 년 전에 마을이 형성되었던 마을 일대는 금곡동은 법정동이나 행정동은 석곡동(石谷洞)으로 동 이름은 쇠가 난 데서 유래한다. 무등산 ‘역사길’에서 가사문학권으로 이어지는 길목이다.

금곡동 입구 삼거리 길에서  소쇄원으로 가는 도로 옆 하천변에는 삼괴정(三愧亭)이라는 정자가 하나 있다. 연녹색의 잡초들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이 정자에서 지은 각헌(覺軒) 박홍규(朴興圭)의 시에서 세 정자의 그 모습이 넓으면서 고요하나 / 맑은 임천(林泉) 사랑하여 흐른 물에 불타(不唾:침을 뱉지 않음)했네"하는 싯글로 보아 정자 앞을 흐르는 계곡 이름을 알 수 있다.

초라해 그냥 지나칠 수 있지만 삼괴정(三愧亭)이라는 이름은 부친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지만 깊은 사연을 담고 있어 옷깃을 여물게 한다.

이곳은 한말에 1900(광무4)년에 남평문씨 문병일(文炳日)이 부친 문유식(文愉植)의 뜻을 받들어 건립되어 꽤 오랜된 정자였다. 물론 지금의 건물은 아니었겠지만.... 윗골(금감마을) 꾀꼬리 당산에 지리하고 있다.

   이 정자의 명에서 삼괴三愧란  세가지 뜻을 세우지 못한 삼미립(未立 )을 뜻한다. 그것은 자신이 못나 뜻을 세우지 못해 미립(未立), 아버지의 명예를 높이지 못함하고 제대로 모시지 못해 미현친(未縣親), 자식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함 미교자(未敎子)의 세 가지 부끄러움을 의미로 겸손하고 자책하는 마음을 정자에 담아 후손들에게 좋은 교훈적 메세지를 남기고 있다.

‘오괴’(五愧)라 하여 예기(禮記)에서는 군자의 다섯 가지 부끄러움을 말하는 것과 父不言子之德하며 子不談父之니라. (아버지는 자식의 덕을 말하지 아니하고 아들은 아버지의 허물을 말하지 아니한다.)는 문구가 연상하게 된다. 그래서 인지는 모르나 정자의 방향이 북쪽을 향하고 있다.

그러나 문병일(文炳日)의 삼괴(三愧)는 누구나 후회하는 것인지 모른다. 그의 삼괴는

평생동안 느낀 삼괴(三愧) 귀신에게 물어보며/깊은 산에 홀로 사니 바른 세월 흘러가네.
이른 나이 풍진 세상 예날 자학(子鶴) 그리었고/늦은 만년 천석(泉石)속에 사구(沙鷗)처럼 지냈도다.

선세유업 못다하니 남은 여감(餘憾) 한이 없고/자손교육 그르치니 내 스스로 반성하네.
이 세상이 어지러워 이 마음이 답답하니/하늘가의 흰구름과 짝을 지어 놀았도다.

4대 임금을 섬면서 한시대 절대적인 권력을 소유했던 우암 송시열( 宋時烈1607~1689)도 그의 나이 80에도 오괴를 후회를 시로 토로했다.

내 나이 이제 팔십인데 / 평생의 일을 추억하니
뉘우침 산처럼 쌓여/붓으로 기록하기 어렵구나.

어버이 섬김에 내 소견대로 하여 / 그 뜻을 따르지 못함 많았고
형님을 따름에도 사욕에 가려 / 강강하게 스스로 하기 좋아했으며

집에서도 홀로를 삼감에 어두워 옥루에 부끄럽지 않음 없었고
벗을 사귐에도 충후하지 못해 / 능히 그 허물을 덮어주지 못했네
더구나 군신의 즈음에는 / 감히 의리에 가까웠다 하겠는가.

 



    이어지는 그의 시는 후인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어 눈여겨 볼 만하다.

자질구레한 행실 삼가지 않으면 / 마침내 큰 덕의 누가 되는 것
외면의 거친 기운 / 한 점이라도 사용해서야 되겠는가

주야로 부지런히 노력하면 / 동식에 반드시 할 일 있으니
밝음과 정성을 양면으로 증진하고 / 공경과 의리도 함께 세워서
삼가 좌우에 써 놓고 / 험난에도 급박에도 이에 의거하리라

송시열은 그의 성품 마냥 좀처럼 길게 짓지 않은 인물이지만 회후하는 시에서는 장문을 쓴 것으로 보면 누구나가 자신을 돌아보는 후회는 다감하리라 여겨진 대목이다.

 


   정자가 있는 자리는 구한말의 부농이었던 문유식이 생전에 즐겨 찾았던 곳이라 한다. 무등산 줄기가 좌우로 뻗어 있고, 넓은 평야가 앞뒤로 펼쳐진 곳에 있으며, 정자 왼쪽으로는 계곡물이 흐르고, 주변이 소나무와 잣나무로 둘러싸여 있어 경치가 뛰어나다.

삼괴정은 도리기둥을 한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작은 건물로,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중앙 1칸에는 방을 들였고, 좌우 칸에는 벽이 없으며 마루가 깔려 있다. 건립 이후 1985년에 기와교체 작업을 한 번 했을 뿐 더 이상의 보수를 하지 않았음에도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내부에 정내에는 설주 송운해의 글씨인 정명이 현액되어 있고, 기노장(奇老章 기정진)의 기문(記文), 화순 이양면 추신 일제강점기 유학자 양회갑(梁會甲 1884년(고종 21)∼1961)의 상량문을 비롯해 김희준, 기세구, 박흥규, 정안석, 김희숙, 정운영, 이재풍, 여창현 등이 쓴 시문(詩文)이 걸려 있다. 

   정이름의 현판은 보성출신으로 독특한 설주체를 완성했으며 “설주(雪舟)의 먹물에 보성강이 검게 물들었다”는 전설과 함께 마지막 일심(一心)이란 두 자를 남기고 92세 1965년 임종때 까지 붓을 놓지 않았던 설주 송운회(雪舟 宋運會 1874~1965)가 썼다.

 
   정내에 현액된 시 중에 정자주인 문병일(文炳日)이 지은  '삼괴정 원운'의 내용은 이 정자를 지은 이유를 나타내고 있다.

평생동안 느낀 삼괴(三愧) 귀신에게 물어보며 / 깊은 산에 홀로 사니 빠른 세월 흘러 가네
이른 나이 풍진 세상 옛날 자학(子學) 그리었고 / 늦은 만년 천석(泉石)속에 사구(沙鳩)처럼 지냈도다.

선세유업 못다하니 남은 여감(餘憾) 한이 없고 / 자식교육 그릇치니 내 스스로 반성(反省)하네
이 세상이 어지러워 이 마음이 답답하니 / 하늘가에 휜구름과 짝을 지어 놀았도다.

 

 

   일대는  무등산 분청사기 전시실과 풍암정이 자리하고 있고  뛰엄바우와 시검바우는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무술을 연마한 곳이었다고 하며, 금곡마을에서는 8·15광복 이전까지 당산제와 기우제를 지냈다.

정자 앞에 모퉁이에는  153cm의 ‘꾀꼬리 당산’ ‘작은 당상‘이라 부르는 다산을 장려하는 남근석이 있어 정월 대보름 저녁에 제를 올리면 뜻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이곳에서 100m위쪽에는 무등산 분청사기 전시실은 고려말에서 조선초 사이에 도자기를 굽던 가마터에 1998년 세운 전시관이다. 여기서 3분쯤 가면 무등산수박마을에 이르러 무등산 수박으로 유명한 마을이다.

무등산 ‘역사길’ 사이사이 선비들의 삶이 스민 곳이다. 그런 선조들의 정신을 담고자했던 향리의 의식있는 지식이 세운 정자에는 잡초만 무성했다.

그 운치를 경암 김희숙(敬庵 金熙淑)은 이곳에 들려 정자주인을 칭송하며 알리고 있다.

시내 언덕 깊은 곳에 적은 집이 고요하니 / 덕을 닦는 어진 주인 풍속 흐름 멀리하네
아침에는 구름따라 우는 사슴  달래주고 /  석양에는 낚시하며 백구(白鷗)따라 자울으네

밝은 세상 들어와도 부끄러움 없는지라 / 그의 마음 편하 여겨 다른 욕구 아니 갖네
이 사이에 높은 뜻을 다소라도 알려거든 / 하루라도 빠짐없이 이 정자에 놀아보소

' 비할 데 없이 높은 산' 또는 '등급을 매길 수 없는 산'이라는 무등산(無等山) 일대에는 우리들의 삶의 흔적들이 많이 산재해 마음을 다스리는데 귀감이되고 있다.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性理學者)요 문신으로 문장과 경술(經術)에 뛰어났으며 시문을 창작해 조선 전기 제일의 시인으로 칭송됐던 사림ㅍ파의 저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 ~ 1492)은 전라도관찰사로 순시차 광주의 무등산을 보며 그냥 지나가지 못하고 이렇게 읊었다.

푸르고 푸른 서석산 가을 하늘에 솟았는데 / 보통 십 일 동안을 안중에 들어온다네
희경루 앞에서 다시 머리 돌려 바라보니 / 구름 연기 잠깐 걷히자 영궁(仙人)의 궁전宮殿)이 보이누나

이슬비 자욱이 내려 산 기운 차갑더니 /오늘 아침에 해 돋으니 봉우리를 드러내네
우뚝한 것이 끝내 여러 산의 어른이라 / 두류산 꼭대기를 보는 것과 방불하구나

참고문헌=누정제영 광주광역시 1992 290P
문화.김은희/ nox9109@naver.com

 

 

南道 정자기행(1014)-광주.전남 10대정자(소하천형)
南道 정자기행(1045)- 해남 노송재
南道 정자기행(843)-영암 덕성당 (德星堂)
南道 정자기행(990)- 정자詩로 만난 인물- 신헌구
南道 정자기행(851)-강진 수암강당과 수암서원
南道 정자기행(664)-보성의 정자-벌교읍 編
南道 정자기행(762)-무안 몽양재(蒙養齋)
南道 정자기행(857)-함편 나산면 정.제각
南道 정자기행(787)- 정자詩로 만난 인물-임영
南道 정자기행(800)-학산정(鶴山亭)
南道 정자기행(869)-함평 반환정(盤桓亭)
南道 정자기행(923)-곡성 풍욕대(風浴臺)
南道 정자기행(827)- 정자詩로 만난 인물-강진 송진봉
南道 정자기행(616)-담양정자 총람
南道 정자기행(621)-광양 청계당(聽溪堂)
南道 정자기행(980)-화순 송계재(松溪齋)
南道 정자기행(546)-정자詩로 만난 인물-허종(許琮)
南道 정자기행(801)-순천 임청정(臨淸亭)
南道 정자기행(635)-광양 송간정(松澗亭)
南道 정자기행(992)-영광 제월정(霽月亭)
南道 정자기행(560)-무등산을 품에 안은 회암루(晦巖樓)
南道 정자기행(524)-松아래 유건이 화순 송석정
南道 정자기행(734)-향촌에 묻힌 송산정사(松山精舍)
南道 정자기행(969)-화순 구암정(龜岩亭)
南道 정자기행(705)-구례 호산정
南道 정자기행(968)-충의당과 성산사
南道 정자기행(966)-정자書로 만난 인물-민규호(閔奎鎬)
南道 정자기행(935)- 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시서(金時瑞)
南道 정자기행(810)-함평 월악정사
南道 정자기행(1017)-광주.전남 10대정자(조망형)
南道 정자기행(511)-푸른 산골물에 영암 벽간정(碧澗亭)
南道 정자기행(927)- 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정호(金正昊)
南道 정자기행(844)- 정자詩로 만난 인물-박병해
南道 정자기행(637)-만덕산 해월루(海月樓)
南道 정자기행(819)-곡성 오석정(梧石亭)
南道 정자기행(634)-정자詩로 만난 인물-나도규
南道 정자기행(868)-해남 부춘재
南道 정자기행(893)- 강진 영모당(永慕堂)
南道 정자기행(974)-주암 향약재(住巖 鄕約齋)
南道 정자기행(665)-보성 취송정
南道 정자기행(690)-잔에 술 부으니 화수정
南道 정자기행(19002)-영광 망화정(望華亭)
南道 정자기행(1039)-화순 천일대(天日臺)
南道 정자기행(1004)-정자詩로 만난 인물-신응순
南道 정자기행(1019)- 화순 운호정(雲湖亭)
南道 정자기행(887)- 진도 배중손의 정충사
南道 정자기행(833)- 광주 임리정(臨履亭)
南道 정자기행(795)- 남원 재간당
南道 정자기행(599)-세정이 멀리에 고창 춘곡정(春谷亭)
南道 정자기행(999)-정자詩로 만난 인물 김창협(2)
南道 정자기행(545)- 천은사 보제루(普濟樓)
南道 정자기행(746)-호남제일성 무주의 한풍루
南道 정자기행(589)-고개 돌리게 하는 송광사 침계루
南道 정자기행(558)- 정자詩로 만난 인물-오준선
南道 정자기행(730)-충절의 숨결이 강진 화산재와 화암사
南道 정자기행(882)-나주 사벽정
南道 정자기행(783)-세독충정의 추원각
南道 정자기행(518)-적벽 망미정(赤壁望美亭)
南道 정자기행(961)-장성 독명헌(獨明軒)
南道 정자기행(693)-함평 후백당(後百堂)
南道 정자기행(944)-무안 모사재와 월산사
南道 정자기행(684)-함평 풍수정(風樹亭)
南道 정자기행(523)-광양 수월정(水月亭)
南道 정자기행(731)-정자詩로 만난 인물-나 경환
南道 정자기행(663)-학은 노 저으라 하고 보성 담은정
南道 정자기행(1006)-정자詩로 만난 인물-송명회(2)
南道 정자기행(508)-티끌에 빠져든 속인이 반구정(伴鷗亭)
南道 정자기행(967)-정자詩로 만난 인물-김기환(金錡煥)
南道 정자기행(554)-봉황의 꿈을 곡성 수성당(壽星堂)
南道 정자기행(897)- 방산 윤정기와 백학루(白鶴樓)
南道 정자기행(519)-초의의 일지암(一枝庵)
南道 정자기행(567)- 외로운 나그네의 시(3)
南道 정자기행(781)-순천 오림정
南道 정자기행(506)-장흥 서륜당(敍倫堂)
南道 정자기행(1012)- 정자詩로 만난 인물-신응시(辛應時)
南道 정자기행(828)- 화순 귀후재(歸厚齋)
南道 정자기행(577)-산골에 글읽는 소리가 목미암.상관재
南道 정자기행(1031)-광주.전남 10대정자(계류형)
南道 정자기행(791)-도깨비를 위한 정자
南道 정자기행(1033)-내 너 되어 화순 수산정사(壽山精舍)
南道 정자기행(878)-정자書로 만난 인물-김규태
南道 정자기행(527)-정자詩로 만난 인물-정도전
南道 정자기행(1018)- 정자詩로 만난 인물- 송명회(3)
南道 정자기행(863)-정자書로 만난 인물-황욱
南道 정자기행(922)-영암 태평정(太平亭)
南道 정자기행(988)- 고창 평근당과 송국사(宋國士)
南道 정자기행(592)-고창 영취정(永翠亭)
南道 정자기행(829)- 영암 애송정(愛松亭)
南道 정자기행(600)-대숲 풍치가 두봉정(斗峰亭)
南道 정자기행(606)-고창 금계정(錦溪亭)
南道 정자기행(604)-백일홍 꽃 옛섬 머리에 고창 탄운정
南道 정자기행(946)-무안 연익재(燕翼齋)
南道 정자기행(549)-정자詩로 만난 인물-송시열
南道 정자기행(867)-장수 지우정(止隅亭)
南道 정자기행(1032)-정자書로 만난 인물-담은의 도시(道詩)에 대하여(1)
南道 정자기행(877)-남원 제호대(霽湖臺)
南道 정자기행(609)-고고한 선비의 숨결이 광양 학사대
南道 정자기행(908)-남원 월파정(月波亭)
南道 정자기행(576)-광주 석계정(石溪亭)
南道 정자기행(804)-함평 자영정
南道 정자기행(533)-정자詩로 만난 인물-정구(3)
南道 정자기행(773)-강진 용강재
南道 정자기행(712)-사라진 부안군의 정자(1)
南道 정자기행(873)-영암 남해당(南海堂)
南道 정자기행(495)-해남 어초은 추원당
南道 정자기행(915)- 구례의 정자(1)
南道 정자기행(845)-구례 은행정(銀杏亭)
南道 정자기행(764)-화순 쌍벽정(雙碧亭)
南道 정자기행(869)-영암 이우당(二友堂)2
南道 정자기행(956)- 영암 분비재(憤悱齋)
南道 정자기행(717)-광양 풍화루(風化樓)
南道 정자기행(876)-영암 열무정(閱武亭)
南道 정자기행(584)-고창 봉강정사(鳳岡精舍)
南道 정자기행(618)-고창 희구정(喜懼亭)
南道 정자기행(605)-고창 쌍괴정 (雙槐亭)
南道 정자기행(756)-고창 용오정사(龍塢精舍)
南道 정자기행(884)- 나주 고암(顧菴)
南道 정자기행(1005)-화순 취월정
南道 정자기행(607)-고창 현곡정사 (玄谷精舍)
南道 정자기행(591)-고창 세한정
南道 정자기행(839)-영암 존양루(存養樓)
南道 정자기행(719)- '선비가 그립다' 강진 칠오당
南道 정자기행(916)-곡성 합강정(合江亭)
南道 정자기행(646)-보성 죽곡정사(竹谷精舍)
南道 정자기행(562)-정자詩로 만난 인물-김덕령
南道 정자기행(544)- 고금도 충무사의 동재.서재
南道 정자기행(994)- 정자詩로 만난 인물- 신헌
南道 정자기행(626)-정자詩로 만난 인물-나경환
南道 정자기행(613)-광양의 정자編(2)
南道 정자기행(525)-일점의 티끌도 무산정사(武山精舍)
南道 정자기행(780)-정자詩로 만난 인물-김한섭
南道 정자기행(507)-구례 천은사 수홍루(垂虹樓)
南道 정자기행(711)-무엇하러 찾을손가 광주 관호정(觀湖亭)
南道 정자기행(757)-오포(烏哺)의 사연이 장흥 용호정(2)
南道 정자기행(654)-현자들이 찾는 외성당
南道 정자기행(789)-남원의 사라진 누정(1)
南道 정자기행(696)-남원 정자에 남은 시(1)
南道 정자기행(598)-갓쓰고 관수하는 고창 매월정
南道 정자기행(608)-우애가 돋보이는 고창 삼호정(三湖亭)
南道 정자기행(675)-고창군편(2)
南道 정자기행(733)-장흥 목미정(木美亭)
南道 정자기행(573)-순천 송매정(松梅亭)
南道 정자기행(881)-거만함이 부럽다 강진의 집영재
南道 정자기행(686)-정자詩로 만난 인물-송주헌(2)
南道 정자기행(534)-충.정.의를 아우르는 고흥 경호재(敬孝齋)
南道 정자기행(847)-화순 수양정(修養亭)
南道 정자기행(633)-구례 춘해루(春解樓)
南道 정자기행(996)- 정자書로 만난 인물-석봉 한호
南道 정자기행(934)-무안 영유재(永裕齋)
南道 정자기행(852)- 정자時로 만난 인물-이세보
南道 정자기행(875)-정자書로 만난 인물-해사 김성근
南道 정자기행(707)-정자詩로 만난 인물-나옹선사
南道 정자기행(647)-정자詩로 만난 인물-고부민(高傅敏)
南道 정자기행(612)-동백꽃 떨어져 백련사 만경루
南道 정자기행(903)-정자詩로 만난 인물-최윤환
南道 정자기행(1015)-화순 백구정
南道 정자기행(531)-곡성 관음사 수각 금랑각 (錦浪閣)
南道 정자기행(771)- 광주 후암정(後巖亭)
南道 정자기행(627)-광양 거연정(居然亭)
南道 정자기행(537)-선비의 고장 장성의 서당
南道 정자기행(936)-영암 양정재와 흥학당
南道 정자기행(689)-정자詩로 만난 인물-최수화
南道 정자기행(1036)-헛된것이 많은 화순 모의정
南道 정자기행(849)- 장성 양정재(養正齋)
南道 정자기행(698)-정읍 영주정사(瀛州精舍)
南道 정자기행(691)-남원 도탄정(桃灘亭)
南道 정자기행(743)-나주 설재서원의 영모재
南道 정자기행(684)-정자詩로 만난 인물-최온(崔蘊)
南道 정자기행(836)-영암 총취정(叢翠亭)
南道 정자기행(861)-구례 석주칠의각
南道 정자기행(703)-대덕(大德)이 숨은 덕천정(德川亭)
南道 정자기행(723)-천 년토록 앉아 강진 석문정
南道 정자기행(735)-오손도손 나주 수우시정(守遇詩停)
南道 정자기행(668)-남극성 담은 보성 남극정
南道 정자기행(629)-무안 유산정(遊山亭)
南道 정자기행(603)-명리는 청계에 청계정사(淸溪精舍)
南道 정자기행(898)- 정자詩로 만난 인물-기학경(奇學敬)
南道 정자기행(904)-장흥 장평면篇
南道 정자기행(954)- 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제민
南道 정자기행(666)-도덕을 희구한 희안당(希顔堂)
南道 정자기행(899)- 정자詩로 만난 인물-최형한(崔亨漢)
南道 정자기행(587)-장흥의 정자-2
南道 정자기행(617)-도심속에 뜻 깊은 정자 수월정
南道 정자기행(777)- 나주 대양루와 진여문
南道 정자기행(1041)-광주.전남 10대정자(호수형)
南道 정자기행(758)-화순 차군정(此君亭)
南道 정자기행(928)-화순 백암정사
南道 정자기행(739)-장흥 관호정(觀湖亭)
南道 정자기행(774)-광주 율수재
南道 정자기행(907)-정자詩로 만난 인물- 태능(太能)
南道 정자기행(1163)-광주 만취정
南道 정자기행(776)- 띠집이 고요하니 '읍향정'
南道 정자기행(905)- 영암 군서면編
南道 정자기행(826)- 정자詩로 만난 인물-박건(朴楗)
南道 정자기행(902)-정자詩로 만난 인물- 최기량
南道 정자기행(943)- 정자詩로 만난 인물-휴정
南道 정자기행(1026)-광주.전남의 100대정자
南道 정자기행(590)-고창 고수면編
南道 정자기행(640)-정자詩로 만난 인물-정온(鄭蘊)
南道 정자기행(860)- 화순 서림정사(西林精舍)
南道 정자기행(715)-광주 봉생정(鳳笙亭)
南道 정자기행(559)-광양의 사라진 정자
南道 정자기행(872)-장수 불고정(不孤亭)
南道 정자기행(831)-영암 망호정과 영호사
南道 정자기행(737)-화순 금사정과 양정재의 숨은 사연
南道 정자기행(960)- 정자詩로 만난 인물- 사명대사
南道 정자기행(793)- 정자詩로 만난 인물-남구만
南道 정자기행(670)-고창 아산면編
南道 정자기행(601)-고창 삼락당(三樂堂) 월호정
南道 정자기행(676)-이조원의 청심당(淸心堂)
南道 정자기행(702)-화엄사 보제루(華嚴寺普濟樓)
南道 정자기행(631)-고창읍 篇(1)
南道 정자기행(911)-산도 물도 정자도 장흥 삼가정
南道 정자기행(718)-정약용과 소대정(小坮亭)
南道 정자기행(683)-정자詩로 만난 인물-혜일대사
南道 정자기행(755)-정자詩로 만난 인물-고용후(高用厚)
南道 정자기행(646)- 만산정(萬山亭)과 남강정(南康亭)
南道 정자기행(914)- 정자詩로 만난 인물-이응상(李應相)
南道 정자기행(865)-나덕명의 무안 적벽정
南道 정자기행(708)-구례 사성암 (四聖庵)
南道 정자기행(624)-완도객사(莞島客舍)
南道 정자기행(1409)-광주 계정(溪亭)
南道 정자기행(594)-곡성 청계정
南道 정자기행(667)-무안 송은당
南道 정자기행(890)-정자詩로 만난 인물-김병연(3)
南道 정자기행(811)-강진 성전면編
南道 정자기행(744)-순천 환선정(喚仙亭)
南道 정자기행(620)-보성의 정자-조성면 編
南道 정자기행(809)-고흥 화수헌
南道 정자기행(854)-고창 배풍헌(培風軒)
南道 정자기행(782)-정자詩로 만난 인물-박노면(朴魯冕)
南道 정자기행(972)- 순천 망북정(望北亭)
南道 정자기행(499)-계곡에 누워 대흥사 침계루
南道 정자기행(724)-강진 전라병영성 진남루
南道 정자기행(824)- 강진 삼벽정(三碧亭)
南道 정자기행(948)-장성 삼우정
南道 정자기행(772)-강진 죽림정(竹林亭)
南道 정자기행(751)-정자詩로 만난 인물-김희조
南道 정자기행(941)-무안 일소정 (一嘯亭)
南道 정자기행(864)-해남 용화당
南道 정자기행(701)-구례 천인정(千仞亭)
南道 정자기행(838)-교훈이 깃든 청해진 누정
南道 정자기행(1028)-화순 창랑정
南道 정자기행(628)-정자詩로 만난 인물-김희수(金熙琇)
南道 정자기행(643)-보성 송호정(松湖亭)
南道 정자기행(910)-곡성 송석정(松石亭)
南道 정자기행(547)-충신의 얼이 경의당
南道 정자기행(728)-강진 양로당
南道 정자기행(658)-정자詩로 만난 인물-위계도(魏啓道)
南道 정자기행(886)-강진 도암면編
南道 정자기행(729)-화순 운곡영당(雲谷影堂)
南道 정자기행(889)-강진 가회당(嘉會堂)
南道 정자기행(575)-행화촌(杏花村)을 꿈꾸는 빙월정(氷月亭)
南道 정자기행(740)-목포 세한루
南道 정자기행(874)-영암 요월당과 쌍취정
南道 정자기행(788)-광주 관풍대(觀風臺)
南道 정자기행(695)-보성 덕암재(德岩齋)
南道 정자기행(894)- 강진 우락정(憂樂亭)
南道 정자기행(918)-민주경제의 기원 영암 강신소
南道 정자기행(821)-순천 월림정(月林亭)
南道 정자기행(815)-정읍 양진당(養眞堂)
南道 정자기행(720)-비금탁목(飛禽啄木)의 보인당(輔仁堂)
南道 정자기행(855)- 정자詩로 만난 인물-노수신
南道 정자기행(856)- 정자詩로 만난 인물-이광사
南道 정자기행(989)-다산초당과 불염당
南道 정자기행(574)-선비들이 꾀꼬리 숲을 죽헌정
南道 정자기행(543)- 술은 넉넉하다네 단산정사(丹山精舍)
南道 정자기행(498)-하늘 아래 해남 달마 도솔암(兜率庵)
南道 정자기행(888)- 광주 삼우정(三又亭)
南道 정자기행(689)-돈독한 여생을 동여정(同余亭)
南道 정자기행(563)- 정자詩로 만난 인물-정창손(鄭昌孫)
南道 정자기행(920)-영암 장동사와 원경재
南道 정자기행(680)-송광사 우화각(羽化閣)
南道 정자기행(919)- 병영 응수당(應酬堂)
南道 정자기행(798)-대원사 아도영각
南道 정자기행(870)-장흥 관수헌(觀水軒)
南道 정자기행(957)-영암 신북면編
南道 정자기행(993)-장성 삼계면編
南道 정자기행(736)-난초아닌 난초보다 난계정(蘭溪亭)
南道 정자기행(689)-곡성군 목사동면篇
南道 정자기행(619)-보성 매월당(梅月堂)
南道 정자기행(1010)-장성 난산정
南道 정자기행(704)-청풍의 사연 담은 괴양정
南道 정자기행(929)- 정자詩로 만난 인물-정일택(丁日宅)
南道 정자기행(895)- 광주 영사정(永思亭)
南道 정자기행(822)-함평 낙영재(樂英齋)
南道 정자기행(900)-남원 용두정(龍頭亭)
南道 정자기행(830)-광주 만송재(晩松齋)
南道 정자기행(812)-강진 무극정(無極亭)
南道 정자기행(552)-정자詩로 만난 인물-박노술
南道 정자기행(949)-장성 율재정(栗齋亭)
南道 정자기행(765)-무엇인가 섭섭한 무안 삼천재
南道 정자기행(917)-곡성 백로정(白鷺亭)
南道 정자기행(732)-고고한 기품을 나주 만향정(晩香亭)
南道 정자기행(814)-함평 삼일정
南道 정자기행(660)-함평 사강정사(莎岡精舍)
南道 정자기행(650)-형제애를 품은 보성 오악정(五愕亭)
南道 정자기행(502)-진도 남도진성동문(南桃鎭城東門)
南道 정자기행(674)-장수면 자락정(自樂亭)
南道 정자기행(522)-장수 근수루(近水樓)
南道 정자기행(514)-누각형태의 고흥 명륜당(明倫堂)
南道 정자기행(566)-정자詩로 만난 인물-이항복
南道 정자기행(672)-전북 장수면 정자(1)
南道 정자기행(942)-장수군정자 -계남면扁
南道 정자기행(678)-장수군 연파정
南道 정자기행(1030)-광주.전남 10대정자-연지형
南道 정자기행(909)-정자詩로 만난 인물- 노수신(盧守愼)
南道 정자기행(530)-삼산정사(三山精舍)
南道 정자기행(818)-무안 석호정(石湖亭)
南道 정자기행(548)-우산 모양 정자 함벽정(涵碧亭)
南道 정자기행(539)-정신적 지주 사산재.사산사
南道 정자기행(538)-무안 면과정(棉瓜亭)
南道 정자기행(541)- 요수요산의 의미 양요정(兩樂亭)
南道 정자기행(556)-노노정(努努亭)
南道 정자기행(648)-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신덕 (金愼德)
南道 정자기행(585)- 외로운 나그네의 시(4)
南道 정자기행(578)-정자詩로 만난 인물-오연상
南道 정자기행(582)-고흥 하구정(何求亭)
南道 정자기행(706)-정자詩로 만난 인물-나윤후
南道 정자기행(1011)-해남 계곡리編
南道 정자기행(848)- 정자詩로 만난 인물-박광옥
南道 정자기행(952)- 장성 관계정(冠盖亭)
南道 정자기행(947)-장성 문향정(聞香亭)
南道 정자기행(596)-물소리 들리는 담양 명륜당
南道 정자기행(602)-선비가 그립다 청금정(聽琴亭)
南道 정자기행(687)-봉황정(鳳凰亭)
南道 정자기행(611)-고금 이도재공 초사(草舍)
南道 정자기행(593)-고창 느티나무와 오괴정
南道 정자기행(622)-보성군의 정자-복내면 편
南道 정자기행(797)-진안 모은정
南道 정자기행(985)-보성 노동면篇
南道 정자기행(930)-무안 채지정(採芝亭)
南道 정자기행(953)- 정자詩로 만난 인물- 윤선도
南道 정자기행(794)- 정자詩로 만난 인물-이매창
南道 정자기행(891)-해남 송호정과 옥산서실
南道 정자기행(769)- 정자詩로 만난 인물-조팽년
南道 정자기행(649)-정자詩로 만난 인물-나세찬(羅世纘)
南道 정자기행(632)-정자詩로 만난 인물-이매창
南道 정자기행(971)-화순 만괴정(晩槐亭)
南道 정자기행(987)-영광 운금정(雲錦亭)
南道 정자기행(655)-정자詩로 만난 인물-고의상(高儀相)
南道 정자기행(557)-고창 회천정사와 만수당
南道 정자기행(767)- 정자詩로 만난 인물-양우규
南道 정자기행(553)-정자詩로 만난 인물-최산두(崔山斗)
南道 정자기행(652)-정자詩로 만난 인물-배석면
南道 정자기행(656)-장성 향포정(香圃亭)
南道 정자기행(976)-송광사 척주당.세월각
南道 정자기행(862)-함평 영사정(詠四亭)
南道 정자기행(663)-장수군 용연정
南道 정자기행(970)-화순 부양정(扶陽亭)
南道 정자기행(832)- 정자詩로 만난 인물- 이병수(李炳壽)
南道 정자기행(913)-장수 심원정(천연대)
南道 정자기행(834)-속상한 나주 죽오당
南道 정자기행(688)-함평 호은정
南道 정자기행(661)-정읍 함벽루(涵碧樓)2
南道 정자기행(713)-구례 용호정(龍湖亭)
南道 정자기행(880)-영암 시서영당과 영모재
南道 정자기행(901)-정자詩로 만난 인물-남도의 조종 박상(朴祥)
南道 정자기행(799)-화순 독락정과 정자들
南道 정자기행(866)-구례 세심정,취석정
南道 정자기행(528)-정자詩로 만난 인물-정지준(丁之雋)
南道 정자기행(1037)-광주 청음정
南道 정자기행(997)-장성 일심정(一心亭)
南道 정자기행(987)-순천 만락정
南道 정자기행(775)-광주 청송정(淸松亭)
南道 정자기행(761)-절의의 숨결이 나주 수산정(首山亭)
南道 정자기행(879)- 정자詩로 만난 인물- 김익로(金益魯)
南道 정자기행(982)-정자書로 만난 인물-이강(李堈)
南道 정자기행(1021)- 정자詩로 만난 인물-양우전
南道 정자기행(820)-곡성 낙수재
南道 정자기행(766)- 영광 매간당(梅間堂)
南道 정자기행(625)-정자詩로 만난 인물-오계수(吳繼洙)
南道 정자기행(989)-정자書로 만난 인물-원교 이광사(2)
南道 정자기행(807)- 정자詩로 만난 인물-정경식
南道 정자기행(963)- 정자詩로 만난 인물-김문옥
南道 정자기행(1025)-호남 정자詩로 만난 인물 100人
南道 정자기행(984)-정자書로 만난 인물-김돈희
南道 정자기행(926)-화순 금란정
南道 정자기행(817)-화순 명학정(鳴鶴亭)
南道 정자기행(645)-보성 청계강당
南道 정자기행(569)-적벽의 사연을 망향정
南道 정자기행(722)-화순 만화루(萬化樓)
南道 정자기행(951)-장성 취수정사(取水精舍)
南道 정자기행(883)-영암 일시정(一視亭)
南道 정자기행(803)-강진 영사정
南道 정자기행(975)-구례 영모정
南道 정자기행(726)-나주 벽오현
南道 정자기행(501)-한국 남화의 성지 운림산방(雲林山房)
南道 정자기행(1023)-정자書로 만난 인물-송시열
南道 정자기행(933)-곡성 도림사 보제루(普濟樓)
南道 정자기행(709)- 강진 화수정
南道 정자기행(939)-곡성 석천재(石川齋)
南道 정자기행(784)- 정자詩로 만난 인물-오한규
南道 정자기행(950)- 정자詩로 만난 인물-한치조
南道 정자기행(642)-기수복력의 보성 덕산정사
南道 정자기행(1016)- 화순 연주정(連珠亭)
南道 정자기행(786)-정자詩로 만난 인물-이의경
南道 정자기행(983)- 정자詩로 만난 인물-조병진
南道 정자기행(813)-강진 호연정
南道 정자기행(1003)-곡성의 서당
南道 정자기행(805)-무안 연방정
南道 정자기행(837)-장흥 농월정
南道 정자기행(586)-진도 벽파정
南道 정자기행(892)- 정자詩로 만난 인물-강백년(姜栢年)
南道 정자기행(1035)-코메디 같은 세상 화순 영귀정
南道 정자기행(1022)-화순 운월정
南道 정자기행(752)-화순 풍욕정(風浴亭)
南道 정자기행(925)-장성 야은정(野隱亭)
南道 정자기행(697)-파초의 꿈 광양 매천헌
南道 정자기행(924)- 구례 봉덕정(鳳德亭)
南道 정자기행(610)-광양 암연정
南道 정자기행(931)-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익경(金益卿)
南道 정자기행(669)-보성 만취정(晩翠亭)
南道 정자기행(806)-무언가 서운한 함평 만송정
南道 정자기행(840)-영암 합경당(合敬堂)
南道 정자기행(1043)-무안 현포정사
南道 정자기행(940)-무안 효우당(孝友堂)
南道 정자기행(938)-무안 망해정(望海亭)
南道 정자기행(991)-정자書로 만난 인물- 김태석(金台錫)
南道 정자기행(802)-정자詩로 만난 인물-송구
南道 정자기행(998)- 정자書로 만난 인물- 송태회
南道 정자기행(1007)-정자詩로 만난 인물-이인승
南道 정자기행(808)-함평 농산정
南道 정자기행(1042)- 장성 면학정(眠鶴亭)
南道 정자기행(754)-장흥 용암정
南道 정자기행(1040)-광주 영원정
南道 정자기행(945)-광주 양암정(洋巖亭)
南道 정자기행(1000)-영암 송정.만취재
南道 정자기행(1001)-광주.전남 10대정자 (강학소편)
南道 정자기행(763)-강진 백련당
南道 정자기행(716)-강진 봉황대(鳳凰臺)
南道 정자기행(871)-정자書로 만난 인물-김규진
南道 정자기행(779)-정자詩로 만난 인물-김영근
南道 정자기행(745)-정자詩로 만난 인물-이후백(1)
南道 정자기행(785)-영광의 정자
南道 정자기행(921)-남원 용계암(龍溪菴)
南道 정자기행(1046)- 보성 음국정(飮菊亭)
南道 정자기행(741)-정자詩로 만난 인물-윤두수(2)

 

문화.김은희 (nox9109@naver.com)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